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63B1 - 저주파자극기 - Google Patents

저주파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563B1
KR101918563B1 KR1020170015650A KR20170015650A KR101918563B1 KR 101918563 B1 KR101918563 B1 KR 101918563B1 KR 1020170015650 A KR1020170015650 A KR 1020170015650A KR 20170015650 A KR20170015650 A KR 20170015650A KR 101918563 B1 KR101918563 B1 KR 10191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low frequency
pa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596A (ko
Inventor
김창영
이임건
허경용
우영운
김지홍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17001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5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는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된 명령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제공된 저주파신호를 출력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인체의 일부 영역에 저주파를 제공하는 영역패드부, 부항컵부, 복부패드부 및 발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패드부로 제공되는 저주파신호의 주파수 및 동작 시간을 조절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주파자극기{low frequency stimulus machine}
본 발명의 저주파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주파 출력 조절 및 모드에 따른 자동 출력 그리고 가온 기능과 온도 검출 및 표시를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치료 효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말기를 통한 원격 제어 및 사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저주파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 치료는 인체에 약한 전기를 통하게 하여 그 자극으로 근육을 직접 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저주파 치료에 따라 근육을 자극시켜 신진 대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지방세포를 직접 자극하여 지방 세포의 수와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아울러 저주파치료를 통해 신경통, 류머티즘, 두통 및 위경련 등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불면증 완화, 마비성 질환을 개선, 신진대사 활성화에 따른 혈행 촉진으로 염증성 질환을 개선하고, 소화액 분비 촉증 등의 호르몬 조절 효과를 가지고, 혈행 개선에 따른 혈전을 해소하고, 규칙적인 자극을 통한 장기 기능을 활성화 시키며 적혈구 및 백혈구에 대한 작용을 통한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저주파 치료기의 경우 통증완화, 근력단력, 재활치료 등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저주파 펄스의 주파수, 펄스폭, 출력 전압 및 전류 그리고 파형 등이 달라져야 하나,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의 경우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리고 기기 내부의 회로도의 비 정상적인 동작에 따라 인체로 인가되는 저주파의 조절 실패로 사용자의 불편감을 가중시키고, 나아가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아울러 치료에 대한 경험이나 지식이 부족한 사람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잘못된 사용이나 과도한 사용에 따라 오히려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KR 10-0880213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하나의 해결 과제로 하는 발명으로써, 저주파 출력 조절 및 모드에 따른 자동 출력 그리고 가온 기능과 온도 검출 및 표시를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치료 효과 향상시킬 수 있고, 출력 전압의 모니터링을 통한 비정상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단말기를 통한 원격 제어 및 사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저주파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는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된 명령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제공된 저주파신호를 출력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인체의 일부 영역에 저주파를 제공하는 영역패드부, 부항컵부, 복부패드부 및 발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패드부로 제공되는 저주파신호의 주파수 및 동작 시간을 조절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복부패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흐르는 전류가 조절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본체부와 상기 패드부는 출력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패드부는, 왼발용 제1 발패드와 오른발용 제2 발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패드 각각은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출력선의 플러스 전극용 전극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출력선의 마이너스 전극용 전극이 연결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패드부로 출력되는 저주파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 서로 다른 미리 설정된 주파수와 동작 시간 별로 매칭된 복수의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제어부;및 상기 복부패드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패드부, 부항컵부, 복부패드부 및 발패드부 각각에 저주파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출력부;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제1 내지 제4 출력부 각각의 설정값을 입력 받아 독립적으로 저주파 출력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 외부로부터 수신된 직류 전원을 스텝 다운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 및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상기 열선에 전류를 제공하는 온도출력부;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제1 내지 제4 출력부 각각은,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저주파를 생성하여 상기 패드부로 제공하는 구동 인버터; 및 상기 구동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제공하는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제1 내지 제4 출력부 각각은, 트랜스포머 및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트랜스포머인 제1 권선의 일단에는 상기 정전압부로부터의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전압컨트롤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트랜스포머는 제2-1 권선과 제2-2 권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1 권선의 일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전압검출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2 권선의 일단은 상기 드라이버의 전력입력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드라이버는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포토커플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제1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토커플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기의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가 구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대응하여 전력입력단자로 입력된 전력을 상기 패드부로 전달하는 저주파치료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넓은 범위의 주파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또는 수동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파수 별 동작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저주파치료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영구적인 패드를 사용하여 유지 및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통한 제어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체온의 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에 따른 체중감량 효과를 측정 및 효능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상에 설치된 저주파치료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방문한 병원 등으로부터 처방 받은 저주파치료정보를 수신하여 맞춤형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통해 저주파자극기의 자동 설정 및 구동이 가능토록 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적합한 저주파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력 조절부 중 어느 하나라도 최소 출력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저주파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제로스타트 기능을 구비하여 안전 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기적인 메인컨트롤러의 이상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드부를 통해 인체로 인가되기 위해 생성된 출력 전압이 적절히 조절되는지 모니터링함으로써 인버터의 출력의 비 정상적인 동작에 따른 인체의 악영향을 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저주파자극기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저주파자극기를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b는 저주파자극기를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조작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제1 내지 제5 패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복부패드부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영역패드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부황컵부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발패드부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밴드부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1 내지 제3 출력부 각각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3은 제4 출력부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와 이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저주파자극기를 이용한 저주파치료시스템을 통한 저주파치료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저주파자극기를 제어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주파자극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저주파자극기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저주파자극기를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b는 저주파자극기를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조작부의 상세도이고, 도 5는 제1 내지 제5 패턴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복부패드부의 상면도이고, 도 7은 영역패드부의 상면도이고, 도 8은 부황컵부의 상면도이고, 도 9는 발패드부의 상면도이며, 도 10은 밴드부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체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저주파수 대역으로 0.1Hz~ 100Hz의 주파수 신호가 될 수 있고, □ 인체의 표피에 자극을 주는 대역으로 변화의 폭이 인체와 밀접하게 변화하여 (눈에 보이는 파형이므로 신호에 따라서 이완 수축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신호) 초기치료나 운동효과를 보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10)는 전극을 통하여 인체에 저주파전류를 가하여 근육통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저주파자극기(10)는 제품을 형성하고 내부 부속품을 고정 및 보호하는 외관 케이스를 형성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저주파 또는 전력을 수신하여 가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패드부(200) 및 본체부(100)와 패드부(200)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출력선(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자극기(10)는 패드부(200)를 인체에 고정하여 사용할 때 패드부(200)를 인체에 고정시키는 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부(100)는 메인부(100a)와 메인부(100a)와 일 측이 연결되는 커버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00b)는 메인부(100a)와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00b)의 회전에 따라 메인부(100a)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저주파자극기(10)를 사용할 때, 커버부(100b)를 열어 젖힘으로써 내부의 디스플레이의 확인 및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부(100a)에는 조작부(101)와 접속부(103)가 마련되고, 커버부(100b)에는 디스플레이부(102)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1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된 조작부(101)와 사용자가 시인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02) 및 접속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104), 전원부(150), 전기자극부(106) 및 통신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01)를 조작하면 조작부(101)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는 제어부(104)로 전송되고, 제어부(104)는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조작부(101)는 버튼 식 또는 다이얼식 또는 터치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조작부(101)는 모드선택부(110), 제1 출력조절부(121), 제2 출력조절부(122), 제3 출력조절부(123), 제4 출력조절부(124), 작동시간조절부(130), 온도제어부(140), 구동제어부(150), 제1 모드제어부(161), 제2 모드제어부(162), 제3 모드제어부(163), 제4 모드제어부(164), 제5 모드제어부(165) 및 패턴선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03)는 제1 접속단자(191), 제2 접속단자(192), 제3 접속단자(193), 제4 접속단자(194) 및 인렛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200)는 절연부와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절연부는 실리콘 재질이 될 수 있고, 전극부는 전도성실리콘이 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200)는 복부패드부(210), 영역패드부(220), 부황컵부(230) 및 발패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부패드부(210)는 저주파자극을 인체에 전달하는 도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부패드부(210)는 복부패드벨트를 통해 허리 또는 복부 부위에 체결되어 인체의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영역패드부(220)는 저주파자극을 인체의 특정 영역에 전달할 수 있는 도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패드부(240)는 저주파자극을 인체의 발 부위에 전달하는 도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패드부(240)는 왼발을 위한 제1 발패드와 오른발을 위한 제2 발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발패드 각각은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발패드부(240)의 통전경로로써, 발패드부(240)의 전류의 방향은 왼발, 오른발을 각각 2등분(L1, L2, R1, R2)으로 구분하여 이를 각각(L1+, L2-, R1+, R2-)방향으로 출력이 전달되어 발바닥을 자극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 통전 경로를 왼발과 오른발로 구분하여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 아닌, 왼발 및 오른발 각각의 상부 영역이나 하부 영역을 플러스로 하고, 나머지 영역을 마이너스로 하여 전류를 통전 시킴으로써, 전류의 흡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양쪽발 각각에서의 혈행을 촉진하여 통증성이나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출력선(300)은 영역패드부(220)와 부황컵부(230) 그리고 발패드부(240) 각각의 출력단자와 접속단자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영역패드부(220)는 제1 접속단자(191)에 접속될 수 있고, 부황컵부(230) 또는 발패드부(240)는 제2 접속단자(192)에 접속될 수 있고, 발패드부(240)는 제3 접속단자(193)에 접속될 수 있으며, 복부패드부(210)는 제4 접속단자(194)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발패드 모두를 사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발패드 중 어느 하나를 제2 접속단자(192)에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발패드를 제3 접속단자(193)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출력선(300)의 일측은 하나의 외피로 둘러?X여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플러스 전극용 전선과 마이너스 전극용 전선으로 구분되어 패드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영역패드부(220)는 제1 및 제2 영역패드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영역패드 중 어느 하나에는 플러스 전극용 전선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마이너스 전극용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발패드부(240)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발패드 각각의 상부 영역에는 플러스 전극용 전선이 연결되고, 하부 영역에는 마이너스 전극용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그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인렛부(195)는 퓨즈를 내장할 수 있고, 전원코드 접속부로써 전원코드(500)가 접속되고, 전원부(150)는 전원코드(500)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퓨즈는 250V, 3A의 퓨즈가 되어 과전류에 대한 기기의 보호가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104)는 최초 구동 시 제1 내지 제4 출력조절부(121, 122, 123, 124) 중 어느 하나라도 최소 출력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저주파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제로스타트 기능을 구비하여 안전 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드선택부(110)를 통해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104)는 모드선택부(110)로부터의 선택된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출력조절부(121)를 통해 제1 접속단자(191)로 출력되는 저주파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출력조절부(122)를 통해 제2 접속단자(192)로 출력되는 저주파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출력조절부를 통해 제3 접속단자(193)로 출력되는 저주파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4 출력조절부(124)를 통해 제4 접속단자(194)로 출력되는 저주파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작동시간조절부(130)를 통해 저주파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내지 90분 범위 내에서 1분 단위로 저주파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는 온도제어부(140)를 통해 후술할 복부패드부(210)의 열 발생(가온)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구동제어부(150)를 통해 저주파의 작동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모드제어부(161)를 통해 제1 설정 범위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설정 범위의 주파수는 0 내지 10 Hz가 될 수 있고, 주요 주파수는 10Hz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제어부(162)를 통해 제2 설정 범위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설정 범위의 주파수는 0 내지 20 Hz가 될 수 있고, 주요 주파수는 20Hz가 될 수 있다. 또한 제3 모드제어부(163)를 통해 제3 설정 범위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설정 범위의 주파수는 0 내지 30 Hz가 될 수 있고, 주요 주파수는 30Hz가 될 수 있다. 또한 제4 모드제어부(164)를 통해 제4 설정 범위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설정 범위의 주파수는 0 내지 55 Hz가 될 수 있고, 주요 주파수는 55Hz가 될 수 있다. 또한 제5 모드제어부(165)를 통해 제5 설정 범위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 설정 범위의 주파수는 0 내지 100 Hz가 될 수 있고, 주요 주파수는 100Hz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패턴선택부(170)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내지 제5 패턴들 각각은 시간 대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고, 동일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출력이 일정 시간 동안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드선택부(110)를 통해 수동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만 모드제어부를 통해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 패턴들 중 어느 하나에서 주파수를 달리 설정함에 따라 주파수의 증감량이 상이하고 일정 주파수의 신호가 기 설정 시간 동안 반복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자동 모드에서는 수동 모드에서의 제1 내지 제5 패턴들 중 복수개의 패턴들이 순서대로 반복하는 형태로 저주파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어부(104)는 조작부(101)에서 조작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제1 내지 제4 접속단자(191, 192, 193, 194)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10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는 구동제어부(150)에 연동하여 저주파의 작동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는 패턴선택부(170)에 연동하여 5가지의 주파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경우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는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 시 이를 표시할 수 있고, 가온기능 구동 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저주파의 세기와 출력 시간 및 남은 작동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자극기(10)에 정격전압 예를들어 220V, 60Hz의 상용전원을 입력한 후 전원스위치부(180)를 통해 턴 온하면 저주파자극기(10)는 사용자의 조작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각각의 기능버튼 및 볼륨에 의해 저주파 출력세기, 타이머 등의 출력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저주파자극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기기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자극주파수를 발생시키고, 각 접속부(103)마다 독립적으로 구성된 출력 리니어 트랜스포머의해 최대 48Vpp(500옴 로드 기준)까지 출력세기에 해당하는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저주파는 출력선(300)울 통해 연결된 패드부(200)의 출력 도자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체로 전달될 수 있다.
<저주파자극기의 제어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04)는 메인컨트롤러(11a),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11b), 정전압부(12), 제1 출력부(13), 제2 출력부(14), 제3 출력부(15), 제4 출력부(16), 온도출력부(17), 볼륨조절부(18) 및 택트스위치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컨트롤러(11a)는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11b)로부터의 제1 내지 제4 출력부(13, 14, 15, 16) 각각의 설정값을 입력받아 독립적으로 저주파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4)의 정전압부(12)는 전원부(105)로부터 수신되는 직류 전원을 스텝다운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05)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고, SMPS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압부(12)는 수신된 직류 신호를 기 설정된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V와 3V 각각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에 필요한 전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SMPS로부터 출력된 12V의 직류 신호는 제어부(104)와 디스플레이부(102) 및 온도출력부(17)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압부(12)로부터 출력되는 5V의 직류 신호는 제1 내지 제4 출력부(13, 14, 15, 16) 각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압부(12)로부터 출력되는 3.3V의 직류 신호는 메인컨트롤러(11a) 및 디지털 회로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출력부(13)는 제1 구동 인버터(13a)와 제1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 인버터(13a)는 메인컨트롤러(11a)의 제어 하에 저주파를 생성하여 제1 접속단자(191)로 출력할 수 있고, 제1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3b)는 제1 구동 인버터(13a)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검출 결과를 메인컨트롤러(11a)로 제공하고, 메인컨트롤러(11a)는 검출 결과를 통해 제1 구동 인버터(13a)의 출력 전압이 적절히 조절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부(14)는 제2 구동 인버터(14a)와 제2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4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 인버터(14a)는 메인컨트롤러(11a)의 제어 하에 저주파를 생성하여 제2 접속단자(192)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4b)는 제2 구동 인버터(14a)의 구동을 모니터링하여 검출 결과를 메인컨트롤러(11a)로 제공하고, 메인컨트롤러(11a)는 검출 결과를 통해 제2 구동 인버터(14a)의 출력 전압이 적절히 조절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3 출력부(15)는 제3 구동 인버터(15a)와 제3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5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구동 인버터(15a)는 메인컨트롤러(11a)의 제어 하에 저주파를 생성하여 제3 접속단자(193)로 출력할 수 있고, 제3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5b)는 제3 구동 인버터(15a)의 구동을 모니터링하여 검출 결과를 메인컨트롤러(11a)로 제공하고, 메인컨트롤러(11a)는 검출 결과를 통해 제3 구동 인버터(15a)의 출력 전압이 적절히 조절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4 출력부(16)는 제4-1 구동 인버터(16a)와 제4-1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6b) 그리고 제4-2 구동 인버터(16c)와 제4-2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6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1 구동 인버터(16a)는 메인컨트롤러(11a)의 제어 하에 저주파를 생성하여 제4 접속단자(194)로 출력할 수 있고, 제4-1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6b)는 제4-1 구동 인버터(16a)의 구동을 모니터링하여 검출 결과를 메인컨트롤러(11a)로 제공하고, 제4-2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6c)는 제4-2 구동 인버터(16d)의 구동을 모니터링하여 검출 결과를 메인컨트롤러(11a)로 제공하며, 메인컨트롤러(11a)는 검출 결과를 통해 제4-1 구동 인버터(16a) 및 제4-2 구동 인버터(16c)의 출력 전압이 적절히 조절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11b)는 볼륨조절부(18)와 택트(Tact)스위치부(19)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각 입력에 맞는 상황에 대해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하고, 입력된 값들을 상황에 따라 판별하여 메인컨트롤러(11a)에 설정값들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중 대략 0.1초 정도의 일정한 주기로 메인컨트롤러(11a)와의 통신을 통해 메인컨트롤러(11a)의 이상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만약 메인컨트롤러(11a)에 이상이 검출되면 모든 설정값들을 초기화 시키고, 메인컨트롤러(11a)가 리셋될 수 있도록 특정 시퀀스로 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1a)는 저주파 또는 온도 출력 중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11b)와 대략 0.1초 마다 통신을 하며, 만약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11b)의 이상으로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모든 출력을 오프 한 후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11b)의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1a)는 출력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리니어 출력트랜스를 구동하기 위한 소스를 제공하며, 이때 출력트랜스 2차측으로부터 출력 전압이 적절히 조절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 출력의 주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모드마다 프로그램된 주파수로 출력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부패드부(210)의 가온 작동이 설정되면, 온도출력부(17)를 메인컨트롤러(11a)가 구동시켜 12V의 직류 신호를 복부패드부(210)에 마련된 열선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컨트롤러(11a)는 복부패드부(210)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의 온도센서값을 모니터링하여 가온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의 회로도>
도 12는 제1 내지 제3 출력부 각각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출력부(13, 14, 15) 각각은 동일한 회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출력부(13, 14, 15) 중 제1 출력부(13)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제2 및 제3 출력부(14, 1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출력부(13)는 트랜스포머(1)와 드라이버(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1)의 1차측 트랜스포머인 제1 권선의 일단에는 정전압부(12)로부터의 직류전원이 일가되고, 타단은 메인컨트롤러(11a)의 전압컨트롤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포머(1)의 2차측 트랜스포머는 제2-1 권선과 제2-2 권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1 권선의 일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컨트롤러(11a)의 전압검출단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2 권선의 일단은 드라이버(2)의 전력입력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1)는 제1 권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이 제2-2 권선을 통해 크기가 변환되어 드라이버(2)의 전력입력단자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권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이 제2-2 권선을 통해 크기가 변환되어 메인컨트롤러(11a)의 전압검출단자에 전송됨에 따라 메인컨트롤러(11a)는 검출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제1 출력부(13)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2)는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를 구비하고, 제1 포토커플러는 메인컨트롤러(11a)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제1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2 포토커플러는 메인컨트롤러(11a)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라이버(2)는 메인컨트롤러(11a)의 제1 및 제2 제어신호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가 구동하고,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대응하여 전력입력단자로 입력된 전력을 제1 접속단자(191)로 전달함으로써 영역패드부(220)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제4 출력부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4 출력부(16)는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3, 4)와 제1 내지 제3 드라이버(5, 6, 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포머(3)의 1차측 트랜스포머인 제1 권선의 일단에는 정전압부(12)로부터의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타단은 메인컨트롤러(11a)의 제1 전압컨트롤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랜스포머(3)의 2차측 트랜스포머는 제2-1 권선과 제2-2 권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1 권선의 일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컨트롤러(11a)의 제1 전압검출단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2 권선의 일단은 드라이버(2)의 제1 전력입력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트랜스포머(4)의 1차측 트랜스포머인 제1 권선의 일단에는 정전압부(12)로부터의 직류전원이 일가되고, 타단은 메인컨트롤러(11a)의 제2 전압컨트롤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랜스포머(4)의 2차측 트랜스포머는 제2-1 권선과 제2-2 권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1 권선의 일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컨트롤러(11a)의 제2 전압검출단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2 권선의 일단은 드라이버(2)의 제2 전력입력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드라이버(5)는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를 구비하고, 제1 포토커플러는 메인컨트롤러(11a)로부터의 제3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제1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2 포토커플러는 메인컨트롤러(11a)로부터의 제4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드라이버(6)는 메인컨트롤러(11a)의 제5 제어신호단자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력입력단자로 입력된 전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드라이버(7)는 메인컨트롤러(11a)의 온도조절신호단자에 연결되어 온도조절신호단자로부터의 온도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온도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복부패드부(210)로부터 센싱된 온도검출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컨트롤러(11a)의 온도센싱수신단자로 검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컨트롤러(11a)는 온도 검출 결과와 설정된 온도 값의 비교를 통해 온도출력부(17)를 통한 열선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02)를 통해 검출된 온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저주파치료시스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와 이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저주파자극기를 이용한 저주파치료시스템을 통한 저주파치료방법의 흐름도이다. 또한 도 16은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저주파자극기를 제어하는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치료시스템(1)은 저주파자극기(10)와 단말기(20) 그리고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10)는 단말기(20)와 통신하여 단말기(20)로부터 제공되는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저주파자극기(10)의 통신부(10)는 단말기(2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LTE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 상에 미리 설치된 저주파치료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저주파치료프로그램에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는 입력된 개인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인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20)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단말기(20)는 사용자의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저주파자극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의 사용자의 명령신호는 주파수 조절 신호, 모드 선택 신호, 동작 시간 정보 신호, 복부 가온 온도 정보 신호 등 저주파자극기(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명령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자극기(10)는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각 제어신호 별 매칭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자극기(10)는 주기적으로 및/또는 저주파자극기(10)의 사용이 종료된 경우 사용 상태 정보 신호를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의 사용 상태 정보는 사용한 패드 정보와 주파수 세기 및 시간 정보, 모드 정보 그리고 복부패드부(210)의 가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는 저주파자극기(10)로부터 수신한 사용 상태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사용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20)에 설치된 저주파치료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주파치료기(10)를 원격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치료기(10)를 고령 또는 유아 등의 환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이 저주파치료기(10)의 적절한 사용법 인지가 힘든 경우 보호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저주파치료기(10)를 제어할 수 있고, 원격으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환자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6과 같이 병원 등과 같은 치료 관련 장소에서 다수의 환자에게 동시에 저주파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단말기(20)를 통해 복수개의 저주파치료기(1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병원들에 위치한 서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병원 등에 방문한 경우, 병원으로부터 처방 받은 저주파 치료 방법 정보는 서버(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20)를 통해 서버(30)로 인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수신된 인적정보에 매칭되는 저주파치료 방법 정보를 서치하여 서치된 저주파치료 방법 정보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저주파치료프로그램은 수신된 저주파치료 방법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저주파치료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저주파치료기(10)의 디스플레이부(102) 및/또는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맞춤형 제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의 맞춤형 제어 정보는 저주파치료기(10)의 제어 정보뿐만 아니라 패드부(200)의 인체 상의 적정 부착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치료기(10)는 수신한 맞춤형 제어 정보에 따라 모드 선택, 동작 시간 그리고 저주파수의 주파수 및 복부 가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무분별한 저주파자극기(10)의 사용을 방지하고, 전문가로부터 확인한 자신의 인체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절한 저주파 치료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저주파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저주파자극기(10)는 맞춤형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셋팅이 자동으로 설정된 후 구동을 시작하고 주기적으로 및/또는 저주파자극기(10)의 사용이 종료된 경우 사용 상태 정보 신호를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고, 단말기(20)는 수신한 사용 상태 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서버(30)가 위치한 병원 등에 재 방문 시 서버(30)에 수신된 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후속한 적절 치료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저주파치료시스템(1)
저주파자극기(10) 단말기(20) 서버(30)
본체부(100) 메인부(100a)
커버부(100b) 조작부(101)
모드선택부(110) 제1 출력조절부(121)
제2 출력조절부(122) 제3 출력조절부(123)
제4 출력조절부(124) 작동시간조절부(130)
온도제어부(140) 구동제어부(150)
제1 모드제어부(161) 제2 모드제어부(162)
제3 모드제어부(163) 제4 모드제어부(164)
제5 모드제어부(165) 패턴선택부(170)
디스플레이이부(102) 전원스위치부(180)
접속부(103) 제1 접속단자(191)
제2 접속단자(192) 제3 접속단자(193)
제4 접속단자(194) 인렛부(195)
제어부(104) 메인컨트롤러(11a)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11b)
정전압부(12) 제1 출력부(13)
제1 구동 인버터(13a) 제1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3b)
제2 출력부(14) 제2 구동 인버터(14a)
제2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4b) 제3 출력부(15)
제3 구동 인버터(15a) 제3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5b)
제4 출력부(16) 제4-1 구동 인버터(16a)
제4-1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6b) 제4-2 구동 인버터(16c)
제4-2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16d) 온도출력부(17)
볼륨조절부(18) 택트스위치부(19)
전원부(105) 전기자극부(106)
통신부(107) 패드부(200)
복부패드부(210) 영역패드부(220)
부황컵부(230) 발패드부(240)
출력선(300) 밴드부(400)
전원코드(500)

Claims (9)

  1.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된 명령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제공된 저주파신호를 출력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인체의 일부 영역에 저주파를 제공하는 영역패드부, 부항컵부, 복부패드부 및 발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패드부로 제공되는 저주파신호의 주파수 및 동작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복부패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흐르는 전류가 조절되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패드부, 부항컵부, 복부패드부 및 발패드부 각각에 저주파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출력부;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제1 내지 제4 출력부 각각의 설정값을 입력 받아 독립적으로 저주파 출력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 외부로부터 수신된 직류 전원을 스텝 다운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 및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상기 열선에 전류를 제공하는 온도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출력부 각각은,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저주파를 생성하여 상기 패드부로 제공하는 구동 인버터; 및 상기 구동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제공하는 출력트랜스 전압 모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출력부 각각은,
    트랜스포머 및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트랜스포머인 제1 권선의 일단에는 상기 정전압부로부터의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전압컨트롤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트랜스포머는 제2-1 권선과 제2-2 권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1 권선의 일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전압검출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2 권선의 일단은 상기 드라이버의 전력입력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저전위단자에 연결되는
    저주파치료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패드부는 출력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패드부는,
    왼발용 제1 발패드와 오른발용 제2 발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패드 각각은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출력선의 플러스 전극용 전극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출력선의 마이너스 전극용 전극이 연결되는
    저주파치료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패드부로 출력되는 저주파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
    서로 다른 미리 설정된 주파수와 동작 시간 별로 매칭된 복수의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제어부;및
    상기 복부패드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포토커플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제1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토커플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에 의해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저주파치료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가 구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대응하여 전력입력단자로 입력된 전력을 상기 패드부로 전달하는
    저주파치료기.
KR1020170015650A 2017-02-03 2017-02-03 저주파자극기 KR10191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650A KR101918563B1 (ko) 2017-02-03 2017-02-03 저주파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650A KR101918563B1 (ko) 2017-02-03 2017-02-03 저주파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96A KR20180090596A (ko) 2018-08-13
KR101918563B1 true KR101918563B1 (ko) 2018-11-14

Family

ID=6325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650A KR101918563B1 (ko) 2017-02-03 2017-02-03 저주파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5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323A (ko) * 2019-08-20 2021-03-03 박정훈 저주파 자극 장치 및 방법
KR102303452B1 (ko) 2021-04-09 2021-09-16 소재호 저주파, 중주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복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27506B1 (ko) 2022-05-25 2022-08-01 주식회사 신우메디랜드 간섭전류형 저주파자극기
KR20230037767A (ko) 2021-09-10 2023-03-17 소재호 자가 관리가 가능한 에너지 테라피 복합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233A (ja) * 1999-03-29 2000-10-03 Marutaka Co Ltd 電位治療器
KR200276019Y1 (ko) * 2002-02-15 2002-05-18 이권우 중·저주파 비만 관리기
KR200369647Y1 (ko) * 2004-09-03 2004-12-09 은나노기술주식회사 저주파 치료장치가 내장된 신발
KR200477228Y1 (ko) * 2013-12-11 2015-05-21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다기능 온열 저주파 발 자극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213B1 (ko) 2008-01-15 2009-01-28 손창현 온열전위보료용 전자파 차단 및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233A (ja) * 1999-03-29 2000-10-03 Marutaka Co Ltd 電位治療器
KR200276019Y1 (ko) * 2002-02-15 2002-05-18 이권우 중·저주파 비만 관리기
KR200369647Y1 (ko) * 2004-09-03 2004-12-09 은나노기술주식회사 저주파 치료장치가 내장된 신발
KR200477228Y1 (ko) * 2013-12-11 2015-05-21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다기능 온열 저주파 발 자극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323A (ko) * 2019-08-20 2021-03-03 박정훈 저주파 자극 장치 및 방법
KR102297936B1 (ko) * 2019-08-20 2021-09-03 박정훈 저주파 자극 장치
KR102303452B1 (ko) 2021-04-09 2021-09-16 소재호 저주파, 중주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복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
KR20230037767A (ko) 2021-09-10 2023-03-17 소재호 자가 관리가 가능한 에너지 테라피 복합 기기
KR102427506B1 (ko) 2022-05-25 2022-08-01 주식회사 신우메디랜드 간섭전류형 저주파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96A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563B1 (ko) 저주파자극기
AU202122191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JP6454370B2 (ja) 経皮的電気神経刺激のための装置
JP5663026B2 (ja) 埋込型医療機器と共に使用できるプログラム可能な又は時間的に変化する温度設定点を有する外部充電器
KR101106834B1 (ko) 오심·구토 제어용 저주파 전기 자극 신호 발생장치
US20140371814A1 (en)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10130796A1 (en) Thermostimulation methods using multilayer pads with integrated temperature regulation
EP3941564A1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US10987508B2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KR20140060459A (ko) 자극 장치
KR20140042786A (ko) 모듈형 자극 인가 시스템 및 방법
CN111787889A (zh) 热垫和/或冷垫
WO2018032105A1 (en) Systems, methods, and kits for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KR20170105211A (ko)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KR200466616Y1 (ko)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 및 구토 제어장치
KR101643191B1 (ko) 사용자 편리성의 향상을 위한 무선 충전 방식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66420B1 (ko)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AU20232009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CN217938505U (zh) 用户可控的用于缓解疼痛的理疗加热装置和刺激系统
KR20220055545A (ko)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RU2792204C2 (ru) Доставка тепловой и холодовой энергии к телу человека или животного
US20240131331A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or treating enuresis
KR20190035064A (ko) 멀티 기능성 전기자극장치
CA31487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ctile stimulation of human skin
JP2017192692A (ja) 電位集中導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