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340B1 -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340B1
KR101920340B1 KR1020180030895A KR20180030895A KR101920340B1 KR 101920340 B1 KR101920340 B1 KR 101920340B1 KR 1020180030895 A KR1020180030895 A KR 1020180030895A KR 20180030895 A KR20180030895 A KR 20180030895A KR 101920340 B1 KR101920340 B1 KR 10192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eat
frame
suppor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심영수
Original Assignee
(주) 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트라 filed Critical (주) 파트라
Priority to KR102018003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좌판의 폴딩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폴딩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다수의 의자를 겹쳐서 보관(nesting)할 수 있는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등판과, 시트브래킷과의 볼트결합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좌판과, 시트브래킷과 좌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조절부를 포함하여, 좌판의 폴딩시, 폴딩조절부의 탄성걸림부 일측이 시트브래킷의 지지홈내로 삽입되어 좌판의 폴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Frame chair maintaining folding state of seat}
본 발명은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판과 시트브래킷 및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폴딩조절부에 의해 좌판의 폴딩이 이루어지고, 좌판의 폴딩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의자의 네스팅(nesting)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사무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사용되는 공용 사무의자가 있으며, 상기 개인용 사무의자(프레임 의자)는 대부분 장시간의 업무에도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등을 등받이에 기댈 때 뒤로 젖혀지는 틸트기능을 구비한 의자가 널리 사용되고, 상기 공용 사무의자는 경제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착석기능만을 구비하도록 프레임에 등판과 좌판이 견고히 결합되는 프레임 의자 또는 접첩식 의자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접철식 의자는, 좌판을 접으면 2개의 다리가 일렬로 배치되면서 접히는 구조로, 의자의 사용시에는 좌판을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고, 의자의 사용후 정리 및 보관시에는 좌판을 접어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공간적 활용성 및 사용편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이와 같은 접철의자는 좌판과 다리의 연결관계가 견고하지 못하여 파손 또는 고장발생율이 높고, 보관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어 사용자가 안락함을 느낄 수 없을 뿐 아니라, 접철시 스스로 서있을 수 없으므로 벽과 같은 지지수단에 기대어 세워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접철식 의자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현재는 사용자의 안락감을 고려한 프레임의자 즉, 착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과, 착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과, 상기 좌판과 등판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프레임 의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프레임 의자는 지지프레임에 좌판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 좌판의 간섭으로 인해 다수의 의자를 포개어 정리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내에는 의자를 보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물류 운반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자의 보관 및 운반시, 좌판이 폴딩되도록 하여 좌판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프레임 의자도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프레임 의자는 좌판의 폴딩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음이 발생될 뿐 아니라, 좌판의 무게중심 및 회전축의 위치에 의해 좌판의 폴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어, 의자의 정리를 위한 이동 및 진동(충격)등의 발생시, 좌판이 스스로 회전되어 다시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수의 의자를 포개어 정리(nesting)하는 작업 수행시에는 다수의 인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13013(2011.01.28)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1465(2006.11.14)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02899(2003.01.20)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4250(2009.04.15)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의 폴딩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폴딩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다수의 의자를 겹쳐서 보관(nesting)할 수 있는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등판과, 시트브래킷과의 볼트결합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좌판과, 시트브래킷과 좌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조절부를 포함하여, 좌판의 폴딩시, 폴딩조절부의 탄성걸림부 일측이 시트브래킷의 지지홈내로 삽입되어 좌판의 폴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좌판과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폴딩조절부가 좌판의 폴딩상태를 유지하는 기능뿐 아니라, 좌판의 폴딩시 부시 기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좌판의 폴딩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소음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판을 폴딩시켜 의자의 부피를 최소로 줄인 상태로 이를 포개어 운한하거나 보관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적 활용성 및 운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걸림부에 의해 좌판의 폴딩상태가 유지되므로, 적은 인원으로 많은 수의 의자를 손쉽게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어, 부품수가 적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부품의 적재장소를 최소할 수 있어,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과다한 공간 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생산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판에 형성된 양단지지돌기와, 시트브래킷에 형성된 양단지지대에 의해 좌판의 축방향 흔들림 및 불필요한 유동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의 착석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폴딩조절부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태핑 또는 볼팅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며, 이로 인해 제작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걸림부가 탄성편과 탄성돌기에 의해 탄력적으로 작동되도록 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탄성력 저하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폴딩조절부는 암수결합되도록 제1,2폴딩조절대로 분리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사출성형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폴딩조절부가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좌판의 폴딩지지돌기가 폴딩조절부의 외주면에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좌판 착석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좌판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 및 완충분산되는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체결지지부의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폴딩조절부 및 시트브래킷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수평지지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폴딩지지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네스팅(nesting)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체결지지부의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폴딩조절부 및 시트브래킷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수평지지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폴딩지지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등판(20)과, 시트브래킷(40)과의 볼트결합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좌판(30)과, 시트브래킷(40)과 좌판(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조절부(50)를 포함하여,
좌판(30)의 폴딩시, 폴딩조절부(50)의 탄성걸림부 일측이 시트브래킷의 지지홈(43)내로 삽입되어 좌판의 폴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단에 등판이 결합되는 한쌍의 다리프레임(11)과, 한쌍의 다리프레임(11)에 양측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다리프레임(11)은 그 구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예로 상부에 등판(20)이 결합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프레임(13)과, 상기 전방프레임(13)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방프레임(14)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방프레임(14)은 전방프레임(1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11)의 하단 즉, 전방프레임(13)과 후방프레임(14)의 하단에는 이동성을 위한 캐스터(1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2)은 한쌍의 다리프레임(11)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용접 등에 의해 양단이 다리프레임(11)에 결합되고, 폴딩조절부(50)가 결합되는 결합공(16)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2)은 양단이 다리프레임의 전방프레임(13)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전방프레임(1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전방프레임(13)과 후방프레임(14)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2)에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프레임(17)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17)은 수평프레임(12)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ㄷ자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7)에는 좌판 하부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 소음저감 및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완충보호대(1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보호대(18)는 수지 또는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지재질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는 좌판(30)이 수평프레임(12)과 보조프레임(17)에 의해 이중 지지되어 안정적인 수평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되도록 되어 있으며, 좌판(30)이 수평프레임(1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펼치게 될 경우, 좌판의 하부면이 보조프레임의 완충보호대(18)에 접촉되어, 충격소음이 저감될 뿐 아니라, 좌판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폴딩조절부(5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16)내로 결합구(53)가 끼움결합되는 제1폴딩조절대(51)와, 상기 수평프레임(12)을 감싸도록 암수끼움결합에 의해 제1폴딩조절대(51)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고 탄성걸림부(54)를 구비하는 제2폴딩조절대(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폴딩조절대의 암수끼움결합은 공지의 암수끼움결합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폴딩조절대(51)는 수평프레임의 외부면(12a)에 내면(51a)이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면(51a) 일측에 결합공(16)내로 끼움결합되는 결합구(5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구(53)는 수평프레임의 결합공(16)에 끼움결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스냅(snap)구조 또는 언더컷(under cut)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폴딩조절대(52)는 수평프레임의 외부면(12a)에 내면(52a)이 접촉되도록 제1폴딩조절대(51)에 암수끼움결합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탄성걸림부(5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걸림부(54)는 외부면(52b)에서 내면(52a)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작동홀(55)과, 상기 작동홀(55)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제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2b)에서 연장형성되는 탄성띠부(5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띠부(56)는 제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2b)에서 작동홀(55)내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형성되는 2개의 탄성편(57)과, 2개의 탄성편(57)에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탄성돌기(5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걸림부(54)는 작동홀(55)내에서 탄성편(57)에 의해 탄성돌기(58)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탄성걸림부(54)는 작동홀(55)에 의해 탄성띠부(56)의 양측에 슬릿형상의 홀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57)은 제2폴딩조절대의 외부면 곡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58)는 제2폴딩조절대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탄성편(57) 및 탄성돌기(58)는 수평프레임의 외부면(12a)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탄성돌기(58)가 탄력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공간(59)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폴딩조절부(50)는 제1폴딩조절부의 결합구(53)가 수평프레임의 결합공(16)에 끼움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위치가 지지되고, 상기 제1폴딩조절부(51)에 제2폴딩조절부(52)가 암수 끼움결합되어 수평프레임(12)을 감싸도록 일체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수평프레임(12)에 폴딩조절부(50)가 결합되면, 제2폴딩조절부(52)에 구비된 탄성걸림부(54)는 의자의 전방방향을 향하게 되며, 폴딩 조절부(50) 의 제1폴딩 조절대(51)내 결합구(53)가 수평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16)내로 조립되면서 좌판의 위치를 일정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좌판의 좌우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등판(20)은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양측이 다리프레임(11)의 상단에 결합된다. 일예로 상기 등판(20)은 다리프레임의 전방프레임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등판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메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판(3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 양측에 시트 브래킷이 결합되는 체결지지부(31)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지지부(31)는 내면(32a)이 제1,2폴딩조절대의 양측면(50a)에 접촉지지되도록 좌판 하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양단지지돌기(32)와, 제1,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1b,52b)에 접촉되며 안내되도록 좌판 하부면에서 돌출형성된 폴딩지지돌기(33)와, 시트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3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폴딩조절부의 양측면(50a)은 제1,2폴딩조절대의 양측면을 모두 의미한다.
상기 양단지지돌기(32)는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의 외부면(12a)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폴딩지지돌기(33)보다는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폴딩조절부와의 접촉에 의해 좌판(30)의 축방향 이동 즉, 수평프레임(12)을 따라 좌판(20)이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좌판(30)과 폴딩조절부(5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단지지돌기(32)는 좌판(30)의 폴딩 시, 수평프레임(12)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끝단(32b)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폴딩지지돌기(33)는 폴딩조절부(50)의 외부면 즉, 제1,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1b,52b)에 접촉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곡선형의 폴딩지지면(33a)을 구비하며,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좌판 하부면(30a)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단지지돌기(32) 및 폴딩지지돌기(33)는 리브타입으로 좌판의 하부면(30a)에 일체로 성형 또는 형성되거나, 좌판 하부면에 구비되어 있는 리브로 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브래킷(4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2)에 결합된 폴딩조절부(50)가 삽입되는 삽입홀(41)과, 상기 삽입홀(41)의 양측끝단에 위치하도록 삽입홀(41)내로 돌출형성된 양단지지대(42)와, 좌판의 폴딩 시, 폴딩조절부의 탄성걸림부(54)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형성된 지지홈(43) 및, 결합볼트(60)가 삽입되는 볼트홀(4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시트브래킷의 삽입홀(41)내에는, 좌판의 폴딩 시, 폴딩조절부의 탄성걸림부(54)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45)이 구비되도록 2개의 폴딩지지대(44)가 이격되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45)은 2개의 폴딩지지대(44) 사이에 형성되며, 이와 같이 가이드홈(45)이 구비될 경우, 탄성걸림부(54)와 다른 부품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탄성걸림부(54)의 탄성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홈(43)은 탄성걸림부의 탄성돌기(58)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삽입홀(41)내에 위치하도록 양단지지대(4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43)은 삽입홀(41)내에 2개의 폴딩지지대(44)가 구비될 경우, 2개의 폴딩지지대(44)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홈(45)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홈(43)은 양단이 폴딩지지대에 연결되도록 가이드홈(45)을 가로지르도록 걸림지지대(46)을 형성하고, 상기 폴딩지지대(44)와 걸림지지대(46)에 의해 둘러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홈(43)은 폴딩지지대(44) 및 걸림지지대(46)의 돌출높이에 의해 소정깊이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양단지지대(42)는 양단지지돌기(32)와 같이, 수평프레임의 외부면(12a)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폴딩지지대(44)보다는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시트브래킷(40)의 축방향이동 즉, 수평프레임(12)을 따라 시트브래킷(4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브래킷(40)과 폴딩조절부(5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단지지대(42)는 좌판(30)의 폴딩 시, 수평프레임(12)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끝단(42a)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양단지지대의 끝단(42a)은 양단지지돌기의 끝단(32a)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수평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양단지지대의 끝단(42a)과 양단지지돌기의 끝단(32a)이 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12)에 폴딩조절부(50)가 끼움결합되고, 좌판의 양단지지돌기(32) 사이 및 시트브래킷의 양단지지대(42) 사이에 폴딩조절부(50)가 위치하도록 수평프레임(12)을 중심으로 좌판(30)과 시트브래킷(40)을 위치시킨 다음, 결합볼트(60)에 의해 좌판(30)과 시트브래킷(40)을 체결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의자(100)는, 지지프레임(10)의 수평프레임(12)와 좌판(30) 및 시트브래킷(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폴딩조절부(50)가 부시기능을 구비하게 되므로, 좌판이 부드럽게 회전될 뿐 아니라, 회전작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30)이 폴딩되면, 폴딩조절부의 탄성걸림부에 구비된 탄성돌기(58)가 시트브래킷의 지지홈(43)내로 삽입되고, 지지홈(43)내로 삽입된 탄성돌기(58)는 탄성편(5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 지지홈(43)과 탄성돌기(58)의 결합에 의해 좌판(30)의 폴딩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조절부에 의해 좌판의 폴딩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협소한 공간내에서도 신속하게 복수의 의자를 겹쳐서 안정적으로 보관(nesting)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지지프레임 (11) : 다리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12a) : 외부면
(13) : 전방프레임 (14) : 후방프레임
(15) : 캐스터 (16) : 결합공
(17) : 보조프레임
(19) : 완충보호대 (20) : 등판
(30) : 좌판 (30a) : 좌판 하부면
(31) : 체결지지부 (32) : 양단지지돌기
(32a) : 끝단 (33) : 폴딩지지돌기
(33a) : 폴딩지지면 (34) : 볼트공
(40) : 시트브래킷 (41) : 삽입홀
(42) : 양단지지대 (42a) : 끝단
(43) : 지지홈 (44) : 폴딩지지대
(45) : 가이드홈 (46) : 걸림지지대
(50) : 폴딩조절부 (50a) : 양측면
(51) : 제1폴딩조절대 (51a) : 내면
(51b) : 외부면 (52) : 제2폴딩조절대
(52a) : 내면 (52b) : 외부면
(53) : 결합구 (54) : 탄성걸림부
(55) : 작동홀 (56) : 탄성띠부
(57) : 탄성편 (58) : 탄성돌기
(60) : 결합볼트 (100) : 의자

Claims (6)

  1.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등판(20)과, 시트브래킷(40)과의 볼트결합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12)에 결합되는 좌판(30)과, 시트브래킷(40)과 좌판(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지재질의 폴딩조절부(50)를 포함하되,
    상기 폴딩조절부(50)는, 지지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16)내로 결합구(53)가 끼움결합되는 제1폴딩조절대(51)와, 상기 수평프레임(12)을 감싸도록 암수끼움결합에 의해 제1폴딩조절대(51)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되고 시트브래킷의 지지홈내로 일측이 삽입되는 탄성걸림부(54)가 형성된 제2폴딩조절대(52)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30)은, 내면(32a)이 제1,2폴딩조절대의 양측면(50a)에 접촉지지되도록 좌판 하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양단지지돌기(32)와, 제1,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1b,52b)에 접촉되며 안내되도록 좌판 하부면에서 돌출형성된 폴딩지지돌기(33)와, 시트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34)을 구비하는 체결지지부(31)가 하부면 양측에 구비되며,
    시트브래킷(40)은, 수평프레임(12)에 결합된 폴딩조절부(50)가 삽입되는 삽입홀(41)과, 상기 삽입홀(41)내에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좌판의 폴딩 시, 폴딩조절부의 탄성걸림부(54)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45)을 구비하는 2개의 폴딩지지대(44)와, 상기 삽입홀(41)의 양측끝단에 위치하도록 삽입홀(41)내로 돌출형성된 양단지지대(42)와, 상기 폴딩지지대(44)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가이드홈(45)을 가로지르도록 돌출형성된 걸림지지대(46)와, 상기 폴딩지지대(44)와 걸림지지대(46)에 의해 형성되어, 좌판의 폴딩 시, 폴딩조절부의 탄성걸림부(54) 일측이 삽입되는 지지홈(43)이 구비되고,
    상기 양단지지돌기(32)는 수평프레임의 외부면(12a)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제1,2폴딩조절대의 양측면(50a)에 접촉지지되어 안내되는 폴딩지지돌기(33)보다는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단지지대(42)는 수평프레임의 외부면(12a)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제1,2폴딩조절대의 양측면(50a)에 접촉지지되어 안내되는 폴딩지지대(44)보다는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좌판(30)의 폴딩시, 폴딩조절부(50)의 탄성걸림부 일측을 중심으로 시트브래킷의 가이드홈이 이동되어 지지홈(43)내로 탄성걸림부의 일측이 삽입되어 좌판의 폴딩상태가 유지되고,
    좌판의 양단지지돌기(32)와 시트브래킷의 양단지지대(42)이 폴딩조절부(50)에 접촉되어 좌판(30)의 축방향 이동 즉, 수평프레임(12)을 따라 좌판(20) 및 시트브래킷(4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수평프레임(12)에는 좌판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프레임(17)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17)은 수평프레임(12)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ㄷ자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프레임(17)에는 좌판 하부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 소음저감 및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완충보호대(18)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탄성걸림부(54)는, 제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2b)에서 내면(52a)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작동홀(55)과, 상기 작동홀(55)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제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2b)에서 연장형성되는 탄성띠부(56)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띠부(56)는, 제2폴딩조절대의 외부면(52b)에서 작동홀(55)내로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형성되는 2개의 탄성편(57)과, 2개의 탄성편(57)에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탄성돌기(5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0895A 2018-03-16 2018-03-16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KR10192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95A KR101920340B1 (ko) 2018-03-16 2018-03-16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95A KR101920340B1 (ko) 2018-03-16 2018-03-16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340B1 true KR101920340B1 (ko) 2018-11-20

Family

ID=6456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95A KR101920340B1 (ko) 2018-03-16 2018-03-16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6B1 (ko) * 2019-06-17 2019-12-11 정윤산 좌판부가 절첩되는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533A (ja) * 2004-02-04 2005-08-18 Okamura Corp 椅子
KR101403990B1 (ko) * 2014-03-21 2014-06-10 부호체어원(주)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533A (ja) * 2004-02-04 2005-08-18 Okamura Corp 椅子
KR101403990B1 (ko) * 2014-03-21 2014-06-10 부호체어원(주) 좌판 폴딩이 가능한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6B1 (ko) * 2019-06-17 2019-12-11 정윤산 좌판부가 절첩되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KR102028263B1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1920340B1 (ko) 좌판 폴딩이 유지되는 프레임 의자
WO2015106847A1 (en) Tilt mechanism for a seating furniture and seating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US20110210593A1 (en) Chair with collapsible seat back
JP6172988B2 (ja) 椅子
KR101792119B1 (ko) 증강된 탄성력을 가지는 메쉬형 의자 좌판
RU2732756C1 (ru) Модуль сиденья и механизм наклона
KR101486333B1 (ko) 사무용 의자
KR102098953B1 (ko)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JP6777281B2 (ja) 椅子
JP6448126B2 (ja) 椅子
KR101941528B1 (ko) 좌판 이동이 가능한 의자
KR200416750Y1 (ko) 테이블설치용절첩의자구조
KR102592658B1 (ko)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JP2011103932A (ja) 椅子
KR20210065360A (ko) 조립식 의자
JP2008302083A (ja) ロッキング椅子
KR20050111615A (ko) 요동 수납식 의자
JP4486465B2 (ja)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KR101513693B1 (ko) 실내용 벤치 의자
KR102292617B1 (ko) 학습용 의자
CN220966847U (zh) 电动摇椅
KR200210322Y1 (ko) 좌판이 이동되는 의자
JP2012095933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