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432B1 -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432B1
KR101920432B1 KR1020180087748A KR20180087748A KR101920432B1 KR 101920432 B1 KR101920432 B1 KR 101920432B1 KR 1020180087748 A KR1020180087748 A KR 1020180087748A KR 20180087748 A KR20180087748 A KR 20180087748A KR 101920432 B1 KR101920432 B1 KR 10192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parts
minutes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476A (ko
Inventor
김수락
김한백
김한식
유승근
김성범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천우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천우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4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 보드에 있어서, 상기 변성아크릴혼합물은 변성아크릴 100 중량부에 아크릴 혼화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표면층; 및 상기 표면층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층의 일면 이상은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휨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투수율이 매우 낮아 화장실과 같은 방수성능이 요구되는 부분에 시공 가능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ING BOARD AND COMPLEX PANEL FOR CONSTRUCTIO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변성아크릴을 이용한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에 관한 [0001]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휨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투수율이 매우 낮아 화장실과 같은 방수성능이 요구되는 부분에 시공 가능한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장에서 진행되는 습식공정 중 하나인 조적공사는 복잡한 골조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진행되는데, 조적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조적공의 수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심각한 인력난과 함께 조적공의 기능수준이 저하되어 조적공사를 대체할 수 있는 시공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드러낸 조적공사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벽돌 대신 건축패널을 적용하여 건축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건축패널은 일정한 모양과 치수를 가진 건축자재의 일종으로 이러한 건축패널은 주택이나 아파트, 빌딩과 같은 건축물 내벽이나 외벽 또는 지붕, 천장, 바닥 등에 단열 및 방음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발포 폴리스티렌 폼, 석고보드 등의 건축패널이 사용되고 왔고, 최근에는 다양한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능성 구조를 채택한 건축패널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건축패널의 경우 경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를 비워두거나, 폴리스티렌 폼과 같은 경량성 재료로 충전하였으나, 이 경우 내충격성이 약하고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며, 방수성능이 없기 때문에 화장실과 같이 방수성능이 요구되는 부분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블록이 사용되고 있으나, ALC 블록은 종래에 건축패널의 단점인 내충격성과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는 반면 방수성능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75321호(공고일자: 2003031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휨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투수율이 매우 낮아 화장실과 같은 방수성능이 요구되는 부분에 시공 가능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킨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변성아크릴혼합물은 변성아크릴을 생산하는 단계; 아크릴 혼화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변성아크릴 100 중량부에 아크릴 혼화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롤 이루어지되, 아크릴 혼화제는 아세트산비닐 210g과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0g을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1 혼합물 중 100g 가량을 초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 장치 내에 10% 수용액의 폴리비닐알코올 150g을 첨가한 뒤, 물에 033g을 용해시킨 07g의 아세트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상하고, 제2 혼합물을 150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제2 혼합물에 제1 혼합물 100g을 적하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3 혼합물에 7g의 t-도데실메르캅탄을 반응 장치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4 혼합물을 10분 동안 1,200rpm을 유지하면서 교반시킨 뒤 60℃로 30분 동안 승온시키고, 10분 후 150g의 5% 수용액 과황산칼륨을 투입 후 반응시켜 제5 혼합물을 형성한 후 다시 70℃로 승온시키고, 적하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혼합물의 잔량을 3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적하 후 50분 간 75℃를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표면층; 및 상기 표면층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층의 일면 이상은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변성아크릴혼합물은 변성아크릴을 생산하는 단계; 아크릴 혼화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변성아크릴 100 중량부에 아크릴 혼화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롤 이루어지되, 아크릴 혼화제는 아세트산비닐 210g과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0g을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1 혼합물 중 100g 가량을 초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 장치 내에 10% 수용액의 폴리비닐알코올 150g을 첨가한 뒤, 물에 033g을 용해시킨 07g의 아세트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상하고, 제2 혼합물을 150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제2 혼합물에 제1 혼합물 100g을 적하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3 혼합물에 7g의 t-도데실메르캅탄을 반응 장치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4 혼합물을 10분 동안 1,200rpm을 유지하면서 교반시킨 뒤 60℃로 30분 동안 승온시키고, 10분 후 150g의 5% 수용액 과황산칼륨을 투입 후 반응시켜 제5 혼합물을 형성한 후 다시 70℃로 승온시키고, 적하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혼합물의 잔량을 3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적하 후 50분 간 75℃를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은, 변성아크릴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휨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투수율이 매우 낮아 화장실과 같이 높은 방수성능이 요구되는 부분에 시공 가능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혼화제는, 변성아크릴의 압축강도 향상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보드 표면에 도막방수제, 패널 간 조인트(joint) 부위의 처리를 위한 실링재, 타일 접착제 및 페인트 등과 같은 성분이 잘 부착되거나 도포될 수 있도록 하며, 방수보드가 수밀한 방수층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층은, 방수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에 난연성 및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에 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공인된 시험성적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10)는,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보드(100)에 있어서,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변성아크릴 100 중량부에 아크릴 혼화제 20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성아크릴은, 아세트산비닐,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과황산칼륨, t-도데실메르캅탄 및 아세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성아크릴은, 아세트산비닐 100 중량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0 내지 110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65 내지 80 중량부, 과황산칼륨 65 내지 80 중량부, t-도데실메르캅탄 4 내지 6 중량부 및 아세트산나트륨 0,4 내지 08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성아크릴은, 휨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우수한 방수성능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변성아크릴에서 에틸헥살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이거나,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이 65 중량부 미만이면 방수보드(10)의 휨강도와 방수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1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폴리비닐알코올의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방수보드(10)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혼화성이 저하되어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방수보드(10)를 제조할 수 없다
위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변성아크릴의 제조방법은 아세트산비닐 210g과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0g을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형성한다.
제1 혼합물 중 100g 가량을 초기에 투입한 다음 소정의 반응 장치 내에 폴리비닐알코올 약 150g을 첨가한 뒤, 소량의 물에 033g을 용해시킨 07g의 아세트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상한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콜은 10% 수용액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제2 혼합물을 150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제2 혼합물에 제1 혼합물 100g을 적하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한다 제3 혼합물에 약 7g의 t-도데실메르캅탄을 반응 장치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제4 혼합물을 약 10분 동안 교반시킨 뒤 약 60℃로 약 30분 동안 승온시킨다 이같이 서서히 승온시키는 것은 반응이 빨리 일어날 경우 제품의 안정성을 떨어트리며 기포 현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약 10분 후 약 150g의 과황산칼륨을 투입 후 반응시켜 제5 혼합물을 형성하고, 다시 70℃로 승온시킨다.
예컨대 상기 과황산칼륨은 5% 수용액 과황산칼륨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교반 속도는 약 1,200rpm을 유지하고, 소정의 적하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혼합물의 잔량을 약 3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한다 적하 소요 시간이 짧으면 점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으며 또한 혼합물의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하 시간을 약 3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적하 후 약 50분 간 약 75℃를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혼화제는, 아세트산비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유화제, 정제수, 개시제, 산도조절제 및 분자량조절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혼화제는, 아세트산비닐 10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내지 80 중량부, 유화제 90 내지 110 중량부, 정제수 70 내지 80 중량부, 개시제 40 내지 60 중량부, 산도조절제 4 내지 6 중량부 및 분자량조절제 3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크릴 혼화제는, 변성아크릴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릴 혼화제는, 방수보드(10) 표면에 도막방수제, 패널 간 조인트(joint) 부위의 처리를 위한 실링재, 도막방수제, 타일 접착제 및 페인트 등과 같은 성분이 잘 부착되거나 도포될 수 있도록 하며, 방수보드(10)가 수밀한 방수층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아크릴 혼화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위와 같은 효과가 미미하며, 혼화제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위의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도 방수보드(10)의 기계적 물성은 저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아크릴 혼화제의 제조방법은, 단량체인 아세트산비닐 210g과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50g의 혼합물 300g 중 100g을 초기에 투입하고 나머지 200g은 3시간에 걸쳐 적하 장치를 이용하여 투입한다.
우선 반응 장치에 질량농도가 5%인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200g을 첨가한 [0035] 후에 소량의 물에 산도조절제(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나트륨,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g을 녹여 첨가한다 150rpm 속도로 교반한 후에 분자량조절제(바람직하게는 t-도데실메르캅탄,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7g을 반응 장치에 첨가하고 1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한 후에 교반된 혼합물을 70℃의 온도로 30분 동안 서서히 승온시킨다.
혼합물이 70℃의 온도로 승온되면 10분 후에 개시제(바람직하게는 질량농도 20%인 과황산칼륨 수용액,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0g을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5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아세트산비닐과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잔량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가 끝난 후 30분 동안 55℃를 유지한 후에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은 표면층(210)과 충전층(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층(210)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는데, 외표면에 형성되어 방수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표면층(210)의 일면 이상은,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 보드(10)일 수 있고 다만, 방수 보드(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층(210)의 일면 이상이 방수 보드(10)일 경우 이러한, 방수 보드(10)는 앞에서 언급하였는바 그에 대한 원용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층(210)은 5 내지 2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그 두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층(220)은, 표면층(2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층(220)은, 표면층(210) 사이에 50 내지 100㎜의 두께로 개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층(220)은,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에 난연성 및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층(220)은,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에 충전재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바인더는, 충전층(220)에 함유되는 충전재를 결속하며, 충전층(220)과 표면층(210)을 접착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는, 펄라이트, 질석 및 기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충전층(220)은 경량성이 우수하면서도, 난연성 및 단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재의 함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위와 같은 효과가 미미하며, 충전재의 함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위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아크릴 바인더의 함량이 줄어들어 충전층(220)과 표면층(210)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외력에 의한 충전층(220)과 표면층(210)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의 제조방법 및 물성을 실시례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 1>
이격되어 배열되며 변성아크릴(아세트산비닐 100 중량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73중량부, 과황산칼륨 73 중량부, t-도데실메르캅탄 5 중량부 및 아세트산나트륨 06 중량부) 100 중량부에 아크릴 혼화제(아세트산비닐 10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 유화제 100 중량부, 정제수 73중량부, 개시제 50 중량부, 산도조절제 5 중량부 및 분자량조절제 4 중량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변성아크릴혼합물로 10㎜ 두께의 표면층(210)을 형성하고, 표면층(210) 사이에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에 충전재(펄라이트) 15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로 50㎜ 두께의 충전층(220)을 형성하여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례 2>
[0051] 실시례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아크릴 혼화제를 25 중량부 혼합하여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례 3>
실시례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아크릴 혼화제를 30 중량부 혼합하여 방수 보드를 이용한 건축물 복합 패널(20)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례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의 중량, 강도 및 방수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강도는 휨강도로 측정하였으며, 방수성은 ASTM D 5385에 따라 특정하였으며 투수율로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에 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공인된 시험성적서이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의 물성을 나타낸 표이다.
구분 중량(kg/㎡) 휨강도(N/㎟) 투수율(%)
실시예 1 100 48 0
실시예 2 9.7 45 0
실시예 3 9.5 41 0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례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20)은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휨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방수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방수 보드
100 : 방수재
20 :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
210 : 표면층
220 : 충전층

Claims (2)

  1.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변성아크릴혼합물은 변성아크릴을 생산하는 단계; 아크릴 혼화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변성아크릴 100 중량부에 아크릴 혼화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롤 이루어지되,
    아크릴 혼화제는 아세트산비닐 210g과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0g을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1 혼합물 중 100g을 초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 장치 내에 10% 수용액의 폴리비닐알코올 150g을 첨가한 뒤, 물에 033g을 용해시킨 07g의 아세트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상하고,
    제2 혼합물을 150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제2 혼합물에 제1 혼합물 100g을 적하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3 혼합물에 7g의 t-도데실메르캅탄을 반응 장치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4 혼합물을 10분 동안 1,200rpm을 유지하면서 교반시킨 뒤 60℃로 30분 동안 승온시키고, 10분 후 150g의 5% 수용액 과황산칼륨을 투입 후 반응시켜 제5 혼합물을 형성한 후 다시 70℃로 승온시키고,
    적하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혼합물의 잔량을 3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적하 후 50분 간 75℃를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
  2.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표면층; 및 상기 표면층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층의 일면 이상은 변성아크릴혼합물을 방수재로 하는 방수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변성아크릴혼합물은 변성아크릴을 생산하는 단계; 아크릴 혼화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변성아크릴 100 중량부에 아크릴 혼화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롤 이루어지되,
    아크릴 혼화제는 아세트산비닐 210g과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0g을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1 혼합물 중 100g을 초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 장치 내에 10% 수용액의 폴리비닐알코올 150g을 첨가한 뒤, 물에 033g을 용해시킨 07g의 아세트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혼합물을 형상하고,
    제2 혼합물을 150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제2 혼합물에 제1 혼합물 100g을 적하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3 혼합물에 7g의 t-도데실메르캅탄을 반응 장치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4 혼합물을 10분 동안 1,200rpm을 유지하면서 교반시킨 뒤 60℃로 30분 동안 승온시키고, 10분 후 150g의 5% 수용액 과황산칼륨을 투입 후 반응시켜 제5 혼합물을 형성한 후 다시 70℃로 승온시키고,
    적하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혼합물의 잔량을 3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적하 후 50분 간 75℃를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보드를 이용한 복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087748A 2018-07-27 2018-07-27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 KR10192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48A KR101920432B1 (ko) 2018-07-27 2018-07-27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48A KR101920432B1 (ko) 2018-07-27 2018-07-27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49A Division KR20180045979A (ko) 2016-10-26 2016-10-26 방수 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76A KR20180098476A (ko) 2018-09-04
KR101920432B1 true KR101920432B1 (ko) 2018-11-20

Family

ID=6359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48A KR101920432B1 (ko) 2018-07-27 2018-07-27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7167A (en) * 2020-04-02 2021-03-17 Zhejiang Niruan New Mat Co Ltd Composite waterproof and heat preservation building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286A (ja) * 1999-01-13 2000-07-25 Nippon Paint Co Ltd 下塗り被覆組成物及び凹凸無機質化粧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321B1 (ko) 2000-05-18 2003-03-10 주식회사 솔세라믹 건축 내장재용 다공성 판넬과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286A (ja) * 1999-01-13 2000-07-25 Nippon Paint Co Ltd 下塗り被覆組成物及び凹凸無機質化粧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7167A (en) * 2020-04-02 2021-03-17 Zhejiang Niruan New Mat Co Ltd Composite waterproof and heat preservation building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76A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383B1 (ko)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2250722B1 (ko) 소수성 마감재를 포함하는 시멘트질 물품
WO2007148990A1 (en) Steam-proof wallboards for damp room
KR20130128635A (ko) 고내화성 경량벽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내화성 경량벽체 시공방법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101920432B1 (ko) 방수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제조방법
US20240075708A1 (en) Sound Damping Gypsu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Sound Damping Gypsum Board
KR20170114930A (ko) 건축용 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03881B1 (ko)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WO1991016278A1 (fr) Materiau thermoisolant et structure fabriquee a partir de ce materiau
KR20180045979A (ko) 방수 보드와 이를 이용한 복합 패널
CA2517733A1 (en) Composite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740278B1 (ko) 건축용 보드의 제조방법
JP6827253B2 (ja) 外張り断熱構造
JP2868578B2 (ja) 断熱材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JPH0242326B2 (ko)
KR101550701B1 (ko) 마감용 내화단열재가 삽입된 건물벽체
KR20180046463A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CN110820986A (zh) 一种竹木纤维复合集成板
KR20010097777A (ko) 경량 내화피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BG109172A (bg) Сух лек материал за строителството и строителен разтвор на неговата основа
SG185864A1 (en) Ecologically friendly sandless mortar system
ES1298859U (es) Material de construcción
JP2022543385A (ja) 断熱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