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34B1 -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34B1
KR101919434B1 KR1020170112248A KR20170112248A KR101919434B1 KR 101919434 B1 KR101919434 B1 KR 101919434B1 KR 1020170112248 A KR1020170112248 A KR 1020170112248A KR 20170112248 A KR20170112248 A KR 20170112248A KR 101919434 B1 KR101919434 B1 KR 10191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ster
saturated
hydrogen
alk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630A (ko
Inventor
김청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to KR102017011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3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3/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3/04Monocyclic monocarboxylic acids
    • C07C63/06Benzo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17Esters of hydroxy compounds having the esterified hydroxy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제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19

상기 식에서 R1은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고, R3 과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R5, 수소, 알데히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에서 선택되어지며, R5
Figure 112017085336849-pat00020
의 구조이며, R6 는 수소,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에서 선택되어진다. 상기 식에서 R3 과 R4는 둘 중 하나는 수소이다.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LOPECIA AND ACTIVA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발의 성장 주기 가운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하는 주기를 단축시켜 새로운 모발이 빨리 자라게 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 만 내지 15 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 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50 내지 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과다 분비, 지루성 두피, 스트레스, 비만,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등이 논의되어 왔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사회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탈모 인구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연구로부터 탈모의 주요한 요인으로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환원형 물질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주목받고 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5-reductase(5-환원효소)의 작용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데, 탈모 환자들의 모낭에는 5-reductase의 활성도가 높고, 이로 인해 탈모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탈모의 원인을 치유하기 위하여, 머크사는 5-reductase의 작용을 저해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으로서, 피나스테라이드를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으나,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모유두 세포의 증식촉진을 통해 탈모를 예방하고 발모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06644(1995.08.08)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모발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켜 탈모를 예방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하기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제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고, R3 과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R5, 수소, 알데히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에서 선택되어지며, R5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2
의 구조이며, R6 는 수소,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에서 선택되어진다. 상기 식에서 R3 과 R4는 둘 중 하나는 수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효과가 뛰어난, 하기 일반식 (I)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고, R3 과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R5, 수소, 알데히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에서 선택되어지며, R5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4
의 구조이며, R6 는 수소,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에서 선택되어진다. 상기 식에서 R3 과 R4는 둘 중 하나는 수소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족 화합물을 적당한 유기용매에 용해한 후, 알킬할라이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적당한 당량비로 천천히 적하하여 에스테르(ester) 반응 또는 에테르(ether) 반응을 통하여 얻어지거나, 이 반응물을 다시 수소첨가반응(hydrogenation)을 실시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때 반응에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피리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소듐하이드라이드(NaH) 또는 탄산칼륨(K2CO3)를 반응 촉매로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5
상기 반응식 1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다.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6
상기 반응식 2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다.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7
상기 반응식 3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다.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8
상기 반응식 4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다.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09
상기 반응식 5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다.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고, R3 과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데히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에서 선택되어진다. 상기 식에서 R3 과 R4는 둘 중 하나는 수소이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10
상기 반응식 6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다.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다.
Figure 112017085336849-pat00011
상기 반응식 7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다.
X는 수소, 히드록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X와 R2가 수소인 경우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2-메톡시 벤조익애씨드 메틸 에스터, 2-에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프로폭시 벤조익애씨드 프로필 에스터, 2-부톡시 벤조익애씨드 부틸 에스터, 2-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펜틸 에스터, 2-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헥실 에스터, 2-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옥틸 에스터, 2-데실옥시 벤조익애씨드 데실 에스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식 2를 통하여 제조되는 물질들 중 X와 R2 가 수소일 때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2-메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에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프로폭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부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2-데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식 3을 통하여 제조되는 물질들 중 X와 R2 가 수소일 때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3-메톡시 벤조익애씨드 메틸 에스터, 3-에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프로폭시 벤조익애씨드 프로필 에스터, 3-부톡시 벤조익애씨드 부틸 에스터, 3-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펜틸 에스터, 3-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헥실 에스터, 3-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옥틸 에스터, 3-데실옥시 벤조익애씨드 데실 에스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식 4를 통하여 제조되는 물질들 중 X와 R2 가 수소일 때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3-메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에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프로폭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부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3-데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식 5를 통하여 제조되는 물질들 중 X, R3 와 R4가 수소일 때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1,3-디메톡시벤젠, 1,3-디에톡시벤젠, 1,3-디프로폭시벤젠, 1,3-디부톡시벤젠, 1,3-비스펜틸옥시벤젠, 1,3-비스헥실옥시벤젠, 1,3-비스헵틸옥시벤젠, 1,3-비스옥틸옥시벤젠, 1,3-비스데실옥시벤젠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식 6를 통하여 제조되는 물질들 중 X가 수소일 때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 3,5-디에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 3,5-디프로폭시벤조익 애씨드 프로필 에스터, 3,5-디부톡시벤조익 애씨드 부틸 에스터, 3,5-비스펜틸옥시벤조익 애씨드 펜틸 에스터, 3,5-비스헥실옥시벤조익 애씨드 헥실 에스터, 3,5-비스헵틸옥시벤조익 애씨드 헵틸 에스터, 3,5-비스옥틸옥시벤조익 애씨드 옥틸 에스터, 3,5-비스데실옥시벤조익 애씨드 데실 에스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식 7를 통하여 제조되는 물질들 중 X가 수소일 때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프로필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부틸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펜틸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헥실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헵틸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옥틸 에스터,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데실 에스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식 7를 통하여 제조되는 물질들 중 X가 히드록시일 때 제조되어지는 물질명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프로필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부틸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펜틸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헥실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헵틸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옥틸 에스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데실 에스터, 3,4,5-트리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 4-에톡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 작용을 하는 유효성분으로서 함유되는 상기 일반식 (1)의 화합물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01~10%의 조성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01 내지 10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외용 약학조성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10중량%인데, 이것은 0.001중량% 미만에서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중량%를 넘으면 배합해도 효과의 증가는 기대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측백엽 및/또는 부평초 비극성분획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 작용을 하는 유효성분으로서 함유되는 상기 일반식 (1)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01~10%의 조성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일반식 (1)의 화합물 이외에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상용될 때에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톨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메톡시 벤조익애씨드 메틸 에스터(2-methoxy benzoic acid methyl ester)의 제조
2구 둥근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2-hydroxy benzoic acid) 10mmol을 넣은 다음,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50ml을 투입하고. 촉매로 탄산칼륨(K2CO3) 24 mmol을 투입한 뒤 브로모 메탄(Bromo methane) 24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나면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에 정제수 500ml를 투입하고 100ml의 n-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헥산층을 감압 하에 건조시킨 뒤 n-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여 2-메톡시 벤조익애씨드 메틸 에스터를 수득하였으며, 고속원자 충격 질량분석법(이하, FAB-MS)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FAB mass : 167 [M+H]+
실시예 2. 2-에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2-ethoxy 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브로모 메탄 대신 브로모 에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에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195 [M+H]+
실시예 3. 2-프로폭시 벤조익애씨드 프로필 에스터(2-propoxy benzoic acid propyl ester)의 제조
브로모 메탄 대신 브로모 프로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프로폭시 벤조익애씨드 프로필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223 [M+H]+
실시예 4. 2-부톡시 벤조익애씨드 부틸 에스터(2-butoxy benzoic acid butyl ester)의 제조
브로모 메탄 대신 브로모 부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부톡시 벤조익애씨드 부틸 에스터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251 [M+H]+
실시예 5. 2-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펜틸 에스터(2-pentyloxy benzoic acid pentyl ester)의 제조
브로모 메탄 대신 브로모 펜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펜틸 에스터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279 [M+H]+
실시예 6. 2-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헥실 에스터(2-hexyloxy benzoic acid hexyl ester)의 제조
브로모 메탄 대신 브로모 헥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헥실 에스터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307 [M+H]+
실시예 7. 2-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옥틸 에스터(2-octyloxy benzoic acid octyl ester)의 제조
브로모 메탄 대신 브로모 옥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옥틸 에스터를 수득하여 하기에 특징을 나타내었다.
FAB mass : 363 [M+H]+
실시예 8. 2-데실옥시 벤조익애씨드 데실 에스터(2-decyloxy benzoic acid decyl ester)의 제조
브로모 메탄 대신 브로모 데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데실옥시 벤조익애씨드 데실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419 [M+H]+
실시예 9. 3-메톡시 벤조익애씨드 메틸 에스터(3-methoxy benzoic acid meth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메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167 [M+H]+
실시예 10. 3-에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3-ethoxy 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에톡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195 [M+H]+
실시예 11. 3-부톡시 벤조익애씨드 부틸 에스터(3-butoxy benzoic acid but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부톡시 벤조익애씨드 부틸 에스터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251 [M+H]+
실시예 12. 3-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펜틸 에스터(3-pentyloxy benzoic acid pent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펜틸옥시 벤조익애씨드 펜틸 에스터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279 [M+H]+
실시예 13. 3-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헥실 에스터(3-hexyloxy benzoic acid hex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헥실 에스터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307 [M+H]+
실시예 14. 3-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옥틸 에스터(3-octyloxy benzoic acid oct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옥틸 에스터를 수득하여 하기에 특징을 나타내었다.
FAB mass : 363 [M+H]+
실시예 15. 2-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2-hexyloxy 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2구 둥근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2-hydroxy benzoic acid ethyl ester) 10mmol을 넣은 다음,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50ml을 투입하고. 촉매로 탄산칼륨(K2CO3) 12 mmol을 투입한 뒤 브로모 헥산(Bromo hexane) 12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나면 상온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에 정제수 500ml를 투입하고 100ml의 n-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헥산층을 감압 하에 건조시킨 뒤 n-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여 2-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으며, 고속원자 충격 질량분석법(이하, FAB-MS)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FAB mass : 251 [M+H]+
실시예 16. 2-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2-octyloxy 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브로모헥산 대신 브로모옥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279 [M+H]+
실시예 17. 2-에톡시 벤조익애씨드 2-에틸헥실 에스터(2-ethoxy benzoic acid 2-ethylhexyl ester)의 제조
브로모헥산 대신 브로모에탄을 그리고 2-히드록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 대신에 2-히드록시벤조익 애씨드 2-에틸헥실 에스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2-에톡시 벤조익애씨드 2-에틸헥실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279 [M+H]+
실시예 18. 3-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3-hexyloxy 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대신에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헥실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251 [M+H]+
실시예 19. 3-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3-octyloxy 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 대신에 3-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옥틸옥시 벤조익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279 [M+H]+
실시예 20. 1,3-디메톡시벤젠(1,3-dimethoxybenzene)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1,3-디히드록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1,3-디메톡시벤제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139 [M+H]+
실시예 21. 1,3-디에톡시벤젠(1,3-diethoxybenzene)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1,3-디히드록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1,3-디에톡시벤젠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167 [M+H]+
실시예 22. 1,3-디부톡시벤젠(1,3-dibuthoxybenzene)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1,3-디히드록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1,3-디부톡시벤젠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223 [M+H]+
실시예 23. 1,3-비스-헥실옥시벤젠(1,3-bis-hexyloxybenzene)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1,3-디히드록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1,3-비스-헥실옥시 벤젠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279 [M+H]+
실시예 24. 1,3-비스-옥틸옥시벤젠(1,3-bis-octyloxybenzene)의 제조
2-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 대신 1,3-디히드록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1,3-비스-옥틸옥시벤젠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335 [M+H]+
실시예 25. 1-메틸-3,5-디에톡시벤젠(1-methyl-3,5-diethoxybenzene)의 제조
1,3-디히드록시벤젠 대신 1-메틸-3,5-디히드록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1-메틸-3,5-디에톡시벤젠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181 [M+H]+
실시예 26. 1-메틸-3,5-비스-헥실옥시벤젠(1-methyl-3,5-bis-hexyloxybenzene)의 제조
1,3-디히드록시벤젠 대신 1-메틸-3,5-디히드록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1-메틸-3,5-비스-헥실옥시벤젠을 수득하였다.
FAB mass : 293 [M+H]+
실시예 27.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3,5-dimethoxybenzoic acid methyl ester)의 제조
2구 둥근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3,5-디히드록시 벤조익애씨드(3,5-dihydroxy benzoic acid) 10mmol을 넣은 다음,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50ml을 투입하고. 촉매로 탄산칼륨(K2CO3) 36 mmol을 투입한 뒤 브로모 메탄(Bromo methane) 36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나면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에 정제수 500ml를 투입하고 100ml의 n-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헥산층을 감압 하에 건조시킨 뒤 n-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여 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를 수득하였으며, 고속원자 충격 질량분석법(이하, FAB-MS)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FAB mass : 197 [M+H]+
실시예 28. 3,5-디에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3,5-diethoxy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브로모메탄 대신 브로모에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5-디에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239 [M+H]+
실시예 29. 3,5-비스-헥실옥시벤조익 애씨드 헥실 에스터(3,5-bis-hexyloxybenzoic acid hexyl ester)의 제조
브로모메탄 대신 브로모헥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5-비스-헥실옥시벤조익 애씨드 헥실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407 [M+H]+
실시예 30.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4-hydroxy-3,5-dimethoxybenzoic acid methyl ester)의 제조
2구 둥근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4-hydroxy-3,5-dimethoxy benzoic acid) 10mmol을 넣은 다음,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50ml을 투입하고. 촉매로 탄산칼륨(K2CO3) 12 mmol을 투입한 뒤 브로모 메탄(Bromo methane) 12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나면 상온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에 정제수 500ml를 투입하고 100ml의 n-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헥산층을 감압 하에 건조시킨 뒤 n-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여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를 수득하였으며, 고속원자 충격 질량분석법(이하, FAB-MS)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FAB mass : 213 [M+H]+
실시예 31.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4-hydroxy-3,5-dimethoxybenzoic acid ethyl ester)의 제조
브로모메탄 대신 브로모에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에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227 [M+H]+
실시예 32.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옥틸 에스터(4-hydroxy-3,5-dimethoxybenzoic acid octyl ester)의 제조
브로모메탄 대신 브로모옥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옥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311 [M+H]+
실시예 33. 4-히드록시-3-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4-hydroxy-3-methoxybenzoic acid metyl ester)의 제조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대신 4-히드록시-3-메톡시벤조익 애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4-히드록시-3-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183 [M+H]+
실시예 34. 3,4-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3,4-dimethoxybenzoic acid metyl ester)의 제조
과량의 브로모메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3,4-디메톡시벤조익 애씨드 메틸 에스터를 수득하였다.
FAB mass : 197 [M+H]+
실험예 1.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 촉진 효과
사람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 HHDPC)는 모낭의 발생에 관여하는 세포로 모발의 발생 및 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세포로서, MTT assay를 통하여 NAADP가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MTT assay는 세포독성 또는 생존율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 중의 하나로서, 탈수소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노란색 가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이 세포 안에 침투하여 미토콘드리아 속에서 적자색의 포마잔 반응물질[3-(4,5-dimethylthizol -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하는 검사법이다.
HHDPC는 HDP 키트 배지를 사용하여 37oC,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를 24-well plate에 3x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한 후 18시간 후 각 well에 실시예 1 ~ 34의 화합물의 최종농도 1ppm, 10ppm으로 처리한 후 37oC,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배양 배지(대조군)과 미녹시딜을 최종농도 10ppm이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각 well을 PBS 용액으로 1회 세척하고, 5mg/ml MTT 시약 50ul와 새 배지 450ul를 첨가하여 3시간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각 well에 포마잔 결정이 관찰되면 DMSO를 첨가하여 차광상태에서 30분간 가볍게 흔들어 포마잔 결정을 녹인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AADP의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 촉진 효능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실험 결과와 같이 모유두 세포의 증식율 증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유두 세포 증식율 효과(반복수 = 3)
시료 농도
(ppm)
모유두세포 증식율(%) 시료 농도
(ppm)
모유두세포
증식율(%)
대조군(무첨가) - - 미녹시딜 10 19
실시예 1 화합물 1 5 실시예 18 화합물 1 6
10 27 10 21
실시예 2 화합물 1 6 실시예 19 화합물 1 2
10 26 10 9
실시예 3 화합물 1 4 실시예 20 화합물 1 5
10 19 10 16
실시예 4 화합물 1 5 실시예 21 화합물 1 4
10 19 10 18
실시예 5 화합물 1 6 실시예 22 화합물 1 2
10 17 10 20
실시예 6 화합물 1 5 실시예 23 화합물 1 5
10 18 10 17
실시예 7 화합물 1 3 실시예 24 화합물 1 5
10 15 10 21
실시예 8 화합물 1 4 실시예 25 화합물 1 2
10 16 10 14
실시예 9 화합물 1 6 실시예 26 화합물 1 7
10 23 10 17
실시예 10 화합물 1 7 실시예 27 화합물 1 9
10 26 10 27
실시예 11 화합물 1 5 실시예 28 화합물 1 8
10 21 10 24
실시예 12 화합물 1 5 실시예 29 화합물 1 5
10 19 10 19
실시예 13 화합물 1 4 실시예 30 화합물 1 12
10 20 10 27
실시예 14 화합물 1 3 실시예 31 화합물 1 8
10 17 10 19
실시예 15 화합물 1 5 실시예 32 화합물 1 5
10 16 10 17
실시예 16 화합물 1 3 실시예 33 화합물 1 6
10 12 10 17
실시예 17 화합물 1 5 실시예 34 화합물 1 4
10 19 10 18
이상과 같은 효과시험 결과를 근거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여러 가지 제형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제형 예는 본 발명 조성물의 예시일 뿐, 본 발명 조성물의 범위가 이들 제형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형예 1. 발모용 조성물 1 (헤어 토닉)
아래 처방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헤어 토닉을 제조하였다.
헤어토닉 처방
조성물(중량%) 제형 1 비교제형 1
a b c d
실시예 2의 물질 0.5 - - - -
실시예 10의 물질 - 0.5 - - -
실시예 27의 물질 - - 0.5 - -
실시예 30의 물질 - - - 0.5 -
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피로톤올아민 0.2 0.2 0.2 0.2 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피마자유 6.0 6.0 6.0 6.0 6.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형예 2. 발모용 조성물 2 (샴푸)
아래 처방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샴푸 처방
조성물(중량%) 제형 2 비교제형 2
a b c d
실시예 2의 물질 0.5 - - - -
실시예 10의 물질 - 0.5 - - -
실시예 27의 물질 - - 0.5 - -
실시예 30의 물질 - - - 0.5 -
폴리쿼타늄 0.5 0.5 0.5 0.5 0.5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30 30 30 30 30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 3 3 3 3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2 2 2 2 2
카보폴-1342 0.3 0.3 0.3 0.3 0.3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0.2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형예 3. 발모용 조성물 3 (헤어 로션)
아래 처방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헤어 로션을 제조하였다.
헤어로션 처방
조성물(중량%) 제형 2 비교제형 2
a b c d
실시예 2의 물질 0.5 - - - -
실시예 10의 물질 - 0.5 - - -
실시예 27의 물질 - - 0.5 - -
실시예 30의 물질 - - - 0.5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 2 2 2 2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 2 2 2 2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0.5 0.5 0.5 0.5 0.5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2.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의 발모 효과 확인시험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 제형1-a를 모발의 수가 정상에 비해 현저히 적거나, 탈모증상이 보이며 모발이 약한 남녀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1주에 7회씩 3개월 동안 두피에 사용하였다. 사용 후 평가는 모발의 굵기, 밀집정도에 대하여 개선정도(매우 좋아짐 : +5, 조금 좋아짐 : +4, 변화없음 : +3, 조금 나빠짐 : +2, 매우 나빠짐 : +1)를 사용 1개월, 3개월 경과 후 사용자 문진하여 평균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발모 효과 확인시험
모발의 굵기 밀집 정도
사용 1개월 후 평균 점수 3.7 3.5
사용 3개월 후 평균 점수 4.3 4.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3개월 이상 사용한 결과, 모발의 굵기와 밀집도 면에서 시험 대상자들의 만족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사용으로 더욱 우수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형예 4. 눈썹성장제 조성물 (토닉)
아래 처방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눈썹성장 토닉을 제조하였다.
토닉 처방
조성물(중량%) 제형 2 비교제형 2
a b c d
실시예 2의 물질 0.5 - - - -
실시예 10의 물질 - 0.5 - - -
실시예 27의 물질 - - 0.5 - -
실시예 30의 물질 - - - 0.5 -
에탄올 20 20 20 20 20
트윈 2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3.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의 눈썹성장 효과 확인시험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 제형1-c를 눈썹의 수가 정상에 비해 현저히 적거나 짧은 남녀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1주에 7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사용 후 평가는 눈썹의 굵기와 밀집정도에 대하여 개선정도(매우 좋아짐 : +5, 조금 좋아짐 : +4, 변화없음 : +3, 조금 나빠짐 : +2, 매우 나빠짐 : +1)를 사용 1개월, 3개월 경과 후 사용자 문진하여 평균값을 표 7에 나타내었다.
눈썹 성장 효과 확인시험
눈썹의 굵기 밀집 정도
사용 1개월 후 평균 점수 3.4 3.6
사용 3개월 후 평균 점수 4.4 4.5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3개월 이상 사용한 결과, 눈썹의 굵기와 밀집도 면에서 시험 대상자들의 만족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사용으로 더욱 우수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6)

  1. 삭제
  2. 하기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Figure 112018053257870-pat00014

    상기 화학식(2)에서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이며,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이다.
  3. 하기 화학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Figure 112018053257870-pat00015

    상기 화학식(3)에서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알콕시, X는 수소이며,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이다.
  4. 하기 화학식(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Figure 112018053257870-pat00016

    상기 화학식(4)에서 X는 수소이고, R3 과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데히드, C1 내지 C10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알콕시이며, R3 과 R4는 둘 중 하나는 수소이다.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이다.
  5. 하기 화학식(5)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Figure 112018053257870-pat00017

    상기 화학식(5)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이며, X는 수소이다.
  6. 하기 화학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Figure 112018053257870-pat00018

    상기 화학식(6)에서 R7는 C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이며, X는 수소이다.
KR1020170112248A 2017-09-02 2017-09-02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91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248A KR101919434B1 (ko) 2017-09-02 2017-09-02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248A KR101919434B1 (ko) 2017-09-02 2017-09-02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820A Division KR20170061561A (ko) 2015-11-26 2015-11-26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630A KR20170118630A (ko) 2017-10-25
KR101919434B1 true KR101919434B1 (ko) 2018-11-16

Family

ID=6029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248A KR101919434B1 (ko) 2017-09-02 2017-09-02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630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702B1 (ko) 신규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78491B1 (ko) 안정성이 개선된 신규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703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693292B1 (ko)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79269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조성물
KR20160083666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천연물
KR101919434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817136B1 (ko) 메란진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51515B1 (ko)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폡타이드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1562A (ko)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97581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1728062B1 (ko) 마유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6249598B2 (ja) 皮膚外用剤
KR20170061561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30145744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20087780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973111B1 (ko) 신규한 레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083056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627924B1 (ko) 시린직산, 바닐릭산 및 에피카테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5747A (ko)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30145741A (ko) 민감성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150057390A (ko) 탈수소 아비에틱산과 트랜스 쿠미닉산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40025068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