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740B1 -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740B1
KR101918740B1 KR1020160029543A KR20160029543A KR101918740B1 KR 101918740 B1 KR101918740 B1 KR 101918740B1 KR 1020160029543 A KR1020160029543 A KR 1020160029543A KR 20160029543 A KR20160029543 A KR 20160029543A KR 101918740 B1 KR101918740 B1 KR 10191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nnection
supply pipe
oil supply
process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577A (ko
Inventor
박병기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리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슨트 filed Critical (주)리슨트
Priority to KR102016002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16L27/083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being bends
    • F16L27/0845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being bends forming an angle of 90 degre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는 일단에서 가공유 공급관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공유가 유동되는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유로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 2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전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METALWORKING FLUIDS SUPPLY PIPE CONNECTING UNIT AND CU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또는 절삭 영역으로 공급되는 가공유의 누설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치 내부 공간에서의 부피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최근의 반도체, 컴퓨터, 영상정보산업, 정밀기계산업 등의 발달로 인하여 정밀기계부품의 가공은 고부가가치 기술로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산업계의 기대치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마이크로머신에 사용하는 극소형부품의 가공, 레이저프린터에 사용되는 폴리곤미러(Polygon mirror)의 가공, 자기디스크의 자기디스크기판의 가공 등과 같은 고정밀 미세가공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정밀 미세가공을 이루기 해서는 가공물의 이송속도 및 위치제어, 가공공구의 변위(절삭 깊이)제어, 각 구성요소 및 가공물의 위치측정 등이 정밀하고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미세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미세 가공 장치는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미세 가공 장치는 가동시 가공 부재와 가공 대상물의 사이에 가공유를 공급하는 가공유 공급부를 구비한다
종래에는 가공유 공급부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하거나, 장치에 일체로 포함되도록 구현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후자의 경우, 가공 대상물의 로딩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부와, 가공유 공급부를 나란하게 배치한다.
여기서, 장치의 일측부에는, 상기 가공부 공급부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가공부와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입구와 유출구는 가공유가 공급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관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유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가공유는 상기 공급관을 통해 가공부로 유동되어 공급되어 질 수 있다.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장치의 일면부에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공급관 양단을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요성의 공급관 양단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연결하기 위해 직각에 가깝게 벤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급관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벤딩되는 부분에서의 응력이 집중되어 점진적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기 공급관의 양단에 일자 형상의 피팅 부재를 각각 체결하고, 각각의 피팅 부재를 유입구 및 유출구에 체결하는 경우, 일자 형상의 피팅 부재로 인해 장치의 일측방으로 돌출되어 장치 내부 공간에서의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의 양단은 각 피팅 부재의 단부로부터 직각에 가깝게 벤딩되는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 역시, 벤딩되는 부분에서의 응력이 집중되어 점진적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래에 들어, 가공유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장치의 일면부에서 동일 평면에 위치되는 경우, 장치 공간의 줄이면서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공급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장치, 이에 이용되는 가공기 및 가공유공급장치(특허출원 제10-2011-01470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또는 절삭 영역으로 공급되는 가공유의 누설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치 내부 공간에서의 부피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는 일단에서 가공유 공급관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공유가 유동되는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유로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 2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유로와, 상기 제 2유로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로를 이루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홀의 내측 둘레에는, 제 1체결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홀이 형성되는 인근 영역에서의 상기 연결홀의 중공 타단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측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보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홀에는, 보조 연결 부재들이 더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연결 부재들은, 서로 다른 내경을 이루어 서로 내측 또는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내경에 따라, 상기 제 2유로의 유로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르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유로와, 상기 제 2유로의 사이각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변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설치되는 주름 부재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유로를 형성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몸체와, 상기 연결부 몸체의 일단에 내측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에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립 부재와, 상기 연결부 몸체의 외측 둘레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그립 부재를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연결부 몸체의 외측 둘레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유 공급관의 외측 둘레에는, 돌출되는 상기 그립 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가공유 공급홀과, 가공유 배출홀이 서로 이웃하여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공유를 가공유 공급부에서 가공부로 공급하는 경우, 가공유의 유동 경로를 본체의 일측에서 수평을 이루는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본체의 일면에 근접되도록 하여, 본체의 주변 전체 공간을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연결부 몸체에서 유로 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경로가 꺽어짐에 따르는 파이프 즉, 가공유 공급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공유의 누유와 같은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 유로 또는 제 2유로를 이루는 제 2가공유 공급관이 손상되는 경우, 해당 관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부들 만을 유로 전환부로부터 탈거하도록 함으로써, 관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가 가공 장치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그립 부재의 돌출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 몸체의 일단에 제 1가공유 공급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홀에 보조 연결 부재들이 더 설치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에 주름 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가 가공 장치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가공 장치는 마세 가공 장치로서,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가공유를 공급하는 가공유 공급부(20)와, 상기 가공유 공급부(20)와 이웃하도록 본체(10)에 마련되며,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가공부(3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가공유 공급부(20)와 가공부(30)는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1)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가공유는 가공유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어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1)를 통해, 가공부(30)로 유출되어 공급되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1)는 크게 연결부(300)와, 유로 전환부(400)로 구성된다.
연결부(300)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30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연결부 몸체(310)와, 그립 부재(320)와, 슬라이딩 부재(330) 및 탄성 부재(34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 몸체(3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유로(①)를 형성한다. 상기 제 1유로(①)는 가공유가 유동되는 경로이다.
상기 그립 부재(320)는 연결부 몸체(310)의 일단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며, 중공에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그립 부재(320)는 다수로 구성되며,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 형상의 그립 부재들(320)은 연결부 몸체(310)의 일단 원주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그립 부재들(320)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연결부 몸체(310)의 중공에 돌출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하, '돌출 상태'라 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는, 상기 연결부 몸체(310)의 일단 외측 둘레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는 단면이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는 연결부 몸체(310)의 일단 외측 둘레에서 설정된 이동 거리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가 제 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그립 부재들(320)은 돌출 상태를 이룬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그립 부재(32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해 눌리는 상태를 이룬다.
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가 제 2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그립 부재들(320)은 슬라이딩 부재(330)의 돌기에 의해 눌림이 해제되어 연결부 몸체(310)의 중공으로부터 돌출이 해제되도록 삽입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340)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고, 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를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330)는 제 1,2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제 1위치를 원위치로 하는 경우, 제 1위치로 강제 복귀될 수 있다.
더하여, 가공유 공급부(20) 및 가공부(30)로부터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가공유 공급관(41)의 외측 둘레에는, 돌출되는 상기 그립 부재(320)가 돌출되어 걸리는 걸림홈(41a)이 형성된다.
유로 전환부 (400)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유로 전환부(400)는 연결부(300)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유로(①)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 2유로(②)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유로(①)와 제 2유로(②)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로 전환부(400)는 연결부 몸체(3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로(②)를 이루는 연결홀(41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홀(410)에는 체결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410)을 통해, 다른 연결부(500)의 단부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300)와 다른 연결부(500)가 상기 연결홀(410)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 1,2유로(①,②)는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제 1,2유로(①,②)가 직각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하였지만, 상술한 연결홀(410)의 형상 방향에 따라, 제 1,2유로(①,②) 간의 사이각이 결정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에는 보조홈(310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홈(310a)은, 상기 연결홀(410)이 형성되는 인근 영역에서의 상기 연결홀(410)의 중공 타단측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홈(310a)은, 상기 연결부(300)의 타단측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유로를 따라 가공유가 유동되고, 장치 구동 중지시 가동유의 유동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보조홈이 형성됨으로 인해, 가공유가 연결부의 내부에서 일정량 잔류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공 장치의 본체(10) 일측면에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간격을 이루고,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본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는 가공유 공급부와 연결되고, 유출구는 가공부와 연결된다.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에는 제 1가공유 공급관(41)이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는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에 연결되는 제 1가공유 공급관(41) 각각에 연결되며,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2가공유 공급관(42)이 본체(10)의 일면에 근접되며, 굽어지는 구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유출구 또는 유입구 중, 어느 한 측에 연결되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1)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330)는 연결부 몸체(310)의 외측 둘레 제 1위치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그립 부재(320)는 연결부 몸체(310)의 중공에 돌출되는 상태를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그립 부재의 돌출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술한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마련되는 제 1가공유 공급관(41)의 외측 둘레에는 걸림홈(41a)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 몸체(310)의 일단에 제 1가공유 공급관(41)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 하면, 슬라이딩 부재(330)는 외력에 의해, 연결부 몸체(310)의 타단측을 따라 제 2위치로 슬라이딩 위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는 탄성 부재(340)에 의해 복귀 탄성력을 제공 받는 상태를 이룬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330)가 걸림 해제 위치인 제 2위치에 위치되면, 그립 부재(320)는 중공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어, 상기의 제 1가공유 공급관(41)은 연결부 몸체(310)의 일단측을 통해 중공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330)에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그립 부재들(320)은 돌출 상태를 이루면서, 삽입된 제 1가공유 공급관(4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홈(41a)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가공유 공급관(41)은 연결부 몸체(3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 1유로(①)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연결부 몸체(310)가 유입구 및 유출구에 설치됨으로써 제 1유로(①)를 이루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 몸체(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유로 전환부(400)의 연결홀(410)은 제 2유로(②)를 이룰 수 있도록 마주보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각각의 연결부 몸체(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연결홀(410)에는 다른 연결부(50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연결부(50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이 해당 연결부 몸체(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연결홀(410)에 스크류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부 몸체(310)의 타단에는 서로 마주 보도록 다른 연결부(500)가 설치된다. 이어, 각각의 다른 연결부(5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 2가공유 공급관(42)을 연결한다.
즉, 상기 제 2가공유 공급관(42)의 양단은 상기 다른 연결부(500)의 타단 중공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다른 연결부(500)의 타단에 외력을 가해, 끼워진 제 2가공유 공급관(42)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유로(②)는 상기 다른 연결부들(500) 각각을 연결하는 제 2가공유 공급관(42)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연결부(300)는 제 1,2유로(①,②)를 직각을 이루도록하고, 이들은 다른 연결부(500) 및 제 2가공유 공급관(42)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가공유를 가공유 공급부에서 가공부로 공급하는 경우, 가공유의 유동 경로를 본체의 일측에서 수평을 이루는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본체의 일면에 근접되도록 하여, 본체의 주변 전체 공간을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하나의 연결부 몸체에서 유로 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경로가 꺽어짐에 따르는 파이프 손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공유의 누유와 같은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직선 유로 또는 제 2유로를 이루는 제 2가공유 공급관이 손상되는 경우, 해당 관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부들 만을 유로 전환부로부터 탈거하도록 함으로써, 관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홀에 보조 연결 부재들이 더 설치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홀(410)에는 보조 연결 부재들(420)이 더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연결 부재들(420)은, 서로 다른 내경을 이루어 서로 내측 또는 외측 둘레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체결링(421,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연결 부재들(420)은, 내경에 따라, 상기 제 2유로(②)의 유로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직경이 다양한 다른 연결부 및 파이프를 교체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유로 전환부(400)는 상기 연결부(300)의 타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르도록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홀(410,410')을 다수로 형성하고, 다수의 연결홀(410,410')이 연결부 몸체(310)의 타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2유로(②)를 다수의 방향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연결홀은 별도의 캡(미도시)을 사용하여 밀폐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부에 주름 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유로(①)와, 상기 제 2유로(②)의 사이각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변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르는 유로 전환부(400)는 상기 연결부(300)의 타단에 설치되는 주름 부재(600)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주름 부재(6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방향 가변이 가능하고, 방향이 가변됨에 따라, 연결홀(410)을 통한 제 2유로(②)의 방향을 회전 방식으로 가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다른 연결부를 사용하여 상술한 제 2가공유 공급관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 2가공유 공급관의 양단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경우, 제 2유로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41 : 제 1가공유 공급관 42 : 제 2가공유 공급관
300 : 연결부 310 ; 연결부 몸체 320 : 그립 부재
330 : 슬라이딩 부재 340 : 탄성 부재 400 : 유로 전환부
410 : 연결홀 500 : 다른 연결부 600 : 주름 부재
① : 제 1유로 ② : 제 2유로

Claims (11)

  1. 가공물의 고정밀 미세가공을 위해, 가공 또는 절삭 영역으로 공급되는 가공유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유로를 형성하고, 일단에서 가공유 공급관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금속성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유로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 2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로를 이루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유로를 형성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몸체;
    상기 연결부 몸체의 일단에 내측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에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립 부재;
    상기 연결부 몸체의 외측 둘레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그립 부재를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연결부 몸체의 외측 둘레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연결부 몸체의 상기 중공 형상의 끝단에 형성된 보조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홈은 상기 중공 형상의 끝단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1 유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홀은, 내측 둘레에 체결 나사산이 형성되고,
    보조 연결 부재들이 체결되되,
    상기 보조 연결 부재들은 서로 다른 내경을 이루어 서로 내측 또는 외측 둘레에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체결링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링들의 내경에 따라 상기 제 2유로의 유로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 1유로와 상기 제 2유로의 사이각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변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르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설치되는 주름 부재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10. 삭제
  11. 가공유 공급홀과, 가공유 배출홀이 서로 이웃하여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가공 장치에 있어서,
    제 1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KR1020160029543A 2016-03-11 2016-03-11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 KR101918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43A KR101918740B1 (ko) 2016-03-11 2016-03-11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43A KR101918740B1 (ko) 2016-03-11 2016-03-11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577A KR20170106577A (ko) 2017-09-21
KR101918740B1 true KR101918740B1 (ko) 2018-11-15

Family

ID=6003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543A KR101918740B1 (ko) 2016-03-11 2016-03-11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7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576A (ja) * 1999-03-25 2000-12-05 Tokai Rubber Ind Ltd 接続構造体
KR100737925B1 (ko) * 2006-07-07 2007-07-10 노응석 연결 아답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576A (ja) * 1999-03-25 2000-12-05 Tokai Rubber Ind Ltd 接続構造体
KR100737925B1 (ko) * 2006-07-07 2007-07-10 노응석 연결 아답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577A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27194A1 (en) Injector sleeve
EP3140078A1 (en) Pedestal style waterjet orifice assembly
CN107020569B (zh) 一种不锈钢毛细管抛光专用夹具
CA2986888A1 (en) Runner for a fluid machine having removable blades
KR101918740B1 (ko)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장치
US8827610B2 (en) Hydraulic coupling system for coupling a shell mill to an adapter
EP2999564B1 (en) A tool comprising an interchangeable ball mill
CN109477566B (zh) 用于带套筒的行星架的组装引导件
KR101918716B1 (ko) 파이프 연결이 용이한 가공유 공급관 연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가공 장치
EP24661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xpanding split bushing hole plug assembly
WO2016166923A1 (ja) ガソリン直噴レール
US20170120381A1 (en) Highly Positioned Laser Processing Nozzle
JP2006083939A (ja) 流体軸受構造及び軸受隙間の調整方法
KR101558308B1 (ko) 볼 밸브 및 그 제작방법
KR20140018631A (ko) 누유 방지 기능을 구비한 베어링 지지 조립체
JP6339944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用ノズルおよび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装置
JP5015679B2 (ja) 弁付管継手及び弁付管継手の弁支持具
CN106163737B (zh) 用于轴机械加工的抗振动设备
CN105729069A (zh) 高温高压截止阀阀体的多锥面阀座结构的加工方法
KR200477967Y1 (ko) 진동 방지 성능 및 윤활 기능이 있는 기계가공 공구 고정구
JP5946664B2 (ja) エアガイド装置
US11333186B2 (en) Dowel pin for easy assembly and high accuracy
KR101762417B1 (ko) 미세관로어댑터에 의해 바이패스홀이 확보되는 바이패스 장치
CN203843021U (zh) 带台阶的导套组件
JP2009014169A (ja) 弁付管継手及び弁付管継手の弁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