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895B1 -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895B1
KR101918895B1 KR1020180038099A KR20180038099A KR101918895B1 KR 101918895 B1 KR101918895 B1 KR 101918895B1 KR 1020180038099 A KR1020180038099 A KR 1020180038099A KR 20180038099 A KR20180038099 A KR 20180038099A KR 101918895 B1 KR101918895 B1 KR 10191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ear
hole
hold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울산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시설공단 filed Critical 울산시설공단
Priority to KR102018003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중심축이 설치되며, 케이블의 양단이 인출되는 하우징; 구동판 상에 결합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되며 삽입홈에 일단부가 고정된 채 삽입되어 구동홀더의 회전시 탄성력을 저장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부와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하는 제1기어를 포함하는 연결부; 고정홀더 외측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역회전부에서 인출된 케이블이 감겨지는 권취릴과, 고정홀더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어의 축과 직교하도록 맞물려서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교차축기어를 포함하는 고정부; 제1기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걸쇠에 걸림되어 회전이 단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부와 고정부 사이의 연결부 외측에 배치되고, 한쌍의 교차축기어의 축과 직교하도록 교차축기어의 하부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부와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함으로써 케이블을 권취릴에 권취시키는 제2기어를 구비한 역회전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AUTOMATIC CABLE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이용자 편의를 위하여 일정 길이의 케이블이 내부에 감겨지고, 필요시 케이블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인출된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그 사용이 증가하면서 전자기기를 이용한 업무영역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인터넷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사용을 위해서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필요한데, 전원 공급을 위한 콘센트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 케이블 릴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케이블 배선의 분기 연결 등에 사용되는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하도록 길이가 긴 케이블을 사용하였고, 강의 종료 후와 같이 사용 완료시에는 전자기기와 케이블을 분리한 후 분리한 케이블을 권취하여 책상 걸이나 벽 걸이 등에 걸어놓는 방식으로 정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케이블을 제대로 정리하기 힘들고 다수의 사람들에게 노출되므로 이동하는 사람들에 의해 케이블 단선 등이 발생하여 케이블 교체주기가 짧아질 수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 사이에 양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릴타입 양방향 케이블이 사용되며, 릴타입 양방향 케이블의 일단을 아울렛 박스와 연결하고 타단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릴타입 양방향 케이블은 어느 한쪽의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반대쪽 케이블에도 힘이 작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 일단부가 아울렛 박스에 고정 접속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타단부를 잡아당겨 컴퓨터,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연결할 때 아울렛 박스와 케이블 간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케이블이 배치되고 케이블의 양단이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풀림 가능한 메인 회전기어와, 메인 회전기거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되며 메인 회전기어가 회전하여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단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인출되더라도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아울렛 박스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타단부가 하우징 내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케이블 당김 방지부와, 메인 회전기어에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스프링에 의해 케이블의 일단부가 하우징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메인 회전기어에 권취시키는 자동감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감김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은 복수 개의 래크기어가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방식을 통해 케이블을 당겨 감아주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한 내부공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실제 제작된 장치의 크기가 1M를 초과하여 대형화되고, 여러 래크기어의 존재로 케이블에 저항이 발생하여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4943호(2017.11.1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래크기어를 배제하는 대신 회전기어와 직교하는 교차축기어의 적용에 따른 정·역회전 구동을 통하여 용적을 줄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케이블의 저항을 감소시켜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장치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후 케이블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중심축이 설치되며, 케이블의 양단이 인출되는 하우징; 중심축에 의해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이 감기되, 구동판 상에 결합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구동홀더와, 삽입홈에 일단부가 고정된 채 삽입되어 구동홀더의 회전시 탄성력을 저장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구동부; 중심축에 의해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부와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하는 제1기어를 포함하는 연결부; 연결부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홀더와, 고정홀더의 외측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역회전부에서 인출된 케이블이 감겨지는 권취릴과, 고정홀더의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어의 축과 직교하도록 맞물려서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교차축기어를 포함하는 고정부; 제1기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걸쇠에 걸림되어 회전이 단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부와 고정부 사이의 연결부 외측에 배치되고, 한쌍의 교차축기어의 축과 직교하도록 교차축기어의 하부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부와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함으로써 케이블을 권취릴에 권취시키는 제2기어를 구비한 역회전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래크기어를 배제하는 대신 회전기어와 직교하는 교차축기어의 적용에 따른 정·역회전 구동을 통하여 용적을 줄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케이블의 저항을 감소시켜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장치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후 케이블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가 아울렛박스와 전자기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구동판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판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연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교차축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분리 도면이고, 도 7b는 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에서 케이블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에서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1)는 전선, 영상 케이블, 마이크 케이블, 임시 가설용 케이블 등 다양한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고, 전자기기의 이용자 편의를 위하여 일정 길이의 케이블이 내부에 감겨지며, 필요시 케이블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인출된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도 1과 같이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1)에 감긴 케이블(C)의 일단부가 인출되어 아울렛 박스(10)와 연결되고 케이블의 타단부가 인출되어 노트북 등 전자기기(20)와 연결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1)는 하우징(100), 구동부(200), 연결부(300), 고정부(400), 제어부(500) 및 역회전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중심축(110)이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20)이 형성되고, 케이블의 양단이 각각 아울렛 박스(10) 및 전자기기(20)와 연결되도록 외부로 인출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부(200)는 중심축(110)에 의해 관통되어 중심축(110)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원판 형상의 구동판(210)이 구비되고, 구동판(210)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스프링플런저가 이격 결합되고, 일측에 상부가 상향 돌출된 돌출부(211)가 형성되며, 돌출부(211)는 케이블이 접촉되도록 안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안내면(211a)과 케이블이 지지되는 단턱(21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판(210) 상에는 구동홀더(220)가 결합되고, 구동홀더(220)는 상부에 삽입홈(221)이 형성되고 하부에 베어링홈이 형성되며, 삽입홈(221)의 내부에 원형으로 복수회로 감겨져 형성된 판스프링(222)이 삽입 설치된다. 판스프링(222)은 중앙부가 중심축(110)에 고정되고, 일단부의 고정클립(222a)이 구동홀더(220)에 고정되어 케이블이 당겨져 외부로 인출되어 구동홀더(220)가 회전하면 탄성력을 저장했다가 케이블이 되감길 때 초기 위치로 복원되면서 자동 감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불어, 베어링홈에 베어링(230)이 삽입 설치되고, 구동홀더의 가장자리에 홈이 형성되고, 여기에 볼플런저(B)가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플런저와 볼플런저의 설치로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동홀더(220)의 내부에 케이블(C)이 통과되는 케이블홀(223)이 형성되고, 케이블홀(223)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되, 돌출부(211)에서 케이블(C)이 인입되어 구동홀더(22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가며 인입홀(223a)을 형성한 후, 방향을 전환하여 반대 방향으로 인입홀(223a) 내측을 따라가며 인출홀(223b)을 형성한 후 돌출부(211)로 케이블이 안내되어 수용공간(120)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인입홀(223a)과 인출홀(223b)이 만나는 부분에 케이블 클램프(223c)가 설치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공간(120)으로 인출된 케이블(C)은 구동홀더(220)의 외주면에 복수 회 권취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300)는 중심축(110)에 의해 관통되고, 구동부(200)의 상부에 연결판(310)이 결합되어 구동부(2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연결판(310)의 중앙에 연결관(320)이 직립 형성되고, 연결관(320)의 내측에 단차가 형성되어 베어링(321)이 설치되며, 연결관(320)의 상부에 환형의 평단면을 갖는 제1기어(330)가 체결되어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400)는 연결부(300)의 외측에 고정홀더(410)가 설치되고, 고정홀더(410)는 내부에 내부홀(4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홀(411)은 중심축(110)과 연결관(310)에 의해 관통되고, 내부홀(411)의 양측에 기어축(412)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고정홀더(410)의 외측에는 권취릴(420)이 연결되고, 역회전부(600)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이 권취릴(420)의 외주면에 감겨지며, 권취릴(420)의 상부에는 날개(421)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421) 일측에 케이블(C)이 통과되는 전선홀(422)이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C)은 권취릴(42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클램프(423)에 의해 고정된 채 역회전부(600)의 회전에 의해 권취릴(420)에 감기게 된다. 더불어, 고정홀더(410)의 내부 양측의 기어축(412)에 한쌍의 교차축기어(4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쌍의 교차축기어(430)는 제1기어(330)의 축과 직교하도록 상측에 위치한 환형의 제1기어(330)와 맞물려서 제1기어(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제1기어(33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제1기어(330)가 회전되도록 하거나 걸쇠에 걸림되어 회전이 단속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500)는 제1기어(330)의 상부에 원판 형상의 제어판(510)이 고정 결합되고, 제어판(510)은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들이 형성된 영역인 톱니부(511a)와 톱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비톱니부(511b)로 이루어지며, 제어판(510) 일측에는 걸쇠(512)가 설치된다. 걸쇠(512)는 일단부가 힌지(512a)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힌지(512a)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걸쇠(512)가 회전과 복원을 반복할 수 있으며, 타단부가 지지링(513)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된다. 케이블(C)을 당겨서 인출한 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제어판(510)의 톱니부(511a)의 톱니가 걸쇠(512)에 걸림되어 구동부(200)의 회전 구동이 멈춰져 고정된 상태가 되고 전자기기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해 진다.
사용자가 케이블(C)의 일단부를 외부로 당겨서 인출하게 되면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제1기어(330)와 제어판(51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톱니부(511a)의 톱니들이 반복되어 걸쇠(512)와 접촉하지만 당기는 힘에 의해 걸쇠(512)를 타고 넘어가게 되며 이때 톱니와 접촉될 때마다 걸쇠(512)도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유연하게 작동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케이블(C)을 인출하고 나서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톱니부(511a)의 톱니가 걸쇠(512)에 걸림되어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판스프링(222)은 구동부(200)의 회전에 의해 탄성력을 저장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사용을 마친 후 케이블(C)을 일정 길이만큼 더 당기게 되면 제어판(510)의 비톱니부(511b)가 걸쇠(512)에 위치하게 되고,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판스프링(2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구동부(200)가 역회전하여 제어판(510)도 역회전하고, 이때 톱니부(511a)의 완만한 경사면이 걸쇠(512)와 접촉되면서 제어판(51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교차축기어(430)에 의해 교차 연결된 역회전부(60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릴(420)에 감겨졌던 케이블(C)이 풀어지고 외부로 인출되었던 케이블(30)이 구동부(200)의 내부에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상기 역회전부(600)는 구동부(200)와 고정부(400) 사이의 연결부(300) 외측에 배치되고, 환형의 제2기어(610)가 구비되어 한쌍의 교차축기어(430)의 축과 직교하도록 상측에 위치한 교차축기어(430)의 하부와 맞물려서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부(200)와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함으로써 케이블(C)을 권취릴(420)에 권취시킨다. 이때, 역회전부(600)는, 제2기어(610)의 외측에 외주연판(620)이 결합되고, 외주연판(6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스프링플런저(S)가 이격 연결되며, 외주연판(620)은 구동부(200)에서 인출된 케이블(C)이 통과되는 통공(621)이 형성되고, 제2기어(610)의 하측에 커버(630)가 결합되며, 커버(630) 내측의 연결관(320)과의 사이에 베어링(640)이 설치된다.
상기 역회전부(600)는 구동부(200)의 회전 구동과 연동되어 역회전 구동되면서 케이블(C)을 권취릴(420)에 감아 권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케이블(C)의 일단부를 하우징(100) 밖 전자기기(20) 쪽으로 일정 길이 이상 인출하더라도 아울렛 박스(10)와 이미 연결된 케이블(C)의 타단부가 하우징(100) 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케이블의 인출 동작과 관계없이 케이블(C)과 아울렛 박스(10)가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역회전부(600)는 케이블(C)을 인출하거나 자동으로 감을때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을 정렬 배치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1)의 당긴 상태 및 감은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블(C)의 일단부를 전자기기(20) 쪽으로 당기게 되면, 구동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판스프링(222)도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이 저장되며, 교차축기어(430)에 의해 교차 연결된 제1·2기어(330,610)가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기어(610)를 구비한 역회전부(600)의 역회전에 의하여 풀어진 케이블(C)이 고정부(400)의 권취릴(420)의 외주에 감겨 고정되는데, 이때 장치 외부로 늘어난 케이블(C)의 당긴 길이(A)와 권취릴(420)에 감긴 케이블(C)의 권취 길이는 동일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1)는 구동부(200)에 감긴 케이블(C)을 전자기기 쪽으로 당겨 인출하더라도 역회전부(600)의 역회전을 통해 케이블(C)이 고정부(400)의 권취릴(420)에 감겨 고정되면서 케이블(C)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케이블(C)이 느슨해지거나 케이블(C)의 자체 탄성에 의한 꼬임이 방지되고, 아울렛 박스(10)에 연결된 케이블(C)의 타단부가 아울렛 박스(10)와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기기(20)의 사용을 마친 후 케이블(C)을 일정 길이만큼 더 당겼다가 놓게 되면 걸쇠(512)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판스프링(2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케이블이 구동부(200)에 자동으로 권취되고, 고정부(400)의 권취릴(420)에 감겨졌던 케이블(C)은 풀어진다.
본 발명은, 원터치 잠금 해제 방식을 채택하여 강의 종료 후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기존 설비의 변동없이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아울렛 박스의 교체없이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 사이를 단순히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다.
또한, 전자기기(20)와 연결되는 케이블(C)의 인출 및 자동 감김 동작과 관계없이 아울렛 박스(10)와 케이블(C) 간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람의 이동 동선에 의한 아울렛 박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1)는 종래의 래크기어를 배제하는 대신 회전기어와 직교하는 교차축기어의 적용에 따른 정·역회전 구동을 통하여 용적을 줄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케이블의 저항을 감소시켜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장치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후 케이블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10. 아울렛 박스
20. 전자기기 100. 하우징
110. 중심축 120. 수용공간
200. 구동부 210. 구동판
211. 돌출부 211a. 안내면
211b. 단턱 220. 구동홀더
221. 삽입홈 222. 판스프링
223. 케이블홀 223a. 인입홀
223b. 인출홀 223c. 케이블 클램프
230. 베어링 300. 연결부
310. 연결판 320. 연결관
321. 베어링 330. 제1기어
400. 고정부 410. 고정홀더
411. 내부홀 412. 기어축
420. 권취릴 421. 날개
422. 전선홀 423. 고정클램프
430. 교차축기어 500. 제어부
510. 제어판 511a. 톱니부
511b. 비톱니부 512. 걸쇠
512a. 힌지 512b. 지지홀
513. 지지링 600. 역회전부
610. 제2기어 620. 외주연판
621. 통공 630. 커버
640. 베어링 B. 볼플런저
C. 케이블 S. 스프링플런저

Claims (7)

  1.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중심축이 설치되며, 케이블의 양단이 인출되는 하우징;
    중심축에 의해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이 감기되, 구동판 상에 결합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구동홀더와, 삽입홈에 일단부가 고정된 채 삽입되어 구동홀더의 회전시 탄성력을 저장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구동부;
    중심축에 의해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부와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하는 제1기어를 포함하는 연결부;
    연결부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홀더와, 고정홀더의 외측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역회전부에서 인출된 케이블이 감겨지는 권취릴과, 고정홀더의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어의 축과 직교하도록 맞물려서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교차축기어를 포함하는 고정부;
    제1기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걸쇠에 걸림되어 회전이 단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부와 고정부 사이의 연결부 외측에 배치되고, 한쌍의 교차축기어의 축과 직교하도록 교차축기어의 하부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부와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함으로써 케이블을 권취릴에 권취시키는 제2기어를 구비한 역회전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판은 일측에 상부가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케이블이 접촉 지지되고,
    케이블홀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되, 돌출부에서 케이블이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구동홀더의 테두리를 따라가며 인입홀을 형성한 후, 방향을 전환하여 반대 방향으로 인입홀 내측을 따라가며 인출홀을 형성하여 돌출부로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인입홀과 인출홀이 만나는 부분에 케이블 클램프가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구동부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중앙에 직립 형성된 연결관과, 연결관의 상부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내부홀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연결관이 내부홀을 관통하는 고정홀더와, 권취릴의 상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전선홀이 형성된 날개와, 내부홀의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교차축기어가 결합되는 기어축을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기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면의 일부분을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제어판과, 제어판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톱니가 걸림되어 제어판의 회전을 단속하는 걸쇠와, 걸쇠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지지링을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역회전부는, 제2기어의 외측에 결합되고 구동부에서 인출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된 외주연판과, 제2기어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측의 연결관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KR1020180038099A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KR10191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99A KR101918895B1 (ko)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99A KR101918895B1 (ko)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895B1 true KR101918895B1 (ko) 2018-11-14

Family

ID=6432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99A KR101918895B1 (ko)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8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556A (zh) * 2021-01-21 2021-06-11 上海井园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清洗吸污车用绞盘
CN113911860A (zh) * 2021-10-26 2022-01-1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防城港供电局 便携式试验线自动收放装置
CN115571710A (zh) * 2022-08-16 2023-01-0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市临平区供电公司 一种电缆头搭接辅助装置
CN115571710B (zh) * 2022-08-16 2024-05-3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市临平区供电公司 一种电缆头搭接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77Y1 (ko) 2004-12-06 2005-04-14 (주)가원시스템 기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있는 롤형 기기
KR101043505B1 (ko) 2008-12-15 2011-06-23 신지앙 티안디 그룹 이어폰 케이블의 케이블 수납장치, 자동 케이블 수납 이어폰, 비방사 케이블 핸드폰 및 전자기기
KR101652276B1 (ko) 2015-04-03 2016-08-31 주식회사 수콘 이어폰용 권취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77Y1 (ko) 2004-12-06 2005-04-14 (주)가원시스템 기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있는 롤형 기기
KR101043505B1 (ko) 2008-12-15 2011-06-23 신지앙 티안디 그룹 이어폰 케이블의 케이블 수납장치, 자동 케이블 수납 이어폰, 비방사 케이블 핸드폰 및 전자기기
KR101652276B1 (ko) 2015-04-03 2016-08-31 주식회사 수콘 이어폰용 권취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556A (zh) * 2021-01-21 2021-06-11 上海井园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清洗吸污车用绞盘
CN113911860A (zh) * 2021-10-26 2022-01-1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防城港供电局 便携式试验线自动收放装置
CN115571710A (zh) * 2022-08-16 2023-01-0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市临平区供电公司 一种电缆头搭接辅助装置
CN115571710B (zh) * 2022-08-16 2024-05-3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市临平区供电公司 一种电缆头搭接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895B1 (ko)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JP2006064997A (ja) 余長処理ホルダ及び余長処理構造
EP3091643A1 (en) Drive wheel set, wire storage frame, guide wheel frame, traction mechanism and conveying mechanism
KR200484943Y1 (ko)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US6305632B1 (en) Telecommunications cord reel
CN110817605B (zh) 一种网线收纳装置及其工作方法
CN112875420A (zh) 一种纤维加捻收卷装置
CN212315194U (zh) 一种纤维加捻收卷装置
CN210001300U (zh) 一种高速并纱机
CN217720389U (zh) 一种移动便携式临时电源箱
KR101819933B1 (ko) 감속기능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용 코드릴 조립체
CN109368383A (zh) 一种用于信号控制的电缆
CN214828117U (zh) 一种计算机网线转接装置
CN205070086U (zh) 电缆卷线盘
US3322372A (en) Cable winding device
CN209627410U (zh) 一种便于安装的应用级防火墙
CN113604912B (zh) 一种纺织输送设备
KR200211681Y1 (ko)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CN217051117U (zh) 一种机械自动化连接线的布线装置
CN216672183U (zh) 一种综合布线用配线架
KR101985379B1 (ko) 배전용 내선 보호장치
CN221102623U (zh) 一种方便收纳电源线的笔记本电脑用适配器
CN217837969U (zh) 卷线限位结构及卷线器
CN212639485U (zh) 一种电缆卷盘机
JPS63176272A (ja) フラツトケ−ブル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