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867B1 - 전자기기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67B1
KR101919867B1 KR1020170116273A KR20170116273A KR101919867B1 KR 101919867 B1 KR101919867 B1 KR 101919867B1 KR 1020170116273 A KR1020170116273 A KR 1020170116273A KR 20170116273 A KR20170116273 A KR 20170116273A KR 101919867 B1 KR101919867 B1 KR 10191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fitted
protected
pro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862A (ko
Inventor
케이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8Coupling devices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81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cable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케이블 인출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전자기기(10)의 제2 커넥터(4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넥터(200)에 대하여 끼워맞춤 및 빼냄 가능하다. 제2 커넥터(400)는, 케이블(300)의 피보호부(310)의 위에 위치하여 피보호부(310)를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464)를 갖는다. 케이블(300)은, 케이블 보호부(464)로부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제1 커넥터(200)는, 받아들임부(220)와, 규제부(230)를 갖는다. 받아들임부(220)는, 제1 커넥터(200)가 제2 커넥터(400)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케이블 보호부(46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규제부(230)는, 제1 커넥터(200)가 제2 커넥터(400)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 보호부(464)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케이블 보호부(464)와 오버랩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커넥터{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것에 포함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900)는,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910)와 플러그 커넥터(920)를 갖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910)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기판에 탑재된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920)에는, 케이블(930)이 접속된다. 플러그 커넥터(920)가 리셉터클 커넥터(910)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920)와 리셉터클 커넥터(910)는 서로 끼워맞춰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3874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900)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910)와 플러그 커넥터(920)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케이블(930)이 움직여지면, 플러그 커넥터(920)의 케이블 인출 부분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인출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전자기기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에 탑재된 제1 커넥터와,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부착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및 빼냄(拔去)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의 피(被)보호부를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를 갖고 있고,
상기 케이블 보호부는,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부의 위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보호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받아들임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 보호부와 오버랩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전자기기로서,
제1 전자기기로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피보호부와도 오버랩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전자기기로서,
제1 또는 제2 전자기기로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적어도 상기 케이블의 상기 피보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보호부는, 상기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끼워져 눌려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전자기기로서,
제1 내지 제3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복수의 접점을 갖고 있고,
상기 접점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 전자기기로서,
제1 내지 제4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 전자기기로서,
제1 내지 제5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쉘을 갖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쉘의 일부인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전자기기로서,
제1 내지 제6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납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납땜부는, 상기 기판에 납땜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 전자기기로서,
제1 내지 제7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접점과,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 돌기를 갖고 있고,
상기 접점 및 상기 로크 돌기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로크 돌기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접점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9 전자기기로서,
제1 내지 제8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피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져 있을 때,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피수용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커넥터로서,
케이블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의 피보호부를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를 갖고 있고,
상기 케이블 보호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부의 위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보호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받아들임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임부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받아들임부와 오버랩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커넥터로서,
케이블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받아들임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임부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받아들임부와 오버랩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 전자기기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에 탑재된 제1 커넥터와,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부착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및 빼냄 가능한 것이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받아들임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임부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받아들임부와 오버랩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케이블의 피보호부의 위에는, 케이블 보호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을 때, 규제부는, 케이블 보호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케이블 보호부와 오버랩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움직여졌을 때에, 케이블의 이동을 억제하여, 커넥터의 케이블 인출부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아직 끼워맞춰져 있지 않다. 제1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끼워맞춤 도중의 상태에 있다.
도 4는 도 1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5는 도 1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제2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은 간략화되어 그려져 있다.
도 6은 도 1의 제1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B-B선 단면도이다. 제2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은 간략화되어 그려져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13은 도 12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15는 도 14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17은 도 16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특허문헌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기기(10)는, 기판(100)과, 기판(100)에 탑재된 제1 커넥터(200)와, 케이블(300)과, 케이블(300)의 선단에 부착된 제2 커넥터(4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판(100)은 프린트 배선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판(100)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FFC(Flexible Flat Cable)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블(300)은 동축 케이블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블(300)은, 다심 케이블이라도 좋다.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넥터(200)에 대하여 끼워맞춤 및 빼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X 방향이다. 또한, -X 방향이 전방이고, +X 방향이 후방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0)는, 제1 커넥터(2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피수용부(410)와, 피수용부(4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부착부(420)를 갖고 있다. 피수용부(410)의 형상은,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긴 판 형상이다. 또한, 케이블 부착부(420)의 형상은,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이다.
도 1, 도 2 및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0)는, 제2 단자(430)와, 제2 단자(430)를 보유지지(holding)하는 제2 보유지지 부재(440)와, 케이블(300)을 고정하는 고정판(450)과, 상판(460) 및 하판(4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판(460) 및 하판(470)은, 서로 조합되고, 제2 보유지지 부재(4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피수용부(410)는, 제2 단자(430), 제2 보유지지 부재(440), 상판(460)의 일부 및 하판(470)의 일부를 포함한다. 케이블 부착부(420)는, 고정판(450), 상판(460)의 나머지의 일부 및 하판(470)의 나머지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2 단자(430)는, 금속제이다. 제2 보유지지 부재(440)는, 절연 수지제이다. 제2 단자(430)와 제2 보유지지 부재(44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단자(430)는, 그 일부가 제2 보유지지 부재(44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고정판(450), 상판(460) 및 하판(470)은, 각각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450), 상판(460) 및 하판(470)을 서로 조합함으로써, 이들은 서로 고정된다. 또한, 제2 단자(430) 및 제2 보유지지 부재(440)는, 서로 조합된 상판(460) 및 하판(470)의 사이에 보유지지되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고정판(450)은, 케이블(300)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판(450)의 일부(452)는, 상판(460)과 하판(47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판(450)의 다른 일부(454 및 456)는, 각각, 케이블 부착부(420)의 상면의 일부 및 전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판(460)은, 피수용부(410)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함과 함께, 케이블 부착부(420)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판(460)에는, 피수용부(410)에 있어서, 후술하는 로크 돌기(263)와 걸어맞추는 로크 수용부(46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0)가 제1 커넥터(200)와 끼워맞춤 가능한 상태(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상태)일 때, 제2 커넥터(400)를 상하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면, 피수용부(410)에 있어서, 상판(460)은 하판(47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판(460)의 일부는, 케이블 부착부(420)에 있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 보호부(464)를 형성하고 있다. 상판(460)의 다른 일부(466)는, 케이블 보호부(464)의 전연(前緣)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케이블 부착부(42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하 방향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Z 방향이다. +Z 방향이 상방, -Z 방향이 하방이다. 또한, 횡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횡 방향은 Y 방향이다.
도 2 및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판(470)은, 피수용부(410) 및 케이블 부착부(420)의 쌍방의 하면을 형성하고 있다. 피수용부(410)에 있어서, 하판(470)에는 창(472)이 형성되어 있다. 창(472) 내로는, 제2 단자(43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피수용부(410)에 있어서, 창(472) 내로 노출되는 제2 단자(430)의 표면과, 하판(470)의 하면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창(472) 내로 노출되는 제2 단자(430)의 표면의 일부와, 하판(470)의 하면의 일부는, 후술하는 제1 커넥터(200)의 제1 접점(242)과 접촉하는 제2 접점으로서 기능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판(450)에 의해 그 단부가 고정된 케이블(300)은, 케이블 부착부(420)의 케이블 보호부(464)로부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제2 커넥터(400)가 제1 커넥터(200)와 끼워맞춤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 케이블(300)은, 횡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부(464)는, 케이블(300)의 일부(피보호부)(310)의 위에 위치하고, 케이블(300)의 피보호부(310)를 보호한다. 케이블 보호부(464)는, 피보호부(310)의 위에 접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피보호부(310)를 누르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케이블(3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커넥터(400)가 적어도 케이블(300)의 피보호부(310)를 지지하는 지지부(474)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474)와 케이블 보호부(464)의 사이에 피보호부(310)를 끼우고 있다. 그리고, 피보호부(310)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부(464)와 지지부(474)의 사이에 끼워져 눌려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400)의 박형화가 실현된다. 또한, 지지부(474)는, 하판(470)의 일부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의 형상은, 평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제1 커넥터(200)는, 제2 커넥터(400)의 피수용부(4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10)와, 케이블 보호부(46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받아들임부(220)와, 돌기부(230)를 갖고 있다. 수용부(210)의 일부는 상방으로 열려 있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제1 단자(240)와, 제1 단자(240)를 보유지지하는 제1 보유지지 부재(250)와, 제1 보유지지 부재(250)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쉘(26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단자(240)는, 금속제이다. 제1 보유지지 부재(250)는, 절연 수지제이다. 제1 단자(240)는, 압입 등에 의해 제1 보유지지 부재(250)에 고정되어 있다. 쉘(260)은,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단자(240)는, 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보유지지 부재(250)는, 제1 단자(240)를 소정의 간격으로 횡 방향으로 나열하여 보유지지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제1 단자(240)는, 제1 접점(242)과, 탄성 지지부(244)와, 고정부(246)를 갖고 있다. 고정부(246)는, 땜납 등에 의해 기판(100)에 접속 고정된다. 탄성 지지부(244)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제1 접점(242)을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접점(242)은, 탄성 지지부(244)에 지지되고, 횡 방향으로 나열됨과 함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접점(242)은, 제1 커넥터(200)와 제2 커넥터(400)가 끼워맞춤 상태에 있을 때, 제2 접점에 접촉하여, 그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접점(242)은, 제2 커넥터(400)의 제2 단자(430)의 표면의 일부 또는 하판(470)의 하면의 일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쉘(260)은, 상면부(262)와, 한 쌍의 측면부(264)와, 한 쌍의 하면부(266)와, 후면부(268)와, 연장부(269)를 갖고 있다. 상면부(262)의 형상은, 상하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편평의 네모진 U자형이다. 상면부(262)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로크 돌기(263)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돌기(263)는, 쉘(260)을 구성하는 금속판을 두드려서 나오게 형성된다. 로크 돌기(263)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접점(242)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면부(266)와 연장부(269)는, 제1 보유지지 부재(250)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이들 하면부(266)와 연장부(269)는, 제1 커넥터(200)를 기판(100)에 탑재할 때에, 납땜부로서 이용된다. 환언하면, 제1 커넥터(200)가 기판(100)에 탑재될 때, 하면부(266) 및 연장부(269)의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가, 기판(100)에 납땜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쉘(260)의 일부가, 돌기부(230)를 형성하고 있다. 돌기부(230) 중 한쪽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규제부는, 제1 보유지지 부재(250)의 일부에 의해 설치되어도 좋다. 제1 보유지지 부재(250)의 일부에서 규제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두께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규제부는, 쉘(260)의 일부로 구성되는 쪽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230)는, 상면부(262)와 각 측면부(264)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230)가 받아들임부(220)를 규정한다. 돌기부(230)는, 횡 방향에 있어서 제1 접점(242)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부(230)는, 횡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접점(242)보다도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또한, 돌기부(230)는, 로크 돌기(263)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로크 돌기(263)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230)와 제1 단자(2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돌기부(230)는,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횡 방향의 폭이 점차 작아지는 점감부(漸減部)(232)를 갖고 있다. 또한, 각 돌기부(23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단면이 L자 형상이기 때문에, 각 돌기부(230)는, 강한 외력에 대항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돌기부(230) 단면 형상은 L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부(23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돌기부(230)는, 상면부(262)의 횡 방향의 양단 부근에 설치되어도 좋고, 각 측면부(264)의 상단 부근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쉘(260)은 한 쌍의 돌기부(230)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쉘(260)은, 제2 커넥터(400)에 있어서의 케이블(300)의 인출 방향에 따라서,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돌기부(230)를 1개 갖고 있으면 좋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와 제2 커넥터(400)가 끼워맞춰질 때, 돌기부(230)에 설치된 점감부(232)는, 제2 커넥터(400)의 피수용부(410)를 제1 커넥터(200)의 수용부(210)로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또한, 제1 커넥터(200)의 로크 돌기(263)는, 제1 접점(242)이 제2 커넥터(400)에 접촉하기 이전에 제2 커넥터(400)에 접촉하여, 횡 방향으로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400)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제2 커넥터(400)의 기울기가 조정됨으로써, 제2 커넥터(400)의 제1 커넥터(200)에 대한 끼워맞춤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가령, 제2 커넥터(400)가 로크 돌기(263)보다도 먼저 제1 접점(242)에 접촉하는 것으로 하면, 제2 커넥터(400)는 제1 단자(240)의 탄성 지지부(244)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로크 돌기(263)에 부딪힌다. 로크 돌기(26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커넥터(400)의 끼워맞춤 동작의 방해가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와 제2 커넥터(400)가 끼워맞춰지면, 피수용부(4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부(210)에 수용된다. 동시에, 케이블 부착부(420)가 부분적으로 받아들임부(220)에 받아들여진다. 이때, 케이블 보호부(4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임부(220) 내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케이블 보호부(4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임부(220)에 받아들여진다.
도 7 내지 도 9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와 제2 커넥터(400)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돌기부(230)의 한쪽인 규제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 보호부(464)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케이블 보호부(464)와 오버랩하고 있다. 또한, 규제부(230)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300)의 피보호부(310)와도 오버랩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보호부(464) 및 규제부(230)는, 횡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210) 및 피수용부(410)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케이블(300)이 움직여져 피보호부(310) 및 케이블 보호부(464)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케이블 보호부(464)가 규제부(230)에 부딪힌다. 환언하면, 규제부(230)는, 케이블 보호부(464)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고, 이로써, 케이블(300)의 피보호부(31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케이블(300)의 피보호부(310) 및 케이블 보호부(464)의 상방으로의 이동량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해, 규제부(230)는, 케이블 보호부(464)에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300)의 움직여짐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규제부(230)는, 횡 방향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부(230)는, 횡 방향에 있어서 제1 단자(240)의 외측이며, 또한 수용부(2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케이블(300)이 움직여진 것에 의한 피보호부(310) 및 케이블 보호부(464)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부(230)가 케이블(300)의 피보호부(31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제2 커넥터(400)의 케이블 인출 부분의 파손이 방지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10A)는, 제1 커넥터(200A)와 제2 커넥터(400A)를 갖고 있다. 제1 커넥터(200A) 및 제2 커넥터(400A)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제1 커넥터(200) 및 제2 커넥터(40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제1 커넥터(200A) 및 제2 커넥터(400A)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커넥터(200) 및 제2 커넥터(400)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A)의 쉘(260A)은, 돌기부(230A)를 갖고 있다. 돌기부(230A)의 한쪽이,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돌기부(230A)는, 제1 실시 형태의 규제부(230)가 갖고 있던 점감부(232)(도 7 참조)를 갖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도 11과 도 7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받아들임부(220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받아들임부(220)에 비해 짧다. 한편, 제2 커넥터(400A)의 케이블 부착부(420A)의 상판(460A)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부(464A)를 갖고 있다. 도 11과 도 7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부(464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케이블 보호부(464)보다도 길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규제부(230A)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 보호부(464A)의 상방에 위치하고, 케이블 보호부(464A)와 오버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기(10A)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쉘(260A)의 형상의 간략화와, 제1 커넥터(200A)의 소형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10B)는, 제1 커넥터(200B)와 제2 커넥터(400)를 갖고 있다. 제1 커넥터(200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커넥터(20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제1 커넥터(200B)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커넥터(200)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B)는 쉘(260B)을 갖고 있다. 쉘(260B)의 상면부(262B)의 형상은, 상하 방향을 따라 본 경우, 대략 장방형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부(210)의 일부가 상방으로 열려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부(210)는 상방으로 닫혀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 제1 단자(240)(도 1 참조) 및 제1 보유지지 부재(250)(도 1 참조)는 육안으로 볼 수 없다. 돌기부(230B)는, 상면부(262B)와 횡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돌기부(230B)의 선단과 상면부(262B)의 전연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기(10B)는,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제1 단자(240)(도 1 참조) 및 제1 보유지지 부재(250)(도 1 참조)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200B)와 제2 커넥터(400)가 끼워맞춰진 상태로, 제2 커넥터(400)의 피수용부(410)(도 1 참조)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10C)는, 제1 커넥터(200C)와 제2 커넥터(400C)를 갖고 있다. 제1 커넥터(200C) 및 제2 커넥터(400C)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커넥터(200) 및 제2 커넥터(400)와 각각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제1 커넥터(200C) 및 제2 커넥터(400C)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커넥터(200) 및 제2 커넥터(400)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0C)의 쉘(260C)은, 돌기부(230C)를 갖고 있다. 돌기부(230C)는, 상면부(262C)의 횡 방향 양단 부근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230C)는, 전후 방향에 수직인 면에 있어서, I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환언하면, 돌기부(230C)는, 평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돌기부(230C)는, 횡 방향의 폭이 일정하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0C)의 케이블 부착부(420C)의 상판(460C)은, 케이블 보호부(464)(도 1 참조)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케이블 부착부(420C)의 고정판(450C)의 일부(452)는, 상판(460C)과 하판(470)의 사이로부터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452C)를 갖고 있다. 제1 커넥터(200C)와 제2 커넥터(400C)가 끼워맞춰진 상태로, 돌기부(230C)의 한쪽(규제부)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고정판(450C)의 연장부(452C)의 위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또한 연장부(452C)와 오버랩하고 있다. 케이블(300)이 움직여졌을 때, 규제부(230C)는, 연장부(452C)를 통하여 케이블(300)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연장부(452C)가 케이블 보호부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기(10C)에 있어서, 제2 커넥터(400C)의 케이블 인출 부분의 파손이 방지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10D)는, 제1 커넥터(200C)와 제2 커넥터(400D)를 갖고 있다. 제2 커넥터(400D)는, 제4 실시 형태의 제2 커넥터(400C)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제2 커넥터(400D)와 제4 실시 형태의 제2 커넥터(400C)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0D)의 케이블 부착부(420D)의 상판(460C)은, 케이블 보호부(464)(도 1 참조)를 갖고 있지 않다. 제1 커넥터(200C)와 제2 커넥터(400D)가 끼워맞춰진 상태로, 돌기부(230C)의 한쪽(규제부)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300)의 위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또한 케이블(300)과 오버랩하고 있다. 케이블(300)이 움직여졌을 때, 규제부(230C)는, 케이블 보호부(464)를 통하는 일 없이 직접 케이블(300)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기(10D)에 있어서, 제2 커넥터(400D)의 케이블 인출 부분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 형태를 게재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부착부(420)가 고정판(450), 상판(460)의 일부 및 하판(470)의 일부의 3개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케이블 부착부(420)는, 단일의 금속판 또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금속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케이블 보호부(464)는, 어느 하나의 금속판의 일부로 형성되어도 좋다.
10, 10A, 10B, 10C, 10D : 전자기기
100 : 기판
200, 200A, 200B, 200C : 제1 커넥터
210 : 수용부
220 : 받아들임부
230, 230A, 230B, 230C : 돌기부(규제부)
232 : 점감부
240 : 제1 단자
242 : 제1 접점
244 : 탄성 지지부
246 : 고정부
250 : 제1 보유지지 부재
260, 260A, 260B, 260C : 쉘
262, 262A, 262B, 262C : 상면부
263 : 로크 돌기
264 : 측면부
266 : 하면부
268 : 후면부
269 : 연장부
300 : 케이블
310 : 케이블의 일부(피보호부)
400, 400A, 400C, 400D : 제2 커넥터
410 : 피수용부
420, 420C, 420D : 케이블 부착부
430 : 제2 단자
440 : 제2 보유지지 부재
450, 450C : 고정판
452 : 고정판의 일부
452C : 연장부
454, 456 : 고정판의 다른 일부
460, 460A, 460C : 상판
462 : 로크 수용부
464, 464A : 케이블 보호부
466 : 상판의 다른 일부
470 : 하판
472 : 창
474 : 지지부

Claims (10)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탑재된 제1 커넥터와,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부착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및 빼냄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의 피(被)보호부를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를 갖고 있고,
    상기 케이블 보호부는,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부의 위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보호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받아들임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 보호부와 오버랩하고 있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피보호부와도 오버랩하고 있는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적어도 상기 케이블의 상기 피보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보호부는, 상기 케이블 보호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끼워져 눌려 있는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복수의 접점을 갖고 있고,
    상기 접점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는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쉘을 갖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쉘의 일부인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납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납땜부는, 상기 기판에 납땜되어 있는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접점과,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 돌기를 갖고 있고,
    상기 접점 및 상기 로크 돌기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로크 돌기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접점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피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춰져 있을 때,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피수용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기기.
  10. 케이블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의 피보호부를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를 갖고 있고,
    상기 케이블 보호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부의 위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보호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받아들임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임부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받아들임부와 오버랩하고 있는 커넥터.
KR1020170116273A 2016-10-28 2017-09-12 전자기기 및 커넥터 KR101919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1772 2016-10-28
JP2016211772A JP6761730B2 (ja) 2016-10-28 2016-10-28 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62A KR20180046862A (ko) 2018-05-09
KR101919867B1 true KR101919867B1 (ko) 2018-11-19

Family

ID=5997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273A KR101919867B1 (ko) 2016-10-28 2017-09-12 전자기기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79122B1 (ko)
EP (1) EP3316406B1 (ko)
JP (1) JP6761730B2 (ko)
KR (1) KR101919867B1 (ko)
CN (1) CN108023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1929B (zh) 2015-05-06 2022-04-26 乐高公司 用于模块化构造元件和/或系统的电连接件和连接元件
JP1604440S (ko) * 2017-11-01 2018-05-21
JP1604439S (ko) * 2017-11-01 2018-05-21
JP7109280B2 (ja) * 2018-07-02 2022-07-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ハーネス
JP1644904S (ko) * 2019-04-23 2019-11-05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1661A1 (en) * 2003-12-22 2005-08-18 Tomonari Kaneko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011003292A (ja) 2009-06-16 2011-01-06 Molex Inc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12003874A (ja)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JP2013152841A (ja) 2012-01-25 2013-08-08 Kel Corp コネクタ装置
US20140030917A1 (en) * 2012-07-30 2014-01-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0987A (en) * 1961-02-21 1964-02-11 Hubbell Inc Harvey Electrical cord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protective covering
US3832676A (en) * 1972-11-01 1974-08-27 Telemecanique Fused connector
JPS5917901B2 (ja) 1975-12-24 1984-04-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オ−バ−フロ−ケンシユツキオクカイロ
CA1117199A (en) 1979-07-03 1982-01-26 Lawrence G. Novotny Electrical connector
JP3120729B2 (ja) 1996-05-20 2000-12-2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H10247557A (ja) 1997-02-28 1998-09-14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ソケット
JP2000223191A (ja) 1999-01-27 2000-08-11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コネクタ
JP2001126812A (ja) 1999-10-22 2001-05-11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この同軸コネクタを備えた電子機器
US6454604B1 (en) * 2000-09-06 2002-09-24 Astec International Limited Two-layer enclosure for electrical assemblies
US6752658B2 (en) * 2002-09-12 2004-06-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crosstalk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or terminating cable to circuit board
JP4268460B2 (ja) 2003-06-24 2009-05-2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0035247A2 (en) * 2008-09-26 2010-04-01 Fci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device
JP5152221B2 (ja) * 2010-02-19 2013-0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914306B1 (en) * 2010-10-11 2011-03-29 Donald A. Blackwell Environmental protective covering for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s
JP5917901B2 (ja) * 2011-12-15 2016-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ベースコネクタ
JP6187866B2 (ja) * 2013-10-03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742894A (zh) * 2014-12-11 2016-07-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1661A1 (en) * 2003-12-22 2005-08-18 Tomonari Kaneko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011003292A (ja) 2009-06-16 2011-01-06 Molex Inc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12003874A (ja)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JP2013152841A (ja) 2012-01-25 2013-08-08 Kel Corp コネクタ装置
US20140030917A1 (en) * 2012-07-30 2014-01-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61730B2 (ja) 2020-09-30
KR20180046862A (ko) 2018-05-09
US9979122B1 (en) 2018-05-22
CN108023206A (zh) 2018-05-11
EP3316406B1 (en) 2020-09-23
CN108023206B (zh) 2020-06-05
JP2018073612A (ja) 2018-05-10
EP3316406A1 (en) 2018-05-02
US20180123285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67B1 (ko) 전자기기 및 커넥터
TWI539680B (zh) Substrate to substrate connector
US8821174B2 (en)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EP3086416A1 (en) Connector
KR101249146B1 (ko) 커넥터 장치
KR101553465B1 (ko) 전기 커넥터
US7806702B2 (en) Connector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board
JP6404248B2 (ja) コネクタ
KR20150068919A (ko) 커넥터
EP1684386A1 (en) Electrical connector
EP2600469A2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TWI552448B (zh) 連接器
KR20060096290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696384B2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US7156685B2 (en) Connector
CN110676620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US8523605B2 (en) Loop connector and closed-circuit forming connector
US9190747B2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JP5240528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
KR101715463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9033714B2 (en) Connector for mounting on a board
KR102504222B1 (ko) Imt와 smt가 겸용 가능한 커넥터
JP2018195595A (ja) コネクタ
JP5939270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20240088596A1 (en)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