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230B1 -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230B1
KR101919230B1 KR1020170039830A KR20170039830A KR101919230B1 KR 101919230 B1 KR101919230 B1 KR 101919230B1 KR 1020170039830 A KR1020170039830 A KR 1020170039830A KR 20170039830 A KR20170039830 A KR 20170039830A KR 101919230 B1 KR101919230 B1 KR 101919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
control signal
mechanical rela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4934A (en
Inventor
나오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1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3/001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1Functional circuits, e.g. logic, sequencing, interlocking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의 메모리를 이용하지 않고, 부하 장치의 이상 헌팅을 초기 단계에서 알아, 바람직하지 못한 제어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1)가 주기(T)(T=Tb)로 생성하는 메커니컬 릴레이를 ON/OFF하는 제어 신호(S)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를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를 1일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Count_on)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1일당의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1)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제어 주기)(T)를 길게 한다(T=Tb×A, A: 축퇴율(예컨대, A=2)).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bnormal hunting of the load device at an early stage and prevent an undesirable control state from continuing without using a large-capacity memor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21 generates one change of the control signal S for turning on / off the mechanical relay generated by the period T (T = Tb) from OFF to ON, and turns ON / OFF the mechanical relay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section 21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count is turned on every day and when the counted number of counted mechanical relays (Count_on) exceeds the previously set number of operation times per count (Count_th) (Control period) T of the control signal S to be generated is made long (T = Tb x A, A: A rate of increase (e.g., A = 2)).

Description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밸브나 댐퍼, 액츄에이터 등의 부하 장치의 동작을 메커니컬 릴레이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load device such as a valve, a damper, and an actuator by using a mechanical relay.

종래부터, 빌딩 등의 공조(空調)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 시스템에서는, 밸브나 댐퍼, 액츄에이터 등의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석의 작용으로 철편을 끌어당기는 메커니컬 릴레이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in a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of a building or the like, mechanical relays are often used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load devices such as valves, dampers, and actuators.

즉, 빌딩 등의 공조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 시스템에서는, 밸브나 댐퍼, 액츄에이터 등의 부하 장치가 많고, 그 부하 장치에 흐르는 전류가 설비에 따라 다양하다. 이 때문에, 반도체 릴레이가 아니라, 접점 정격 전류가 보다 큰 메커니컬 릴레이의 사용 빈도가 높다.That is, in a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of a building or the like, there are many load devices such as valves, dampers, and actuators, and the current flowing in the load devices varies depending on the equipment. For this reason, the frequency of use of a mechanical relay having a larger contact rated current is higher than that of a semiconductor relay.

그러나, 메커니컬 릴레이는, 수명 부품으로서, 기계적 및 전기적 수명을 가지며, 그 동작 횟수 상의 수명이 반도체 릴레이보다도 짧다. 이 때문에, 각종 수명 진단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However, the mechanical relay has a mechanical and electrical life as a life-span part, and the life time of the mechanical relay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emiconductor relay. Therefore, various life diagnostic methods have been proposed.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누적 운전 시간을 카운트하고, 누적 운전 시간으로부터 열화도를 구하여, 열화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에 수명 경보를 통지함으로써, 보전에 이용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사용 개시일, 누적 사용 시간, ON 구동하는 누적 통전 시간, ON/OFF 횟수의 누적 개폐 횟수를 카운트하고, 그것을 트렌드 정보로서 기억하고, 표시함으로써, 수명 진단에 이용한다. 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방법은 모두 예방 보전을 위한 수명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the cumulative operation time is counte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is obtained from the cumulative operation time, and the life warning is notified when the degree of deterioration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lso, in Patent Document 2, the cumulative opening / closing times of the ON start date, the cumulative operating time, the ON cumulative energizing time, and the ON / OFF number are counted and stored as trend information and displayed. The method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ll relate to a method for diagnosing the life span for preventive maintenanc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051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2051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543210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5432102

그러나, 제어 대상(부하 장치)인 밸브나 댐퍼 등은,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가 극단적으로 많은 경우는 헌팅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한 제어 상태는 아니다. 이 때문에, 전술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제어 상태가 계속되고, 예방 보전을 실시하는 단계까지 제어 대상이 이상 헌팅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판명되지 않는다.However, valves, dampers, etc. to be controlled (load devices) mean that the mechanical relay is hunting when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is extremely large, which is not a preferable control state. For this reason, in the method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it is not found that an undesirable control state continues and the control object causes abnormal hunting until the stage of performing preventive maintenance.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은, 트렌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둘 수 있는 점에서 강점이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빌딩 공조 컨트롤러 등의 산업기기의 수명은 10∼15년으로 장기간이며, 트렌드 데이터가 방대해지기 때문에, 큰 기억부(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릴레이 출력을 갖는 공조 제어기기 자체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 설정인 것이 많기 때문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갖게 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건물에 대해 도입되는 릴레이 출력을 갖는 기기의 대수도 많기 때문에, 1대마다 트렌드 데이터를 보고 예방 보전을 행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s considered to be a method having a strength in that it can store trend data. However, the life span of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a building air-conditioning controller is 10 to 15 years, which is a long period of time. Since trend data becomes enormous, a large storage unit (memory) is required. It is not realistic to have a large capacity memory becaus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itself having the relay output is set at a relatively low price. In addition, sinc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evices having relay outputs introduced to the building, it is not realistic to view the trend data every time and perform preventive maintenance.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이용하지 않고, 부하 장치의 이상 헌팅을 초기 단계에서 알아, 바람직하지 못한 제어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unexpected control state from being continued in an early stage without using a large- And to provide a control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하 장치(200)의 동작을 메커니컬 릴레이(11)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메커니컬 릴레이(11)를 포함하는 출력 회로부(1)와, 출력 회로부(1)에 메커니컬 릴레이(11)를 ON/OFF하는 제어 신호(S)를 보내는 연산 제어부(2)를 구비하고, 연산 제어부(2)는, 출력 회로부(1)에의 제어 신호(S)를 미리 정해진 주기(T)로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21)와, 제어 신호 생성부(21)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S)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 및 ON에서 OFF로의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를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하는 카운트부(22)와, 카운트부(22)에 의해 카운트된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1)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T)를 길게 하는 제어 주기 변경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load device (200) using a mechanical relay (11), comprising: an output circuit part (1) including a mechanical relay And an arithmetic control unit 2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S for turning on / off the mechanical relay 11 to the output circuit unit 1. 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outputs a control signal S to the output circuit unit 1 A control signal generating section 21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S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section 21 at a predetermined period T and at least one of a change from OFF to ON and a change from ON to OFF A counter 22 for counting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11 by resetting the counted number of ON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11 by one cycle, When the count (Count_on)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value (Count_th),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21) is generated the cycle of the control signal (S) for generating the control period changing unit (23) to hold the (T).

본 발명에 있어서, 연산 제어부(2)는, 출력 회로부(1)에의 제어 신호(S)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생성하고, 이 제어 신호(S)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 및 ON에서 OFF로의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를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ithmetic and control unit 2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S to the output circuit unit 1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changes the control signal S from OFF to ON and from ON to OFF At least one of them is turned on one time, and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reset and counted in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그리고, 연산 제어부(2)는, 카운트된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한 경우,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를 길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간을 1일로 한 경우, 연산 제어부(2)는,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를 1일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 1일의 ON/OFF 횟수)가 임계치(Count_th: 1일당의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를 길게 한다. 이에 따라,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가 적어져, 부하 장치(200)의 헌팅이 억제되게 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 lengthens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control signal S when the counted number (Count_on) of the counted mechanical relays 11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value (Count_th).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determined period is one day, the arithmetic and control unit 2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mechanical relay 11 is turned on / off every day, counts the mechanical relay 11, (Count_on: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one day) exceeds the threshold value (Count_th: threshold value per day),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control signal S is lengthened. As a result,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reduced, and the hunting of the load device 200 is suppressed.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도면 상의 구성 요소를, 괄호를 붙인 참조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by parenthesized reference numerals as an example.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신호 생성부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 및 ON에서 OFF로의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를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제어 신호의 생성 주기를 길게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이용하지 않고, 부하 장치의 이상 헌팅을 초기 단계에서 알아,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를 적게 하도록 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제어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change from OFF to ON and the change from ON to OFF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is counted while resetting the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s every predetermined period ,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period is lengthened when the number of ON / OFF counts of the counted mechanical relays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refore, the abnormal hunting of the load device can be performed at the initial stage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mechanical relays can be reduced, thereby preventing an undesirable control state from continu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연산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르는 처리 동작을 실행하는 연산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동작 상한 임계치를 더한 경우의 연산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operation executed by the arithmetic control unit in this control apparatus. 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rithmetic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arithmetic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upper limit threshold value is ad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컨트롤러), 도면 부호 200은 제어 장치(1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밸브나 댐퍼 등의 부하 장치(제어 대상)이다.1,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control devic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load device (controlled object) such as a valve or a damper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100.

제어 장치(100)는, 메커니컬 릴레이(11)를 포함하는 출력 회로부(1)와, 출력 회로부(1)에 메커니컬 릴레이(11)를 ON/OFF하는 제어 신호(S)를 보내는 연산 제어부(2)와, 연산 제어부(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와, 제어 설정 등의 파라미터를 보존하는 기억부(메모리)(4)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위 장치(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회로부(5)를 구비한다.The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n output circuit section 1 including a mechanical relay 11 and an arithmetic control section 2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S to the output circuit section 1 to turn the mechanical relay 11 on and off, A storage unit (memory) 4 for storing parameters such as control settings, and a host device (another device) not shown. The storage unit 3 stores a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And a communication circuit unit 5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pparatus.

이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기억부(4)에는, 제어 설정 등의 파라미터로서, 통상 운전 모드시의 연산 제어부(2)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기본 제어 주기)(Tb)와, 1일당의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의 임계치(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와, 후술하는 축퇴 운전 모드시에 이용하는 축퇴율(A)(A>1)이 보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퇴율(A)은 A=2로 되어 있다.In the control device 100, the generation period (basic control period) of the control signal S in 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basic control period) (Operation count threshold) Count_th of the number of times of ON / OFF of the mechanical relay 11 per day and the shaft retraction rate A (A> 1) used in the degenerate operation mode to be described later are stored ha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xial retraction ratio A is A = 2.

이하,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연산 제어부(2)가 실행하는 본 실시형태 특유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산 제어부(2)는, 이 흐름도에서 나타내는 처리 동작을, 프로그램 저장부(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한다.Hereinafter, the processing operation peculiar to the present embodiment executed by 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executes the processing operation shown in this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3. [

연산 제어부(2)는, 부하 장치(200)의 제어 동작을 시작하는 데 있어서, 기억부(4)에 보존되어 있는 기본 제어 주기(Tb),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 및 축퇴율(A)을 판독한다(단계 S101).The operation control unit 2 starts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load device 200 by setting the basic control cycle Tb, the operation frequency threshold value Count_th and the axial retrace rate 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as (Step S101).

다음에, 연산 제어부(2)는, 동작 모드를 「normal(통상 운전 모드)」로 하고,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제어 주기)(T)를 기본 제어 주기(Tb)로 하여(단계 S102), 제어 신호(S)의 생성을 시작한다(단계 S103). 이에 따라, 기본 제어 주기(Tb)마다, 출력 회로부(1)로의 메커니컬 릴레이(11)를 ON/OFF하는 제어 신호(S)가 생성되기 시작한다.Next,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2 sets the operation mode to "normal (normal operation mode)" and sets the generation period (control period) T of the control signal S as the basic control period Tb S102) and starts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S (step S103). Thus, the control signal S for turning on / off the mechanical relay 11 to the output circuit unit 1 starts to be generated every basic control cycle Tb.

연산 제어부(2)는, 제어 신호(S)의 레벨의 변화를 보면서, 기본 제어 주기(Tb)마다의 제어 신호(S)의 생성을 반복한다(단계 S103, S104). 이 기본 제어 주기(Tb)마다의 제어 신호(S)의 생성의 반복 중, 연산 제어부(2)는, 제어 신호(S)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된 경우(단계 S104의 YES), 이 OFF에서 ON으로의 변화를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를 카운트한다(단계 S105).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repeats the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S for each basic control period Tb while observing the level change of the control signal S (steps S103 and S104). During the repetition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S for each basic control period Tb, when the control signal S is changed from OFF to ON (YES in step S104) And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counted (step S105).

또한, 단계 S105에서는, 제어 신호(S)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된 수, 즉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수(Count_on)를 카운트하고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수(Count_on)를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로서 취급한다. 연산 제어부(2)는, 이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의 카운트를 1일마다 리셋하면서 반복한다.The number of times the control signal S is changed from OFF to ON, that is, the ON count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counted in step S105. In this embodiment, (Count_on) as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11. 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repeats the counting of the ON / OFF count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every day.

연산 제어부(2)는,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를 카운트하면(단계 S105), 이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단계 S101에서 판독한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 이하인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6).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ON / OFF of the mechanical relay 11 (Count_on) (step S105) and the number of ON / OFF counts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equal to the number of operations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i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Count_th) (step S106).

여기서,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 이하(Count_on≤Count_th)이면(단계 S106의 YES), 즉 1일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를 계속하고 있는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1일당의 임계치로서 정해져 있는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 이하이면, 연산 제어부(2)는, 부하 장치(200)에는 헌팅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03∼S106의 처리 동작을 반복한다.If the ON / OFF count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operation count threshold Count_th (Count_on≤Count_th) (YES in step S106), that is, the mechanical relay (Count_th) of the load device 20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operation frequency threshold (Count_th) determined as the threshold value per day, the arithmetic and control unit 2 determines that hunting does not occur in the load device 200, To S 106 is repeated.

이것에 대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하고 있으면(Count_on>Count_th, 단계 S106의 NO), 연산 제어부(2)는, 그 취지를 통신 회로부(5)를 통해 상위 장치(다른 기기)에 알리는 한편(단계 S107), 부하 장치(200)에 헌팅이 생기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 모드를 「fall back(축퇴 운전 모드)」로 하고,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제어 주기)(T)를 T=Tb×A로 하여(단계 S108), 단계 S103으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if the ON / OFF count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exceeds the operation count threshold Count_th (Count_on> Count_th, NO in step S106), 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Another apparatus) via the circuit unit 5 (step S107), determines that hunting occurs in the load apparatus 200, sets the operation mode to fall back (degenerate operation mode) (Control cycle) T of the control signal S is T = Tb x A (step S108),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3.

이 예에 있어서, 기억부(4)에 보존되어 있는 축퇴율(A)은 A=2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축퇴 운전 모드시의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제어 주기)(T)는 T=Tb×2가 된다. 즉, 축퇴 운전 모드시의 제어 주기(T)는, 통상 운전 모드시의 제어 주기(T)의 2배가 되고, 통상 모드시의 제어 주기(T)보다도 길어진다.In this example, since the accumulation rate 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is A = 2, the generation period (control period) T of the control signal S in the degenerate operation mode is T = Tb x 2. That is, the control period T in the degenerate operation mode is twice the control period T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and becomes longer than the control period T in the normal mode.

이에 따라,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가 적어져, 부하 장치(200)의 헌팅이 억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이용하지 않고, 부하 장치(200)의 이상 헌팅을 초기 단계에서 알아, 바람직하지 못한 제어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reduced, and the hunting of the load device 200 is suppressed. In this mann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bnormal hunting of the load device 200 can be known at an early stage without using a large-capacity memory, thereby preventing an undesirable control state from continuing.

도 3에 전술한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의 연산 제어부(2)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연산 제어부(2)는,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르는 처리 동작을 행하는 기능 블록도로서, 제어 신호 생성부(21)와, 카운트부(22)와, 제어 주기 변경부(23)와, 정보 통지부(24)를 구비한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in the control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s a functional block for performing a process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and includes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21, a count unit 22, a control cycle changing unit 23, And a notification unit (24).

이 연산 제어부(2)에 있어서, 제어 신호 생성부(21)는, 메커니컬 릴레이(11)를 ON/OFF하는 제어 신호(S)를 미리 정해진 생성 주기(T)(T=Tb)로 생성한다. 카운트부(22)는, 제어 신호 생성부(21)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S)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를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를 1일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한다. 제어 주기 변경부(23)는, 카운트부(22)에 의해 카운트된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횟수 임계치(1일당의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1)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S)의 생성 주기(제어 주기)(T)를 T=Tb×A로 한다. 정보 통지부(24)는,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통신 회로부(5)를 통해 상위 장치(다른 기기)로 통지한다.In this operation control section 2,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section 21 generates a control signal S for turning on / off the mechanical relay 11 at a predetermined generation period T (T = Tb). The counting unit 22 counts the number of ON / OFF times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every 1 day by performing one change from OFF to ON of the control signal S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21 Counts while resetting. When the number of ON / OFF counts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s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22 exceeds the operation frequency threshold (threshold value per day) (Count_th), the control cycle changing unit 23 changes the control cycle (Control cycle) T of the control signal 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1 is set as T = Tb x A.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section 24 notifies the host device (another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circuit section 5 o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Count_on) exceeds the operation frequency threshold value Count_th.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1일당의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에 더하여, 이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보다도 큰 값으로서 동작 상한 임계치(Count_th_max)를 정하고,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하고, 동작 상한 임계치(Count_th_max)를 더 초과한 경우, 상위 장치(다른 기기)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upper limit threshold value (Count_th_max) is determined to be a value larger than the operation time threshold value Count_th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time threshold value Count_th per day and the ON / OFF state of the mechanical relay 11 The alarm may be output to the higher-level device (another device) when the count (Count_on) exceeds the operation frequency threshold (Count_th) and further exceeds the operation upper threshold (Count_th_max).

도 4에 동작 상한 임계치(Count_th_max)를 더한 경우의 연산 제어부(2')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연산 제어부(2')는, 도 3에 도시된 연산 제어부(2)의 구성에 덧붙여, 경보 출력부(25)를 구비한다. 경보 출력부(25)는, 카운트부(22)에서 카운트되는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상한 임계치(Count_th_max)(Count_th_max>Count_th)를 초과한 경우, 통신 회로부(5)를 통해 상위 장치(다른 기기)로 경보를 출력한다.FIG. 4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arithmetic control unit 2 'when the operation upper limit threshold value (Count_th_max) is add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ncludes an alarm output unit 25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shown in FIG. The alarm output unit 25 outputs the count value of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11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unit 5 when the ON / OFF count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counted by the count unit 22 exceeds the operation upper limit threshold value (Count_th_max) (Count_th_max> Count_th) ) To an upper apparatus (another apparatus).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를 초과하였다는 취지를 통신 회로부(5)를 통해 상위 장치로 통지하도록 하였지만, 제어 장치(100)측에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Count_on)가 동작 상한 임계치(Count_th_max)를 초과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제어 장치(100)측에서 경보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host apparatus 1 is notified to the host apparatus via the communication circuit unit 5 that the ON / OFF count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exceeds the operation frequency threshold (Count_th) It may be displayed on the side. This also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imes of ON / OFF of the mechanical relay (Count_on) exceeds the operation upper limit threshold (Count_th_max), and the alarm may be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100 sid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퇴 운전 모드로의 이행의 허가/금지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축퇴 운전 모드시의 축퇴율(A), 동작 횟수 임계치(Count_th) 등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permission / prohibition of the shift to the degenerate operation mode may be set by the user as requir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ser can freely set the shaft retraction rate (A) and the operation frequency threshold value (Count_th) in the degenerate operation mod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Count_on)를 1일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ON/OFF 횟수(Count_on)를 카운트하는 기간은 1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 기간을 파라미터(예컨대, 1일∼7일 정도)로 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Although the number of ON / OFF times (Count_on)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reset while being reset every da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eriod for counting the ON / OFF number (Count_on) is limited to one day no. For example, the period may be set as a parameter (for example, about 1 to 7 days) so that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setting.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신호(S)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를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ON수)를 카운트하도록 하였지만, 제어 신호(S)의 ON에서 OFF로의 변화를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OFF수)를 카운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 신호(S)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 및 ON에서 OFF로의 변화를 각각 1회로 하여, 메커니컬 릴레이(11)의 ON/OFF 횟수(ON수+OFF수)를 카운트하도록 하여도 좋다.Although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N count) of the mechanical relay 11 is counted by changing the ON state of the control signal S from OFF to ON, the control signal S is ON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F number) of the mechanical relay 11 may be counted. The ON / OFF count (ON count + OFF count) of the mechanical relay 11 may be counted by changing the control signal S from OFF to ON and from ON to OFF.

[실시형태의 확장][Expansion of Embodiment]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한 내용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 출력 회로부 2, 2' : 연산 제어부
3 : 프로그램 저장부 4 : 기억부
5 : 통신 회로부 11 : 메커니컬 릴레이
21 : 제어 신호 생성부 22 : 카운트부
23 : 제어 주기 변경부 24 : 정보 통지부
25 : 경보 출력부 100 : 제어 장치
200 : 부하 장치
1: output circuit section 2, 2 ': operation control section
3: program storage unit 4: storage unit
5: Communication circuit part 11: Mechanical relay
21: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22: counting unit
23: control cycle changing section 24: information notification section
25: alarm output unit 100: control device
200: load device

Claims (3)

부하 장치의 동작을 메커니컬 릴레이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컬 릴레이를 포함하는 출력 회로부와,
상기 출력 회로부에 상기 메커니컬 릴레이를 ON/OFF하는 제어 신호를 보내는 연산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출력 회로부로의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의 OFF에서 ON으로의 변화 및 ON에서 OFF로의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1회로 하여, 상기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를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리셋하면서 카운트하는 카운트부와,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 주기를 길게 하는 제어 주기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load device using a mechanical relay,
An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ing the mechanical relay,
And an arithmetic control section for sending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mechanical relay to the output circuit section,
The arithmetic control unit,
A control signal generation section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the output circuit section at a predetermined cycle,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by resetting the mechanical rela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change from OFF to ON and a change from ON to OFF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
And a control period changing unit for increasing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when the ON / OFF count of the mechanical relay counted by the count unit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의 횟수가 상기 임계치보다도 큰 값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동작 상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The alarm output uni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larm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exceeds an operation upper limit threshold value set as a value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을 1일로 하여 상기 메커니컬 릴레이의 ON/OFF 횟수를 리셋하면서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counts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mechanical relay while resetting the predetermined period to one day.
KR1020170039830A 2016-04-04 2017-03-29 Control apparatus KR1019192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4926 2016-04-04
JP2016074926A JP2017187878A (en) 2016-04-04 2016-04-04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934A KR20170114934A (en) 2017-10-16
KR101919230B1 true KR101919230B1 (en) 2018-11-15

Family

ID=6004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830A KR101919230B1 (en) 2016-04-04 2017-03-29 Control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187878A (en)
KR (1) KR101919230B1 (en)
CN (1) CN10727621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9708A1 (en) * 2021-04-13 2022-10-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for relay output sig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819A (en) * 2000-10-06 2002-04-19 Denso Corp Relay monitoring device
JP2013235377A (en) * 2012-05-08 2013-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act point output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902A (en) * 1980-06-16 1982-01-13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Temperature controller
JPH01144902U (en) * 1988-03-28 1989-10-05
JPH02132723A (en) * 1988-11-11 1990-05-22 Toshiba Corp Drive control circuit for relay
JP2561105Y2 (en) * 1991-07-25 1998-01-28 横河電機株式会社 High reliability relay device
US5255152A (en) * 1991-08-21 1993-10-19 Eaton Corporation Controller for fixed-time pull-in of a relay
KR960025182U (en) * 1994-12-29 1996-07-22 Multiple heater coil structure for electron gun
JPH08335103A (en) * 1995-06-07 1996-12-17 Mitsubishi Electric Corp Plant proceeding state display system
CN2262261Y (en) * 1995-10-18 1997-09-10 黄锡良 Electronic counter for power switch on-off time
JPH09198981A (en) * 1996-01-22 1997-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Drive control system of relay for ac apparatus and air-conditioner using it
JP2000349375A (en) * 1999-06-03 2000-12-15 Toshiba Corp Laser power unit and laser
JP2006253010A (en) * 2005-03-11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lay lifetime control server
CN1992522A (en) * 2005-12-30 2007-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Multipurpose switch circuit
JP5839828B2 (en) * 2011-04-25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870671B2 (en) * 2011-12-15 2016-03-01 株式会社リコー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circuit control board and relay ON / OFF control method on communication circuit control 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819A (en) * 2000-10-06 2002-04-19 Denso Corp Relay monitoring device
JP2013235377A (en) * 2012-05-08 2013-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act point output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934A (en) 2017-10-16
CN107276219A (en) 2017-10-20
JP2017187878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4431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 electromechanical component of an automation system
US11187423B2 (en) Control device with current protected solid state relays
JP5956627B1 (en) Control device to notify maintenance and inspection timing of peripheral devices controlled by signals
JP2019207728A (en) Operator interface apparatus, method, and tangible products
KR101919230B1 (en) Control apparatus
JP2007195392A (en) Demand supervisory equipment
US11380506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 electromechanical component of an automated system
JP2006254574A (en) Protective device of inverter
JP6465257B1 (en) Seismic sensor and earthquake judgment method
JP2007065961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15219616A (en) Monitoring control system
US10020149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witching element
EP14965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an electrical machine
JP2003070162A (en) Dem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5577285B2 (en) Positioner
JP6359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ultiple trip limits to device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JP5582212B2 (en) System construction support apparatus,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nction as this system construction support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is program
JP2009157561A (en) Measurement control apparatus, and memory element protection method
JP2002149230A (en) Equipment reaction monitoring method
JP2008118518A (en) Plant monitoring controller
JP2006190165A (en) Abnormal state storage controller and abnormal state storage control method
JP2009170261A (en) Element operation frequency recording device, and element operation frequency error estimating method
JP2011202846A (en)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JP5432102B2 (en) On / off control device
US20230070162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Current Distribution in an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