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545A -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 Google Patents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545A
KR20220055545A KR1020200139556A KR20200139556A KR20220055545A KR 20220055545 A KR20220055545 A KR 20220055545A KR 1020200139556 A KR1020200139556 A KR 1020200139556A KR 20200139556 A KR20200139556 A KR 20200139556A KR 20220055545 A KR20220055545 A KR 2022005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device
low
treatment device
stimul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만
이계진
Original Assignee
(주) 알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앤유 filed Critical (주) 알앤유
Priority to KR102020013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545A/ko
Publication of KR2022005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는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등과 같이 치료기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들이 치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치료기의 강도가 너무 강할 경우 사용자의 인체 혹은 신체의 반응을 측정센서부(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치료기의 강도를 낮추거나 꺼버릴 수 있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아픔 혹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Stimulation Measuring device and pain treatment machine equipped with a stimulator}
본 발명은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는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등과 같이 치료기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들이 치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치료기의 강도가 너무 강할 경우 사용자의 인체 혹은 신체의 반응을 측정센서부(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치료기의 강도를 낮추거나 꺼버릴 수 있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아픔 혹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고령화에 수반하여, 연령층을 불문하고 건강관리, 건강유지 및 건강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요즘의 많은 사람은 질환의 조기발견 혹은 예방을 목적으로 병원 등의 의료시설의 전문가의 진단이나 조언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스포츠클럽과 같은 비 의료시설을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관리, 유지 및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자신의 건강을 점검하고 혹은 치료를 계속하기 위한 가정에서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장치도 다수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 중 저주파 치료기는 신체의 허리, 복부, 다리, 어깨, 발바닥 등과 같은 특정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기 위한 출력장치로서 다수의 작은 패드를 부착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신체에 부착된 패드로 동일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규칙적인 저주파 신호를 공급하여 신체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6851호 저주파 치료기에 관련된 내용이 공개되어 있다.
부착된 패드를 통하여 환부에 약한 전기 자극을 줌으로써, 마비된 근육을 수축 운동시켜 마사지하거나 흥분된 신경을 진정시켜 통증을 제거하여 피로회복은 물론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자연 치유를 도와주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는 미리 결정된 동작모드, 동작시간, 동작 세기 등으로 작동하게 된다. 하지만, 사람들마다 전기 자극에 느끼는 강도가 상이하여 일괄적으로 적용하다가 보면 어떤 사람은 전기 자극에 대해 아프거나 놀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685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355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주파패드의 일측에 측정센서부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고, 임계치 이상의 가속도가 감지될 경우 통증치료기의 강도를 낮추거나 꺼버리는 등의 제어를 하여 사용자가 아픔 혹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극측정부를 구비한 통증치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극측정장치는, 치료기본체, 케이블, 저주파패드로 이루어진 치료기의 일측에 부설되며 내부에는 저주파 전류에 의해 인체의 반응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센서부가 구비된 자극측정본체; 상기 자극측정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인체의 반응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정센서부는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극측정본체 하단에는 저주파패드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는 자극측정장치; 및 저주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정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치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저주파패드의 일측에 측정센서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반응을 감지하고, 임계치 이상의 가속도가 감지될 경우 통증치료기의 강도를 낮추거나 꺼버리는 등의 제어를 하여 사용자가 아픔 혹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의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극측정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극측정 및 저주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의 모습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의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극측정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극측정 및 저주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100)는 저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부착된 패드로 주파수 특성을 갖는 규칙적인 저주파 신호를 공급하여 신체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치료기(110)와 상기 패드의 일측에 부설되어 저주파 전류에 의해 인체의 반응을 감지할 수 있는 자극측정장치(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치료기(110)(혹은 통증치료기(110))는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출력부(111-1)와, 상기 저주파출력부(111-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11-2)와, 상기 저주파출력부(111-1)와 제어부(111-2)가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에는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1-3)가 구비된 치료기본체(111)와, 상기 치료기본체(111)에 일측이 결합되는 케이블(112)과, 상기 케이블(112)의 타측과 결합되며 인체의 특정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저주파출력부(111-1)에서 제공한 저주파 전류를 전달하는 저주파패드(113)와, 상기 치료기본체(111) 외면에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조작부(111-4)를 구성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패턴 혹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주파 패턴 및 사용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치료기(1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원부(미도시)도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는 유선 혹은 무선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유선형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케이블(112) 방식일 것이며, 무선형태는 배터리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될 것이다. 물론 이 두가지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1-2)에는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이나 장치 등을 제어하는 일종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써, 일반적으로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극측정장치(120)는 상기 저주파패드(113)의 일측에 부설되며 내부에는 저주파 전류에 의해 인체의 반응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센서부(121-1)가 구비된 자극측정본체(121)와, 상기 자극측정본체(12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센서부(121-1)를 통해 측정한 인체의 반응 정보를 제어부(111-2)에 제공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처리부(121-2)와, 상기 신호처리부(121-2)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처리부(121-2)에서 발생한 신호를 제어부(111-2)로 전달하는 통신수단부(121-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100)가 작동되는 순서와 이때 저주파의 강도를 조절하는 순서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을 하겠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11-4)을 이용하여 원하는 강도를 설정하고 치료기(110)를 작동을 시키게 되면, 상기 저주파출력부(111-1)에서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며 이는 상기 케이블(112)을 통해 저주파패드(113)로 전달되고 사용자의 인체에 저주파 전류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극측정장치(120)가 저주파패드(113)의 일측에 부설되어 저주파 전류에 의한 인체의 반응을 감지한다. 상기 자극측정장치(120)에는 인체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센서부(121-1)가 포함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속도센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금 더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정센서부(121-1)를 가속도센서 뿐만 아니라 자이로센서까지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인체의 반응을 측정한 값이 임계값을 넘지 않게 되면, 상기 신호처리부(121-2)를 통해 제어부(111-2)로 임계값을 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111-2)는 저주파출력부(111-1)를 추가적으로 제어하지 않아 상기 치료기(110)는 초기 설정된 강도로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호처리부(121-2)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1-2)로 전달하기 위해 통신수단부(121-3)가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통신수단부(121-3)는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을 하게 된다. 유선방식은 일반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케이블(112) 방식일 것이며, 무선방식은 무선통신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게 될 것이다. 물론 상기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기 신호처리부(121-2)와 제어부(111-2)가 유선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자극측정장치(120)는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치료기(1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서 작동할 것이며,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 받아서 작동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인체의 반응을 측정한 값이 임계값을 넘게 되면, 상기 신호처리부(121-2)를 통해 제어부(111-2)로 임계값을 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111-2)는 저주파출력부(111-1)를 제어하여 상기 치료기(110)는 초기 설정된 강도 보다 낮은 강도의 저주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저주파출력부(111-1)를 제어하여 낮은 강도의 저주파를 발생하더라도 인체의 반응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지속적으로 저주파의 강도를 낮추며, 임계값 이하일 경우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는 저주파의 강도를 출력하게 된다.
만약, 인체의 반응이 임계값 이상으로 움직되, 너무 격렬하게 움직일 경우에는 상기 저주파출력부(111-1)를 제어하여 상기 치료기(110)의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
상기 자극측정장치(120)를 필요에 따라서는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자극측정본체(121) 하단에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의 경우 일반적으로 벨크로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부착이 용이한 방법이라면 상기 고정수단에 적용할 수 있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의 모습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앞서 설명한 것은 상기 치료기(110)가 패드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 자극을 주고자 하는 부위에 붙이는 형태이며, 도 4는 일반적으로 핸디형태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가져다 대어서 자극을 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저주파패드(113)가 없어서 상기 자극측정장치(120)를 저주파패드(113)에 부설할 수 없다. 이럴 경우, 상기 자극측정장치(120)를 치료기(110)의 외면에 형성하거나 혹은 치료기(110)의 내면에 형성하여 저주파의 자극에 대한 인체의 반응을 측정하게 된다.
인체의 반응을 측정하여 강도를 조절하는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치료기의 자극 강도가 변화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1-3)를 통해서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추후에 다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강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쳐도 되지만 원하는 강도를 바로 입력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100)는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등과 같이 치료기(110)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들이 치료기(1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치료기(110)의 강도가 너무 강할 경우 사용자의 인체 혹은 신체의 반응을 측정센서부(121-1)(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치료기(110)의 강도를 낮추거나 꺼버릴 수 있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아픔 혹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0 -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110 - 치료기
111 - 치료기본체
111-1 - 저주파출력부
111-2 - 제어부
111-3 - 디스플레이부
111-4 - 조작부
112 - 케이블
113 - 저주파패드
113-1 - 전극
120 - 자극측정장치
121 - 자극측정본체
121-1 - 측정센서부
121-2 - 신호처리부
121-3 - 통신수단부

Claims (6)

  1. 치료기본체,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케이블, 저주파패드 및 전원부로 이루어진 치료기의 일측에 부설되며 내부에는 저주파 전류에 의해 인체의 반응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센서부가 구비된 자극측정본체;
    상기 자극측정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인체의 반응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기 위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부는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측정본체 하단에는 저주파패드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측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측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자극측정장치; 및
    저주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정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치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측정장치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KR1020200139556A 2020-10-26 2020-10-26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KR20220055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556A KR20220055545A (ko) 2020-10-26 2020-10-26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556A KR20220055545A (ko) 2020-10-26 2020-10-26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45A true KR20220055545A (ko) 2022-05-04

Family

ID=8158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556A KR20220055545A (ko) 2020-10-26 2020-10-26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54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851A (ko) 2008-11-20 2010-05-28 (주)아이티시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이 부가된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101635588B1 (ko) 2014-06-17 2016-07-04 최만규 저주파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851A (ko) 2008-11-20 2010-05-28 (주)아이티시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이 부가된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101635588B1 (ko) 2014-06-17 2016-07-04 최만규 저주파 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370B2 (ja) 経皮的電気神経刺激のための装置
US117309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tton-free control of a wearabl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using interactive gestures and other means
US9314622B2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walking and other locomotion functions
CN201625339U (zh) 康复治疗装置
US11260218B2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WO2020033883A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or treating enuresis and pelvic floor disorders
US9204822B2 (en) Apparatus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body
JP2004504922A (ja) Fes制御システムへのインターフェイス
KR20110118879A (ko) 능동형 재활운동 장치 및 시스템
WO2017172998A1 (en) Wireless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for physiological response
KR20200075011A (ko) 아뇨증 감소 시스템
KR102472838B1 (ko) 골반저근 자극장치
KR101918563B1 (ko) 저주파자극기
KR20080099752A (ko) 낙상 방지 보조 장치
KR200466616Y1 (ko)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 및 구토 제어장치
KR20220055545A (ko) 자극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통증치료기
KR20180036371A (ko) 휴대용 국소 진동 자극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WO2020175650A1 (ja) 電流刺激装置
KR102014590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M517619U (zh) 可刺激穴位之穿戴裝置
EP39813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nd assisting gait of a person
US20200188653A1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KR102054554B1 (ko) 멀티 기능성 전기자극장치
TWM444181U (zh) 產生電刺激的電療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