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43Y1 -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43Y1
KR200484943Y1 KR2020170004719U KR20170004719U KR200484943Y1 KR 200484943 Y1 KR200484943 Y1 KR 200484943Y1 KR 2020170004719 U KR2020170004719 U KR 2020170004719U KR 20170004719 U KR20170004719 U KR 20170004719U KR 200484943 Y1 KR200484943 Y1 KR 200484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rack portion
gear
outle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울산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시설공단 filed Critical 울산시설공단
Priority to KR2020170004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는, 하우징 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풀림 가능한 메인 회전기어;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되며, 상기 메인 회전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인출되더라도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아울렛 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케이블 당김 방지부; 및 상기 메인 회전기어에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상기 메인 회전기어에 권취하는 자동감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 내에 복수의 종동기어와 복수의 래크부로 이루어져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 일단의 인출 동작시 연동하여 구동하는 케이블 당김 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케이블을 연결하고자 케이블의 일단을 인출하더라도 영상 아울렛 박스에 이미 연결된 케이블의 타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접속 불량 발생과 외력에 민감한 영상 아울렛 박스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AUTOMATIC CABLE WINDING DEVICE}
본 고안은,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케이블을 연결하고자 케이블의 일단을 인출하더라도 영상 아울렛 박스에 이미 연결된 케이블의 타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사용 후 간편하게 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는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릴(Cable reel)은 각종 전선이나 케이블을 감아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보관이나 운반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과 더불어 필요시 전선이나 케이블을 목적으로 하는 장소까지 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릴은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가 원거리에 있을 경우, 릴에 감겨져 있는 전선을 필요한 만큼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전원접속장치로 사용되거나, 무대의 조명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위치의 이동이 빈번한 설비로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강의실에는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빔 프로젝터, 영상 아울렛 박스(잭 박스)와 빔 프로젝터를 연결하고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통신선, 영상 아울렛 박스와 노트북,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또 다른 통신선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영상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하도록 길이가 긴 케이블을 사용하였고, 강의 종료 후와 같이 사용 완료시에는 전자기기와 케이블을 분리한 후 분리한 케이블을 권취한 후 책상 걸이나 벽 걸이 등에 걸어놓는 방식으로 정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케이블을 제대로 정리하기 힘들고 다수의 사람들에게 노출되므로 이동하는 사람들에 의해 케이블 단선 등이 발생하여 케이블 교체주기가 짧아질 수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 사이를 양 방향으로 케이블을 활용할 수 있는 릴타입 양방향 케이블을 사용했으며, 종래 릴타입 양방향 케이블의 일단을 영상 아울렛 박스와 연결하고 타단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종래의 릴타입 양방향 케이블은 어느 한쪽의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반대쪽 케이블에도 힘이 작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 일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에 접속된 상태에서 케이블 타단을 잡아당겨 노트북 등에 연결하고자 하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케이블 간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029008호 (2011. 04. 06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56949호 (2015. 09. 24 등록)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케이블을 연결하고자 케이블의 일단을 인출하더라도 영상 아울렛 박스에 이미 연결된 케이블의 타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사용 후 간편하게 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는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에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단이 각각 상기 아울렛 박스와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풀림 가능한 메인 회전기어;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되며, 상기 메인 회전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인출되더라도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아울렛 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케이블 당김 방지부; 및 상기 메인 회전기어에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상기 메인 회전기어에 권취하는 자동감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블 당김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케이블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종동기어; 상기 제2 종동기어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2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 래크부; 상기 제1 래크부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1 래크부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3 종동기어; 상기 제3 종동기어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3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2 래크부; 및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이동거리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구름 접촉하도록 자유 회전 가능하게 회전풀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거리 제한부는, 상기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에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 홈이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의 더 이상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감김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버튼블록; 상기 제1 버튼블록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이빨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고 역방향 회전은 허용하지 않도록 일측에만 경사면이 마련되는 제2 버튼블록; 및 상기 제1 버튼블록과 상기 제2 버튼블록의 하부에 마련되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 내에 복수의 종동기어와 복수의 래크부로 이루어져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 일단의 인출 동작시 연동하여 구동하는 케이블 당김 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케이블을 연결하고자 케이블의 일단을 인출하더라도 영상 아울렛 박스에 이미 연결된 케이블의 타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접속 불량 발생과 외력에 민감한 영상 아울렛 박스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래크부에 각각 차단벽을 마련하고 래크부가 일정 이상 이동하면 가이드 돌기와 차단벽이 접촉하여 더 이상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일단을 인출하더라도 영상 아울렛 박스에 이미 연결된 케이블의 타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와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영상 아울렛 박스의 교체없이 아울렛 박스와 노트북 등 전자기기 사이를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하여 사용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서 래크부와 회전풀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서 래크부와 이동거리 제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서 래크부가 이동거리 제한부와의 걸림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서 래크부와 이동거리 제한부에 추가 구성이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서 자동감김부와 회전기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의 자동감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의 자동감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서 케이블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에서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는, 영상 케이블, 마이크 케이블, 임시 가설용 케이블 등 다양한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것으로서, 일 예로 케이블의 일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연결되고 타단이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할때, 사용자가 케이블을 원하는 만큼 인출하여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하고 사용 후에는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기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의 오염 발생, 케이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블이 감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블을 노트북에 연결하고자 길게 인출하더라도 이미 아울렛 박스에 연결된 케이블의 타단이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특히 외부 충격에 약한 영상 아울렛 박스와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블의 일단이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아울렛 박스와 연결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1)는, 아울렛 박스(10)와 전자기기(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30)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것으로서, 하우징(100), 메인 회전기어(200), 케이블 당김 방지부(300), 자동감김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에 케이블(30)이 배치되고 케이블(30)의 양단이 각각 아울렛 박스(10)와 전자기기(20)와 연결되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내부에 배치된 메인 회전기어(200), 케이블 당김 방지부(300), 자동감김부(500)의 파손, 이상 발생시 효율적으로 수리, 교체하도록 서로 분리 가능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메인 회전기어(200)는 하우징(100) 내에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케이블(30)이 권취되거나 풀림 가능하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미도시)은 메인 회전기어(200)의 일방향 회전시에는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역방향 회전시에는 탄성적으로 팽창 가능한 릴 스프링, 태엽 스프링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메인 회전기어(200)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복원되도록 마련되고, 메인 회전기어(200)가 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스프링(미도시)은 탄성 압축되다가 메인 회전기어(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상실될 경우 메인 회전기어(2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때 케이블(30)의 자동 감김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 케이블 당김 방지부(300)는, 사용자가 케이블(30)의 일단을 하우징(100)으로부터 일정 이상 인출하더라도 아울렛 박스(10)와 이미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30)의 타단이 하우징(100)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인출 동작과 관계없이 케이블(30)과 아울렛 박스(10)가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케이블 당김 방지부(300)는 케이블(30)을 더욱 인출하거나 자동으로 하우징(100) 내부로 감을때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 부분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을 정렬 배치시키는 역할도 수행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본 고안에서 케이블 당김 방지부(300)는, 메인 회전기어(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되며, 메인 회전기어(200)가 회전하여 전자기기(20)와 연결되는 케이블(30)의 일단부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인출되더라도 하우징(100) 외측으로 노출되어 아울렛 박스(10)와 연결되는 케이블(30)의 타단부가 하우징(100) 내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케이블 당김 방지부(300)는, 메인 회전기어(2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종동기어(310)와, 제1 종동기어(3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종동기어(320)와, 제2 종동기어(320)와 이맞물림되며 제2 종동기어(32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 래크부(330)와, 제1 래크부(330)와 이맞물림되며 제1 래크부(330)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3 종동기어(340)와, 제3 종동기어(340)와 이맞물림되며 제3 종동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2 래크부(350)와, 제1 래크부(330)와 제2 래크부(350)에 결합되어 제1 래크부(330)와 제2 래크부(35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이동거리 제한부(420)를 포함한다. 관련 도면에는 제4 종동기어(360), 제3 래크부(370), 제5 종동기어(380) 및 제4 래크부(390)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추가된 반복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고 제4 종동기어(360), 제3 래크부(370), 제5 종동기어(380) 및 제4 래크부(390)는 생략도 가능하다.
제1 종동기어(310), 제2 종동기어(320), 제3 종동기어(340), 제4 종동기어(360), 제5 종동기어(380)는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메인 회전기어(200)의 정역 회전에 연동하여 정역 회전이 이루어진다.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는 제2 종동기어(320), 제3 종동기어(340), 제4 종동기어(360), 제5 종동기어(38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에 각각 이빨 형상이 마련되어 있으며, 종동기어들의 정역 회전시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의 단부에는 케이블(30)이 구름 접촉하도록 자유회전 가능하게 회전풀리(410)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0) 내에서 케이블(30)은 복수의 회전풀리(410)에 걸쳐있는 상태를 가지며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의 직선 왕복 이동시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 케이블에 일정 이상의 장력을 제공하여 케이블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30) 일단을 외측으로 인출시킬 때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는 서로 교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케이블(30)에 장력을 부여하여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이동거리 제한부(420)는 제1 래크부(330)와 제2 래크부(350)에 결합되어 제1 래크부(330)와 제2 래크부(35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거리 제한부(420)는, 하우징(100) 내벽에 고정되어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430)를 포함한다.
가이드(430)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440)가 마련되고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440)와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 홈(45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40)와 가이드 홈(450)은 'T'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래크부(330) 내지 제4 래크부(390)는 가이드 돌기(440)에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가이드(430)에 결합 가능하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440)는 가이드 홈(450)의 길이에 비해 작은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돌기(440)는 가이드 홈(450)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그보다는 작게 마련된다. 이는 후술하는 래크부의 이동거리를 일정 부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450)에는 가이드 돌기(440)와 접촉하여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의 더 이상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벽(460)이 마련된다.
메인 회전기어(200)의 회전에 따라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가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래크부의 차단벽(460)과 가이드 돌기(440)가 측면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크부 들의 이동이 제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 이동이라 함은 케이블(30)의 일단을 전자기기(20)와 연결하고자 인출했을 때 영상 아울렛 박스(10)와 연결되는 케이블(30)의 타단이 하우징(100) 내측으로 당겨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블(30)의 일단을 노트북 등과 연결하고자 일정 이상 인출하더라도 이러한 인출 동작에 관계없이 케이블(30)의 타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10)와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특히 약한 영상 아울렛 박스(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렛 박스(10)와 케이블(30)간의 이격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래크부(330), 제2 래크부(350), 제3 래크부(370) 및 제4 래크부(390)의 최대 이동 가능거리는, 영상 아울렛 박스(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케이블(30)의 타단이 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트북 등과 연결되는 케이블(30) 일단의 풀림(당김) 거리 증가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430)에는 복수의 돌출부(480)가 마련되고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에는 복수의 돌출부(48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홈(490)이 마련된다. 돌출부(480)와 삽입홈(490)은 가이드 돌기(440)와 가이드 홈(450)가 더불어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며, 돌출부(480)와 삽입홈(490)은 각각 가이드(430)와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4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의 이동시 좌우 미동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돌출부(480)와 삽입홈(490)로 인해 이러한 미동 발생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감김부(500)는,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버튼블록(510)과, 제1 버튼블록(510)에 일체로 연결되고 메인 회전기어(200)의 이빨 사이에 배치되되 메인 회전기어(200)의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고 역방향 회전은 허용하지 않도록 일측에만 경사면(530)이 마련되는 제2 버튼블록(520)과, 제1 버튼블록(510)과 제2 버튼블록(520)의 하부에 마련되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40)을 포함한다.
제1 버튼블록(510)의 상부는 하우징(100)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푸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제2 버튼블록(520)은 제1 버튼블록(5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버튼블록(510)의 푸시 동작시 마찬가지로 이동하게 되며, 푸시 힘이 상실되는 경우 제1 버튼블록(510)과 제2 버튼블록(520)은 스프링(5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위치 복원된다.
평상시, 즉 사용자에 의한 케이블(30) 인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제2 버튼블록(520)은 메인 회전기어(200)의 이빨들 사이에 일정 부분 높이를 나란히 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블(30)의 일단을 인출하게 되면 메인 회전기어(200)가 회전하면서 그 이빨은 제2 버튼블록(520)의 경사면(530)을 따라 반대편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제1 버튼블록(510)과 제2 버튼블록(520)은 이빨이 경사면(530)을 타고 넘어갈때마다 상하 방향으로 반복 이동하게 된다.(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시 상측 이동) 여기서, 경사면(530)은 케이블(30)의 일단을 인출하고자 할 때 메인 회전기어(200)의 회전방향과 마주보는 제2 버튼블록(520)의 일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어느 정도 케이블(30)을 인출하고 나면 메인 회전기어(200)의 이빨은 경사면(530)이 마련되지 않은 제2 버튼블록(520)의 반대측 수직면(550)에 걸림되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메인 회전기어(200)와 연결된 스프링(미도시)은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버튼블록(510)을 푸시하게 되면 메인 회전기어(200)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고 있는 제2 버튼블록(520)의 수직면(550)과 메인 회전기어(200)의 이빨과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메인 회전기어(200)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케이블(30)은 메인 회전기어(200)에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도 11을 참고하여 케이블(30)을 전자기기(20) 측으로 당긴 상태와 자동으로 감은 상태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케이블(30)의 일단을 노트북 측으로 당기게 되면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의 회전풀리(41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100) 외면으로부터 늘어난 케이블(30) 일단까지의 당긴 길이(A)와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의 회전풀리(41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늘어난 길이(B)가 동일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메인 회전기어(200)에 권취된 케이블(30)을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 방향으로 인출하더라도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를 통해 케이블(30)을 반대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기는 장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메인 회전기어(200)에 권취된 케이블(30)이 느슨해지거나 케이블(30) 자체 탄성에 의해 서로 꼬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동거리 제한부(420)에 의해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30) 일단이 당김됐을때 제1 내지 제4 래크부(330,350,370,390)에 걸린 케이블(30)에 반대 방향 장력을 부여하여 메인 회전기어(200)에 권취된 케이블(30)이 자체 탄성에 의해 꼬이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영상 아울렛 박스(10)에 연결된 케이블(30)의 타단이 영상 아울렛 박스(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케이블(30) 타단과 제4 래크부(390)의 회전 풀리까지의 거리는 사용자가 케이블(30)을 노트북 측으로 당기더라도 아울렛 박스에 연결된 케이블 타단이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설정된 거리를 갖도록 미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자면, 케이블 당김 동작에 의해 제4 래크부(390)가 최대한 이동하더라도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초기에 미리 여유 거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30) 전체 길이의 대략 중앙부위를 메인 회전기어에 핀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케이블을 잡아당기더라도 케이블 타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더욱 유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동감김부(500)를 이용하여 메인 회전기어(200)를 역회전시키면 케이블(30)은 메인 회전기어(200)에 자동으로 권취된다.
본 고안은, 원버튼 잠금 방식을 채택하여 예를 들면 강의 종료 후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기존 설비의 변동없이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즉, 이미 설치되어 있는 영상 아울렛 박스의 교체없이 아울렛 박스와 노트북 등 전자기기 사이를 단순히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노트북과 연결되는 케이블의 인출 및 원위치 감김 동작과 관계없이 영상 아울렛 박스와 케이블 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람의 이동 동선에 의한 아울렛 박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이 서로 분리 가능한 한 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모품인 영상 전송 케이블을 손쉽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아울렛 박스 20: 전자기기
30: 케이블 100: 하우징
200: 메인 회전기어 300: 케이블 당김 방지부
310,320,340,360,380: 제1 내지 제5 종동기어
330,350,370,390: 제1 내지 제4 래크부
420: 이동거리 제한부 430: 가이드
440: 가이드 돌기 450: 가이드 홈
460: 차단벽 500: 자동감김부
530: 경사면 550: 수직면

Claims (5)

  1. 아울렛 박스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에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단이 각각 상기 아울렛 박스와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풀림 가능한 메인 회전기어;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되며, 상기 메인 회전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인출되더라도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아울렛 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케이블 당김 방지부; 및
    상기 메인 회전기어에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상기 메인 회전기어에 권취하는 자동감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감김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버튼블록;
    상기 제1 버튼블록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이빨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고 역방향 회전은 허용하지 않도록 일측에만 경사면이 마련되는 제2 버튼블록; 및
    상기 제1 버튼블록과 상기 제2 버튼블록의 하부에 마련되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당김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케이블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메인 회전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종동기어;
    상기 제1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종동기어;
    상기 제2 종동기어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2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 래크부;
    상기 제1 래크부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1 래크부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3 종동기어;
    상기 제3 종동기어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3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2 래크부; 및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이동거리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구름 접촉하도록 자유 회전 가능하게 회전풀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한부는,
    상기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에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 홈이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래크부와 상기 제2 래크부의 더 이상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5. 삭제
KR2020170004719U 2017-09-06 2017-09-06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KR200484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19U KR200484943Y1 (ko) 2017-09-06 2017-09-06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19U KR200484943Y1 (ko) 2017-09-06 2017-09-06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43Y1 true KR200484943Y1 (ko) 2017-11-10

Family

ID=6040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19U KR200484943Y1 (ko) 2017-09-06 2017-09-06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4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343B1 (ko) * 2017-12-27 2018-02-23 성무권 의료용 진단기 선 관리 장치
CN108720931A (zh) * 2018-06-25 2018-11-02 余庆县人民医院 一种手术室用线绳收纳装置
KR20190138077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더웰솔루션랩 리코일러장치
CN114834978A (zh) * 2022-05-06 2022-08-02 海门南洋电工器材有限公司 一种带有收纳功能的多功能表
CN117316538A (zh) * 2023-11-29 2023-12-29 河北佰澜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电力线缆制造用成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08B1 (ko) 2011-01-28 2011-04-14 이민석 광 케이블용 자동 감김 릴 점퍼코드
KR101556949B1 (ko) 2015-01-26 2015-10-06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영상 케이블 릴
KR20160112218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비에스이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의 로킹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08B1 (ko) 2011-01-28 2011-04-14 이민석 광 케이블용 자동 감김 릴 점퍼코드
KR101556949B1 (ko) 2015-01-26 2015-10-06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영상 케이블 릴
KR20160112218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비에스이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의 로킹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343B1 (ko) * 2017-12-27 2018-02-23 성무권 의료용 진단기 선 관리 장치
KR20190138077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더웰솔루션랩 리코일러장치
KR102123982B1 (ko) * 2018-06-04 2020-06-17 주식회사 더웰솔루션랩 리코일러장치
CN108720931A (zh) * 2018-06-25 2018-11-02 余庆县人民医院 一种手术室用线绳收纳装置
CN114834978A (zh) * 2022-05-06 2022-08-02 海门南洋电工器材有限公司 一种带有收纳功能的多功能表
CN117316538A (zh) * 2023-11-29 2023-12-29 河北佰澜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电力线缆制造用成缆装置
CN117316538B (zh) * 2023-11-29 2024-03-19 河北佰澜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电力线缆制造用成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943Y1 (ko) 케이블 자동 감김장치
US3773987A (en) Cable retractor
US9346653B1 (en) Cord retractor
KR20180128557A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 감김장치
US8720657B2 (en) Rewindable electrical cable extension device
US8981720B2 (en) Charging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6201297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クリーナ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WO2015096531A1 (zh) 卷线装置及具有该卷线装置的家用电器
GB2283957A (en) Cord retractor mechanism
US20070194163A1 (en) Reel with housing having triangular aperture for entry of linear material
WO2017221207A1 (en) Overhead charging system with cable management unit
CN103183260A (zh) 容置装置
US20050247480A1 (en) Self winding electric cord
CN110902503A (zh) 一种具有收放线功能的电力柜体
KR200440626Y1 (ko) 전선 정리 장치
KR101918895B1 (ko) 케이블 자동 인출입 장치
KR20180001649U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KR200420672Y1 (ko) 휴대용 전선릴
KR200281732Y1 (ko) 자동코드릴식 멀티콘센트
CN211351660U (zh) 一种轨道车线缆收纳机构
KR101985379B1 (ko) 배전용 내선 보호장치
CN113387239A (zh) 一种通信工程用通信线缆锁紧装置
KR102014767B1 (ko) 마이크 케이블 권취장치
KR102611064B1 (ko) 무접점 방식을 활용한 신호선 케이블 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