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463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463B1
KR101715463B1 KR1020150020737A KR20150020737A KR101715463B1 KR 101715463 B1 KR101715463 B1 KR 101715463B1 KR 1020150020737 A KR1020150020737 A KR 1020150020737A KR 20150020737 A KR20150020737 A KR 20150020737A KR 101715463 B1 KR101715463 B1 KR 10171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housing
fpc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384A (ko
Inventor
다케하루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대상물과 접속 가능하다. 대상물은 피규제부와, 피가이드부와, 피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는 하우징과,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은 가이드부와, 전방으로 개구된 수용부를 갖고 있다. 규제 부재는 스프링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다. 규제부는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규제부를 대상물에 의해 가압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피가이드부를 가이드부를 따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수용부가 피수용부를 수용하고, 커넥터는 대상물과 접속된다. 커넥터가 대상물과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 피규제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피규제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와 같은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제4030120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 (900) 는 플렉시블 기판 (대상물) (950) 과 접속 가능하다. 플렉시블 기판 (950) 은 측방으로 돌출된 2 개의 돌출부 (952) 를 갖고 있다. 돌출부 (952) 각각에는 배선 패턴 (954) 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900) 는, 하우징 (910) 과, 하우징 (910) 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 (920) 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910) 에는 2 개의 수용홈 (912) 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 (912) 은, 커넥터 (900) 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콘택트 (920) 각각은 상하로 대향하는 2 개의 접촉부 (922) 를 갖고 있다. 콘택트 (920) 의 접촉부 (922) 는 수용홈 (9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 (952) 를 수용홈 (912) 의 전방에 각각 위치시키고, 플렉시블 기판 (950) 을 후방을 향해 당기면, 돌출부 (952) 가 수용홈 (912) 에 각각 수용되고, 돌출부 (952) 의 배선 패턴 (954) 각각이 대응하는 콘택트 (920) 의 접촉부 (922) 와 접촉된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900) 가 대상물 (950) 과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920) 각각의 접촉부 (922) 는 대상물 (950) 의 돌출부 (952) 를 소정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하에 끼우고 있다. 커넥터 (900) 와 대상물 (950) 의 접속 상태는 이 스프링력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콘택트 (920) 의 수가 적은 경우, 충분한 스프링력이 얻어지지 않고, 계속적인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접속 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900) 는, 접촉부 (922) 가 배선 패턴 (954) 과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외부로부터 확인하기 어렵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 (900) 와 대상물 (950) 이 적절히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보 제4030120호
그래서, 본 발명은, 대상물과의 접속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 가능하며, 또한, 대상물과 적절히 접속되어 있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대상물은, 피규제부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피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단부는, 상기 피가이드부를 넘어 측방으로 돌출된 피수용부를 갖고 있다. 상기 피수용부에는 접촉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콘택트와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가이드부와 수용부를 갖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는 피유지부와 접촉부를 갖고 있다.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규제 부재는 스프링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다.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규제부를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압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가이드부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대상물과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상물과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피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 단자와 접촉된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감과 함께 상기 피규제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피규제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서술한 커넥터와, 상기 대상물의 하나인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피규제부는 상기 전단부의 전단의 일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가 대상물과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을 때, 규제부가 피규제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피규제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접속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규제부가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는, 커넥터가 대상물과 접속될 때에 하방으로 가압되어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한편, 접속 상태에 있어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때문에, 커넥터가 대상물과 접속될 때, 클릭감이 얻어진다. 이 클릭감에 의해, 커넥터가 대상물과 적절히 접속되었음을 조작자가 알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바르게 이해되며, 또한 그 구성에 대해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커넥터가 탑재되는 회로 기판의 일부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커넥터의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커넥터의 규제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규제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1 의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FPC 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 의 커넥터와 도 10 의 FPC 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FPC 는 아직 커넥터 상에 놓여져 있지 않다.
도 12 는, 도 11 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FPC 는 커넥터 상에 놓여져 있지만, 아직 커넥터와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13 은, 도 12 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FPC 는 커넥터와 접속되어 있다.
도 15 는, 도 14 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여기서, 도 12 의 상태에 있는 FPC 의 윤곽의 일부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6 은, 도 15 의 커넥터 조립체를 XVI-XV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규제 부재의 규제부 근방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 을 확대하여 묘화하고 있다. 또, 확대도에 있어서, 커넥터가 FPC 와 접속되기 전의 FPC 및 규제부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7 은, 도 15 의 커넥터 조립체를 XVII-XVI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콘택트의 접촉부 근방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 을 확대하여 묘화하고 있다. 또, 확대도에 있어서, 커넥터가 FPC 와 접속되기 전의 콘택트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8 은,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플렉시블 기판은 아직 커넥터와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19 는, 도 18 의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플렉시블 기판은 커넥터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실시되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 도 12 및 도 1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 (70) 는, 커넥터 (10) 와 FPC (대상물) (60) 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10) 는 FPC (60) 와 접속 가능하고, FPC (60) 와의 접속 상태 (도 14 의 상태) 를 유지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10) 와 접속되는 대상물은 FPC (60) 이다. 단, 본 발명에 의한 대상물은 FPC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리지드 회로 기판 (대상물) 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2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FPC (60) 는, 기부 (610) 와 피가이드부 (620) 와 전단부 (630) 를 구비하고 있다. 피가이드부 (620) 는, 전후 방향 (X 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기부 (610) 와 전단부 (630) 를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결하고 있다. 기부 (610) 는 피가이드부 (620) 의 후방 (-X 측) 에 위치하고 있고, 전단부 (630) 는 피가이드부 (620) 의 전방 (+X 측) 에 위치하고 있다. 전단부 (630) 는 전단 (632)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단 (632) 은, 상하 방향 (Z 방향) 으로 얇고, 폭 방향 (Y 방향) 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FPC (60) 는, 피규제부 (634) 와 해제공 (636) 과 2 개의 피수용부 (64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피규제부 (634) 는, 전단 (632)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이다. 해제공 (636) 은 전단부 (630) 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해제공 (636) 은 피규제부 (634) 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전단부 (630) 를 Z 방향으로 (상하로) 관통 하고 있다. 피수용부 (640) 는 전단부 (630) 의 일부이며, 전단부 (630)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피수용부 (640) 는, 피가이드부 (620) 를 넘어 Y 방향 외측으로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가이드부 (620) 및 전단부 (630) 는 전체적으로 T 자 형상을 갖고 있다.
FPC (60) 에는 복수의 도체 패턴 (660)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체 패턴 (660) 의 수는 6 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체 패턴 (660) 은 FPC (60) 의 이면 (-Z 측의 면) 에만 노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체 패턴 (660) 은, 기부 (610) 의 전단 (+X 측의 단) 근방에 있어서 노출되고, 피가이드부 (620) 를 경유하여 피수용부 (640) 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수용부 (640) 각각에는, 도체 패턴 (660) 의 단부인 접촉 단자 (662)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수용부 (640) 각각은 3 개의 접촉 단자 (662) 를 갖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200) 과,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 (300) 와, 금속제의 홀드다운 (400) 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택트 (300) 의 수는 6 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사용시에 회로 기판 (80) 에 고정되는 기판 커넥터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하우징 (200) 은, 대체로 Z 방향으로 얇은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하우징 (200) 은 X 방향에 있어서 전단 (202) 과 후단 (204) 을 갖고 있다. 또, 하우징 (200) 은 기부 (210) 와 2 개의 측벽 (250) 과 2 개의 커버부 (260) 를 갖고 있다.
기부 (210) 는 Z 방향에 있어서 상면 (212) 과 하면 (214)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면 (212) 및 하면 (214) 각각은, X 방향 및 Y 방향과 평행한 수평면이다. 기부 (210) 에는 2 개의 고정홈 (220)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 (220) 각각은, 하우징 (200) 의 전단 (202) 으로부터 후단 (204) 을 향해 X 방향을 따라 패인 오목부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측벽 (250) 은 하우징 (200)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벽 (250) 은 기부 (210) 의 상면 (212) 으로부터 상방 (+Z 방향) 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단 (202) 과 후단 (204) 사이를 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커버부 (260) 는 측벽 (250) 으로부터 Y 방향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부 (260) 각각은 후벽 (262) 과 상벽 (264) 을 갖고 있다. 후벽 (262) 은, 상면 (212)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후단 (204) 으로부터 전단 (202) 을 향해 비교적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벽 (264) 은, 후벽 (262) 의 전단으로부터 전단 (202) 을 향해 더욱 연장되어 있고, 상면 (212) 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200) 에는 복수의 수용홈 (230)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홈 (230) 의 수는 6 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부 (260) 각각에, 대응하는 3 개의 수용홈 (230) 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 (230) 각각은, 후벽 (262) 의 하부 (-Z 측의 부위) 와 기부 (210) 의 상부 (+Z 측의 부위) 를 뚫도록 하여, 후단 (204) 으로부터 전단 (202) 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수용홈 (230) 의 전부 (前部) (+X 측의 부위) 는, 상면 (212) 으로부터 하방 (-Z 방향) 으로 패인 오목부이며, 수용홈 (230) 의 후부 (-X 측의 부위) 는, 수용홈 (230) 의 전부와 연통됨과 함께 후벽 (262) 을 X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하우징 (200) 은 가이드부 (240)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이드부 (240) 는, 상면 (212) 과 커버부 (260) 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부 (240) 는, Y 방향에 있어서 2 개의 커버부 (260)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Z 방향에 있어서 상면 (212) 상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 (240) 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방, 전방 및 후방으로 열려 있다.
도 6 및 도 15 를 참조하면, 가이드부 (240) 의 폭 (Y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W1 은, FPC (60) 의 피가이드부 (620) 의 폭:W2 보다 조금 크고, 가이드부 (240) 의 길이 (X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 는, 피가이드부 (620) 의 길이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부 (240) 의 폭:W1 은, 2 개의 후벽 (262) 사이의 Y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와 동등하다.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200) 은, 2 개의 수용부 (270) 를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 (10) 는 2 개의 수용부 (27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수용부 (270) 는 커버부 (260) 아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 (270) 각각은, 측벽 (250), 후벽 (262) 및 상벽 (264)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수용부 (270) 각각은, 대응하는 수용홈 (230) 과 연통되어 있다. 또, 수용부 (270) 각각은, 전방 및 Y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수용부 (270) 는, 가이드부 (240) 의 Y 방향 외측 (측방) 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 (270) 는, 가이드부 (240) 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 (200)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 7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콘택트 (300) 각각은, 피고정부 (310) 와, 피유지부 (320) 와, 연결부 (330) 와, 제 1 스프링부 (340) 와, 제 1 접촉부 (접촉부) (342) 와, 제 2 스프링부 (350) 와, 제 2 접촉부 (접촉부) (352) 를 갖고 있다. 피고정부 (310) 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유지부 (320) 는 피고정부 (310)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유지부 (320) 에는 압입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330), 제 1 스프링부 (340) 및 제 2 스프링부 (350) 는, 전체적으로 소리굽쇠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 (330) 는 피유지부 (320)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스프링부 (340) 및 제 2 스프링부 (350) 는 연결부 (330) 로부터 전방으로 더욱 연장되어 있다. 제 1 스프링부 (340) 는 제 2 스프링부 (350)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접촉부 (342) 는 제 1 스프링부 (340) 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접촉부 (352) 는 제 2 스프링부 (350) 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342) 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 2 접촉부 (352) 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콘택트 (300) 의 접촉부는, Z 방향으로 (상하로) 대향하는 제 1 접촉부 (342) 와 제 2 접촉부 (352)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프링부 (340) 및 제 2 스프링부 (350) 각각은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제 1 접촉부 (342) 및 제 2 접촉부 (352) 각각은 Z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Z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접촉부 (342) 와 제 2 접촉부 (352) 사이의 거리는, FPC (60) (도 10 참조) 의 두께 (Z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 보다 작다.
도 1 및 도 17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콘택트 (300) 의 대부분은, 수용홈 (230) 의 내부 또는 수용부 (270)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콘택트 (300) 의 피유지부 (320) 는, 후방으로부터 수용홈 (230) 에 압입되고, 수용홈 (230) 내에 유지되어 있다. 단, 피유지부 (320) 가 하우징 (200) 에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는 한, 콘택트 (300) 는 이와 상이한 방법으로 하우징 (200) 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수용홈 (230) 에 압입된 콘택트 (300) 의 제 1 접촉부 (342) 및 제 2 접촉부 (352) 는 수용부 (270)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스프링부 (340) 는 수용부 (270) 내를 연장되어 있고, 제 1 접촉부 (342) 는 수용부 (270)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스프링부 (350) 는 수용홈 (230) 내를 연장되어 있고, 제 2 접촉부 (352) 는 수용홈 (230) 으로부터 수용부 (270) 내로 돌출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콘택트 (300) 의 피고정부 (310) 는, 하우징 (200) 의 후단 (204) 으로부터 하우징 (200) 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 (10) 가 사용될 때, 피고정부 (310) 는 회로 기판 (80) 의 도전 패턴 (도시 생략) 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고정된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홀드다운 (400) 은, 기판 고정부 (410) 와, 2 개의 피고정부 (420) 와, 연결부 (422) 와, 스프링부 (440) 와, 규제부 (450) 를 갖고 있다. 스프링부 (440) 및 규제부 (450) 는 규제 부재 (430) 를 구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규제 부재 (430) 는 스프링부 (440) 와 규제부 (450)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규제 부재 (430) 는 홀드다운 (400) 의 일부로, 하우징 (200) 과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규제 부재 (430) 는 홀드다운 (400) 과 별체의 부재여도 된다.
기판 고정부 (410) 는, 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X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피고정부 (420) 는, 기판 고정부 (410) 로부터 후방을 향해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고정부 (420) 각각에는 압입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422) 는, 2 개의 피고정부 (420) 의 선단 부분을 Y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규제 부재 (430) 는, 홀드다운 (400)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프링부 (440) 는, Y 방향에 있어서 2 개의 피고정부 (4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부 (440) 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규제부 (450) 는, 스프링부 (440) 에 지지되어 있고, Z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규제부 (450) 가 자중을 제외하고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 즉, 스프링부 (440) 가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을 때, 규제부 (450) 는 초기 위치 (도 9 의 위치) 에 있다.
규제부 (450) 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부 (440) 는 기판 고정부 (410) 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부 (440) 의 선단 부분은,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더욱 연장되어 있다. 초기 위치에 있는 규제부 (450) 는, 스프링부 (440) 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규제부 (450) 는 후단면 (452) 을 갖고 있다. 규제부 (450) 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후단면 (452) 은 X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도 1 및 도 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 (420) 는, 하우징 (200) 의 고정홈 (220) 에 전방으로부터 각각 압입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의한 규제 부재 (430) 는, 홀드다운 (400) 의 피고정부 (420) 에 의해 하우징 (200) 에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단, 규제 부재 (430) 는 이와 상이하게 하우징 (200) 에 고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규제 부재 (430) 를 홀드다운 (400) 과 별체로 형성하는 경우, 규제 부재 (430) 를 하우징 (200) 에 직접적으로 고정시켜도 된다.
도 1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가 사용될 때, 기판 고정부 (410) 는 회로 기판 (80) 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고, 이로써 하우징 (200) 은 회로 기판 (80) 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기판 고정부 (410) 는 규제 부재 (430) 의 유무에 관계없이, 하우징 (200) 을 회로 기판 (80) 에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규제 부재 (430) 는 이 기판 고정부 (410) 의 일부이다. 이 때문에, 규제 부재 (430) 를 형성해도, 커넥터 (10) 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커지지 않는다. 또, 규제 부재 (430) 를 홀드다운 (400) 과 별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규제 부재 (430) 를 홀드다운 (400) 과 마찬가지로 하우징 (200) 의 전단 (202) 에 고정시키는 한, 커넥터 (10) 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커지지 않는다.
이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커넥터 (10) (도 1 참조) 에 FPC (60) (도 10 참조) 를 접속시킬 때의 조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FPC (60) 를 커넥터 (10) 와 접속시킬 때, 먼저, FPC (60) 를 하우징 (200) 의 상면 (212) 상에 둔다. 상세하게는, FPC (60) 의 피가이드부 (620) 를 하우징 (200) 의 가이드부 (240) 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피수용부 (640) 를 수용부 (270) 의 전방에 각각 위치시킨다. 이 때, 규제 부재 (430) 의 규제부 (450) 는 FPC (60) 에 의해 가압되고, 초기 위치 (도 1 참조) 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다. 규제부 (450) 는 하방으로 이동하면, 탄성 변형된 스프링부 (440) 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복원력을 받고, FPC (60) 의 하면 (-Z 측의 면) 에 압착된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규제부 (450) 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피가이드부 (620) 를 가이드부 (240) 를 따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피수용부 (640) 는 수용부 (270) 에 각각 삽입된다. 피가이드부 (620) 를 후방을 향해 더욱 이동시키면, 피수용부 (640) 는 후벽 (262) 과 맞닿고 (도 17 참조), 커넥터 (10) 는 FPC (60) 와 접속된다.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이드부 (240) 의 폭:W1 은, 피가이드부 (620) 의 폭:W2 와 거의 동등하다. 이 때문에, FPC (60) 를 커넥터 (10) 에 접속시킬 때, 피수용부 (640) 는 수용부 (270) 를 향해 적절히 각각 가이드된다. 또, 이 때, 피가이드부 (620) 는 하우징 (200) 의 상면 (212) 상을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피수용부 (640) 를 수용부 (270) 를 향해 순조롭게 각각 가이드할 수 있다. 단, 피가이드부 (620) 는 상면 (212) 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상면 (212) 의 상방에 위치하면서 이동해도 된다.
도 14, 도 15 및 도 17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가 FPC (60) 와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 (270) 는 피수용부 (640) 를 각각 수용하고 있다. 접속 상태에 있어서, 피수용부 (640) 의 대부분은 대응하는 수용부 (270) 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특히, 피수용부 (640) 의 후단 (-X 측의 단) 은, 콘택트 (300) 의 제 1 접촉부 (342) 와 제 2 접촉부 (35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결과, 피수용부 (640) 는 제 1 접촉부 (342) 에 상방을 향하는 힘을 가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접촉부 (352) 에 하방을 향하는 힘을 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콘택트 (300) 의 제 2 접촉부 (352) 는, 피수용부 (640) 의 접촉 단자 (662) 와 각각 접촉된다.
도 14 내지 도 16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 (450) 는, 스프링부 (440) 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규제부 (450) 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갈 때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FPC (60) 의 조작자는, 이 클릭감에 의해, 커넥터 (10) 가 FPC (60) 와 적절히 접속되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규제부 (450) 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갔을 때, 규제부 (450) 의 후단면 (452) 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단면 (452) 이 FPC (60) 의 전단 (632) 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전단 (632) 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을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단면 (452) 및 전단 (632) 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시인하는 것에 의해서도, 커넥터 (10) 가 FPC (60) 와 적절히 접속되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7 을 참조하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콘택트 (300) 각각의 제 1 접촉부 (342) 및 제 2 접촉부 (352) 는, 피수용부 (640) 를 Z 방향으로 (상하로) 사이에 두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수용부 (640) 는 제 1 스프링부 (340) 의 스프링력 (유지력)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제 2 스프링부 (350) 의 스프링력 (유지력) 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접촉부 (342) 와 제 2 접촉부 (352) 가 X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피수용부 (640) 각각은, 3 개의 콘택트 (300) 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15 를 참조하면, 가이드부 (240) 의 폭 (2 개의 후벽 (262) 사이의 거리):W1 은, 피가이드부 (620) 의 폭:W2 와 거의 동등하다. 이 때문에, 접속 상태에 있는 FPC (60) 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적절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10) 가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FPC (60) 는 Y 방향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도 16 을 참조하면, 접속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 (450) 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감과 함께 피규제부 (634) 의 전방에 위치하여, 피규제부 (634) 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 (10) 가 충격을 받아 피수용부 (640) 가 전방으로 이동되었다고 해도, 피규제부 (634) 가 규제부 (450) 와 맞닿아, 피수용부 (640) 가 수용부 (270) 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단면 (452) 이 피규제부 (634) 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규제부 (634) 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보다 확실하게 규제된다.
도 14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규제부 (450) 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접속 상태에 있는 FPC (60) 를 커넥터 (10) 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FPC (60) 의 해제공 (636) 을 사용함으로써, FPC (60) 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 (도시 생략) 를 해제공 (636) 에 삽입하여 전단부 (630) 를 상방 및 전방으로 강하게 당김으로써 FPC (60) 를 떼어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 상태에 있어서, 해제공 (636) 을 사용하여 FPC (60) 를 조작함으로써 규제부 (450) 에 의한 피규제부 (634) 의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 (70) (도 14 참조) 는, 이미 설명한 변형예에 더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 을 참조하면, 커넥터 (10) 의 규제 부재 (430) 는, 스프링부 (440) 가 충분한 스프링력을 갖고, 규제부 (450) 가 충분한 규제력을 갖는 한, 하우징 (200)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규제 부재 (430) 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 (200)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하우징 (200) 의 일부여도 된다.
도 14 를 참조하면, 커넥터 (10) 는, 복수의 규제 부재 (43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2 개의 규제 부재 (430) 가 수용부 (270) 의 전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FPC (60) 의 전단 (632) 중 2 개의 부위가 피규제부 (634) 로서 기능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커넥터 (10) 는 보다 다수의 콘택트 (30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 (10) 는 보다 다수의 접촉 단자 (662) (도 10 참조) 가 형성된 FPC (60) 와 접속 가능하다. 콘택트 (300) 의 수가 많아지면, 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콘택트 (300) 의 유지력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접속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단, 도 10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FPC (60) 의 폭은 접촉 단자 (662) 의 수의 대체로 2 배에 비례하여 넓어지고, 이로써 커넥터 (10) (도 1 참조) 의 폭도 넓어진다. 커넥터 (10) 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FPC (60) 의 접촉 단자 (662) 의 수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도 10 을 참조하면, FPC (60) 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와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FPC (60) 의 피가이드부 (620) 및 전단부 (630) 는, 전체적으로 L 자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FPC (60) 는 피수용부 (640) 를 1 개만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 (10) (도 1 참조) 는 수용부 (270) 를 1 개만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단, 접속 상태 (도 14 참조) 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피수용부 (640) 는 FPC (60) 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을 참조하면, 해제공 (636) 은 전단부 (630) 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해제공 (636) 은 피가이드부 (620)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Y 방향에 있어서의 해제공 (636) 의 위치는 전단부 (630) 의 중간부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 FPC (60) 는 반드시 해제공 (636) 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단, FPC (60) 의 폭을 넓게 하지 않고 해제공 (636) 을 사용하여 FPC (60) 를 용이하게 조작한다는 관점에서는, 해제공 (636) 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을 참조하면, 피규제부 (634) 는 전단 (632) 과 동일한 위치에 없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단 (632)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은 후방을 향해 패여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피규제부 (634) 는 전단 (632) 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해제공 (636) 을, 접속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 (450) (도 14 참조) 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해제공 (636) 의 단면이 피규제부 (634) 로서 기능한다. 단, 도 1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 (450) 를 해제공 (636) 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해제공 (636) 의 위치를 전방으로 어긋나게 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해제공 (636) 을 형성하기 위한 만큼 전단부 (630) 을 X 방향으로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피규제부 (634) 를 본 실시형태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을 참조하면, 도체 패턴 (660) 은, FPC (60) 의 이면이 아니라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7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콘택트 (300) 의 제 2 접촉부 (352) 가 아니라 제 1 접촉부 (342) 가 접촉 단자 (662) 와 접촉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도체 패턴 (660) 이 FPC (60) 의 어느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FPC (60) 와 접속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도체 패턴 (660) 이 FPC (60) 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FPC (60) 와 접속 가능하다.
본 발명은 2014년 2월 26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035238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대상물은, 피규제부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피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단부는, 상기 피가이드부를 넘어 측방으로 돌출된 피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수용부에는 접촉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콘택트와,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가이드부와,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는 피유지부와, 접촉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규제 부재는 스프링부와,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규제부를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압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가이드부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대상물과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상물과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피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감과 함께 상기 피규제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피규제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홀드다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홀드다운의 일부이며,
    상기 홀드다운은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후단면을 갖고 있고,
    상기 후단면은,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규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는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피수용부를 상하에 끼우는 커넥터.
  8. 제 1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대상물의 하나인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피규제부는 상기 전단부의 전단의 일부인 커넥터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FPC 는 2 개의 상기 피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는 2 개의 상기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전단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에는 해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해제공은 상기 전단부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제공을 사용하여 상기 FPC 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규제부에 의한 상기 피규제부의 규제를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50020737A 2014-02-26 2015-02-11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715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5238A JP6184022B2 (ja) 2014-02-26 2014-02-26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4-035238 2014-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384A KR20150101384A (ko) 2015-09-03
KR101715463B1 true KR101715463B1 (ko) 2017-03-10

Family

ID=5388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737A KR101715463B1 (ko) 2014-02-26 2015-02-11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76341B2 (ko)
JP (1) JP6184022B2 (ko)
KR (1) KR101715463B1 (ko)
CN (1) CN104868311B (ko)
TW (1) TWI539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0813B2 (en) 2017-07-26 2020-09-08 Brewer Science, Inc. Environmentally sealed, reusable connector for printed flexible electronics
US11322874B2 (en) * 2018-08-27 2022-05-03 Fujikura Ltd.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0120B2 (ja) 2003-07-30 2008-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56483A (ja) 2011-06-08 2012-12-27 Daiichi Seiko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6379U (ko) * 1986-05-16 1987-11-27
JPH07153531A (ja) * 1993-11-30 1995-06-16 Amp Japan Ltd 平形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960094B2 (en) * 2003-02-06 2005-11-01 Ddk Ltd. Flat and thin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ard board
JP2008059803A (ja) * 2006-08-29 2008-03-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5217604B2 (ja) * 2008-04-28 2013-06-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233662B2 (ja) * 2008-12-25 2013-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0267411A (ja) * 2009-05-12 2010-11-2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459266B2 (ja) 2011-06-03 2014-04-02 Smk株式会社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2562880A1 (en) * 2011-08-22 2013-02-2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967364B2 (ja) * 2012-07-31 2016-08-1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0120B2 (ja) 2003-07-30 2008-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56483A (ja) 2011-06-08 2012-12-27 Daiichi Seiko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68311B (zh) 2017-04-12
JP6184022B2 (ja) 2017-08-23
US9276341B2 (en) 2016-03-01
US20150244091A1 (en) 2015-08-27
JP2015162282A (ja) 2015-09-07
CN104868311A (zh) 2015-08-26
KR20150101384A (ko) 2015-09-03
TWI539697B (zh) 2016-06-21
TW201541748A (zh) 201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629B1 (ko) 커넥터
KR101472663B1 (ko) 전기 커넥터
US8128429B2 (en) FPC U-shaped nail
US20130050964A1 (en) Connector
US83175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EP168438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246267B2 (en) Connector mateable with a mating connector including a mating shell and having a mated-state maintaining structure
JP2011090306A (ja) コネクタ装置
KR101531609B1 (ko) 커넥터
KR101919867B1 (ko) 전자기기 및 커넥터
US20150255922A1 (en) Connector
US9490559B2 (en) Connector having easily unfastened lock lever from a flat conductor
US9564711B2 (en) Connector having an operation member and a locking member
KR101715463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EP1965469A2 (en) Electrical connector
US8647137B2 (en) Connector
KR20170106203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10128599B2 (en) Connector
JP2016157643A (ja) コネクタ組立体
US9142897B2 (en) Connector
US9660370B2 (en) Connector
JP2006032120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22158313A (ja) コネクタ
US7727023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5939270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