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904B1 -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 - Google Patents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904B1
KR101920904B1 KR1020137019444A KR20137019444A KR101920904B1 KR 101920904 B1 KR101920904 B1 KR 101920904B1 KR 1020137019444 A KR1020137019444 A KR 1020137019444A KR 20137019444 A KR20137019444 A KR 20137019444A KR 101920904 B1 KR101920904 B1 KR 10192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atient
dental appliance
delete delete
arc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244A (ko
Inventor
클로드 모클레르
Original Assignee
텅 랩 유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976,489 external-priority patent/US11628043B2/en
Application filed by 텅 랩 유럽 filed Critical 텅 랩 유럽
Publication of KR2014002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 기기와 치료 방법이 개시된다. 치과 기기는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부착되며, 환자의 혀 위에 배치되어 환자의 혀의 후방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형상의 구속 기구를 포함한다. 구속 기구는 환자의 혀의 적어도 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한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혀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기도를 확장하기 위한 치과 기기의 사용을 포함하며, 환자의 혀의 다른 양태를 교정하기 위해 다른 치과 기기의 사용과 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DENTAL APPLIANCE FOR RESTRAINING THE TONGUE}
본원은 미국에 한하여 프랑스 시민인 클라우드 마우클레어를 출원인으로 하고,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영국 국영기업인 텅 래버러토리 리미티드를 출원인으로 하는 PCT 국제 특허 출원으로서 2011년 12월 22일자에 출원되었다.
관련 출원에 교차 참조
본원은 2010년 12월 22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12/976,489 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개시 내용을 원용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하며, 2010년 12월 22일자에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 10306495 호도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 역시 그 전체가 개시 내용을 원용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과 기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쿼드 헬릭스(Quad Helix)와 같은 교정 장치는 2개의 밴드로 어금니에 부착할 수 있는 장치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4개의 능동 나선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교정 장치는 밀집된 치아에 공간을 만들기 위해 입의 아치를 확대하거나, 하악 치아가 상악 치아보다 구강에 있는(돌출된) 구치부 교차 교합을 교정하는 것과 같은 특정 병적 이상을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정 장치는 다양한 병적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혀의 역할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동부를 포함한 혀의 몸통은 인두부(pharyngeal portion)와 구강부(oral portion)를 포함하고 있다. 인두부는 혀의 길이의 약 3/4를 나타내며, 구강부는 혀의 길이의 약 1/4를 나타낸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구강부는 혀끝, 전방 중앙 영역 및 후방 영역을 포함한다. 후방 영역을 혀 뿌리라고도 한다. 혀의 전방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은 혀의 측면 가장자리에 의해 측방향으로 구분된다.
혀는 17개의 근육의 조립체이다. 혀는 구개, 비강, 하악 및 다른 관련 구조를 포함하여 구강의 모든 인접 구조를 개조하는 역할을 한다. 혀의 인두부는 설골에서 시작되어, 하악골(이설근), 두개골(경돌설근) 및 인두에 연결된다.
시기적으로 부적절하고 끊임없는 운동으로 인하여, 이러한 근육들 중 일부가 과도하게 발육될 수 있다. 그 결과, 혀가 환자의 구강 크기를 고려할 때 "정상"으로 간주되는 부피보다 더 큰, 상당한 부피를 갖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크거나 넓은 혀로서 공지되어 있다.
비정상적으로 큰 혀는, 아이가 젖 빠는 것을 중지하고, 첫 번째 치아가 나올 때, 씹고, 말하고, 삼키는 것을 배워야 하는 나이의 어린 시절에 흔히 습득하는 나쁜 습관으로 인한 기능 장애에 그 원인이 있다. 기능 장애의 한 형태는 혀를 사용하여 덴탈 사운드(T, D, N 및 L)를 조음하는 것 이외에 다른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다른 기능 장애는 침을 빨아먹거나 흡인하는 것이고, 세 번째 기능 장애는 규칙적으로 삼키는 대신 식괴(alimentary bolus)를 삼키면서 치아들 사이의 혀로 빨아들이거나 흡인하는 것이다. 혀의 휴지 위치와, 말하고, 삼키고, 씹기 위한 혀의 억제되지 않고 무질서한 운동과 같은 다른 유형의 기능 장애는, 상악 및 하악 돌출 및 전치(토끼 이빨, 치아 사이의 공간 등), 다운 증후군의 늘어진 혀, 후퇴 하악, 돌출 상악, 상악과 하악 간의 개방 교합, 구강 호흡하는 좁고 깊은 구개 및 심지어 치아의 흔들림과 같은 많은 골 기형 및 치아 기형 그리고 변형에 그 원인이 있다.
반사 작용은, 잘못 습득하면, 혀의 구강부의 특정 근육의 과도한 사용으로 이어진다. 혀는 불균형적이고 과도한 방식으로 근육을 만든다. 혀는 점진적으로 커지고, 앞뒤로 운동하며, 흡인한다. 그러한 경우, 환자의 구개는 넓어지지 않으며, 좁고 깊은 상태로 유지되고, 비강 속으로 올라간다. 좁은 구개로 인해 비강의 폭과 그 용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호흡 문제가 발생한다. 구강 호흡은 정상적인 코 호흡을 대체하며, 편도선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 호흡 기도를 폐쇄시킬 수 있다. 혀의 전후 운동은 하악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이설근을 후방 위치로 과도하게 발육시킨다. 따라서, 과도하게 발육된 혀는 구개, 비강, 하악 및 다른 관련 구조와 같은 구강의 모든 인접 구조를 잘못 개조하는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와해시킨다. 이는 인두 높이(특히, 구강 인두)에서 호흡 기도를 폐쇄시킨다.
혀의 휴지 위치도 매우 중요하다. 구개에 붙어 혀의 휴지 위치가 높으면, 구개가 공동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크고 깊게 공동화된 구개는 비강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인두의 입구를 차단하게 된다. 높은 휴지 위치는 부드러운 구개를 누르고 그 장근을 약하게 하여 코골이로 이어지며, 코를 통한 호흡이 감소하고 구강으로 호흡하게 하며,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 이유는 공기가 코에 의해 여과되지 않으므로, 먼지(꽃가루, 석면 등)가 직접 하부 기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혀의 기능 장애와 마찬가지로, 혀는 이 상황에서 불균형적이고 과도한 방식으로 근육을 만든다. 또한, 혀가 점진적으로 커지고 두꺼워져서, 결국 구강 호흡을 차단하게 된다. 일부 환자들은 기능 장애와 부정확한 혀의 휴지 위치 모두로 인해 고통받을 수 있다.
혀의 쇠약과 관련된 코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존의 해법들은 인두를 개방하여 호흡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장치중 하나가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 2303203 A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상방향 또는 후방으로의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혀의 후방부를 누르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들은 쉽게 착용할 수 없음과 동시에 정상적인 말하기와 삼키는 기능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침습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간헐적으로 사용하도록 의도되었기 때문에 습관들이기 어렵고 특히 혀 구속 능력이 부족하다.
또 다른 이용가능한 장치들은 조절성이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혀의 기능을 재교육하기보다는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들은 폐색성이며, 정상적인 말하기 및/또는 삼키는 기능을 억제하거나, 관련 없는 문제(예컨대, 투켓(Tucat)의 진주)에 대한 특수한 훈련이 필요할 수도 있다.
코 호흡을 복원하기 위한 다른 기존의 기술들은 본질적으로 수술을 기반으로 하므로, 매우 침습적이다. 그러나, 이 기술들로 얻어진 결과는 수명이 짧고, 자주 재발한다. 이러한 실패의 원인들 중 하나는, 환자가 수술 후에도 혀의 부정확한 운동을 반사적으로 계속하기 때문에, 외과적 수술 후 필요한 기능적 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넓은 혀가 OSA 또는 코골이의 주요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은 아직 널리 알려지거나 인정되지 않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따르면, 여타 문제점들이 다음과 같이 해소된다.
제1 양태에서, 치과 기기는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치과 기기는 부착 기구에 연결된 구속 또는 억제 기구(즉, 혀의 위치 및/또는 운동을 제한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구속 기구는 환자의 혀 위에 배치되며, 환자의 혀의 후방 또는 인두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형상이다. 구속 기구는 환자의 혀의 적어도 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생리적인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하면서, 후방 영역이 구개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양태에서, 상술한 치과 기기를 포함한 치과 기기 세트가 개시된다. 또한, 치과 기기 세트는,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와 부착 기구에 연결된 구속 기구를 포함한 추가적인 치과 기기를 포함한다. 이 추가적인 치과 기기의 구속 기구도 환자의 혀 위에 배치되며, 통상적으로 환자의 혀의 생리학적 휴지 위치 위의 적어도 약 2 내지 3㎜에 배치된다. 구속 기구는 환자의 혀의 전방 및 중앙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형상이며, 경구개를 문지르는 혀의 전후 운동을 방지한다. 이 추가적인 치과 기기의 구속 기구도 환자의 혀의 전방 팁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한다.
제3 양태에서, 커진 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유리한 결과로 이어지는, 정상 휴지 위치를 상정하도록 혀를 재교육하기 위한 혀 치료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환자의 구강에 치과 기기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치과 기기는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치과 기기는 부착 기구에 연결된 구속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기구는 환자의 혀 위에 배치되며, 환자의 혀의 후방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형상이고, 환자의 혀의 적어도 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정상적인 생리적인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하면서, 후방 영역이 환자의 구개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제1 기간 후, 치과 기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기간 동안, 정상적인 혀의 위치가 복원되며, 환자의 혀의 부피가 감소하고, 코골이가 감소하거나 호흡이 개선되거나 이 둘 모두가 이루어진다.
제4 양태에서, 치과 기기는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와, 부착 기구에 연결된 구속 기구를 포함한다. 구속 기구는 환자의 혀 위에 배치되며, 환자의 혀의 전방 중앙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형상이고, 환자의 혀의 적어도 전방 팁 및 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하면서, 환자의 구개를 문지르는 혀의 전후 운동을 방지한다. 또한, 치과 기기는 환자의 상악의 치아의 구개면 부근에서 구개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배치되어 환자의 구강 내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스템(stem)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템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치아에 대해 측방향 압력을 인가하여 환자의 구개를 확장시킨다.
제5 양태에서, 일반적으로 환자의 혀를 크게 만드는 불완전한 높은 휴지 위치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후방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환자의 혀의 후방 영역을 구속하는 단계와, 환자의 혀의 적어도 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하면서, 후방 영역이 환자의 구개에 부착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환자의 혀의 부피가 감소하고, 코골이가 감소하거나 호흡이 개선되거나 이 둘 모두가 이루어질 때까지 제1 기간 동안 계속 구속하는 단계와, 구속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 기기 세트 중 제1 치과 기기가 부착된 상악을 아래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환자의 혀에 대한 도 1의 제1 치과 기기의 작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하악을 위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치과 기기를 착용한 환자의 구강의 시상단면이다.
도 4는 제1 치과 기기의 가능한 제2 실시예가 부착된 상악을 아래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일부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 기기 세트 중 제2 치과 기기가 부착된 상악을 아래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7은 환자의 혀에 대한 도 6의 제2 치과 기기의 작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하악을 위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치과 기기를 착용한 환자의 구강의 시상단면이다.
도 9는 제2 치과 기기의 제2 실시예가 부착된 상악을 아래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일부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과 조립체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인용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예들은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으며, 청구된 발명에 대한 많은 가능한 실시예들 중 일부를 단지 개시할 뿐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제1 치과 기기와 제2 치과 기기를 포함한 치과 기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 기기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세트로서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치과 기기는 혀의 몸통의 전방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혀의 나머지 부분들이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이는 혀의 후방부의 휴지 위치에 대해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 치과 기기는 혀의 후방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혀의 나머지 부분들이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한다. 특히, 혀의 기능 장애, 혀의 비정상적인 휴지 위치 및 비정상적으로 큰 혀와 그에 수반하는 결과들, 예컨대, 코골이, 무호흡 또는 다른 호흡 불규칙에 대한 치료와 관련하여, 이 치과 기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사용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혀의 정상적인 휴지 위치는 혀의 설배가 입의 중앙에 있고 혀끝이 앞니 구개 유두에 접하는 위치에 대응할 것이다. 특히, 정상적인 휴지 위치에서, 경구개와 혀 사이의 돈더 공간(Donder's space)은 빈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치과 기기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의 작용 위치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의 방위는 XYZ 기준 프레임에 의해 제공된다. x축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배향된 환자의 시상축에 대응하며, y축은 환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향된 가로축에 대응하고, z축은 환자가 기본적인 해부학적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내측의 세로축이며, z축은 아래에서 위로 배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기기 세트는, 제1 기간 동안 환자의 상악에 세트의 제1 치과 기기를 배치하는 단계와, 그 후, 제1 치과 기기를 제거하고, 제2 기간 공안 환자의 상악에 제2 치과 기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환자의 구강(1) 내에 제1 치과 기기(2)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치과 기기(2)는 혀의 전방부가 구개, 특히 경구개를 문지르게 되는 전후 운동을 구속하면서, 혀의 삼키는 기능과 다른 기능들을 위해 정상 위치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에 혀를 제약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치과 기기는 환자의 혀(5)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된 전방으로 연장된 아치부(4)를 포함한다. 전방으로 연장된 아치부(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혀(5)의 특정 부분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밴드(6, 7)는 기기(2)를 환자의 상악의 제 위치에 유지하고, 기기(2)를 사용 중에 안정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지지 수단을 유지한다.
제1 치과 기기(2)는 구개가 깊고 좁은 환자를 포함하여 혀의 기능 장애와 관련된 환자의 상태를 치료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제1 치과 기기(2)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개를 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 치과 기기는 혀가 구개(예컨대, 경구개)를 문지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양측면이 벌어지도록 상악에 측방향 압력을 인가하여 구개를 크게 만든다.
각각 우측 밴드(6)와 좌측 밴드(7)인 밴드는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특정 치아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공급 업체의 카탈로그에서 선택되고, 환자의 상악(10)의 우측 어금니(8)와 좌측 어금니(9)인 제2 어금니에 조여지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밴드(6, 7)들은 상악(13)의 제1 어금니(12, 13)들에 배치된다. 예컨대, 이러한 배치는 제2 어금니가 아직 나오지 않은 어린이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각 밴드(6, 7)는, 예컨대, 크기가 2㎜ x 2.5㎜이고 길이가 약 4㎜이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시스(sheath) 또는 슬리브(14, 15)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평 혀 시스는, 예컨대, 금속으로 제조되며, 미국 회사인 로키 마운틴 오소돈틱스에서 카탈로그 번호 A0186으로 판매한다. 각 시스(14, 15)는, 예컨대, 밴드(6, 7)의 구개면(18, 19)에 용접되며, 상기 구개면은 구강(1)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표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스(14, 15)의 축(C)은 환자의 턱의 교합 평면(P)에 매우 가깝게,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면 내에 존재한다.
아치부(4)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며, 예컨대, 콜로라도 덴버에 소재한 미국 회사인 로키 마운틴 오소돈틱스에서 판매하는 0.036" 직경의 "엘지로이 블루" 타입 와이어로 형성된다. 아치부(4)의 각 단부(24, 25)는 밴드(6, 7)의 대응하는 시스(14, 15) 내에 수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볼 때, 아치부(4)는, 환자의 입이 닫혔을 때 혀의 중앙 영역(31)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환자의 혀의 전방 중앙 영역(31)의 경계부(30)와 접촉하게 되는 형상이다. 이와 동시에, 혀(5)의 우측면 가장자리(32), 좌측면 가장자리(33), 전방 가장자리 또는 혀끝(34) 및 후방 영역(35)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여전히 실시할 수 있다. 아치부(4)는 약 3㎝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 사이의 범위인 거리(d)를 두고 하악(11)의 치아의 구개면에 의해 형성되는 아치를 추종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아치는 혀(5)의 전방 중앙 영역에서 혀의 운동을 구속하기 위해 혀의 정상 휴지 위치 위의 대략 2 내지 3㎜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으로부터 변형도 가능하다.
시상 단면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부(4)는 교합 평면(P)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아치부(4)가 환자의 구강(1)의 구개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혀가 경구개와 같은 구개의 일부분을 문지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아치부(4)는 환자의 특수한 입 형상에 대해 기기(2)가 맞춰질 수 있도록 그 기하학적 구조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
조정 수단은 시상 평면의 양측이면서 시스(14, 15) 부근에 배치된 거의 수직이거나 약간 경사진 루프(36, 37)를 포함한다. 특히, 수직 루프(36, 37)는 아치부(4)의 높이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생리를 가진 환자들에 맞도록 혀의 억제량 또는 구속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 수직 루프(36, 37)는 아치부(4)를 구성하는 금속 와이어 자체를 360°권취하여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루프(36, 37)를 수직 루프라 지칭하고 있지만, 이러한 루프가 특정 실시예에서는 부분적으로 수직(예컨대, 수직 평면에 대해 경사지거나 돌출됨)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치과 기기(2)가 환자의 입 속의 작용 위치에 있을 때, 수직 루프(36, 37)는 XZ-평면에 대해 평행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위치하고, 상방으로 배향된다. 수직 루프(36, 37)는 치과 의사가 교합 평면(P)에 대해 아치부(4)의 전방부(38)를 다소 기울이기 위해 아치부(4)의 금속 와이어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정 수단은 각 수직 루프(36, 37)로부터 약 1㎝ 전방에서 XZ 시상면의 양측에 전방부(38)를 따라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우측 및 좌측 루프(40, 41)를 포함한다. 수평 루프(40, 41)는 구개 확대를 위해 아치부(4)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평 루프(40, 41)는 위치 또는 크기 면에서 대칭적이지 않다. 다른 실시예에들서, 이러한 루프들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루프(40, 41)를 수평 루프라 지칭하고 있지만, 이러한 루프가 특정 실시예에서는 부분적으로 수평일 수 있음을, 즉, 수평 평면에 대해 경사지거나 돌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2개의 수평 루프(40, 41) 사이의 거리는 환자의 구강의 폭에 따라 변화되며, 일반적으로 2 내지 3㎝이다. 각 수평 루프(40, 41)는 아치부(4)를 구성하는 금속 와이어 자체를 360°권취하여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수평 루프(40, 41)는, 아치부(4)가 접촉하게 되는 혀(5)의 중앙 영역의 경계부(30)의 형상과 환자의 치아 구조에 아치부(4)의 형상을 맞추기 위해, 아치부(4)를 구성하는 금속성 와이어의 소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평 루프(40, 41)는 아치부(4)와 혀(5) 사이에 추가적인 접촉면을 제공하며, 구개가 너무 좁을 경우 구개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코 호흡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직 루프(36, 37)와 수평 루프(40, 41)가 생략되며, 그러한 실시예들은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아치부의 배치 면에서 유연성이 적고 정밀도가 낮을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직 루프와 수평 루프 중 하나 또는 모두가 다른 조정 수단(마이크로 패스너, 마이크로 볼트와 너트, 마이크로 나사, 또는 스프링과 톱니 기구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1 치과 기기(2)는 추가적인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실제로, 혀(5)가 아치부(4)에 힘을 가할 때, 레버 암 때문에 증폭되는 이 힘들은 시스(14, 15)를 통해 밴드(6, 7)에 가해진다. 밴드(6, 7)를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는 이 상당한 힘들을 보상하기 위해, 제1 치과 기기(2)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2개의 우측 및 좌측 스템(42, 43)을 구비한다. 각 스템(42, 43)은 아치부(4)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금속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템(42, 43)은, 제1 단부가 밴드의 시스(14, 15)에 삽입됨으로써, 그 제1 단부에서 밴드에 부착되어 있다. 스템(42, 43)은 시스(14, 15)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시스에는 상악(10) 소구치의 구개면을 따라 입(1)의 전방을 향해 스템이 부착된다. 스템(42, 43)의 제1 단부는 제1 소구치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스템(42, 43)은 치아의 에나멜과 잇몸 사이의 경계에 배치된 상악(10)의 부조면(relief)에 안착된다.
관련 출원인 PCT/EP2009/060226 호와 비교하면, 상기 출원에 도시된 긴 스템과 비교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템(42, 43)은 환자의 입 안에서 전방으로 하나 또는 2개의 치아 길이만큼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원의 스템(42, 43)은 환자의 구개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됨으로써, 혀가 큰 상태의 후유증을 더 치료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y축에 대해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시스(14, 15)를 피벗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시스(14, 15)가 받을 경우, 밴드(6, 8)의 피벗팅에 반대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스템(42, 43)이 상악의 부조면에 안착되면서, 구개를 확장시킨다.
강성을 크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시스에 수용된 아치부의 단부와 스템의 제1 단부가 함께 용접된다.
변형예로서, 스템은 아치부(4)를 구성하는 금속 와이어 자체를 뒤로 접어 제조되며, 뒤로 접힌 부분이 부착 시스 내에 수용되거나 어떤 경우에는 부착 시스와 일체화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스템의 외부 부분이 입의 바닥을 향해 비스듬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는 혀가 측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치아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스템의 연장 거리가 일반적으로 하악 치아 이상으로 연장되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혀를 구속하기 위한 아치부가 제거가능하다. 밴드에 아치부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도 그에 따라 조정된다. 예컨대, 부착 밴드의 구개면은, 콜로라도 덴버에 소재한 로키 마운틴 오소돈틱스의 카탈로그 번호 A4114의 윌슨 3D 혀 튜브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시스를 형성하는 요소를 구비하며, 이 요소와 함께 아치부의 대응하는 단부에 구비된 조합 수단이 삽입에 의해 맞물린다.
다른 변형예로서, 수직 루프가 비스듬히 배열된 루프로 대체된다. 이러한 루프는 아치부의 높이와 폭을 모두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아치부에서 수평 루프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치과 기기(2)를 배치하기 위해, 치과 의사는 환자의 상악의 2개의 각 제2 어금니(8, 9)에 밴드(6, 7)를 조인다. 그 다음, 치과 의사는 시스(14, 15)에 스템(42, 43)과 아치부(4)의 단부들을 박아 넣고, 이들을 변형시켜 조여짐으로써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그 다음,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치과 의사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도록 아치부의 폭과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아치부(4)의 다양한 수평 루프(40, 41)와 수직 루프(36, 37)를 변형시킨다. 아치부(4)는, 그 작용 위치에서, 혀의 원하는 위치 약간 위에 놓이도록 조절되며, 이 위치는 혀가 이완되어 하악의 치아 아치 부근에 위치되는, 하악 앞니에 대해 힘을 전혀 가하지 않는 하악 앞니 바로 뒤의 정상 휴지 위치이다.
조정이 완료되었을 때, 아치부(4)는 교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악 치아의 구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서, 하향 전방으로 시스를 떠나도록 배치된다. 아치부(4)는 혀(5)의 바깥쪽 가장자리로부터 약 0.5㎝에 접촉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아치부(4)는 환자의 구개(3)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환자의 구강의 상부 아치와 하부 아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그 다음, 추가적인 지지부를 형성하는 스템이 치아의 목부 부근에서, 즉 잇몸 라인에서 소구치의 구개면을 따라 배치된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시스(14, 15)가 부착된 밴드(6, 7)는 어금니(8, 9) 이외의 다른 치아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시스(14, 15)가 부착된 밴드(6, 7)는 제1 어금니(12, 13)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치부(4)에 대해 혀(5)가 인가하는 압력 때문에, 시스(14, 15)가 부착된 밴드(6, 7)는 소구치에 배치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14, 15)는 금속 또는 수지로 제조된 것들을 포함하는 다른 치과 기기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기기들의 예에는 교정기 또는 얼라이너와 같은 임의의 치과 교정 장치 또는 치과 구강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밴드(6, 7)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자신의 치아를 대량(예컨대, 전부 또는 거의 전부) 소실한 개인을 위해, 상악골 부분 의치 또는 상악골 고정 의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되면, 기기(2)는 혀(5)가 그 정상적인 기능, 즉 치경음(T, D, N) 및 L의 조음과 삼키기에 의한 식괴와 침의 제거를 위해 필요한 운동만을 실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혀(5)가 금지된 방식으로 운동하는 경우, 중앙 영역의 경계부(30)가 장애물을 형성하고 있는 아치부(4)와 만나게 된다. 따라서, 흡인 운동이 불가능하게 되며, 다른 바람직한 운동도 불가능하게 된다. 금속 와이어와 수평 루프에 문질러짐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혀는 반사 기전을 통해 특정 운동을 피하고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학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치과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예컨대, 발치 때문에 하나 이상의 어금니가 소실된 환자 또는, 예컨대, 낮시간 동안 기기를 제거하고자 원하는 환자에 특히 적합하게, 구속 수단은 한 쌍의 부속 수지 형성물 내에 설치되는 금속 와이어 아치부로 만들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환자에 맞춰 성형된 상보적인 좌측 및 우측 수지 형성물(401a, 401b)을 포함한다. 수지 형성물(401a, 401b)은 상악의 양측에서 적어도 2개의 후크(406)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후크는 치아(402, 403)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치아에 결속된다. 위치(409)는 소실된 치아를 나타내며, 도 4는 위치(409)에 인접한 치아들에 결속된 후크(406)를 도시하고 있다. 각 수지 형성물(401a, 401b)로부터 반대측의 치아면에서, 후크(406)들이 가로 부재에 의해 함께 결합되거나, 예컨대, 구개 확장이 요구될 경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각 측면에 하나씩 2개의 슬리브(404)가 치아(402, 403)에 대해 평행한 수지 형성물(401a, 401b)에 중합과 같은 공정에 의해 고정된다. 아치부(405)의 단부가 슬리브(404)에 삽입되며, 나사 결합과 같은 기계적 부착, 마찰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 분야에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슬리브(404)에 고정될 수 있다. 기기는 금속 와이어 아치부(408) 주위에 시스(4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407)는 시스가 없는 무피복 금속 와이어 보다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수지 형성물(401a, 401b)의 슬리브(404) 내에 스템(442, 443)이 각각 장착된다. 스템(442, 443)은 제1 치과 기기(2)의 스템(42, 43)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아치부(408)와 협력하여 환자의 구개를 넓힌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여기서, 후크(406)는 앵커 포인트(501)에서 수지 형성물(401a, 401b)에 부착되며, 후크(406) 당 하나의 엥커 포인트(501)가 제공된다. 선택적인 가로 부재(502)가 2개의 인접한 후크(406)들을 연결하여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후크(406)는 치아(402, 403)에 결속되도록 배치되며, 이 치아들은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제1 및 제2 어금니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환자의 입의 구조와 하나 이상의 치아의 존재(또는 부재) 여부에 따라, 후크(406)가 제2 어금니 또는 제2 소구치에 결속되도록 수지 형성물(401a, 40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환자의 구강(1) 내에 치과 기기 세트의 제2 치과 기기(102)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2 치과 기기(102)는 혀가 말하기와 삼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운동하도록 허용하면서, 정상적인 휴지 위치, 즉 경구개의 후방부 또는 연구개에 당접하지 않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혀의 적어도 후방 영역을 구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기기의 목적 역시 혀를 구속하는 것이지만, 이 기기는 혀의 위치결정에 있어서 여러 가지 결함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명시되었거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경우를 제외하고, 유사한 요소들의 상세는 제1 치과 기기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제2 치과 기기(102)를 제1 치과 기기(2)에 대해 비교하면, 제1 치과 기기(2)는 환자의 혀(5)의 전방 중앙 영역(31)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반면, 제2 치과 기기(102)는 혀(5)의 후방 영역(35)을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치과 기기(102)는 경구개 및 연구개 및 목젖의 후방부를 포함하여 구개에 대해 그/그녀의 혀(5)의 휴지 위치가 접하지만,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 교정된 경우에) 구개 확장이 불필요한 환자에 특히 적합하다.
제2 치과 기기(102)는 아치부(104)를 포함하며, 상기 아치부는 구강(1) 내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며, 후방 경구개, 연구개 및 목젖을 향한 혀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환자의 혀(5)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아치부(4)와 관련한 추가적인 상세는 후술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밴드(106, 107)는 상악(10)의 제1 어금니(12, 13)에 각각 위치된다. 부착 밴드(106, 107)는 기기(102)를 환자의 상악(10)의 제 위치에 유지하고, 기기(102)를 사용 중에 안정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지지 수단(142, 413)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밴드(106, 107)와 관련 시스(114, 115)는 제1 어금니(12, 13) 이외의 다른 치아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밴드(106, 107)와 관련 시스(114, 115)는, 예컨대, 사랑니(20, 21)가 존재하는 경우, 어금니(8, 9)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치부(4)에 대해 혀(5)가 인가하는 압력 때문에, 시스(114, 115)를 구비한 밴드(106, 107)는 소구치에 배치되지 않는다. 충분한 치아가 존재하지 않으면,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실시예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밴드(106, 107)는 상악(10)의 우측 제1 어금니(12)와 좌측 제1 어금니(13)에 각각 조여지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부착 밴드(106, 107)는 상악(10)의 제2 소구치(16, 17)에 배치된다. 각 밴드(106, 107)는, 예컨대, 밴드(106, 107)의 구개면에 용접되는 시스 또는 슬리브(114, 115)를 구비한다. 각 시스(114, 115)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시스에 수용되는 구조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시스(114, 115)는 도 1 내지 도 3의 시스(14,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크기가 2㎜ x 2.5㎜이고 길이가 약 4㎜인 수평 혀 시스일 수 있다. 시스(114, 115)는 구강(1)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밴드(106, 107)의 구개면(118, 119)에 용접(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스(114, 115)의 축(C)은 환자의 턱의 교합 평면(P)에 매우 가깝게,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면 내에 존재한다.
아치부(104)는 도 1 내지 도 3의 아치부(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와이어로 형성된다. 아치부(104)의 각 단부(124, 125)는 밴드(106, 107)의 대응하는 시스(114, 115) 내에 수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볼 때, 아치부(104)는, 혀(5)가 구개에 닿으려고 노력하고 환자의 입이 닫혔을 때 혀의 후방 중앙 영역의 상방 운동을 제한하도록, 환자의 혀(5)의 후방 중앙 영역(35)과 접촉하게 되는 형상이다. 이와 동시에, 혀(5)의 우측면 가장자리(32), 좌측면 가장자리(33), 전방 가장자리 또는 혀끝(34) 및 중앙 영역(31)은 말하기 또는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여전히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치부(104)는 연구개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약 1㎝ 이격되어 경구개 아래에 유지되도록 거의 제3 어금니 높이에 후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치부(104)는 혀(5)가 목젖과 아울러, 연구개와 경구개를 누르지 않도록 방지한다.
시상 단면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부(104)는 교합 평면(P)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아치부(104)는, 도 1 내지 도 3의 아치부(4)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구강(1)의 구개(3)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치료가 시작되면, 아치부(104)는 혀(5)에 대한 잠재적인 고통과 상호 작용을 경감하기 위해 구개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치료로 인해 혀(5)의 부피가 감소되는 경우, 아치부(104)는 혀를 정상 작용 및 휴지 위치들에 더 구속하기 위해, 교합 평면(P)을 향해 점진적으로 낮춰질 수 있다. 따라서, 아치부(104)가 초기 위치에서 구개 부근에 배치되면, 아치부(104)가 교합 평면을 향해 구개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조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약한 치료 또는 초기 치료를 원한다면, 아치부는 상부 잇몸 라인 평면으로부터 구개를 향해 상방으로 약 3㎜만큼 조절될 수 있으며, 강한 치료를 원한다면, 아치부(104)는 잇몸 라인 평면 아래로 최대 약 3㎜ 정도 하방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아치부(104)는 환자의 특수한 입 형상에 대해 기기(102)가 맞춰질 수 있도록 그 기하학적 구조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 조정 수단은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이거나 약간 경사진 루프(136, 137)와 2개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루프(140, 141)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이 루프들을 각각 수직 또는 수평 루프라 지칭하고 있지만, 이러한 루프들이 특정 실시예에서는 수직 또는 수평 평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경사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 조정 수단들은, 아치부(104)가 접촉하게 되는 혀(5)의 후방 영역(35)의 형상과 환자의 치아 구조에 아치부(104)의 형상을 맞추기 위해, 아치부(104)를 구성하는 금속성 와이어의 소성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평 루프(140, 141)는 아치부(104)와 혀(5) 사이에 추가적인 접촉면을 제공한다.
제1 치과 기기(2)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제2 치과 기기(102)는 2개의 우측 및 좌측 스템(142, 143)으로 이루어진 추가적인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우측 및 좌측 스템(142, 143)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치과 기기(2)와 비교하면, 제2 치과 기기(102)의 스템(142, 143)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더 단축될 수 있으며, 예컨대, 1개 내지 1개 반의 치아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로 더 단축될 수 있다. 예컨대, 환자의 구개 확장을 위해 제2 기기(102)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실시예들에서(예컨대, 제1 기기로 치료한 후 제2 기기(102)가 적용되었거나 구개의 확장이 필요하지 않은 환자에 대해), 스템(142, 143)이 단축될 수 있다.
각 스템(142, 143)의 제1 단부가 아치부(104)의 각 단부(124, 125)와 나란하게 대응하는 시스(114, 115)에 삽입된다. 스템(142, 143)은 스템이 부착된 밴드(106, 107)로부터 입(1)의 후방을 향해 상악 어금니의 구개면을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스템(142, 143)의 제2 단부는 제3 어금니(20, 21)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스템(142, 143)은 치아의 에나멜과 잇몸 사이의 경계에 배치된 상악(10)의 부조면에 안착된다. 환자의 입 구조에 따라 정확한 길이가 다를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들에서, 스템(142, 143)은 대략 1개의 치아 길이이다.
또한, 아치부(104)의 각 단부(124, 125)가 시스(114, 115) 내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치과 기기(2)를 포함하는 변형예들이 제2 치과 기기(102)를 변형하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2 치과 기구(102)의 위치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치과 의사는 환자의 상악(10)의 2개의 각 제1 어금니(12, 13)에 밴드(106, 107)를 조인다. 그 다음, 치과 의사는 시스(114, 115)에 스템(142, 143)과 아치부(104)의 단부들을 박아 넣고, 이들을 변형시켜 조여짐으로써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그 다음,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치과 의사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도록 아치부(104)의 기하학적 구조, 폭과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아치부(104)의 다양한 수평 루프(140, 141)와 수직 루프(136, 137)와 그 후방부(138)를 변형시킨다.
아치부(104)는, 그 작용 위치에서, 혀의 원하는 위치 약간 위에 놓이도록 그 후방부(138)가 조절되며, 이 위치는 혀가 이완되어 하악의 치아 아치 부근에 위치되는 정상 휴지 위치이다.
조정이 완료되었을 때, 아치부(104)는 교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악 치아의 구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서, 하향 후방으로 시스를 떠나도록 배치된다.
아치부(4)는, 그렇지 않았다면 휴지 위치에서 혀가 구개에 접촉하도록 위치되었을 경우, 혀(5)와 접촉하도록 변형되지만, 혀가 정상적인 원하는 휴지 위치에 있을 때, 반드시 혀(5)와 접촉하지 않도록 잇몸 라인 평면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아치부(104)는 환자의 구개(3)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환자의 구강의 상부 아치와 하부 아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그 다음, 추가적인 지지부를 형성하는 스템(142, 413)이 치아의 목부 부근에서, 즉 잇몸과 치아가 교차하는 영역에서 어금니의 구개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이 위치되면, 제2 치과 기기(102)는 혀(5)가 그 정상적인 기능, 즉 치경음(T, D, N) 및 L의 조음과 삼키기에 의한 식괴와 침의 제거를 위해 필요한 운동만을 실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혀(5)가 금지된 방식으로 운동하거나 구개에 고정된 나쁜 휴지 위치를 갖는 경우, 혀의 후방 영역(35)이 장애물을 형성하고 있는 아치부(104)와 만나게 된다. 금속 와이어와 수평 루프에 문질러짐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혀는 반사 기전을 통해 특정 운동을 피하고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학습"한다. 이것이 기기(102)가 혀에 재교육을 제공한다고 하는 이유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치과 기기의 대안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대안적 실시예는 제1 치과 기기와 관련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발치 때문에 하나 이상의 어금니가 소실된 환자 또는 낮시간 동안 또는 다른 이유로 자신의 입속에 치과 장치를 보유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환자에 특히 적합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치과 기기(600)는 한 쌍의 수지 형성물(601a, 601b)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에에서, 수지 형성물(601a, 601b)은 상악의 양측에서 후크(606)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후크는 도시된 예에서 치아(602, 603)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치아에 결속되도록 하는 크기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치아(602)는 후크(606)에 의해 맞물린다.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후크(606)와 수지 형성물(601a, 601b)은, 예컨대, 치아(602)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소실된 경우, 다른 치아(예컨대, 치아(603))에 결속되도록 조정된다. 다른 치아들이 소실된 경우, 수지 형성물(601a, 601b)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각각 좌우측의 기존 치아 주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예컨대, 각 수지 형성물(601a, 601b)의 일부로서, 수지 형성물이 소실된 치아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후크(606)들이 가로 부재(702)에 의해 함께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로 부재는 후크의 위치를 안정화하고 치아(602)에 대한 결속도 돕는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후크(606)들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크(606)는 앵커 포인트(701)에서 수지 형성물(601a, 601b)에 부착되며, 후크(606) 당 하나의 엥커 포인트(701)가 제공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장치와 마찬가지로, 후크(606)는 치아(602, 603)에 결속되도록 배치되며, 이 치아들은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제1 어금니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환자의 입의 구조와 하나 이상의 치아의 존재(또는 부재) 여부에 따라, 후크(606)가 제2 어금니 또는 제2 소구치에 결속되도록 수지 형성물(601a, 601b)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114, 115)는 금속 또는 수지로 제조된 것들을 포함하는 이미 제 위치에 배치되거나 동시에 설치되는 다른 치과 기기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기기들의 예에는 교정기 또는 얼라이너와 같은 임의의 치과 교정 장치 또는 치과 구강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밴드 후크(606)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자신의 치아를 대량(예컨대, 전부 또는 거의 전부) 소실한 개인을 위해, 상악골 부분 의치 또는 상악골 고정 의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치부(608)는 도 6 내지 도 8의 아치(105)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되고, 형성되며, 배향된다. 도 4 및 도 5의 아치부(408)와 마찬가지로, 아치부(608)는 제2 치과 기기(600)의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아치부(608)의 금속 와이어 주위에 시스(607)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각 수지 형성물(601a, 601b)에 하나씩 2개의 슬리브(604)가 치아(602, 603)에 대해 평행하게 고정된다. 슬리브(604)는 수지 형성물(401a, 401b)에 중합 공정 또는 다른 등가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아치부(605)의 단부가 슬리브(604)에 삽입되며, 나사 결합과 같은 기계적 부착, 마찰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 분야에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슬리브(604)에 고정될 수 있다. 기기는 금속 와이어 아치부(608) 주위에 시스(6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607)는 시스가 없는 무피복 금속 와이어 보다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지 형성물(601a, 601b)의 크기에 따라, 슬리브(604)가 수지 형성물(601a, 601b) 상에서 후크(606)를 수용하고 있는 치아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나,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슬리브가 치아(610)에 인접한 경우(또는 후크가 치아(610)에 배치된 경우), 슬리브(604)가 입의 더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642, 643)은 슬리브(604)로부터 연장되며, 환자의 혀에 의해 아치부(608)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치과 기기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템(142, 143)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입 구조에 따라 정확한 길이가 다를 수 있지만, 스템(642, 643)은 대략 1개의 치아 길이이다.
이제, 도 1 내지 도 10을 포괄적으로 참조하면, 제1 치과 기기는 바람직하지 않게 습득한 습관에 반대하여, 치료 첫날부터 시작하여 혀의 기능 장애를 억제한다. 점진적으로, 기기의 구속력 내에서 혀가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재교육된다. 또한, 구개에 대해 혀가 압력을 가하지 못하도록 중단시킴으로써, 상부 기도를 비움으로써 개선된 호흡을 회복한다. 특히 적절한 방식으로만 혀가 적게 운동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일부 근육(예컨대, 이설근)이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부피가 감소된다. 혀가 적절하고 균형잡힌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강제함으로써, 혀의 다른 근육들이 힘을 되찾고 인두 영역의 용량을 보호한다. 두 효과의 조합은 인두에서 자연스러운 호흡을 가능하게 한다. 제2 기기는 거대한 혀가 구개에 부착되어 기도를 폐색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 기기는 혀가 입의 아부에서 휴지하도록 강제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혀가 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기도, 특히 인두가 개방되도록 한다.
제1 또는 제2 기기로 약 3개월간 치료하면, 혀의 부피가 필연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재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기기를 바람직하게는 약 6개월간 착용한다. 치과 의사가 구개의 형상을 재구축할 뿐만 아니라 혀의 운동과 위치를 구속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치과 기기를 더 오래 착용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제1 치과 기기의 스템의 긍정적인 작용은 장기간 사용에 의해 강조되며, 상악의 치아 아치들을 더 밀어 분리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개를 확장한다.
또한, 치료 중, 치과 의사는, 예컨대, 혀의 부피가 감소할수록 혀를 향해 아치부를 더 낮추기 위해, 제1 또는 제2 치과 기기 각각의 아치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기기의 존재가 혀의 과도한 사용이나 운동을 방해하고 입술의 사용을 촉진하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 치과 기기의 사용은 단어의 조음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1 치과 기기는 혀가 아치부를 누를 때 치아를 측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구개를 넓힌다. 구개가 점진적으로 재건되며 깊이가 얕아지면서 넓어지므로, 비강의 부피를 증대시키고 코 호흡을 개선한다. 흡인 운동의 제거는 이설근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이중 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상적인 말하기와 삼키는 소리를 허용하는 제1 및 제2 치과 기기로 인해,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기기들은 야간용으로 한정되거나 어린이용으로 한정되기 보다는 성인이 계속 사용하는 용도로 적합하다. 특히, 많은 성인들은 제3 어금니 수준까지 나온 전체 치아 세트와 아울러 큰 혀와 깊은 구개가 발육되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성인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호흡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수면 무호흡증과 코골이가 완화되거나 사라진다. 따라서, 환자는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숙면을 경험하게 되고 그 결과 삶의 질이 나아지게 된다. 제1 치과 기기는 혀를 재교육하고, 이는 구개를 개조하기 때문에, 쿼드 헬릭스에 비해 더 안정적인 결과를 얻게 된다.
제2 기기는 경구개의 후방부, 연구개 및 목젖을 포함하는 구개를 혀가 누르지 않도록 방지한다. 혀는 낮고 이완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는 혀의 부피를 줄이고 기도를 확보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제2 치과 기기(예컨대, 치과 기기(102 또는 600))에 의하면, 기기에 대해 혀의 설배가 가하는 압력은, 혀가 구속되지 않았을 경우, 휴지 위치를 높이고, 혀를 설골에 연결하는 근육과 인두벽의 근육을 강화한다. 또한, 이는 기도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경돌설근에 대한 작용으로 척추를 곧게 편다. 따라서, 제2 치과 기기는 혀의 설배가 구개와 접촉하는 혀의 높은 휴지 위치를 치료하도록 조정된다. 수 개월 후, 혀의 설배는 평평해지고 구강 인두가 확보된다.
일부 응용예들에서, 치과 의사는 제1 및 제2 치과 기구를 세트로 사용한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치과 기기는 순차적으로 사용된다. 제1 치료 단계에서, 제1 치과 기기가 혀의 전방 및 중앙 영역들의 근육을 치료하기 위해 제1 기간 동안 사용된다. 제1 치과 기기가 제거된 후, 제2 치료 단계에서, 제2 치과 기기가 혀의 후방 영역의 근육을 치료하기 위해 제2 기간 동안 사용된다.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제1 기간 동안 제2 치과 기기가 사용되고 제2 기간 동안 제1 치과 기기가 사용되도록, 사용되는 치료 단계들이 역전될 수 있다.
이상의 명세서, 예 및 데이터는 본 발명의 구성의 제조 및 용도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Claims (28)

  1. 치과 기기로서,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와,
    환자의 혀 위에 배치되어 부착 기구에 연결되는 구속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 기구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부착 기구의 후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정점(apex)을 갖는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부는, 환자의 혀의 후방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정점에서 환자의 교합 평면 위에 위치되며 환자의 교합 평면에 접근하도록 형성 및 구성되며, 환자의 혀의 적어도 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하면서 후방 영역이 구개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구속 기구는, 환자의 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환자의 혀 위의 적어도 2㎜이며 잇몸 라인 높이에 배치되고, 환자의 구개에 접촉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부착 기구는 환자의 상악의 2개의 대향하는 어금니 또는 소구치에 각각 배치된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는 2개의 대향하는 어금니에 조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아치부는 환자의 교합 평면 위에 배치되는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며, 치과 기기가 아치부의 단부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아치부는 복수의 루프를 포함하며, 복수의 루프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루프와 적어도 하나의 수직 루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평 루프는 아치부의 폭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직 루프는 아치부의 수직 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환자의 입 안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스템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스템은 환자의 상악의 치아의 구개면 부근에서 구개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부착 기구는 미리 결정된 치아와 맞물리도록 후크가 장착되는 복수의 수지 형성물을 포함하며, 수지 형성물은 환자의 소실된 어금니의 위치에 배치되고, 치과 기기가 상기 복수의 수지 형성물에 장착되는 복수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구속 기구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치과 기기의 양측에 후크가 배치되며, 치과 기기가 양측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후크를 연결하는 가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9. 제1 치과 기기로서,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치과 기기를 부착시키는 부착 기구와,
    상기 부착 기구에 연결되고, 환자의 혀의 전방 중앙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며, 환자의 혀의 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하면서 구개를 문지르는 혀의 전후 운동을 방지하는 구속 기구를 포함하는, 제1 치과 기기; 및
    제2 치과 기기로서,
    환자의 상악의 미리 결정된 치아에 치과 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와,
    상기 제2 치과 기기의 부착 기구에 연결되는 구속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 기구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부착 기구의 후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정점(apex)을 갖는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부는, 환자의 혀의 후방 영역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정점에서 환자의 교합 평면 위에 위치되며 환자의 교합 평면에 접근하도록 형성 및 구성되며, 환자의 혀의 적어도 전방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가 말하기와 삼키기를 위해 필요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허용하면서 후방 영역이 구개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제2 치과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기 세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37019444A 2010-12-22 2011-12-21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 KR101920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6,489 2010-12-22
EP10306495A EP2468221A1 (en) 2010-12-22 2010-12-22 Dental appliance for restraining the tongue
EP10306495 2010-12-22
US12/976,489 US11628043B2 (en) 2008-08-06 2010-12-22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PCT/IB2011/003268 WO2012085672A1 (en) 2010-12-22 2011-12-21 Dental appliance for restraining the tong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244A KR20140020244A (ko) 2014-02-18
KR101920904B1 true KR101920904B1 (ko) 2018-11-21

Family

ID=4392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444A KR101920904B1 (ko) 2010-12-22 2011-12-21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2) EP2468221A1 (ko)
JP (1) JP6059663B2 (ko)
KR (1) KR101920904B1 (ko)
AU (2) AU2011346773A1 (ko)
BR (1) BR112013015988B1 (ko)
CA (1) CA2831168C (ko)
DK (1) DK2654634T3 (ko)
ES (1) ES2577937T3 (ko)
HU (1) HUE029579T2 (ko)
IL (1) IL227004B (ko)
MX (1) MX348011B (ko)
PL (1) PL2654634T3 (ko)
RU (1) RU2607170C2 (ko)
WO (1) WO2012085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4769B1 (fr) 2008-08-06 2010-09-17 Claude Mauclaire Appareil dentaire de contrainte de la langue pour corriger la macroglossie et l'apnee du sommeil.
US20150230970A1 (en) * 2013-02-14 2015-08-20 Albert H. Kaner Dental Sleep Apnea Device
ITBO20130622A1 (it) * 2013-11-13 2015-05-14 Farmac Zabban S P A Farmaceutici M Edicazione Art Dispositivo orale.
US20190380863A1 (en) * 2016-07-08 2019-12-19 Tongue Lab Europe Ltd. Dental appliance for sleep apnea, snoring and tongue and oral cavity remodeling
KR102073280B1 (ko) * 2018-08-28 2020-02-05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KR102073281B1 (ko) * 2018-08-28 2020-03-02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장비
WO2020045726A1 (ko) * 2018-08-28 2020-03-05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및 구강고정장치
CN108888367A (zh) * 2018-09-07 2018-11-27 佛山市佛冠义齿有限公司 罗拔式矫正器
WO2024047401A1 (en) * 2022-09-01 2024-03-07 Tongue Lab Europe Ltd. Oral use of an in-mouth wearable device in the treatment of dysphag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5685A1 (en) 2008-08-06 2010-02-11 Claude Mauclaire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771A (en) * 1981-12-18 1984-09-18 Brown J Steven Oral weight control device
US5052409A (en) * 1989-05-08 1991-10-01 Tepper Harry W Oral appliance for tongue thrust correction
DE19503288C1 (de) * 1995-02-02 1996-07-11 Schmitt Friedrich Schlafhilfe
US6408852B2 (en) * 2000-01-11 2002-06-25 Tnv Research And Development Oral orthesis to reduce snoring and sleep apnea symptoms
WO2006125216A2 (en) * 2005-05-19 2006-11-23 Summer John D Tongue grasping and res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90287233A1 (en) 2008-05-15 2009-11-19 Huculak John C Small Gauge Mechanical Tissue Cutter/Aspirator Probe For Glaucoma Surg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5685A1 (en) 2008-08-06 2010-02-11 Claude Mauclaire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nitek™ Mia Quad Helix System Brochure(1999.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5988B1 (pt) 2020-12-29
ES2577937T3 (es) 2016-07-19
PL2654634T3 (pl) 2016-10-31
EP2654634A1 (en) 2013-10-30
DK2654634T3 (da) 2016-07-04
CA2831168C (en) 2020-08-25
EP2654634B1 (en) 2016-03-23
AU2011346773A1 (en) 2013-05-02
EP2468221A1 (en) 2012-06-27
MX348011B (es) 2017-05-23
CA2831168A1 (en) 2012-06-28
BR112013015988A2 (pt) 2018-07-10
RU2013127779A (ru) 2015-01-27
IL227004B (en) 2018-01-31
AU2016201958A1 (en) 2016-04-21
JP6059663B2 (ja) 2017-01-11
JP2014506161A (ja) 2014-03-13
WO2012085672A1 (en) 2012-06-28
RU2607170C2 (ru) 2017-01-10
AU2016201958B2 (en) 2017-10-19
MX2013007130A (es) 2013-11-04
HUE029579T2 (en) 2017-03-28
KR20140020244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904B1 (ko)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
US11963843B2 (en)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US20220265395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58451A (ko) 수면 무호흡증, 코골이, 혀 및 구강 리모델링을 위한 치아 용 기기
KR101720640B1 (ko) 교합 측정용 게이지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JP6120780B2 (ja) 口腔装置
US20230040228A1 (en) Overlapping canines and laterals dentition appliance
US20180338856A1 (en) Systems, methods and oral appliance devices
AU2020453669A1 (en) Mandible displacement adjustment device
TW202145976A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JP2023536575A (ja) 下顎骨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