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41B1 - 트로카 - Google Patents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41B1
KR101919441B1 KR1020180046780A KR20180046780A KR101919441B1 KR 101919441 B1 KR101919441 B1 KR 101919441B1 KR 1020180046780 A KR1020180046780 A KR 1020180046780A KR 20180046780 A KR20180046780 A KR 20180046780A KR 101919441 B1 KR101919441 B1 KR 10191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ngaging
engaging unit
hollow por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진
노영정
지동현
한재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41B1/ko
Priority to PCT/KR2019/004786 priority patent/WO20192089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Abstract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대상체의 표면에 대하여 선단에서 말단 방향으로 삽입되는 트로카(trocar)가 개시되며, 상기 트로카는 둘레 방향으로의 일단부가 타단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감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롤 유닛, 상기 롤 유닛의 일단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걸림 유닛 및 상기 롤 유닛의 타단부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 유닛과 걸림 결합 가능한 제2 걸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걸림 유닛 및 상기 제2 걸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 유닛 중 하나와 상기 제2 걸림 유닛 중 하나의 선택적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중공부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로카{TROCAR}
본원은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유리체 절제술(Vitrectomy)은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유리체 출혈이나 혼탁뿐만 아니라 망막박리, 망막주름 등을 유발하는 질환들을 치료(망막 수술)할 때, 사용되는 눈 수술법이다.
유리체 절제술에 있어서, 안구 내에 수술 도구, 안구 형태 및 안압을 유지해주는 유체(fluid) 주입관, 빛을 제공하는 광원 등을 삽입하기 위해 통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트로카(trocar)를 안구의 공막 등에 삽입 배치하여 통로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트로카의 통로를 통해 수술 도구, 유체 주입관, 광원 등이 필요에 따라 안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사용하는 수술 도구의 크기에 대응하는 트로카를 공막에 꽂아 둔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하는 도중 눈 상태가 안 좋다고 판단되는 등 더 큰 수술 도구를 삽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삽입된 트로카를 더 큰 내경을 갖는 트로카로 교체하거나 제거하여야 더 큰 수술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처음부터 큰 내경의 트로카를 삽입하고 유리체 절제술을 진행할 경우, 셀프 실링(self-sealing)이 되지 않고(참고로, 27G[게이지] 정도의 내경을 갖는 트로카는 셀프 실링이 가능할 수 있지만, 25G, 23G, 20G로 내경이 점차 증가될수록 제거 후 봉합이 필요해 짐), 수술이 끝난 뒤 봉합을 해야 될 뿐만 아니라 리크(leak) 발생시 안내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31266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중공부의 크기(내경) 조절이 가능하여, 안구 내로 더 큰 수술 도구의 삽입이 필요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교체나 제거할 필요가 없는 트로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trocar)는, 둘레 방향으로의 일단부가 타단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감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롤 유닛, 상기 롤 유닛의 일단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걸림 유닛 및 상기 롤 유닛의 타단부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 유닛과 걸림 결합 가능한 제2 걸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걸림 유닛 및 상기 제2 걸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 유닛 중 하나와 상기 제2 걸림 유닛 중 하나의 선택적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중공부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 결합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의 중첩 영역이 더 넓어져 상기 중공부의 크기가 더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 방향 쐐기 결합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걸림 유닛은 상기 일단부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되, 상기 타단부를 향한 제1 돌기 타면의 경사가 그 반대편 면인 제1 돌기 일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 유닛은 상기 타단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되, 상기 일단부를 향한 제2 돌기 일면의 경사가 그 반대편 면인 제2 돌기 타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 일면의 경사 및 상기 제2 돌기 타면의 경사는, 상기 제1 돌기 일면과 상기 제2 돌기 타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일 방향 쐐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 유닛의 말단부가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말단부의 최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헤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최외주면 상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익스팬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익스팬더 유닛은,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대향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은, 상호 대향하는 면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의 외력을 가하기 위한 확장 기구 삽입이 가능한 확장 기구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기구 삽입 공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체는 안구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1 걸림 유닛과 제2 걸림 유닛의 선택적 걸림 결합에 의해 내부 중공부의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기배치된 트로카를 수술 도구에 맞는 트로카로 교체하거나 제거할 필요 없이 중공부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넓힐 수 있어, 유리체 절제술에 사용되는 작은 수술 도구부터 수술 상황이나 안구 상태에 맞는 큰 수술 도구까지 넓은 적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인 수술 진행을 유도할 수 있는 트로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걸림 유닛이 제2 걸림 유닛 중 일측 둘레 방향 끝단(일단)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제2 걸림 유닛과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제1 걸림 유닛이 제2 걸림 유닛 중 일측 둘레 방향 끝단(일단)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한 제2 걸림 유닛과 걸림 결합되어 중공부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c는 제1 걸림 유닛과 일측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확장 제한 걸림 유닛이 구비되어, 중공부의 크기가 보다 확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d는 제1 걸림 유닛의 제1 돌기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 고리가 제2 걸림 유닛 중 타측 둘레 방향으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제2 걸림 유닛의 제2 돌기 타면에 형성된 제2 걸림 고리와 쐐기 결합되어, 중공부의 크기가 보다 확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롤 유닛의 말단부의 최외주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 헤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안구의 공막 내로 삽입된 트로카를 도 3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익스팬더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익스팬더 유닛이 중공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익스팬더 유닛이 삽입된 상태에서 중공부의 내면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중공부의 크기가 확장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선단, 말단, 내측, 외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선단(outlet), 12시 방향이 말단(inlet)일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롤 유닛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이 내측 방향, 그 반대방향은 외측 방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보았을 때, 도면부호 600으로 표시된 화살표(외측 방향으로의 외력)의 방향이 외측 방향을 지칭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이 내측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롤 유닛이 일부 중첩되게 감기도록 연장되는 둘레 방향 중 타단부의 외측에서 타단부를 덮는 형태로 중첩되는 일단부의 끝단(일단)을 향하는 방향이 일측 둘레 방향이고, 반대로 타단부의 끝단(타단)을 향하는 방향이 타측 둘레 방향이다.
본원은 트로카(trocar)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이하 '본 트로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트로카(1)는 적용 대상이 되는 대상체가 안구일 수 있다. 유리체(초자체) 및 망막에 불순물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면 망막 수술을 하는데, 이러한 망막 수술시에는 유리체 절제술(vitrectomy)이 함께 수반되므로 통상적으로는 유리체 절제술이 망막 수술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트로카(1)는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안구의 공막(10)과 같은 대상체의 표면에 대하여 선단에서 말단 방향으로 삽입되는 유리체 절제술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체 절제술에는 수술 도구, 안구 형태 및 안압을 유지하기 위한 유체 주입관, 안구 내에 빛을 제공해주는 광원 등을 삽입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2개 내지 4개의 통로를 필요로 한다. 본 트로카(1)는 상기 통로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술 도구가 삽입되는 통로에 대하여 높은 적용성을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수술 도구는 대상체 내부의 상태, 수술 상황 등에 따라 종류와 크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중공부의 크기(내경) 조절이 가능한 트로카의 적용 필요성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는 제1 걸림 유닛이 제2 걸림 유닛 중 일측 둘레 방향 끝단(일단)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제2 걸림 유닛과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제1 걸림 유닛이 제2 걸림 유닛 중 일측 둘레 방향 끝단(일단)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한 제2 걸림 유닛과 걸림 결합되어 중공부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트로카(1)는, 롤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롤 유닛(100)은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대상체의 표면에 대하여 삽입되는데, 이 때 대상체는 안구(예를 들면, 안구의 공막)일 수 있으므로, 인체 무해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 유닛(100)은 텅스텐, 스테인리스, 티타늄 및 경도가 높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롤 유닛(100)에는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다양한 금속 소재, 세라믹 소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롤 유닛(100)은 둘레 방향으로의 일단부(110)가 타단부(120)를 덮는 형태로 일단부(110)와 타단부(120)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감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롤 유닛(100)은 감김 형성되어 타단부(120)가 일단부(1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말려 있는 두루마리(롤) 형상일 수 있다. 롤 유닛(100)은 일단부(110)가 타단부(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타단부(120)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110)의 내면과 타단부(120)의 외면이 중첩되어 생기는 갭(간격)을 통해 리크(leak)가 발생되지 않도록, 롤 유닛(100)은 일단부(110)의 내면과 타단부(120)의 외면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플렉서블하게 상호 밀착(접촉)될 수 있는 굴곡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일단부(110)와 타단부(120) 사이에 후술할 제1 걸림 유닛(200)과 제2 걸림 유닛(300)이 배치됨으로써, 일단부(110)의 내면과 타단부(120)의 외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롤 유닛(100)은 내부에 중공부(13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롤 유닛(100)이 대상체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수술 기구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inlet과 outlet을 갖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중공부(130)에 삽입되어 롤 유닛(100)의 선단(outlet)으로 돌출되는 니들이 이용될 수 있다. 롤 유닛(100)의 선단보다 돌출된 니들의 첨단이 대상체의 표면(예를 들어, 안구의 공막(10) 표면)을 뚫고 들어가면서 본 트로카(1)는 대상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트로카(1)가 배치되면 중공부(130)를 통해 삽입된 니들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롤 유닛(100)은 선단(outlet)에 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롤 유닛(100)은 대상체(예를 들면 안구의 공막)에 삽입되어 대상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한다. 그런데, 대상체가 안구 또는 안구의 공막인 경우, 안구 내부에서 안구의 압력을 조절하는 액체(안방수)가 롤 유닛(100)의 중공부(1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롤 유닛(100)의 선단에 벨브가 배치될 수 있다. 벨브는 니들 및 수술 도구는 통과되되, 안구 내부의 액체가 유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는 니들 및 수술 도구가 롤 유닛(100)에 삽입되는 방향인 말단(inlet)에서 선단(outlet) 방향으로는 밸브에 대한 통과(밸브를 통한 이동)가 가능하되, 안구(10)의 내부(공막의 내부)에서 안구(10) 외부(공막의 외부)의 방향인 선단(outlet)에서 말단(inlet)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한 일 방향 벨브(one-way valve)일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는 말단에서 선단으로의 통과만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고 선단에서 말단으로의 통과는 불허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밸브 타입일 수 있다.
본 트로카(1)는, 롤 유닛(100)의 일단부(110)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걸림 유닛(200) 및 롤 유닛(100)의 타단부(120)의 외면에 배치되고 제1 걸림 유닛(200)과 걸림 결합 가능한 제2 걸림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단부(110)와 타단부(120)가 중첩되는 일단부(100)의 내면과 타단부(120)의 외면에는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200)과 제2 걸림 유닛(300)이 상호 걸림 결합되도록, 제1 걸림 유닛(200)은 제2 걸림 유닛(300)이 형성된 타단부(120)의 외면에 대응되는 일단부(11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걸림 유닛(300)은 제1 걸림 유닛(200)이 형성된 일단부(110)의 내면에 대응되는 타단부(12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은 레이저 커팅, 금속 가공 등 다양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 각각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열 접합을 통해 일단부(110)의 내면과 타단부(12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110)의 내면과 타단부(120)의 외면 사이를 통한 리크(leak)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은 실리콘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 모두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걸림 유닛(200)은 단일하게(1개) 구비되고, 제2 걸림 유닛(300)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걸림 유닛(300)은 단일하게(1개) 구비되고, 제1 걸림 유닛(200)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200) 각각 및 제2 걸림 유닛(300) 각각은 롤 유닛(100)의 길이 방향(선단-말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 각각은 롤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 유닛(10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 걸림 유닛(200)과 제2 걸림 유닛(300)의 구비 위치와 관련하여, 도 1에는 제1 걸림 유닛(200)과 제2 걸림 유닛(300)이 롤 유닛(100)의 말단(도 1 기준 12시 방향 끝단이며 대상체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inlet 부분이라 할 수 있음)부터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걸림 유닛(200)과 제2 걸림 유닛(300)은 롤 유닛(100)의 말단으로부터 소정 이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1 걸림 유닛(200)과 제2 걸림 유닛(300)의 구비 위치는 롤 유닛(100)의 선택적인 확장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 중 하나와 제2 걸림 유닛(300) 중 하나의 선택적 걸림 결합에 의해, 중공부(130)의 크기(중공부가 원형 단면을 갖는다면 내경)가 조절될 수 있다. 걸림 결합은, 일단부(110)와 타단부(120)의 중첩 영역이 더 넓어져 중공부(110)의 크기가 더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 방향 쐐기 결합일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200) 및 제2 걸림 유닛(300)의 선택적 걸림 결합에 의해, 중공부(130)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중공부(130)의 크기는 롤 유닛(100)의 가장 내측의 내면(최내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폭(너비) 또는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면, 중공부(130)는 일단부(110)와 타단부(120) 사이 구간의 내면 및 일단부(110)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타단부(120)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공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 방향 쐐기 결합은 일단부(110)가 일측 둘레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일 방향성을 갖는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이 1개 구비되고 제2 걸림 유닛(300)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4개 구비된 경우, 4개의 제2 걸림 유닛 중 롤 유닛(100)의 일측 둘레 방향 끝단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제2 걸림 유닛(첫번째 제2 걸림 유닛; 310)과 제1 걸림 유닛(200)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부(130)의 크기는 27G(27게이지)에 대응하는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롤 유닛(100)의 일측 둘레 방향 끝단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제2 걸림 유닛(310)과 타측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걸림 유닛(두번째 제2 걸림 유닛; 320)과 제1 걸림 유닛(200)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부(130)의 크기는 25G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두번째 제2 걸림 유닛(320)과 타측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걸림 유닛(세번째 제2 걸림 유닛; 330)과 제1 걸림 유닛(200)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부(130)의 크기는 23G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번째 제2 걸림 유닛(320)과 타측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걸림 유닛(네번째 제2 걸림 유닛; 340)과 제1 걸림 유닛(200)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부(130)의 크기는 20G에 대응하는 가장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은 일단부(11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되, 타단부(120)를 향한 제1 돌기 타면(200b)의 경사가 그 반대편(제1 돌기 타면의 반대편) 면인 제1 돌기 일면(200a)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 일면(200a)은 후술할 제2 돌기 타면(300b)과 일 방향 쐐기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 돌기(200)의 면으로서, 제1 돌기 타면(200b)보다 큰 구배(큰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어 이 같은 큰 구배(큰 경사)에 의해 일 방향 쐐기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돌기 일면(200a)은 롤 유닛(100)의 최외면(예를 들면, 일단부(110)와 타단부(120) 사이의 외면 및 타단부(120)의 외면을 감싸는 일단부(110)의 외면)에 대하여 작용되는 안구의 공막의 탄성적인 복원력에 의한 내측 방향 외력에 의해 롤 유닛(100)이 그 중공부(130)의 크기가 더 작아지도록 더 감기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각도 및 형상(곡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돌기 일면(200a)은 일단부(110)의 내면과 직교하거나, 일단부(110)의 내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도(90도-45도) 내지 135도(90도+45도45도)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도 이상이고 11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돌기의 일면(200a)과 제1 돌기의 타면(200b)은 제조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평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2 걸림 유닛(300)은 타단부(12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되, 일단부(110)를 향한 제2 돌기 일면(300a)의 경사가 그 반대편 면인 제2 돌기 타면(300b)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방향 쐐기 결합이 이루어지는 면인 제2 돌기 타면(300b)은, 상기 제2 돌기 타면(300b)와 맞닿아 일 방향 쐐기 결합을 이루는 제1 돌기 일면(200a)의 경사 및 형상과 대응되는 경사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돌기 타면(300b)은 롤 유닛(100)의 최외면(예를 들면, 일단부(110)와 타단부(120) 사이의 외면 및 타단부(120)의 외면을 감싸는 일단부(110)의 외면)에 대하여 작용되는 안구의 공막의 탄성적인 복원력에 의한 내측 방향 외력에 의해 롤 유닛(100)이 그 중공부(130)의 크기가 더 작아지도록 더 감기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각도 및 형상(곡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돌기 타면(300b)은 타단부(120)의 내면과 직교하거나, 타단부(120)의 내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도(90도-45도) 내지 135도(90도+45도45도)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강한 일 방향 쐐기 결합이 구현될 수 있도록 70도 이상이고 11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돌기의 일면(300a)과 제2 돌기의 타면(300b)은 제조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평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호 대응되는(상호 맞물리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제1 돌기 일면(200a)의 경사 및 제2 돌기 타면(300b)의 경사는, 제1 돌기 일면(200a)과 제2 돌기 타면(200b)과의 접촉에 의해 일 방향 쐐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돌기 일면(200a)의 경사 및 제2 돌기 타면(300b)의 경사는, 본 트로카(1)가 안구의 공막(10)에 삽입되었을 때, 본 트로카(1)가 삽입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의 공간만큼 탄성적으로 복원되려는 공막(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는 제1 돌기 일면(200a)이 제2 돌기 타면(300b)을 상대적으로 넘어 제2 돌기 타면(300b)보다 일측 둘레 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없는 수준의 급한 경사(쐐기 결합되는 수준의 경사)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돌기 타면(200b)의 경사 및 제2 돌기 일면(300a)의 경사는 후술할 익스팬더에 의해 본 트로카(1)의 내부 중공부(130)의 크기(내경) 확장을 위한 외측 방향 외력이 작용되었을 때, 제1 돌기 타면(200b)이 그보다 타측 둘레 방향에 위치하는 제2 걸림 돌기(300)의 제2 돌기 일면(300a)을 상대적으로 넘어 제2 돌기 일면(300a)보다 타측 둘레 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는 수준의 완만한 경사(익스팬더를 이용하여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수준의 경사)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c는 제1 걸림 유닛과 일측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확장 제한 걸림 유닛이 구비되어, 중공부의 크기가 보다 확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과 일측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롤 유닛(100)의 일단부의 내면에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걸림 유닛(300) 중 타측 둘레 방향으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제2 걸림 유닛(340)(이하 '마지막 제2 걸림 유닛'이라 함)을 제외한 나머지 제2 걸림 유닛들(310, 320, 330)이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을 지나 상대적으로 일측 둘레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위해서는,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은 제2 걸림 유닛(300)의 일측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무조건적으로 제한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의 돌기 타면(250b)은 제1 걸림 유닛(200)의 제1 돌기타면(200b)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소정의 비스듬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은 제1 걸림 유닛(200)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의 돌기 타면(250b)은 중공부(130)의 내면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외력(600)을 가하였을 때에만 복수의 제2 걸림 유닛(300) 중 어느 하나가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을 지나 상대적으로 일측 둘레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경사(구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이 구비되는 경우,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이 제1 걸림 유닛(200)을 지나 상대적으로 일측 둘레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제2 걸림 유닛(340)의 일측 둘레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이동을 확장 제한 걸림 유닛(250)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돌기 타면(250b)에 의해 제한하고 있으므로, 제1 걸림 유닛(200)과 마지막 제2 걸림 유닛(234)이 일 방향 쐐기 결합(중공부가 다시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쐐기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부가 보다 확장되는 것 또한 소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d는 제1 걸림 유닛의 제1 돌기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 고리가 제2 걸림 유닛 중 타측 둘레 방향으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제2 걸림 유닛의 제2 돌기 타면에 형성된 제2 걸림 고리와 쐐기 결합되어, 중공부의 크기가 보다 확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의 제1 돌기 일면(200a) 및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의 제2 돌기 타면(300b) 각각은, 제1 걸림 유닛(200)과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쐐기 결합이 상호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걸림 유닛(200)의 제1 돌기 일면(200a)에 제1 걸림 고리가 형성되고,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의 제2 돌기 타면(300b)에 상기 제1 걸림 고리와 걸림 결합을 통해 상호 맞물릴 수 있는 제2 걸림 고리가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쐐기 결합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2d를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과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이 쐐기 결합을 위해 서로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는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걸림 고리의 일면과 제2 걸림 고리의 타면은 각각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 유닛(200)과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이 서로 가까워지면, 제1 걸림 고리의 비스듬한 일면은 제2 걸림 고리의 비스듬한 타면과 접촉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접촉 상태에서 제1 걸림 유닛(200)과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이 보다 가까워지게 되면, 결국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쐐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d를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과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은 제1 돌기 일면(200a)과 제2 돌기 타면(300b) 사이에 일 방향 쐐기 결합이 이루어져 중공부(130)가 다시 축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제1 돌기 일면(200a)에 형성된 제1 걸림 고리와 제2 돌기 타면(300b)에 형성된 제2 걸림 고리 사이에도 쐐기 결합(걸림 고리간 맞물림 결합 또는 걸림 턱 결합)이 이루어져 중공부(130)가 보다 확장되는 것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걸림 고리는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필요에 따라서는 마지막 제2 걸림 유닛(340) 이외에 다른 제2 걸림 유닛들(310, 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도 제2 걸림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롤 유닛의 말단부의 최외주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 헤드 유닛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안구의 공막 내로 삽입된 트로카를 도 3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롤 유닛(100)의 말단부(길이 방향 양 끝단 중 대상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inlet 부분)가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말단부의 최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헤드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최외주면은 롤 유닛(100)의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하는 외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최외주면은 일단부(110)와 타단부(120) 사이 영역의 외면(외주면) 및 타단부(120)를 그 외측에서 감싸는 일단부(110)의 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400)은 롤 유닛(100)의 말단부의 최외주면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유닛(400)은 본 트로카(1) 전체가 대상체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여 제거하기 극히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상체의 표면을 지지하고 대상체 내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 및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유닛(400)의 제조는, 롤 유닛(100)의 말단부의 최외주면 상에 복수의 일체 결합용 돌기(스터드)를 구비하여 두고, 이 같은 복수의 일체 결합용 돌기에 대응하여 몰딩(예를 들면 플라스틱 몰딩)을 수행함으로써, 롤 유닛(100)과 헤드 유닛(400)이 소정 이상 일체화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헤드 유닛(400)은 접착제나 열 접합을 통해 롤 유닛(100)의 말단부의 최외주면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 유닛(100)이 둘레 방향을 따라 감김이 점차적으로 해제되는 방향으로 변형(이동)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임을 고려하여, 헤드 유닛(400)도 이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의 롤 유닛(100)에 대응할 수 있는 탄성, 소성 또는 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 유닛(200)과 제2 걸림 유닛(300) 사이의 선택적 결합에 따라 중공부(130)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커지고 롤 유닛(100)의 형상이 순차적으로 변형되더라도, 그러한 변형에 의해 헤드 유닛(400)이 파손되거나 헤드 유닛(400)에 과도한 응력이 걸리지 않고, 헤드 유닛(400)이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 유닛(400)은 최외주면 상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트로카의 헤드부는 못의 헤드 형상처럼 트로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었다. 반면에, 본 트로카(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130)의 크기 확장에 맞추어 롤 유닛(100)의 감김이 순차적으로 풀리면서 롤 유닛(100)에 소정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같은 소정의 변형에 의한 영향이 보다 저감될 수 있도록, 헤드 유닛(400)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단일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는 개별적이고 상호 독립적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헤드 유닛(400)은 4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헤드 유닛(400)은 중공부(130)의 크기 조절(일단부(110)와 타단부(120)의 중첩 영역 조절)시 롤 유닛(100)이 풀리는 정도(감김 해제되는 정도)에 따라 롤 유닛(100) 중 적어도 일부의 굴곡이 완화됨(곡률이 커짐)으로써 헤드 유닛(400)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롤 유닛(100)의 변형으로 인한 영향을 저감 또는 최소화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헤드 유닛(400)은 연성 또는 소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익스팬더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는 익스팬더 유닛이 중공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b는 익스팬더 유닛이 삽입된 상태에서 중공부의 내면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중공부의 크기가 확장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트로카(1)는 중공부(130)의 내면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600)을 가하기 위해 중공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익스팬더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익스팬더 유닛(500)은 중공부(130)에 삽입되어 중공부(13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외력(600)을 가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익스팬더 유닛(500)의 확장전 초기 크기는 중공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중공부(13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외측 방향으로의 외력(600)은 중공부(130)의 크기가 이전 크기보다 확장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a을 참조하면, 제1 걸림 유닛(200)이 첫번째 제2 걸림 유닛(310)의 제2 돌기 타면(200b)과의 접촉을 해제하고 두번째 제2 걸림 유닛(320)의 제2 돌기 일면(200a)을 타고 넘어갈(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익스팬더 유닛(500)은 단단한 실리콘, 고분자 물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익스팬더 유닛(500)은, 제1 블록(510), 제1 블록(510)과 대향하는 제2 블록(520) 및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은, 중공부(13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600)이 가해지면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재(530)가 탄성적으로 늘어나면서 외측 방향 중 서로 멀어지는 방향(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블록(510) 및 제2 블록(520)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중공부(13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내면 중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반대면인 타측면)에 익스팬더 유닛(500)에 의한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탄성부재(530)는 기구 삽입 공간(6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530)는 기구 삽입 공간(640) 양측에 2개 구비되어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의 상단 하단을 각각 연결하고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530)는 경우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탄성부재(530)는 제1 걸림 유닛(200)이 제2 걸림 유닛(300) 중 일측 둘레 방향 끝단(일단)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제2 걸림 유닛(310)과 걸림 결합되었을 때의 중공부(130)의 크기부터, 제1 걸림 유닛(200)이 제2 걸림 유닛(300) 중 일측 둘레 방향 끝단(일단)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위치한 제2 걸림 유닛(340)과 걸림 결합되었을 때의 중공부(130)의 크기까지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적인 신축 범위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블록(510) 및 제2 블록(520)은, 상호 대향하는 면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의 외력(600)을 가하기 위한 확장 기구 삽입이 가능한 확장 기구 삽입 공간(540)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장 기구는 집게일 수 있고, 집게가 확장 기구 삽입 공간(540)에 삽입되어 벌어지면서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600)을 가할 수 있다. 이렇게 가해진 외력(600)은 제1 블록(510) 및 제2 블록(520)을 통해 중공부(130)의 내면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걸림 유닛(200) 중 하나와 하나 이상의 제2 걸림 유닛(300) 중 하나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본 트로카(1)의 중공부(130)의 크기(직경)가 순차적, 선택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확장 기구 삽입 공간(540)에 삽입되는 확장 기구는 말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는(확장되는) 형태의 스크류(screw)일 수 있다. 스크류를 돌리면서 확장 기구 삽입 공간(540)에 스크류를 삽입하면 스크류가 확장 기구 삽입 공간(540)으로 삽입될수록 확장 기구 삽입 공간(540)의 내면에 맞닿는 스크류의 직경이 확장되면서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외력(600)이 가해질 수 있다. 다만, 확장 기구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 기구에는 익스팬더 유닛(500)을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켜 중공부(130)의 내면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확장 기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익스팬더 유닛(500)의 다른 구현예로서, 익스팬더 유닛(500)은 팽창 가능한(신축 가능한) 유체 주입용 포켓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부(130) 내에 유체 주입용 포켓을 배치한 다음 인젝션 등을 이용하여 유체 주입용 포켓에 유체를 소정 이상 주입하면, 유체 주입용 포켓이 소정 이상 팽창되면서 중공부(13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에 의해 롤 유닛(100)의 감김이 순차적, 선택적으로 풀릴 수 있고, 중공부(130)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예로서, 익스팬더 유닛(500) 그 자체가 말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는(확장되는) 형태의 스크류(screw)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익스팬더 유닛(500)에는 중공부(130)의 내면에 중공부(130)의 크기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트로카
10: 안구의 공막
100: 롤 유닛
110: 일단부
120: 타단부
130: 중공부
200: 제1 걸림 유닛
200a: 제1 돌기 일면
200b: 제1 돌기 타면
250: 확장 제한 걸림 유닛
250a: 돌기 일면
250b: 돌기 타면
300: 제2 걸림 유닛
300a: 제2 돌기 일면
300b: 제2 돌기 타면
400: 헤드 유닛
500: 익스팬더 유닛
510: 제1 블록
520: 제2 블록
530: 탄성부재
540: 확장 기구 삽입 공간
600: 외측 방향으로의 외력

Claims (9)

  1. 수술 부위에 대응하여 대상체의 표면에 대하여 선단에서 말단 방향으로 삽입되는 트로카(trocar)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의 일단부가 타단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감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롤 유닛;
    상기 롤 유닛의 일단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걸림 유닛; 및
    상기 롤 유닛의 타단부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 유닛과 걸림 결합 가능한 제2 걸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걸림 유닛 및 상기 제2 걸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 유닛 중 하나와 상기 제2 걸림 유닛 중 하나의 선택적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중공부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인, 트로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의 중첩 영역이 더 넓어져 상기 중공부의 크기가 더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 방향 쐐기 결합인 것인, 트로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유닛은 상기 일단부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되, 상기 타단부를 향한 제1 돌기 타면의 경사가 그 반대편 면인 제1 돌기 일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 유닛은 상기 타단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되, 상기 일단부를 향한 제2 돌기 일면의 경사가 그 반대편 면인 제2 돌기 타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 일면의 경사 및 상기 제2 돌기 타면의 경사는, 상기 제1 돌기 일면과 상기 제2 돌기 타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일 방향 쐐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인, 트로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유닛의 말단부가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말단부의 최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헤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트로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최외주면 상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는 것인, 트로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익스팬더 유닛을 더 포함하는 트로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더 유닛은,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대향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트로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은, 상호 대향하는 면 사이에 외측 방향으로의 외력을 가하기 위한 확장 기구 삽입이 가능한 확장 기구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기구 삽입 공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인, 트로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안구인 것인, 트로카.

KR1020180046780A 2018-04-23 2018-04-23 트로카 KR10191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80A KR101919441B1 (ko) 2018-04-23 2018-04-23 트로카
PCT/KR2019/004786 WO2019208979A1 (ko) 2018-04-23 2019-04-19 트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80A KR101919441B1 (ko) 2018-04-23 2018-04-23 트로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441B1 true KR101919441B1 (ko) 2018-11-16

Family

ID=6456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780A KR101919441B1 (ko) 2018-04-23 2018-04-23 트로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9441B1 (ko)
WO (1) WO20192089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8979A1 (ko) * 2018-04-23 2019-10-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로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3113A1 (en) 2003-01-29 2004-09-30 Durect Corporation Expandable bore injection needle
US20100312189A1 (en) 2009-06-05 2010-12-09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cannula devices and methods
US20150073332A1 (en) 2013-09-06 2015-03-12 Robert C. Knowles Flexible stretchable trocar to facilitate single 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JP2016016237A (ja) 2014-07-10 2016-0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トロッカ用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トロッ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0058A1 (en) * 2008-10-22 2010-04-22 Auchter Gregory A Micro-Vitreoretinal Trocar Blade
KR101919441B1 (ko) * 2018-04-23 2018-11-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로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3113A1 (en) 2003-01-29 2004-09-30 Durect Corporation Expandable bore injection needle
US20100312189A1 (en) 2009-06-05 2010-12-09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cannula devices and methods
US20150073332A1 (en) 2013-09-06 2015-03-12 Robert C. Knowles Flexible stretchable trocar to facilitate single 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JP2016016237A (ja) 2014-07-10 2016-0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トロッカ用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トロッ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8979A1 (ko) * 2018-04-23 2019-10-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로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8979A1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9172B2 (ja) 虹彩拡張器
US6629533B1 (en) Punctum plug with at least one anchoring arm
KR101735536B1 (ko) 눈의 쉴렘관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임플란트
JP5681186B2 (ja) 緑内障の治療のための器具および移植物
ES2753384T3 (es) Implantes de regulación de flujo
CN115811995B (zh) 用于在哺乳动物眼睛的常规房水流出通路中植入的方法和设备
KR101919441B1 (ko) 트로카
KR20230012512A (ko)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US20240033072A1 (en)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JP2023533989A (ja) 左心耳を治療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217594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scleral tissue
US11903821B2 (en) Intraocular lens exchanger
ES2834679T3 (es) Dispositivos y sistemas de extensión de malla trabecular
KR20230051521A (ko)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KR102257602B1 (ko) 트로카용 덕 밸브
WO2019208746A1 (ja) 眼内レンズ固定用器具
WO2022155491A1 (en) Delivery devices for implantation of intraocular lens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H08103460A (ja) 手術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