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033B1 -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033B1
KR101921033B1 KR1020180085242A KR20180085242A KR101921033B1 KR 101921033 B1 KR101921033 B1 KR 101921033B1 KR 1020180085242 A KR1020180085242 A KR 1020180085242A KR 20180085242 A KR20180085242 A KR 20180085242A KR 101921033 B1 KR101921033 B1 KR 10192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heet
metal
bimetal
bime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돌
Original Assignee
이상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돌 filed Critical 이상돌
Priority to KR102018008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4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 G01K5/5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 G01K5/6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the solid body being formed of compounded strips or plates, e.g. bimetallic str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바이메탈을 얼굴 윤곽에 맞게 배치하고, 조절기에서 전류를 인가하여 바이메탈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시트가 곡면 형상의 얼굴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팩에 전류를 인가하여 곡면 부위를 절곡시킴으로써 얼굴 윤곽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트와 얼굴이 밀착되어 화장이나 진정 효과가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바이메탈을 얼굴 윤곽에 맞게 배치하고, 조절기에서 전류를 인가하여 바이메탈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시트가 곡면 형상의 얼굴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은 부직포, 종이, 직물 등과 같은 소재에 액상 형태의 수분 또는 영양분(이라, '화장액'이라 한다)이 함침된 상태로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미용용품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분야에서 시트 마스크팩은 손으로 바를 필요 없이 얼굴 형태로 제작된 시트 타입을 붙이는 형태로 사용되어 보습 및 청정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제품으로서,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디자인의 시트나 상, 하단의 2장으로 나뉜 시트, 눈밑, 눈가, 입가 등의 특정 부위에 맞춘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마스크팩의 유형은 일반적인 스킨케어 제품에 비해서, 부직포 혹은 지지체에 의한 차폐효과(Occlusive Effect)로 그 효능이 증대된 타입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미용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곡면 형상으로 된 얼굴에 잘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시트의 가장자리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곡면 모양이 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또한 사람의 얼굴 윤곽에 맞도록 3D 형상의 마스크팩을 제조하기도 하는데, 3D 마스크의 제조공정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선패턴 형성단계, 마스크 제작단계, 1차 성형단계, 2차 성형단계,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입체형상의 마스크팩은 비교적 평평한 포장재에 넣어서 보관할 수 없기 때문에 제조나 유통, 판매 과정에서 불편하고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들이 자신의 얼굴의 고유한 윤곽에 따라 시트를 변형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의 얼굴에 완벽하게 밀착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628946 B1 KR 10-1861509 B1 KR 10-1589489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스크팩을 구성하는 시트의 내부에 전류의 인가에 따라 형상이 변하는 바이메탈을 내장하고, 조절기를 이용하여 바이메탈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자신의 얼굴 윤곽에 따라 밀착되도록 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트에 내장되는 복수의 바이메탈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정 영역을 묶어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마나 볼, 턱 등 얼굴 모양의 특징에 따라 적절하게 시트의 절곡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액 또는 시트의 전면부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산소 민감성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마스크팩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색깔이 점차적으로 변하도록 하여 마스크팩 제거 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전류의 인가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도록 하여 곡면 형상의 얼굴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마스크팩으로서, 부직포, 천연 섬유, 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며, 화장액이 도포된 상태로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되는 시트(102)와; 상기 시트(102)의 내부에 내장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는 복수의 바이메탈(114)과; 상기 시트(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바이메탈(114)에 유도하는 전류공급패턴(116)과; 상기 시트(102)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류공급패턴(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트커넥터(106)와; 상기 시트커넥터(106)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조절기커넥터(108)와; 케이블(110)을 통해 상기 조절기커넥터(108)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바이메탈(114)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조절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메탈(114)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부피의 변화량이 서로 다른 제1메탈(114a)과 제2메탈(114b)을 맞붙여서 제작되며, 상기 제1메탈(114a)이 상기 제2메탈(114b)에 비해서 온도 상승에 따른 팽창률이 상대적으로 더 크며, 상기 바이메탈(114)은 상기 시트(102)의 내부에서 상기 제1메탈(114a)과 상기 제2메탈(114b)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메탈(114a)은 상기 시트(102)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메탈(114b)은 상기 시트(102)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메탈(114)은 상기 시트(102)의 내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기(112)는 상기 복수 개의 바이메탈(114)에 각각 전류의 크기를 다르게 조절하면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액에는 메틸렌블루 또는 인디고카민이 0.1 내지 10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팩에 전류를 인가하여 곡면 부위를 절곡시킴으로써 얼굴 윤곽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트와 얼굴이 밀착되어 화장이나 진정 효과가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시트의 평면구조와 내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바이메탈의 일반적인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바이메탈의 형상 변형에 따라 시트가 함께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시트가 얼굴 표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조절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시트의 평면구조와 내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100)은 화장액이 스며든 상태에서 얼굴에 부착하여 피부를 통해 영양성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화장용품으로서, 화장액의 종류에 따라서 피부 보습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색소 침착 제거, 상처 회복효과 등이 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마스크팩(100)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시트(102)는 사용자의 얼굴(10)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부직포나 천연 섬유, 종이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사람의 얼굴과 비슷한 모양 및 크기로 재단된 시트(102)에는 눈과 코, 입이 있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104)를 형성하여 마스크팩(100) 사용중에도 앞을 보거나 숨을 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시트(102)의 가장자리에도 절개부(10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104)를 겹치도록 접어서 입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절개부(104)는 눈이나 코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도 하지만, 평면으로 구성된 시트(102)를 볼록하게 접기 편하도록 하기도 한다.
시트(102)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액이 도포되는데, 마스크팩(100)의 기능이나 효과에 따라서 화장액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내용은 마스크팩(100)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102)의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절곡되거나 형상이 변하는 바이메탈(114)이 설치된다. 그리고 바이메탈(114)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류공급패턴(116)이 시트(102)의 내부에 설치된다. 바이메탈(114)과 전류공급패턴(116)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류공급패턴(116)은 굵기가 작은 전선으로 구현되기도 하지만, PCB 제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도전성 금속을 인쇄나 에칭 등의 방법으로 시트(102) 내부에 구현할 수도 있다.
시트(102)의 일측에는 시트커넥터(106)가 연결되는데, 시트커넥터(106)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바이메탈(114)에 전달하는 수용부가 된다. 시트커넥터(106)에는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며, 시트(102)의 내부에 형성된 전류공급패턴(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공급하고 사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조절기(112)라고 정의한다. 조절기(112)는 소형의 케이스를 가지며, 내부의 공간에 전류발생수단과 전류조절수단 등이 구비된다.
조절기(112)에 연결된 전류 전달용 케이블(110)의 말단에는 조절기커넥터(108)가 구비되며, 조절기커넥터(108)는 시트커넥터(106)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시트(102) 마다 시트커넥터(106)를 설치하고, 시트커넥터(106)와 조절기커넥터(108)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시트(102)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시트(102)의 내부에는 복수의 바이메탈(114)이 설치된다. 바이메탈(114)은 전류의 인가에 따른 온도 변화 또는 물리적 특성 변화로 인해 형상이 변하는 소재를 말한다.
바이메탈(114)은 전류의 인가에 따라 열이나 물리적인 힘이 발생하는데, 조절기(112)에서 공급된 전류가 전달될 수 있도록 시트(102)의 내부에는 전류공급패턴(116)이 형성된다.
전류공급패턴(116)은 통상적인 전선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인쇄회로기판(PCB)의 제조에 사용되는 도전체 인쇄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102)를 구성하는 부직포 등을 이중층으로 구비하고, 두 개의 층 사이에 전류공급패턴(116)을 매립 또는 인쇄하는 방법으로 전류공급패턴(116)을 형성한다.
전류공급패턴(116)은 일단이 시트커넥터(106)에 연결되며, 타단은 복수의 바이메탈(114)의 각각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바이메탈(114)을 시트(102) 상에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바이메탈(114)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얼굴 부위별로 다른 절곡 상태를 만들도록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전류공급패턴(116)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바이메탈(114)에 가해지는 전류에 의한 변화가 다른 바이메탈(114)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바이메탈의 일반적인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바이메탈의 형상 변형에 따라 시트가 함께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시트가 얼굴 표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조절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열이나 전류의 인가에 따라 변하는 바이메탈(114)은 통상적으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금속을 맞붙여서 제작한다. 두 개의 금속은 저항이나 열적 특성이 달라서 온도가 변할 때 형상의 변화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두 개의 금속 소재에 동일한 열을 가하거나 전류를 인가했을 때, 변형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쪽으로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적 변화 특성이 다른 두 개의 금속을 서로 붙여서 제작한 것이 바이메탈(114)인데, 온도의 상승에 따라 더 많이 팽창하는 금속을 제1메탈(114a)이라고 하고, 덜 팽창하는 금속을 제2메탈(114b)이라고 한다. 제1메탈(114a)과 제2메탈(114b)이 부착된 상태에서 동일하게 열을 가하거나 전류를 인가하면 금속 소재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팽창률이 더 큰 제1메탈(114a)은 팽창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메탈(114b)과 붙어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팽창하지 못하고 제2메탈(114b)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바이메탈(114)에 열이나 전류를 가하면 팽창률이 작은 금속이 있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와 같은 바이메탈(1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2)의 내부에 적절한 위치에 내장된다. 시트(102)는 얼굴 표면과 닿는 내측면과, 그 반대쪽의 외측면으로 나뉘는데, 시트(102) 내부의 바이메탈(114)은 내측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배치된다. 사람의 얼굴은 달걀 모양처럼 볼록한 상태이기 때문에 내측면 방향으로 시트(102)가 휘어지면서 볼록한 얼굴 표면에 근접하면서 밀착될 것이다.
그리고 바이메탈(114)을 구성하는 제1메탈(114a)과 제2메탈(114b)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메탈(114a)이 시트(102)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제2메탈(114b)은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114)의 위치나 길이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곡면이 반복되는 얼굴의 표면에서 부위별로 절곡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메탈(114)의 온도나 전류 변화에 따라 휘어지는 성질은 종래에 널리 개시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트(102)를 사용자의 얼굴에 씌우고, 조절기(112)를 통해 전류를 인가하면 바이메탈(114)의 온도가 올라가거나 전기적인 특성이 달라지면서 팽창률이 더 큰 메탈 방향으로 바이메탈(114)이 휘어진다. 이와 함께 시트(102)도 함께 휘면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굴 표면의 굴곡에 동일해진다. 따라서 마스크팩(100)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영양성분의 흡수나 전달이 더 효과적으로 될 것이다.
한편, 조절기(112)는 전류의 양이나 공급시간 등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각각의 바이메탈(114)의 절곡 각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조절기(112)에는 장치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스위치(112a)가 구비된다. 그리고 마스크팩(100)의 시트(102) 중에서 어느 영역을 절곡시킬 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스위치(112b)가 구비된다. 전원스위치(112a)와 선택스위치(112b)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하여 전원의 온/오프와 절곡 위치의 선택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이메탈(114)은 시트(102)의 영역에 따라 제1 바이메탈(114-1) 내지 제5 바이메탈(114-5)로 구분된다. 복수의 바이메탈(114)에 인가되는 전류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마스크팩(100)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디스플레이(112c)는 조절기(112)의 동작 상태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음성으로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스피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절기(11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절놉(112d)은 케이블(110)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전류의 변화에 따라 바이메탈(114)에 발생되는 열이나 전류의 변화량이 달라지면서 바이메탈(114)의 절곡 각도가 변화될 것이다.
배터리(112e)는 조절기(112)에서 사용되는 전원과 바이메탈(114)에 인가되는 전류를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수단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교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와 플러그 등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시트(102)를 포장재로부터 분리하고, 절개부(104)에 맞게 자신의 얼굴에 붙인 상태에서 시트커넥터(106)와 조절기커넥터(108)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조절기(112)의 전원스위치(112a)를 켜고, 절곡할 부분을 선택스위치(112b)로 선택하고, 조절놉(112d)을 조작하여 전류를 인가한다. 선택스위치(112b)의 경우에는 시트(102)에 포함된 모든 바이메탈(114)에 동일한 전류 인가가 가능하도록 전체 선택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은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면서 사용자가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팩(100)을 사용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물질을 화장액에 첨가함으로써 마스크팩(100)을 떼어내야 할 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마스크팩(100)을 포장재로부터 꺼내서 공기 중에서 사용할 때, 공기(특히 산소 등)와 접촉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산화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성 물질 중에서 특히 산소에 민감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빠른 시간동안 색깔이 분명하게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산소에 민감한 물질로는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인디고카민(indigo carmi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이들 물질은 수상부 내 포도당(glucose) 등의 환원당과 산소친화력의 차이로 가역적인 색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산소 민감성 물질의 함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충분히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색이 변하는 정도를 고려하여야 하는데, 전체 화장액 조성물 내에서 0.1 내지 10중량%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얼굴 100 : 마스크팩
102 : 시트 104 : 절개부
106 : 시트커넥터 108 : 조절기커넥터
110 : 케이블 112 : 조절기
114 : 바이메탈 114a : 제1메탈
114b : 제2메탈 116 : 전류공급패턴

Claims (4)

  1. 전류의 인가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도록 하여 곡면 형상의 얼굴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피부를 통해 영양성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화장용품의 하나인 마스크팩으로서,
    부직포, 천연 섬유, 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며, 메틸렌블루 또는 인디고카민이 0.1 내지 10중량% 첨가된 화장액이 도포된 상태로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되는 시트(102)와;
    상기 시트(102)의 내부에 내장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는 복수의 바이메탈(114)과;
    상기 시트(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복수의 바이메탈(114)에 독립적으로 유도하는 전류공급패턴(116)과;
    상기 시트(102)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류공급패턴(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트커넥터(106)와;
    상기 시트커넥터(106)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조절기커넥터(108)와;
    케이블(110)을 통해 상기 조절기커넥터(108)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복수의 바이메탈(114)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바이메탈(114)에 각각 전류의 크기를 다르게 공급하는 조절기(112);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메탈(114)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부피의 변화량이 서로 다른 제1메탈(114a)과 제2메탈(114b)을 맞붙여서 제작되며, 상기 제1메탈(114a)이 상기 제2메탈(114b)에 비해서 온도 상승에 따른 팽창률이 상대적으로 더 크며,
    상기 바이메탈(114)은 상기 시트(102)의 내부에서 상기 제1메탈(114a)과 상기 제2메탈(114b)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메탈(114a)은 상기 시트(102)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메탈(114b)은 상기 시트(102)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조절기(112)에는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스위치(112a)와;
    상기 시트(102)에서 절곡시킬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된 영역에 설치된 바이메탈(114)에만 독립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선택스위치(112b)와;
    상기 복수의 바이메탈(114)에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독립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복수의 바이메탈(114)의 절곡 각도를 독립적으로 변화시키는 조절놉(112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85242A 2018-07-23 2018-07-23 마스크팩 KR10192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42A KR101921033B1 (ko) 2018-07-23 2018-07-23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42A KR101921033B1 (ko) 2018-07-23 2018-07-23 마스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033B1 true KR101921033B1 (ko) 2018-11-21

Family

ID=6460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242A KR101921033B1 (ko) 2018-07-23 2018-07-23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5799A (zh) * 2020-11-11 2021-01-22 广州南美化妆品有限公司 用于可导电面膜、眼膜上的语音播报及蓝牙链接智能主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581A (ja) * 2003-04-09 2004-11-04 Kyushu Hitachi Maxell Ltd 治療用パッド及び電気治療器
KR100489951B1 (ko) * 2002-07-31 2005-05-1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이메탈 마스크 스프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51B1 (ko) * 2002-07-31 2005-05-1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이메탈 마스크 스프링
JP2004305581A (ja) * 2003-04-09 2004-11-04 Kyushu Hitachi Maxell Ltd 治療用パッド及び電気治療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5799A (zh) * 2020-11-11 2021-01-22 广州南美化妆品有限公司 用于可导电面膜、眼膜上的语音播报及蓝牙链接智能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4171A1 (en) Pod assembly, dispensing body, and e-vap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615179B2 (en) Pod assembly, dispensing body, and e-vap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485269B2 (en) Pod assembly, dispensing body, and e-vap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701981B2 (en) Pod assembly and e-vap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80295888A1 (en) Pod assembly and e-vap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77173B1 (ko) 패치형 피부 케어기기
KR101921033B1 (ko) 마스크팩
KR200478159Y1 (ko)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팩
CN103156766B (zh) 眼部用美容器具
KR102283882B1 (ko) 전기 자극 마스크 시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이에 이용되는 멀티 마스크 시트
KR101252148B1 (ko) 투명 전열 마스크
KR102406468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기기
WO2006013987A1 (ja) 加温体
CN205215964U (zh) 一种远红外保健面罩
CN214910360U (zh) 一种蒸汽式面部美容仪
KR200460885Y1 (ko)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CN215734897U (zh) 通过导光条交互的柔性电加热装置
CN209392213U (zh) 感温变色退热贴
JP5620185B2 (ja) 顔用温熱具
JP5714296B2 (ja) 顔用温熱具
CN209378036U (zh) 一种自发热控温灸贴
JP3193638U (ja) フェイスマスク
CN112498978A (zh) 低成本极便携恒温护理贴技术
CN116808426A (zh) 辅助吸收装置
KR20240075035A (ko) 약액 전달용 마스크팩 및 약액 투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