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054B1 -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054B1
KR101919054B1 KR1020120031034A KR20120031034A KR101919054B1 KR 101919054 B1 KR101919054 B1 KR 101919054B1 KR 1020120031034 A KR1020120031034 A KR 1020120031034A KR 20120031034 A KR20120031034 A KR 20120031034A KR 101919054 B1 KR101919054 B1 KR 10191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eating
filling material
heating element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054A (ko
Inventor
오렐리앙 실베스트흐
Original Assignee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filed Critical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ublication of KR2012011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91Affecting flow by the addition of material o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벨로프(4,5,6)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고 구조 케이블(2a,2b,2c)의 제 1 부(2aa,2bb,2cc)와 제 1 충전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챔버(3)를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7)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1)의 드레이닝 방법으로서,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4a,4b)를 통해 제 1 충전재료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소자(10a,10b)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 1 충전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유체화시키기 위해 가열소자를 이용해 상기 제 1 충전재료를 가열하는 단계와,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4a,4b)를 통해 유체화된 제 1 충전재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Method of draining a system for anchoring a structural cable to a construction element}
본 발명은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는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당 구조 케이블은 지주(stay), 현가(suspension ) 케이블 또는 프리스트레스(prestress) 케이블일 수 있다.
이는 구조 케이블들이 보호 외장에 자체적으로 함께 감싸지는 금속 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주로 복수의 가닥들을 구비하도록 조우되는 과정이다. 이들 보호 외장 각각은 가닥들 각각이 스트립 단부를 갖도록 종단부 레벨에서 중단된다.
앵커링 시스템은 주로
케이블의 스트립 단부 또는 단부들이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천공 앵커 블록과,
건축요소에 대해 고정되고 천공 블록의 외주가 축방향으로 지탱하는 베어링 면과,
충전재료와 함께 (가능하게는 가닥들로 나누어진) 구조 케이블의 스트립부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챔버들을 포함한다. 구조 케이블이 도달하고 보호 외장이 내부에서 중단되는 앵커 블록의 일측에 제 1 챔버가 위치해 있다.
충전재료는 일반적으로 석유 왁스(petroleum wax) 또는 그리스이다. 케이블을 끼워 고정시킨 후 앵커리지 챔버 또는 챔버들로 고온 주입된다. 냉각 후, 이는 스트립 케이블에 부착되고 필요한 씰을 제공하는 고체 또는 두꺼운 페이스트를 이룬다.
이는 앵커 시스템에 대한 보수작업 동안에 정확히 주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건설 동안 또는 건설작업의 서비스 주기 동안 충전재료를 변경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앵커 시스템의 몇몇 챔버들에 대해서 이는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가령, 캡 아래에 있고 앵커 블록으로부터 돌출한 구조 케이블의 단부를 포함한 챔버에 대해, 충전재료는 흙손(trowel)의 도움 및/또는 고온 공기의 분사로 제거될 수 있다.
현재, 건설작업시 매립된 앵커 시스템의 일부, 가령, 앵커 블록 뒤에 있는 챔버에 접근이 어려운 앵커 시스템의 몇몇 챔버들을 드레이닝시키는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해결하는 것으로, 특히 충전재료로 채워진 접근이 어려운 챔버를 포함한 구조 케이블의 앵커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안은 엔벨로프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고 구조 케이블의 제 1 부와 제 1 충전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챔버를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으로서,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제 1 충전재료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소자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 1 충전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유체화시키기 위해 가열소자를 이용해 상기 제 1 충전재료를 가열하는 단계와,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유체화된 제 1 충전재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 온도에서 단단하나, 충전재료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우며, 가열소자를 삽입할 수 있다. 충전재료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스트립부를 엔벨로프하는 식으로 제 1 챔버 전체를 차지한다. 충전재료는 둘러싼 케이블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삽입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열소자가 제 1 챔버의 경계를 정하는 엔벨로프내 개구를 통해 지나가진다. 가열을 가속화하기 위해 복수의 개구들 또는 동일한 개구를 통과하는 복수의 가열소자들을 이용하는 것이 이점적일 수 있다.
개구 또는 개구들, 가령, 챔버를 채우는데 사용된 앵커 블록내 홀들은 사전에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 개구들은 드레이닝동작을 위해 특별히 형성될 수 있다.
"유체화하다"라는 말은 "가열소자를 도입하는데 사용된 타입의 개구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충분히 유동적으로 된다"를 의미한다. 왁스의 경우, 이는 액화상태이다. 그리스(grease)의 경우, 이는 충분히 점성이 줄어든다.
가열소자는 발화함이 없이 충전재료를 유체화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종류일 수 있다. 구조 케이블이 부분적으로 챔버에 덮여 있다면, 일반적으로 약 180℃에서 용융되는 외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또한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가열소자에 이전에 가열된 열전달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열은 또한 가열되는 충전재료내에 있는 가열소자에서 직접 발생될 수 있다.
가열목적은 통상적으로 충전재료 모두 또는 적어도 상당부분을 유체화하는 것이다. 적어도 충전재료는 스트립 케이블과 접촉된 영역에서 유체화된다.
열은 가열소자로부터 유체화된 충전재료로 전달된다. 고온 충전재료는 대류에 의해 이동되고 나머지 재료를 용융시키는데 기여한다.
유체화된 충전재료는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추출된다. 이 개구는 가열소자 또는 소자들의 도입을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복수의 개구들이 모든 액체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이 추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대적으로 사용하기가 간단하다. 충전재료가 앵커 구조를 현저히 열하시키지 않고 상대적으로 비침투적 식으로 드레이닝되게 할 수 있다. 앵커구조는 기능을 유지하고 충전재료로 다시 채워질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음 특징들을 이용할 수 있다:
- 가열소자는 삽입단계 동안 제 1 충전재료로 침투하도록 야기된 단부를 갖는 실질적인 실린더부를 구비한다. 이런 형태, 가령 튜브형태는 다소 연성 고체인 충전재료에 가열소자의 침투를 용이하게 한다. 단부는 침투를 더 용이하게 하도록 뾰족해질 수 있다.
- 가열소자는 전기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전류소스에 전기저항 연결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기저항을 포함한 가열소자는 앵커 시스템에 설치 및 조작을 쉽게 한다. 단지 전류 소스에 연결만 필요하다.
- 가열소자는 상기 가열소자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써모커플을 구비한다. "부근"이라는 것은 "안에 또는 근처에"를 말한다. 측정은 충전재료로 침투한 가열소자의 단부에서 현저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 측정으로 특히 가열소자 부근에서 챔버내 온도의 진행이 추적될 수 있다.
- 가열단계 동안, 가열소자는 써모커플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함수로서 제어된 열출력을 전달한다. 이는 가열 시간을 줄이고 구조 케이블의 일부에 있는 임의의 보호 외장을 열화시키거나 충전재료가 발화를 일으키게 할 수 있는 과열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 가열 단계 동안, 가열소자가 도입된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의 개구는 유체화 제 1 충전재료의 흐름에 대항해 밀봉된다. 이는 챔버가 유체화 충전재료를 점진적으로 비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전재료의 열 및 최적 유체화의 양호한 조건을 위해, 모든 유체화 재료는 가열단계 동안 챔버에 남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은 가열소자에 배치된 밀봉수단(가령 씰)을 인해 얻어질 수 있다.
- 유체화 제 1 충전재료는 캐뉼라를 이용한 흡입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된다. 이는 달성된 개구가 액체 재료 위에 있을 때에도 유체화 충전재료의 드레이닝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브리지 스테이(bridge stay)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다.
- 유체화 제 1 충전재료는 흐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레이닝된다. 유체화 충전재료를 추출하는데 사용된 개구가 챔버의 바닥에 있는 경우, 이 드레이닝 모드는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 유체화 제 1 충전재료는 가열소자를 제 1 충전재료에 도입하는데 사용된 개구를 통해 흐른다. 가열소자는 가령 가열단계 후 제거될 수 있고, 통로는 유체화 충전재료의 흐름에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이닝을 위해 추가 개구가 전혀 유용하지 않다.
- 제 1 챔버의 엔벨로프는 구조 케이블이 고정되는 앵커블록, 튜브 및 글랜드를 구비하고, 삽입단계 동안 가열소자가 제 1 충전재료로 도입되는 개구는 앵커블록에 위치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소자의 삽입을 위해 사용된 개구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앵커블록에서 기존재하는 개구이다. 따라서, 개구를 특별히 만들 필요가 없다.
- 앵커 시스템은 제 1 챔버에 대해 앵커 블록의 타측에 있고 앵커 블록을 포함한 제 2 엔벨로프와 캡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 제 2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챔버는 구조 케이블의 제 2 부와 제 2 충전재료를 포함하며, 가열소자를 제 1 충전재료에 삽입하기 전에, 가열소자는 상기 가열소자가 제 2 챔버 및 그런 후 캡 없이 제 1 챔버로 연이어 침투할 수 있게 가열소자 삽입되는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와 정렬된 캡내 개구를 통해 제 2 챔버로 침투되도록 한다. 몇몇 앵커 시스템은 앵커 블록으로부터 돌출한 구조 케이블의 단부 또는 단부들이 위치해 있는 제 2 챔버를 갖는다. 이 제 2 챔버는 앵커블록 및 캡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다. 이는 제 2 충전재료를 포함한다. 이는 제 1 충전재료와 같은 기능을 하며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소자는 캡을 이동할 필요없도록 구성된 2개의 개구를 통해 제 1에서 제 2 챔버로 그런 후 제 1 쳄버로 침투한다.
- 상기 방법은 캡의 외부면에 있는 가열벨트에 의해 제 2 충전재료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충전재료는 캡에 대하여 챔버의 외부에 있는 가열벨트의 도움으로 외부 가열에 의해 유체화될 수 있고 그런 후 제거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주어진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 명백해진다.
도 1a는 건축요소에 구조 케이블을 고정하는 시스템의 길이방향 단부를 개략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이 앵커 시스템을 드레이닝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앵커 시스템의 횡단면이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방법에 사용된 가열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치수는 이들의 실제 치수에 반드시 비례할 필요는 없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요소에 해당하나, 반드시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필요는 없다.
도 1a에서, 고려된 구조 케이블은 가령 X 방향으로 지향된 브리지 지주의 하단부이다. 케이블은 복수의 가닥들로 구성된다. 이들 중 3개가 2a, 2b, 2c로 도시되어 있다. 구조 케이블(즉, 가닥 2a, 2b, 2c)은 건축요소(7)에 축방향으로 지탱하는 앵커 시스템(1)(가령 브리지 베어링 면)으로 인해 고정된다. 앵커 시스템은 가령 X 방향으로 길이가 600에서 1000㎜이고 상기 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직경이 약 200에서 600㎜이다.
각 가닥은 자체적으로 복수의 개개의 와이어들로 이루어진다. 이들 와이어들은 나란하거나 트위스트될 수 있고 가령 아연도금강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닥들(2a, 2b, 2c)은 혹한 날씨 또는 다른 환경적 침투에 의해 야기된 부식에 대해 그리고 특히 습기 및 취급으로부터 서비스 수명 동안 보호하도록 형성된 보호 외장에 의해 각각 둘러싸여 진다. 외장은 가령 고밀도 폴리에틸렌(PEHD)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구조 케이블은 가령 가닥의 단부들을 스플릿 조(split jaws)(미도시)에 고정시킴으로써 천공 블록(4) 또는 앵커 블록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가닥들의 보호 외장 각각은 단부 레벨에서 중단되어 케이블이 제 1 스트립부(2aa, 2bb, 2cc)를 갖게 된다.
이 제 1 스트립부(2aa, 2bb, 2cc)를 보호하기 위해, 왁스로 채워지고
- 제 1 축단부에서, 천공블록(4)의 면과,
- 횡방향으로, 가령 원형 실린더 형태인 강체 튜브(6)와,
- 블록(4) 맞은편 축방향 단부에서, 외장 가닥((2a, 2b, 2c)이 밀봉식으로 지나고, 축방향 압력의 영향에 의해 튜브(6)의 내부면에 대해 밀봉식으로 가압되는 글랜드(gland)(5)로 구성된 엔벨로프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 제 1 챔버(3)내에 위치해 있다.
가닥들은 앵커 블록(4)에서 나가 또한 스트립된 구조 케이블의 제 2 부(2aaa, 2bbb, 2ccc)를 형성한다. 동일한 부식방지 이유로, 이 구조 케이블의 제 2 부는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예에서, 왁스인 충전 재료로 채워진 제 2 챔버(3a)에 포함된다. 챔버(3a)는 한편으로는 앵커 블록(4)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플러그에 의해 닫힌 2개의 개구(9a,9b)에 의해 천공된 캡(9)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다.
앵커 블록(4)은 2개의 개구(4a,4b) 가령 제 1 챔버(3)를 고온 왁스로 채우는데 사용된 원형 홀들을 포함한다.
챔버(3)는 전반적으로 건축요소에 의해 둘러싸인 앵커 시스템(1) 영역에 위치해 있다. 이로 인해 다소 접근할 수가 없다.
도 1b는 본 발명의 드레이닝 방법의 실행동안 동일한 앵커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미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으로, 챔버(3a)에 있는 충전재료는 직접 접근하도록 캡(9)을 제거함으로서 드레이닝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고온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4)에 있는 가닥들(2a, 2b, 2c)의 통과에 해당하는 임의의 개구들에서처럼 개구(4a,4b)들이 밀봉된다.
제 1 단계 동안, 2개의 가열소자들(10a, 10b)이 제 1 챔버(3)를 채우는 충전재료에 삽입된다. 이들은 개구(9a, 9b)를 통해 삽입된 것이다. 가열소자들(10a, 10b)은 씰(미도시)를 포함하므로 이들이 적소에 있을 때 개구(9a, 9b)들이 제 1 챔버(3)내 유체충전재료의 흐름을 막게 밀봉된다.
가열소자들(10a, 10b)은 고체충전재료로 밀어진 단부(10e)와 함께 실린더형의 일부를 포함한다.
가열소자들(10a, 10b)이 앵커 시스템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 이들은 앵커 블록(4)에 있는 개구(4a, 4b)를 통해 통과된다. 이들은 캡(9)에 있는 개구(9a, 9b)와 정렬된다.
가열소자들이 설치된 후, 제 1 챔버(3)에 포함된 충전재료를 가령하는 단계가 개시된다. 이 재료는 용융점보다 더 높은 온도로 상승되나, 발화되지 않도록 대략 300℃ 미만이며, 가닥(2a, 2b, 2c)의 외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심지어 약 160℃ 미만이다.
제 1 챔버에서 온도의 이러한 컨트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열소자들(10a, 10b)(도 3 참조)은 상기 가열소자들의 단부(10e)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위치된 써모커플(10d)을 구비할 수 있다. 가열소자들에 의해 발산된 열출력은 그런 후 써모커플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함수로 제어된다. 다른 써모커플들이 충전재료의 유동성 제어를 향상시키거나 써모커플(10d)을 교체하기 위해 제 1 또는 제 2 챔버에 삽입될 수 있다.
충전재료가 용융되었을 때(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용융되었을 때), 가열소자들(10a, 10b)이 제거되고 유동성 충전재료가 가열소자들의 삽입에 의해 생성된 통로로 흐를 수 있다. 이 대신 또는 이 외에, 유동성 충전재료는 가열소자들(10a, 10b)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또는 제 1 챔버(3)의 엔벨로프내 즉석 개구를 통해 삽입된 캐뉼라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제 2 챔버에 포함된 충전재료는 캡(9)을 제거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쉽게 제거된다. 이 재료는 또한 캡을 제거함이 없이 가열될 수 있다. 가열은 캡(9)의 외부면에 있는 가열벨트(12)의 도움으로 달성될 수 있다. 가열소자들(10a, 10b)이 제 2 챔버(3a)에 포함된 충전재료를 가열할 수 있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앵커 블록(4)을 지나는 가닥들(2a,2b,2c)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요소(조(jaws))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가열소자들(10a, 10b)이 삽입된 개구(4a 및 4b)가 또한 보인다.
도 3은 가열소자(10a)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가열소자(10b)는 가열소자(10a)와 같다. 상기 가열소자(10a)는 외부면이 원형 실린더인 엔벨로프를 갖는다. 상기 부분은 약간 10㎜ 미만이다. 가열소자(10a)는 일단(10e)이 챔버(3a 및 3b)내 고체 충전재료로 관통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대향단부들(10e 및 10f)을 갖는다. 엔벨로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된 전기저항(10c) 및 단부(10e)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런 식으로 배치된 써모커플(10d)을 구비한다. 저항(10c) 및 써모커플(10d)의 전원 와이어들이 단부(10f)를 통해 나간다.
가열 단계 동안, 각 저항(10c)은 써모커플(10d)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함수로서 상기 저항(10c)에 전달된 전류를 제어하는(즉, 줄효과에 의해 발상된 열출력을 제어하는) PID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류소스(11)에 연결된다. 복수의 저항들이 있는 경우, 각각에는 바람직하게 전원이 공급되고 자동으로 제어된다. 컨트롤은 최대온도 구속조건 하에서 가열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한다.
1: 앵커 시스템
2a, 2b, 2c: 구조 케이블
3: 챔버
4: 천공 블록
4a, 4b: 개구
6: 강체 튜브
7: 건축요소
9: 캡
9a, 9b: 개구
10a, 10b: 가열소자
10c: 저항
10d: 써모커플
10e, 10f: 단부
11: 전류소스
12: 가열벨트

Claims (12)

  1. 엔벨로프(4,5,6)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고 구조 케이블(2a,2b,2c)의 제 1 부(2aa,2bb,2cc)와 제 1 충전재료를 포함하는 제 1 챔버(3)를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7)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1)의 드레이닝 방법으로서,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4a,4b)를 통해 제 1 충전재료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소자(10a,10b)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 1 충전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유체화시키기 위해 가열소자를 이용해 상기 제 1 충전재료를 가열하는 단계와,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4a,4b)를 통해 유체화된 제 1 충전재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소자(10a,10b)는 삽입단계 동안 제 1 충전재료로 관통하도록 야기된 단부(10e)를 갖는 실린더부를 구비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소자(10a,10b)는 상기 가열소자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써모커플(10d)을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열단계 동안, 가열소자(10a,10b)는 써모커플(10d)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함수로서 제어된 열출력을 전달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소자(10a,10b)는 전기저항(10c)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전류소스(11)에 전기저항의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단계 동안, 가열소자(10a,10b)가 도입되는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의 개구(4a,4b)는 유체화된 제 1 충전재료의 흐름에 대항해 밀봉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화된 제 1 충전재료는 캐뉼라를 이용한 흡입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화된 제 1 충전재료는 흐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유체화된 제 1 충전재료는 가열소자(10a,10b)를 제 1 충전재료에 도입하는데 사용된 개구(4a,4b)를 통해 흐르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챔버(3)의 엔벨로프(4,5,6)는 구조 케이블(2a,2b,2c)이 고정되는 앵커 블록(4), 튜브(6) 및 글랜드(5)를 구비하고, 삽입단계 동안 제 1 충전재료에 가열소자(10a,10b)가 도입되는 개구(4a,4b)는 앵커 블록(4)에 위치해 있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앵커 시스템(1)은 제 1 챔버(3)에 대해 앵커 블록(4)의 타측에 위치해 있고 상기 앵커 블록(4)과 캡(8)을 포함한 제 2 엔벨로프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제 2 챔버(3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챔버는 구조 케이블(2a,2b,2c)의 제 2 부(2aa,2bb,2cc)와 제 2 충전재료를 포함하며, 가열소자가 제 1 충전재료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가열소자는 제 2 챔버(3a)와 그런 후 캡(9)을 이동하지 않고 제 1 챔버(3)로 상기 가열소자(10a,10b)의 연이은 침투를 가능하게 하도록 가열소자가 삽입된 제 1 챔버의 엔벨로프에 있는 개구(4a,4b)와 정렬된 캡(8)내 개구(9a,9b)를 통해 제 2 챔버(3a)로 침투하도록 야기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캡(8)의 외부면에 있는 가열 벨트(12)에 의해 제 2 충전재료를 가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드레이닝 방법.
KR1020120031034A 2011-03-28 2012-03-27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 KR101919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2557A FR2973400B1 (fr) 2011-03-28 2011-03-28 Procede de vidange d'un systeme d'ancrage d'un cable de structure a un element de construction.
FR1152557 201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054A KR20120110054A (ko) 2012-10-09
KR101919054B1 true KR101919054B1 (ko) 2018-11-15

Family

ID=4581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034A KR101919054B1 (ko) 2011-03-28 2012-03-27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34639B2 (ko)
EP (1) EP2505714B1 (ko)
KR (1) KR101919054B1 (ko)
AU (1) AU2012201791B2 (ko)
DK (1) DK2505714T3 (ko)
ES (1) ES2547806T3 (ko)
FR (1) FR2973400B1 (ko)
HK (1) HK1170276A1 (ko)
MX (1) MX2012003777A (ko)
PL (1) PL2505714T3 (ko)
PT (1) PT2505714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8947B (zh) * 2014-05-13 2017-10-03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填充或涂覆有聚脲防护材料的钢丝拉索的制作方法
CN105088950B (zh) * 2014-05-13 2017-10-03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外层有聚脲防护材料的钢绞线拉索及其制作方法
CN108301324B (zh) * 2018-01-25 2020-07-07 中铁大桥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斜拉桥拉索智能除湿除冰系统及方法
CN108316146A (zh) * 2018-03-06 2018-07-24 无锡法尔胜悦能动力有限公司 一种桥梁道路用缆索及其加热控制装置
CN110004828A (zh) * 2019-03-26 2019-07-12 江苏法尔胜缆索有限公司 一种防结冰、除冰的热挤聚乙烯平行钢丝拉索体系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48B1 (ko) 1999-09-15 2006-11-17 프레이씨네 구조용 케이블을 건설 요소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KR100867414B1 (ko) 2008-03-12 2008-11-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8593A (en) * 1943-09-30 1948-09-17 Grands Travaux De Marseille Sa Reinforcement for prestressing and reinforcing concrete constructions
DE3038898C2 (de) * 1980-10-15 1985-10-1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Korrosionsschutzes bei Litzen aus hochfesten Stahldrähten
GB8327978D0 (en) * 1983-10-19 1983-11-23 Manuf Aceros Caucho Sa Cable anchorage
US5173982A (en) * 1991-07-25 1992-12-29 Greiner Inc, Southern Corrosion prot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48B1 (ko) 1999-09-15 2006-11-17 프레이씨네 구조용 케이블을 건설 요소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KR100867414B1 (ko) 2008-03-12 2008-11-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5714A1 (fr) 2012-10-03
US8834639B2 (en) 2014-09-16
US20120247568A1 (en) 2012-10-04
PL2505714T3 (pl) 2016-02-29
FR2973400B1 (fr) 2013-04-26
PT2505714E (pt) 2015-10-13
DK2505714T3 (en) 2015-10-05
MX2012003777A (es) 2012-09-27
AU2012201791B2 (en) 2017-01-12
AU2012201791A1 (en) 2012-10-18
HK1170276A1 (en) 2013-02-22
KR20120110054A (ko) 2012-10-09
ES2547806T3 (es) 2015-10-08
EP2505714B1 (fr) 2015-07-01
FR2973400A1 (fr)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054B1 (ko) 구조 케이블을 건축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드레이닝 방법
US4397589A (en) Ground anchorage means utilizing a reinforcement or tie insulated from the ground
US8925266B2 (en) Anchoring device for a multi-tendon cable
KR101508724B1 (ko) 수중히터 및 그 제조방법
US4740653A (en) Electrical cable splice enclosure
US20100163607A1 (en) Device for igniting an alumino-thermal composition, crucible containing same and related methods
RU273490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области контактных участко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ых соединений
WO2008099674A1 (ja) ハーネス防水材および防水ハーネスの製造方法
US9446541B2 (en) Method of protecting the end of a multi-tendon cable
US7678994B2 (en) Encapsulating permanent wire connector
KR101582596B1 (ko) 밀봉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매설형 전열장치 시설체 및 이의 제작방법
US2089052A (en) High tension cable system
CN110485298B (zh) 一种可更换后置式斜拉索湿度传感器的安装方法
KR102050683B1 (ko) 교량의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 보강 방법
JP5633852B2 (ja) Pc緊張材挿通用シース内のグラウト未充填空洞へのグラウト再注入方法
KR20080072458A (ko) 제거형 앵커의 강연선 제거방법 및 그 구조
JP5866732B2 (ja) 既設pc構造物におけるpc緊張材定着部に通気性を有するpc緊張材定着部側シース端部内への防錆剤水溶液注入方法
JP2002332636A (ja) アンカーケーブル
JP2018105063A (ja) Pc緊張材挿通用シース内のグラウト未充填空洞部へのグラウト再注入方法
CN114000427A (zh) 采用双层管形态的拉索密封装置
Zhou et al. Research of gradually destruction process simulation analysis and stabilization safety on Xiluodu high arch dam.
CS233911B1 (cs) Izolační spojník ochranných obalů táhla zemní kotv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