KR101921538B1 -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538B1
KR101921538B1 KR1020120018596A KR20120018596A KR101921538B1 KR 101921538 B1 KR101921538 B1 KR 101921538B1 KR 1020120018596 A KR1020120018596 A KR 1020120018596A KR 20120018596 A KR20120018596 A KR 20120018596A KR 101921538 B1 KR101921538 B1 KR 10192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receiver
heat exchanger
liquid
circul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961A (ko
Inventor
정재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5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7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weighing of refrigerant or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5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액냉매가 담겨지는 리시버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의 사이와 리시버를 연결하는 리시버 입구유로와; 냉난방 절환밸브와 압축기의 사이와 리시버를 연결하는 리시버 출구유로와; 리시버 입구유로와 리시버 출구유로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냉매조절밸브와; 리시버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를 감지하는 리시버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냉매조절밸브는 리시버 무게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되어, 간단한 구조로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냉매가 담겨지는 리시버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냉매가 순차적으로 압축,응축,팽창,증발되고, 냉매가 기화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액화될 때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하여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수행한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냉난방 절환밸브를 지나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될 수 있고 실내 팽창장치를 지나면서 저온저압의 2상 냉매로 상변화된 후 실내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실내 공기측과 열전달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난방 운전시 냉매 흐름이 냉방 운전시와 반대로 되어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고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실내기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실내기 중 일부만 부분 부하로 운전될 수 있는데, 접속된 실내기 중 일부가 정지하느 경우 정지된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 내부에 저압 가스 상태의 냉매가 존재하게 되고, 실내기의 접속 대수를 고려하여 냉매를 봉입하게 되면 비운전인 실내기의 냉매량이 실외 열교환기로 이동되고, 냉매 순환 상태가 변하여 최적의 냉매가 분포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난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의 기능이 바뀌는데, 실내기의 접속 대수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의 체적 비율이 달라지고, 냉난방 운전 모드 변경에 따른 냉매량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KR 10-0903815 B1 (2009.6.24)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의 냉매량 판정 장치는 복수개의 액면 검지 회로가 리시버에 높이차를 두고 연결되어,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리시버가 실외 팽창 밸브와 항상 연통되어 실외 팽창 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항상 리시버를 통과하므로 실외 팽창 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리시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액냉매가 담겨지는 리시버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의 사이와 상기 리시버를 연결하는 리시버 입구유로와; 냉난방 절환밸브와 압축기의 사이와 상기 리시버를 연결하는 리시버 출구유로와; 상기 리시버 입구유로와 리시버 출구유로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냉매조절밸브와; 상기 리시버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를 감지하는 리시버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조절밸브는 상기 리시버 무게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 냉매조절밸브는 상기 리시버 입구유로에 설치된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와, 상기 리시버 출구유로에 설치된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조절밸브는 냉방 운전시 과냉도와 상기 리시버 무게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냉매조절밸브는 난방 운전시 상기 공기조화기의 고압과 상기 리시버 무게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출입되는 냉매를 조절하는 실내 팽창밸브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시키고 상기 실내 팽창밸브와 액관으로 연결되는 과냉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입구유로는 상기 액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난방 절환밸브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된 어큐물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출구유로는 상기 냉난방 절환밸브와 어큐물레이터의 사이 또는 어큐물레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 과다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이 과다하면 냉매 사이클의 냉매를 리시버로 유입시키고 리시버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시버 내의 액냉매량에 따라 상기 냉매 사이클에서 상기 리시버로 유입되는 냉매를 차단하는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 부족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이 부족하면 리시버의 액냉매를 냉매 사이클로 유출시키고 리시버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시버 내의 액냉매량에 따라 상기 리시버에서 냉매 사이클로 유출되는 냉매를 차단하는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시버 무게 센서가 리시버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를 감지하고, 냉매조절밸브가 리시버 무게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시버 무게 센서에서 감지되는 냉매의 무게가 유량으로 환산되어 냉매량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리시버로의 냉매 유입과 리시버에서의 냉매 유출을 각각 조절할 수 있고, 액관의 냉매가 리시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냉매의 정량을 리시버에 저장할 수 있고, 최적의 냉매량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담겨질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유출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담겨질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유출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일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 사이클(1)과,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을 조절하는 냉매 조절기구(2)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 사이클(1)은 압축기(3)와 실외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8)와 실내 열교환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3)와 실외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8)와 실내 열교환기(10)와 압축기(3)의 순서로 순환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3)와 실내 열교환기(10)와 팽창기구(6)(8)와 실외 열교환기(4)와 압축기(3)의 순서로 순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시 냉매가 압축기(3)와 실외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8)와 실내 열교환기(10)를 순환하게 하고 난방시 냉매가 압축기(3)와 실내 열교환기(10)와 팽창기구(6)(8)와 실외 열교환기(4)를 순환하게 하는 냉난방 절환밸브(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할 수 있다. 압축기(3)는 복수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3)에는 냉매가 압축기(3)로 흡입되는 흡입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3)에는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압축기(3)가 병렬로 연결될 경우 흡입 유로는 복수개의 압축기(3)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토출 유로는 복수개의 압축기(3)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4)는 냉방시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4)는 난방시 팽창기구(6)(8)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4)는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공기-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4)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원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팽창기구(6)(8)는 실외 열교환기(4)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 팽창밸브(6)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구(6)(8)는 실내 열교환기(10)로 출입되는 냉매를 조절하는 실내 팽창밸브(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실내 팽창밸브(8)와 실외 열교환기(4)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4)와 실내 열교환기(10) 중 실외 열교환기(4)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냉방 운전시 냉매가 팽창되지 않고 난방 운전시 냉매가 팽창되게 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냉방시 풀 오픈될 수 있고, 난방시 설정 개도로 조절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실외 열교환기(4)와 실내 팽창밸브(8) 사이의 냉매관에 설치 되는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4)와 실내 팽창밸브(8) 사이의 냉매관에는 냉방시 냉매가 실내 팽창밸브(8)를 향해 유동되게 하고 난방시 냉매를 차단하여 냉매가 실외 팽창밸브(6)로 유동되게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 팽창밸브(8)는 실외 열교환기(4)와 실내 열교환기(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4)와 실내 열교환기(10) 중 실내 열교환기(10)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는 냉방시 팽창기구(6)(8)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는 난방시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압축기(3) 사이에 설치된 어큐물레이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14)에서 압축기(3)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는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될 수 있고,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된 냉매 중 액냉매는 어큐물레이터(16) 내에 쌓이고,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된 냉매 중 기상냉매는 압축기(3)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4)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시키는 과냉기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냉기구(18)는 실외 팽창밸브(6)와 실내 팽창밸브(8)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과냉기구(18)는 실내 팽창밸브(6)와 액관(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과냉기구(18)는 제 1 냉매 유로(21A)와 제 2 냉매 유로(21B)가 형성되고 제 1 냉매 유로(21A)를 통과하는 냉매와 제 2 냉매 유로(21B)를 통과하는 냉매가 열교환되는 과냉 열교환기(22)와, 과냉 열교환기(22)의 제 1 냉매 유로(21A)를 통과한 냉매를 제 2 냉매 유로(21B)로 안내하는 과냉각 바이패스 입구유로(23)와, 과냉각 바이패스 입구유로(23)에 설치된 과냉각 팽창기구(24)와, 제 2 냉매 유로(21B)를 통과한 냉매를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압축기(3)의 사이로 안내하는 과냉각 바이패스 출구유로(25)를 포함할 수 있다. 과냉각 바이패스 입구유로(23)는 일단이 액관(2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과냉각 열교환기(22)의 제 2 냉매 유로(21B)에 연결될 수 있다. 과냉각 바이패스 출구유로(25)는 일단이 제 2 냉매 유로(21B)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어큐물레이터(1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4)에서 응축된 냉매는 과냉 열교환기(22)의 제 1 냉매 유로(21A)를 통과한 후 일부가 과냉각 바이패스 입구유로(23)로 유동되어 과냉각 팽창기구(24)에 의해 팽창된다. 과냉각 팽창기구(24)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제 2 냉매 유로(21B)를 통과하면서 제 1 냉매 유로(21A)의 냉매를 냉각시킨다. 제 2 냉매 유로(21B)의 냉매는 과냉각 바이패스 출구유로(25)를 통과하여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될 수 있다. 냉방 운전시 과냉 열교환기(22)의 제 1 냉매 유로(21A)를 통과하는 냉매는 제 2 냉매 유로(21B)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과냉된 후 액관(20)으로 유동되고, 이후 실내 팽창밸브(8)를 향해 유동되어 실내 팽창밸브(8)에서 팽창된다.
냉매 조절기구(2)는 압축기(3)와 실외 열교환기(4)와 실외 팽창밸브(6)와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어큐물레이터(16)와 과냉기구(18)와 함께 실외기(O)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는 실내 팽창밸브(8)와 함께 실내기(I)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실외기(O)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실내기(I)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매 조절기구(2)는 냉매 사이클(1)에 연결될 수 있고,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과다하면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중 일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부족하면 냉매 사이클(1)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냉매 조절기구(2)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중 작동될 수 있고, 냉매 사이클(1)은 실내를 공조시키는 도중에 최적의 냉매 순환량이 조절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실내기(I) 중 운전인 실내기의 운전 대수에 따라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최적의 냉매 순환량이 상이할 수 있고,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최적의 냉매 순환량이 상이할 수 있다.
냉매 조절기구(2)는 액냉매가 담겨지는 리시버(30)와; 실내 열교환기(10)와 실외 열교환기(4)의 사이와 리시버(30)를 연결하는 리시버 입구유로(40)와;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압축기(3)의 사이와 리시버(30)를 연결하는 리시버 출구유로(50)와; 리시버 입구유로(40)와 리시버 출구유로(50)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냉매조절밸브(60)(70)와; 리시버(30)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를 감지하는 리시버 무게 센서(8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 입구유로(40)는 리시버(30)로 액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과냉기구(18)와 실내 팽창밸브(6) 사이의 액관(20)에 연결될 수 있다.
리시버 출구유로(50)는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어큐물레이터(16)의 사이에 연결되거나 어큐물레이터(16)에 연결될 수 있다. 리시버(30)에서는 액냉매가 유출되고, 리시버(30)에서 유출된 액냉매는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되어 액냉매가 압축기(3)로 직접 유출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냉매조절밸브(60)(70)는 리시버 무게 센서(80)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냉매조절밸브(60)(70)는 리시버 입구유로(40)에 설치된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와, 리시버 출구유로(50)에 설치된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는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최적 냉매 순환량 보다 많은 경우 개방되어 냉매 사이클(1)의 냉매가 리시버(30)로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는 냉매 사이클(1)에 최적의 냉매 순환량이 순환되면 폐쇄되어 액관(20)의 냉매가 리시버(30)로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는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최적 냉매 순환량 보다 적은 경우 개방되어 리시버(30)의 냉매가 냉매 사이클(1)로 유출되게 할 수 있다.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는 냉매 사이클(1)에 최적의 냉매 순환량이 순환되면 폐쇄되어 리시버(30)의 냉매가 냉매 사이클(1)로 유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리시버 입구유로(40)는 과냉기구(18)와 실내 팽창밸브(6) 사이의 액관(20)과 액냉매 유입조절밸브(60)를 연결하는 액냉매 유입조절밸브 입구유로(42)와, 액냉매 유입조절밸브(60)와 리시버(30) 사이의 액냉매 유입조절밸브 출구유로(4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 입구유로(40)는 일부가 액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리시버 캐필러리 튜브(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시버 출구유로(50)는 리시버(30)와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연결하는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 입구유로(52)와,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에 연결되는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 출구유로(54)를 포함할 수 있다.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 출구유로(54)는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어큐물레이터(16)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어큐물레이터(16)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리시버(30)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로서, 감지되는 액냉매의 무게에 따라 리시버(30)에 담겨진 액냉매의 양이 감지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리시버(30)에 담겨진 액냉매와 리시버(30)의 무게를 함께 감지할 수 있고, 리시버 무게 센서(80)에서 감지된 무게에서 리시버(30)의 무게를 제한 값이 리시버(30)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가 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리시버(30)에 설치되어 액냉매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리시버(30)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설정 냉매 봉입량에서 리시버(30) 내부의 냉매량을 제한 값이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냉매의 냉매 순환량이 될 수 있고,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리시버(30) 내부의 냉매량이 감지되는 것에 의해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을 감지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매 사이클(1)의 온도나 압력에 의해 현재의 최적 냉매 순환량을 결정할 수 있고, 냉매 사이클(1)에 최적의 냉매 순환량이 순환하도록 리시버 무게 센서(8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냉매조절밸브(60)(70)를 조절할 수 있다.
냉매조절밸브(60)(70)는 냉방 운전시 과냉도와 리시버 무게 센서(80)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4) 출구 온도와 과냉기구(18) 출구 온도에 따라 과냉도가 산출될 수 있고, 과냉도가 제 1 설정 온도 초과이면, 냉매 사이클(1)의 냉매를 리시버(30)로 유입시키는 조건이 될 수 있으며, 과냉도가 제 1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제 2 설정 온도 미만이면, 리시버(30)의 냉매를 냉매 사이클(1)로 유출시키는 조건이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4)와 과냉기구(18) 사이 또는 실외 열교환기(4)의 출구단에 설치된 실외 열교환기 출구 온도센서(84)와, 과냉기구(18)와 실내 팽창밸브(8) 사이에 설치된 과냉기구 출구 온도센서(8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 출구 온도센서(84)의 감지 온도와 과냉기구 출구 온도센서(86)의 감지 온도와 리시버 무게 센서(80)의 감지값에 따라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와,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과냉도의 범위 별로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90)는 과냉도에 반비례하여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90)는 냉방 운전시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감지되는 냉매의 무게 변화량을 리터 단위로 환산할 수 있고, 냉매를 정밀 제어할 수 있다.
냉매조절밸브(60)(70)는 난방 운전시 공기조화기의 고압과 리시버 무게 센서(80)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난방 운전시 냉매 사이클(1)의 고압이 감지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고압이 제 1 설정 압력 이상이면, 냉매 사이클(1)의 냉매를 리시버(30)에 유입시키는 조건이 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고압이 제 1 설정 압력 보다 낮은 제 2 설정 압력 미만이면, 리시버(30)의 냉매를 냉매 사이클(1)로 유출시키는 조건이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3)의 출구 유로에 설치된 고압 센서(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난방 운전시 고압 센서(88)에 의해 감지된 압력과 리시버 무게 센서(80)의 감지값에 따라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와,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고압 센서(88)에 의해 감지된 고압의 범위 별로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90)는 고압 센서(88)에 의해 감지된 고압에 비례하여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90)는 난방 운전시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감지되는 냉매의 무게 변화량을 리터 단위로 환산할 수 있고, 냉매를 정밀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운전이나 희망 온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9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90)는 입력부(92)의 입력에 따라 압축기(3)와 냉난방 절환밸브(1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담겨질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유출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냉방 운전시, 제어부(90)는 압축기(3)를 구동시킬 수 있고, 냉난방 절환밸브(14)를 냉방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3)의 구동시, 압축기(3)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할 수 있고,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14)를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4)로 유동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4)로 유동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고, 이후 과냉기구(18)를 통과하면서 과냉될 수 있다. 과냉기구(18)에서 과냉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8)로 유동되어 팽창될 수 있고, 이후 실내 열교환기(10)로 유동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0)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고, 이후 냉난방 절환밸브(14)를 통과하여 어큐물레이터(16)로 유동될 수 있으며, 어큐물레이터(16)의 기상 냉매는 압축기(3)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방 운전시, 실내기(I)의 운전 대수가 변화되거나 실내 부하가 가변되거나 실외 온도가 가변될 수 있고,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최적의 냉매 순환량은 변화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매 사이클(1)의 과냉도를 이용하여 냉매 사이클(1)의 최적 냉매 순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냉매 사이클(1)의 과냉도는 실외 열교환기 출구 온도센서(84)의 감지 온도와 과냉기구 출구 온도센서(86)의 감지 온도에 따라 산출될 수 있고, 제어부(90)는 산출된 과냉도에 따른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리시버(30)에 담겨진 냉매량을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90)는 설정 냉매 봉입량에서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냉매량을 제한 값을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매 사이클(1)의 과냉도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이 현재 냉매 순환량 보다 작으면, 현재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냉매 순환량이 많은 상태이므로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개방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의 개방시, 액관(20)의 냉매는 일부가 리시버 입구유로(40) 및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리시버(30)로 유입될 수 있고, 리시버(30)의 냉매량은 점차 증가될 수 있으며, 냉매 사이클(1)의 냉매량은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가 개방인 도중에 리시버(30)에 담겨진 냉매량을 제어부(90)로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적 냉매 순환량과 냉매 사이클(1)의 현재 냉매 순환량이 같아지면, 제어부(90)는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의 개방과 밀폐시, 냉매 사이클(1)은 최적 냉매 순환량의 냉매가 순환되고, 냉방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는 냉매 사이클(1)의 과냉도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이 현재 냉매 순환량 보다 많으면, 현재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냉매 순환량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개방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70)의 개방시, 리시버(30)의 액냉매는 리시버 출구유로(50) 및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통과하여 어큐물레이터(16)로 유출될 수 있고, 리시버(30)의 냉매량은 점차 감소될 수 있으며, 냉매 사이클(1)의 냉매량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가 개방인 도중에 리시버(30)에 담겨진 냉매량을 제어부(90)로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적 냉매 순환량과 냉매 사이클(1)의 현재 냉매 순환량이 같아지면, 제어부(90)는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의 개방과 밀폐시, 냉매 사이클(1)은 냉방 운전시 최적 냉매 순환량의 냉매가 순환되고, 냉방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담겨질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액냉매가 리시버에 유출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난방 운전시, 제어부(90)는 압축기(3)를 구동시킬 수 있고, 냉난방 절환밸브(14)를 난방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3)의 구동시, 압축기(3)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할 수 있고,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14)를 통과하여 실내 열교환기(10)로 유동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0)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고, 이후 실내 팽창밸브(8)를 통과할 수 있다. 실내 팽창밸브(8)를 통과한 냉매는 과냉기구(18)를 통과한 후 실외 팽창밸브(6)로 유동되어 팽창될 수 있고, 이후 실외 열교환기(4)로 유동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4)로 유동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고, 이후 냉난방 절환밸브(14)를 통과하여 어큐물레이터(16)로 유동될 수 있으며, 어큐물레이터(16)의 기상 냉매는 압축기(3)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난방 운전시, 실내기(I)의 운전 대수가 변화되거나 실내 부하가 가변되거나 실외 온도가 가변될 수 있고,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최적의 냉매 순환량은 변화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매 사이클(1)의 고압을 이용하여 냉매 사이클(1)의 최적 냉매 순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냉매 사이클(1)의 고압은 고압 센서(88)에서 감지될 수 있고, 제어부(90)는 고압 센서(88)에 의해 감지된 고압에 따른 최적의 냉매 순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리시버(30)에 담겨진 냉매량을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90)는 설정 냉매 봉입량에서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냉매량을 제한 값을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매 사이클(1)의 고압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이 현재 냉매 순환량 보다 작으면, 현재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냉매 순환량이 많은 상태이므로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개방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의 개방시, 액관(20)의 냉매는 냉방 운전시와 같이, 일부가 리시버 입구유로(40) 및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리시버(30)로 유입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가 개방인 도중에 리시버(30)에 담겨진 냉매량을 제어부(90)로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적 냉매 순환량과 냉매 사이클(1)의 현재 냉매 순환량이 같아지면, 제어부(90)는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의 개방과 밀폐시, 냉매 사이클(1)은 최적 냉매 순환량의 냉매가 순환되고, 난방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는 냉매 사이클(1)의 고압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이 현재 냉매 순환량 보다 많으면, 현재 냉매 사이클(1)을 순환하는 냉매 순환량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개방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70)의 개방시, 리시버(30)의 액냉매는 냉방 운전시와 같이, 리시버 출구유로(50) 및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통과하여 어큐물레이터(16)로 유출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가 개방인 도중에 리시버(30)에 담겨진 냉매량을 제어부(90)로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적 냉매 순환량과 냉매 사이클(1)의 현재 냉매 순환량이 같아지면, 제어부(90)는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의 개방과 밀폐시, 냉매 사이클(1)은 난방 운전시 최적 냉매 순환량의 냉매가 순환되고, 난방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일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 과다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S1)(S2)와;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과다하면, 냉매 사이클(1)의 냉매를 리시버(30)로 유입시키고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리시버 내의 액냉매량에 따라 냉매 사이클(1)에서 리시버(30)로 유입되는 냉매를 차단하는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S3)(S4)(S5)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S2)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도중에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냉매 순환량이 과다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S2)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냉방 운전이면, 과냉도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난방 운전이면, 공기조화기의 고압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S2)는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리시버(30) 내의 액냉매 무게를 이용하여 리시버(30) 내의 액냉매 량을 산출할 수 있고, 설정 냉매 봉입량에서 리시버(30) 내의 액냉매량을 제한 값을 냉매 사이클(1)의 현재 냉매 순환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S2)는 현재 냉매 순환량이 최적의 냉매 순환량 보다 많으면,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과다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S3)(S4)(S5)는 감지 단계(S1)(S2)에서 냉매 순환량이 과다한 것으로 감지되면, 냉매 사이클(1)의 액관(20)과 리시버(30)를 연결하는 리시버 입구유로(40)에 설치된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개방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의 개방시 냉매 사이클(1)의 액냉매는 액관(20)에서 리시버(30)로 유입될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의 개방시 냉매 사이클(1)의 액냉매는 리시버(30)로 유입되어 리시버(30) 내에 점차 차오르게 되고, 이때,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계속하여 리시버(30) 내의 액냉매 무게를 감지할 수 있고, 리시버(30) 내의 액냉매 무게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S3)(S4)(S5)는 리시버 무게 센서(80)에서 감지되는 액냉매 무게에 따른 현재 냉매 순환량이 최적 냉매 순환량과 같게 되면,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60)의 폐쇄시, 냉매 사이클(1)에서는 리시버(30)로 더 이상 냉매가 유입되지 않고, 냉매 사이클(1)은 최적의 냉매 순환량으로 운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 부족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S11)(S12)와;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부족하면 리시버(30)의 액냉매를 냉매 사이클(1)로 유출시키고 리시버 무게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리시버 내의 액냉매량에 따라 리시버(30)에서 냉매 사이클(1)로 유출되는 냉매를 차단하는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S13)(S14)(S15)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S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 도중에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냉매 순환량이 부족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1)(S12)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시 본 발명 일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과 같이, 최적 냉매 순환량을 산출할 수 있고, 리시버(30) 내의 액냉매 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현재 냉매 순환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1)(S12)는 현재 냉매 순환량이 최적의 냉매 순환량 보다 적으면, 냉매 사이클(1)의 냉매 순환량이 부족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S13)(S14)(S15)는 감지 단계(S11)(S12)에서 냉매 순환량이 부족한 것으로 감지되면, 리시버(30)에 연결된 리시버 출구유로(50)에 설치된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70)를 개방할 수 있다.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의 개방시 리시버(30)의 액냉매는 리시버(30)에서 냉매 사이클(1)로 유출될 수 있고, 냉매 사이클(1)의 액냉매는 점차 증가될 수 잇으며, 리시버(30) 내의 액냉매는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리시버 무게 센서(80)는 계속하여 리시버(30) 내의 액냉매 무게를 감지할 수 있고, 리시버(30) 내의 액냉매 무게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S13)(S14)(S15)는 리시버 무게 센서(80)에서 감지되는 액냉매 무게에 따른 현재 냉매 순환량이 최적 냉매 순환량과 같게 되면,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70)의 폐쇄시, 리시버(30)에서는 냉매 사이클(1)로 더 이상 냉매가 유출되지 않고, 냉매 사이클(1)은 최적의 냉매 순환량으로 운전될 수 있다.
1: 냉매 사이클 2: 냉매 조절기구
3: 압축기 4: 실외 열교환기
6: 실외 팽창밸브 8: 실내 팽창밸브
10: 실내 열교환기 14: 냉난방 절환밸브
16: 어큐물레이터 18: 과냉기구
20: 액관 30: 리시버
40: 리시버 입구유로 50: 리시버 출구유로
60: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 70: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
80: 리시버 무게 센서 90: 제어부

Claims (8)

  1. 액냉매가 담겨지는 리시버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의 사이와 상기 리시버를 연결하는 리시버 입구유로와;
    냉난방 절환밸브와 압축기의 사이와 상기 리시버를 연결하는 리시버 출구유로와;
    상기 리시버 입구유로와 리시버 출구유로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냉매조절밸브와;
    상기 리시버에 설치되어, 상기 리시버에 담겨진 액냉매의 무게를 감지하는 리시버 무게 센서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출입되는 냉매를 조절하는 실내 팽창밸브와;
    냉방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시키고 상기 실내 팽창밸브와 액관으로 연결되는 과냉기구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과냉기구 사이에 설치된 실외 열교환기 출구 온도센서와;
    상기 과냉기구와 실내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된 과냉기구 출구 온도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출구 유로에 설치된 고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조절밸브는,
    냉방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 출구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와 상기 과냉기구 출구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에 따라 산출되는 과냉도와, 상기 리시버 무게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되고,
    난방 운전시 상기 고압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과 상기 리시버 무게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조절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조절밸브는 상기 리시버 입구유로에 설치된 액냉매 유입 조절밸브와, 상기 리시버 출구유로에 설치된 액냉매 유출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입구유로는 상기 액관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절환밸브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된 어큐물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출구유로는 상기 냉난방 절환밸브와 어큐물레이터의 사이 또는 어큐물레이터에 연결된 공기조화기.
  7. 냉방 운전시 과냉도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과, 난방 운전시 고압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을 산출하고, 리시버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 과다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이 과다하면 냉매 사이클의 냉매를 리시버로 유입시키고 상기 리시버에 설치된 리시버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시버 내의 액냉매량에 따라 상기 냉매 사이클에서 상기 리시버로 유입되는 냉매를 차단하는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8. 냉방 운전시 과냉도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과, 난방 운전시 고압에 따른 최적 냉매 순환량을 산출하고, 리시버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 부족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냉매 사이클의 냉매 순환량이 부족하면 리시버의 액냉매를 냉매 사이클로 유출시키고 상기 리시버에 설치된 리시버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시버 내의 액냉매량에 따라 상기 리시버에서 냉매 사이클로 유출되는 냉매를 차단하는 리시버 액냉매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KR1020120018596A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92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96A KR101921538B1 (ko)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96A KR101921538B1 (ko)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61A KR20130096961A (ko) 2013-09-02
KR101921538B1 true KR101921538B1 (ko) 2018-11-23

Family

ID=4944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596A KR101921538B1 (ko)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0430B (zh) * 2018-07-02 2020-07-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测量空调系统制冷剂重量的方法及装置
WO2021234931A1 (ja) * 2020-05-22 2021-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322A (ja) 1998-11-16 2000-05-26 Zexel Corp 冷凍サイクル
JP2005257219A (ja) 2004-03-15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8185295A (ja) 2007-01-31 2008-08-14 Daikin Ind Ltd 熱源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JP2009210151A (ja) * 2008-02-29 2009-09-17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媒量判定方法
JP2010127531A (ja) 2008-11-27 2010-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322A (ja) 1998-11-16 2000-05-26 Zexel Corp 冷凍サイクル
JP2005257219A (ja) 2004-03-15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8185295A (ja) 2007-01-31 2008-08-14 Daikin Ind Ltd 熱源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JP2009210151A (ja) * 2008-02-29 2009-09-17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媒量判定方法
JP2010127531A (ja) 2008-11-27 2010-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61A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522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25116B2 (ja) 冷凍装置
AU2007244357B2 (en) Air conditioner
US8899056B2 (en) Air conditioner
US20150267951A1 (en) Variable refrigerant charge control
KR101425040B1 (ko) 공기조화기
US20100139312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6223469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111919A (ko) 지열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JPWO2014046236A1 (ja) 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9086251A (ja) 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装置、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及び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30061614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250479A (ja) 空気調和機
JP5164527B2 (ja) 空気調和機
CN109312961B (zh) 制冷装置的热源机组
CN106949657B (zh) 带过冷装置的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2153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20031841A (ko) 냉매시스템
JP637048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74371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고압상승 방지방법
KR10126610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13124843A (ja) 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6092606B2 (ja) 空気調和機
KR20090107310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난방운전 협조제어 방법
KR10095319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