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13B1 -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513B1
KR101918513B1 KR1020160157113A KR20160157113A KR101918513B1 KR 101918513 B1 KR101918513 B1 KR 101918513B1 KR 1020160157113 A KR1020160157113 A KR 1020160157113A KR 20160157113 A KR20160157113 A KR 20160157113A KR 101918513 B1 KR101918513 B1 KR 10191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mage
game
charact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326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15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5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11Input form cards, tapes, discs
    • A63F2009/2419Op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 카드에 포함된 게임 캐릭터의 고유 정보값을 카드 패턴 인식에 의해 달성하도록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게임 카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카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 이미지와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 카드 패턴 이미지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산출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인증을 통과하면 서버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에 상응하는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을 전송받는 단계, 및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이 카드 캐릭터 이미지에 반영되어 카드 캐릭터의 가상영상이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Augmented reality display method of game card}
본 발명은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 카드에 포함된 게임 캐릭터의 고유 정보값을 카드 패턴 인식에 의해 달성하도록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카드게임은 게임 카드에 포함된 캐릭터를 인식하고 트래킹함으로써 가상 캐릭터를 증강현실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때 가상 캐릭터의 능력치 등은 랜덤으로 제공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가상 캐릭터에 부여되는 능력치 등이 랜덤으로 제공됨으로써 게임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임카드를 무단복제하여 증강현실 게임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KR 10-1289325(발명의 명칭 :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에는 캐릭터 마커 카드가 공지되어 있으며, 캐릭터의 외형 정보 및 능력치 정보가 포함된 마커 패턴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의 카드에 포함된 마커 패턴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마커 패턴과 서로 비교되어(마커 패턴의 형상을 서로 비교) 어떤 마커 패턴인지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게임카드에 포함된 패턴 이미지 자체에 게임 캐릭터의 고유 정보값이 함의되도록 함으로써 게임 캐릭터의 고유 정보값을 쉽고 편리하게 바꿀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카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카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 이미지와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 카드 패턴 이미지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산출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인증을 통과하면 서버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에 상응하는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을 전송받는 단계, 및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이 카드 캐릭터 이미지에 반영되어 카드 캐릭터의 가상영상이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퍼즐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QR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QR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분리된 QR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분리된 QR 패턴을 통합하는 단계, 및 통합된 QR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바코드를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코드는 게임카드의 테두리 둘레 면에 패터닝된다.
또한,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시리얼 번호를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트랙킹하는 단계,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이 카드 캐릭터 이미지에 반영되는 단계, 및 카드 캐릭터의 가상영상이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 및 카메라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카드 패턴 이미지는 퍼즐 패턴, QR 패턴, 바코드 패턴, 및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카드 패턴 이미지는 카드 캐릭터 이미지를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게임카드에 패터닝된다.
또한, 카드 캐릭터 이미지의 일부 영역은 카드 패턴 이미지에 의해 덮여 있으며, 일부 영역이 카드 패턴 이미지에 의해 보이지 않는 카드 캐릭터 이미지가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 및 트래킹되어 가상 캐릭터 영상이 증강현실로 표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카드에 포함된 패턴 이미지를 통해 게임 캐릭터의 고유 정보값을 쉽고 편리하게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카드에 포함된 패턴 이미지의 일부가 게임 캐릭터의 이미지를 훼손하더라도 게임 캐릭터를 인식 및 트래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카드의 무단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카드의 증강현실 표현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캐릭터를 증강현실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도 5, 도 7,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패턴 이미지가 퍼즐, QR 패턴, 바코드 패턴, 및 시리얼 번호로 표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도 6, 도 8,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패턴 이미지를 인식하여 게임 캐릭터의 고유정보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카드의 증강현실 표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카드에 포함된 카드 패턴 이미지와 이와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의 고유정보값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2개의 게임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표시되어 대전게임을 수행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스마트폰에서 2개의 게임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표시되어 대전게임을 수행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카메라 모듈부(210)는 게임 카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카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게임 카드는 일예로서 캐릭터 A가 포함된 게임카드(21)와 캐릭터 B가 포함된 게임카드(22)일 수 있다. 게임카드(21,22)를 카메라가 촬영하여 카드 이미지를 얻는다. 카메라는 한 번에 하나의 게임카드를 촬영할 수도 있고, 동시에 여러 게임카드를 촬영할 수도 있다. 동시에 여러 게임카드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게임 캐릭터(11b,12b)가 증강현실로 표현된다. 이와 달리 한 번에 하나의 게임카드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가상의 게임 캐릭터 중 촬영된 게임 캐릭터와 관련된 가상의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표현된다. 카메라(또는 카메라 모듈)는 바람직하게 스마트폰 등에 부착된 카메라로 구체화될 수 있으나 휴대용 게임기 등에 부착된 카메라일 수 있다.
게임카드(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캐릭터 이미지(111)와 카드 패턴 이미지(112a)가 포함되어 있다. 카드 캐릭터 이미지(111)는 증강현실 알고리즘에 의해 가상의 캐릭터로 변환되어 스마트폰 등에 표시되며, 카드 패턴 이미지(112a)는 카드 캐릭터의 고유한 정보값이 함의되어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모듈부가 게임 카드를 촬영하여 게임 카드 이미지를 생성하면, 카드 인식부(220)는 게임 카드 이미지를 카메라 모듈부(210)로부터 전송받으며, 카드 패턴 이미지 추출부(221)는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 이미지와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함으로써 카드 패턴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카드 패턴 이미지 추출부(221)는 제1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게임카드에 포함된 카드 패턴 이미지만을 분리 추출한다. 이때 사용되는 제1 알고리즘은 이미지 또는 영상의 특징점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일예로서 AGAST 패턴인식 알고리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알고리즘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종래의 다양한 패턴인식 알고리즘 또는 증강현실 엔진 알고리즘(또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인식 및 트래킹 엔진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카드 패턴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이미지 또는 영상의 패턴을 인식하는 제1 알고리즘과 추후에 설명되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제2 알고리즘(일예로서 FAST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 패턴 이미지 인식부(222)는 카드 패턴 이미지 추출부(221)가 추출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카드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또는 카드 고유 수치값)을 도출한다. 이때,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은 패턴 이미지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카드 패턴 이미지는 "10"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카드 패턴 이미지와 다른 패턴인 제2 카드 패턴 이미지는 "2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설정은 하나의 예시로서 수치값의 적용에 대한 규칙은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드 인식부(220)는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과 사용자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정보는 현재 스마트폰의 앱을 통하여 게임카드를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이다. 즉, 사용자 정보는 일예로서 "홍길동(이름), 닉네임, 또는 사용자 고유정보(숫자로 이루어진 사용자를 대신할 수 있는 수치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카드 패턴 이미지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400)에 등록되어 추후 카드 인증시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의 추출은 카드 사용자 정보 추출부(223)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게임카드를 촬영하게 되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시 사용자 정보를 미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카드 사용자 정보 추출부(223)가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의 추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즉, 종래의 게임카드는 사용자가 구입 후 게임카드의 사용을 위해서는 게임카드에 기재된 인증번호를 판매자가 지정한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등록을 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같이 사용자 정보와 함께 카드 패턴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게임카드 사용시에 필요한 카드 인증 등록 절차의 불편함이 없어지고, 또한 게임카드를 불법적으로 복제하여 무단도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지 않고 카드 패턴 이미지만을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때, 카드 인증부(310)에서 카드 패턴 이미지와 함께 인증번호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인증번호별로 카테고리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카드 불법복제를 방지하고(불법복제 카드는 서버에 의해 인증이 되지 않을 것임)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카드 패턴 이미지를 인식하고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게임카드는 퍼즐 게임카드(110)로서 게임카드에는 게임 캐릭터 이미지(111)와 퍼즐 패턴(112a,112b)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도 3(a)의 퍼즐 패턴과 도 3(b)의 퍼즐 패턴은 서로 다른 패턴이며,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퍼즐 패턴 모양이 게임카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게임카드에 포함되는 패턴은 후술하는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제2 알고리즘에 의해 게임 캐릭터를 인식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패터닝(즉 게임 캐릭터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패터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패턴 이미지가 포함된 게임카드를 일반적인 증강현실 알고리즘에 의해 게임 캐릭터를 인식 및 트래킹(추적)하는 것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카드의 무단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무단복제를 하여도 게임 캐릭터를 인식 및 추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알고리즘에 의해 게임 캐릭터의 이미지를 인식 및 추적할 수 있도록 게임 패턴 이미지를 게임카드에 패터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에 의해 도 3과 같은 게임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이미지가 획득되며, 획득된 카드 이미지로부터 카드 패턴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카드 이미지의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제1 알고리즘에 의해 퍼즐 패턴을 인식한다. 인식된 퍼즐 패턴에는 기 정의된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이 포함되어 있다. 즉, 퍼즐 패턴에 대응되는 수치값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이 수치값이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이 될 수 있다. 다만 수치값이외에 다양한 값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카드 패턴 이미지의 다른 예로서 도 5의 게임카드(120)에는 게임 캐릭터(121)와 함께 QR 패턴(122a,122b)이 포함 되어 있다. 도 5(a)에는 QR 패턴이 게임 캐릭터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포함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QR 패턴이 게임카드의 4 모서리에 각각 분할되어 포함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도 5(a)와 같은 게임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이미지가 획득되며, 획득된 카드 이미지로부터 카드 패턴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카드 이미지의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제1 알고리즘에 의해 QR 패턴을 인식한다. 인식된 QR 패턴에는 기 정의된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도 5(b)에는 QR 패턴이 각각 분할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QR 패턴을 인식한 후 QR 패턴 이미지를 통합하고, 통합 QR 패턴으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획득하도록 한다.
한편, 카드 패턴 이미지의 다른 예로서 도 7의 게임카드(130)에는 게임 캐릭터(131)와 함께 바코드 패턴(132a,132b,132c)이 포함 되어 있다. 도 6(a)(c)에는 바코드 패턴이 게임 캐릭터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게임카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도 6(b)에는 바코드 패턴이 게임카드의 외곽 테두리 영역에 패터닝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도 7과 같은 게임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이미지가 획득되며, 획득된 카드 이미지로부터 카드 패턴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카드 이미지의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제1 알고리즘에 의해 바코드 패턴을 인식한다. 인식된 바코드 패턴에는 기 정의된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카드 패턴 이미지의 다른 예로서 도 9의 게임카드(140)에는 게임 캐릭터(141)와 함께 시리얼 번호(142)가 포함되어 있다. 도 9에는 시리얼 번호가 게임 캐릭터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게임카드에 포함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도 9와 같은 게임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이미지가 획득되며, 획득된 카드 이미지로부터 카드 패턴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카드 이미지의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시리얼 번호를 인식한다. 인식된 시리얼 번호에는 기 정의된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카드 패턴 이미지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획득하여 사용자 정보와 함께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의 카드 인증부(3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한다. 카드 인증은 사용자 정보와 함께 카드 패턴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부(400)에 등록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게임 카드 등록 데이터(410)가 축적되게 된다. 카드 인증이 완료되면 추후 무단 복사된 카드에 의해 증강현실이 구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로 카드 패턴 이미지가 전송될 때 인증번호를 부여하고, 인증번호별로 카테고리화하여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함으로써 카드 인증이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정보 또는 인증번호에 기초하여 카드 인증을 통과하면 서버(300)의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 획득부(320)는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에 상응하는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을 데이터베이스부(400)로부터 전송받는다.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은 데이터베이스부(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 데이터(420)로 축적되어 있다.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 데이터(4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패턴 이미지별로 고유 정보값으로 볼 수 있다. 즉, 게임카드(21)에는 캐릭터 A와 패턴 이미지a가 포함되어 있으며, 게임카드(22)에는 캐릭터 B와 패턴 이미지b가 포함되어 있다. 스마트폰의 앱에서 게임카드를 촬영하여 카드 패턴 이미지를 추출하면, 패턴 이미지a에 해당하는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을 데이터베이스부(400)로부터 획득하고, 패턴 이미지b에 해당하는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을 데이터베이부(400)로부터 획득한다.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은 캐릭터 종류(변경 가능한 캐릭터 종류 및 외형정보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하나의 게임카드에 의해 다양한 캐릭터 변경이 가능), 능력치(공격 또는 방어 능력값), 선택 가능한 무기 종류, 능력 레벨치(상한, 능력치 업그레이드 시간)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고유정보값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계에서는 게임카드의 카드 패턴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 패턴으로부터 카드 캐릭터의 고유정보값을 데이터베이스부(400)로부터 획득한다.
다음으로, 대전게임 구현부(240)의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 적용부(241)는 서버(300)의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 획득부(320)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에 상응하는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을 전송받는다. 카드 캐릭터의 고유정보 적용부(241)는 카드 캐릭터의 고유정보값이 카드 캐릭터 이미지에 반영되도록 한다. 즉, 카드 캐릭터의 고유정보값이 일예로서 공격치 20, 방어치 10, 캐릭터 외형치 30(캐릭터의 몸집 크기)이라면 이에 맞게 캐릭터의 가상영상이 증강현실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게임 캐릭터 구동부(242)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이 반영된 카드 캐릭터의 가상영상을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도 13에는 게임 캐릭터 A(11a)가 게임카드(21)에 포함되어 있으며, 게임 캐릭터 B(12a)가 게임카드(22)에 포함되어 있다. 카드 캐릭터의 고유정보값이 반영된 각각의 가상영상 캐릭터(11b,12b)는 증강현실 구현부(230)에 의해 각각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렇게 증강현실로 카드 캐릭터의 가상영상이 표출되어 대전 게임을 수행한다. 대전게임은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각각의 가상 캐릭터의 행동반경이 정해지고 또한 공격/방어가 이루어져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대전게임은 스마트폰의 앱에서 다양한 터치 버튼(방향키, 공격, 방어 버튼, 능력치 변경, 캐릭터 종류 변경)을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버튼도 증강현실로 구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카드 패턴 이미지를 인식하지 않았기 때문에 게임 캐릭터의 고유값을 랜덤으로 부여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게임 캐릭터의 다양한 고유값을 카드 패턴 이미지 인식에 의해 쉽고 편리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전게임은 도 13과 같이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2명의 게임유저가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이에 따라 각자의 게임 캐릭터 터치 버튼이 제공됨) 다른 한편으로 타 스마트폰 사용자와 서로 1:1 대전게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14와 같이 가상 게임 캐릭터 A(11b)는 제1 스마트폰 사용자에 의한 캐릭터이며, 가상 게임 캐릭터 B(12b)는 제2 스마트폰 사용자에 의한 캐릭터로서 각자의 스마트폰의 앱에 동시에 두 사용자의 가상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표현되어 대전게임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카드 캐릭터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것은 증강현실 구현부(230)의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 이미지를 인식하고 트래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게임카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즉, 카메라 각도가 바뀌는 경우 이 카메라 각도에 따라 가상 캐릭터가 변화되도록 한다. 한편, 증강현실은 증강현실 구현부(230)에 의해 카드 캐릭터 이미지를 인식하고 트래킹한다. 이러한 증강현실 구현의 일예로서 도 2와 같은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즉, 카메라로부터 게임카드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면 페이지를 인식하고 페이지를 트래킹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페이지 인식은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한 페이지 트래킹을 무한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상의 게임 캐릭터를 증강현실로 표현한다. 페이지 인식 프로세스는 제2 알고리즘이 적용된 특징점 추출과정(FAST 특징점 검출기), 페이지 인식 및 특징점 매칭 과정(Generic randomized forest와 서브영역의 spatial locality를 이용), outlier 제거 과정(PROSAC 기법 이용), 및 초기 자세 추정 과정(호모그라피 분해 방법을 이용)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페이지 트래킹 프로세스는 키프레임 기반 트래킹, 자세예측 과정, 점진적인(Coarse-to-Fine) 매칭 과정, 키프레임 업데이트 과정이 수행된다. 자세예측 과정은 바로 전 프레임에서 계산된 카메라 자세로부터 현재 자세를 예측하며, 점진적인 매칭 과정은 예측된 카메라 자세로부터 정확한 카메라 자세 혹은 페이지 자세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키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 간의 특징점 매칭이 필요하다. 키프레임 업데이트 과정은 기존 키프레임보다 현재 영상이 현재 트래킹하는 페이지를 더 잘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페이지 인식 및 트래킹에 대한 것은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게임카드 증강현실 표시 방법은 게임카드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게임카드 이외에 스크래치 북이나 책에 그려진 캐릭터에 적용되어 증강현실을 표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1a : 게임 캐릭터 A
11b : 가상 게임 캐릭터 A
12a : 게임 캐릭터 B
12b : 가상 게임 캐릭터 B
21 : 캐릭터 A 게임 카드
22 : 캐릭터 B 게임 카드
110 : 퍼즐 게임 카드
111 : 게임 캐릭터
112a : 제1 퍼즐 패턴
112b : 제2 퍼즐 패턴
120 : QR 게임 카드
121 : 게임 캐릭터
122a : 제1 QR 패턴
122b : 제2 QR 패턴(분할 QR 패턴)
130 : 바코드 게임 카드
131 : 게임 캐릭터
132a : 제1 바코드 패턴
132b : 제2 바코드 패턴
133c : 제3 바코드 패턴
140 : 시리얼 게임 카드
141 : 게임 캐릭터
142 : 시리얼번호
210 : 카메라 모듈부
220 : 카드 인식부
221 : 카드 패턴 이미지 추출부
222 : 카드 패턴 이미지 인식부
223 : 카드 사용자 정보 추출부
230 : 증강현실 구현부
231 : 오브젝트 인식부
232 : 오브젝트 트래킹부
240 : 대전게임 구현부
241 :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 적용부
242 : 게임 캐릭터 구동부
300 : 서버
310 : 카드 인증부
320 :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 획득부
400 : 데이터베이스부
410 : 게임 카드 등록 데이터
420 : 카드 캐릭터 정보 데이터

Claims (10)

  1. 게임 카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카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 이미지와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로부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산출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인증을 통과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게임카드 고유 정보값에 상응하는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을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이 상기 카드 캐릭터 이미지에 반영되어 카드 캐릭터의 가상영상이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퍼즐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QR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QR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분리된 QR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분리된 QR 패턴을 통합하는 단계, 및
    통합된 QR 패턴을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바코드를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상기 게임카드의 테두리 둘레 면에 패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를 분리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카드 이미지에 포함된 시리얼 번호를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카드 캐릭터와 분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카드 캐릭터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트랙킹하는 단계,
    상기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이 상기 카드 캐릭터 이미지에 반영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캐릭터의 가상영상이 상기 카드 캐릭터 고유정보값 및 상기 카메라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는,
    퍼즐 패턴, QR 패턴, 바코드 패턴, 및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는 상기 카드 캐릭터 이미지를 상기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게임카드에 패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캐릭터 이미지의 일부 영역은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에 의해 덮여 있으며,
    일부 영역이 상기 카드 패턴 이미지에 의해 보이지 않는 카드 캐릭터 이미지가 상기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 및 트래킹되어 가상 캐릭터 영상이 증강현실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KR1020160157113A 2016-11-24 2016-11-24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KR10191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113A KR101918513B1 (ko) 2016-11-24 2016-11-24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113A KR101918513B1 (ko) 2016-11-24 2016-11-24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326A KR20180058326A (ko) 2018-06-01
KR101918513B1 true KR101918513B1 (ko) 2018-11-14

Family

ID=6263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113A KR101918513B1 (ko) 2016-11-24 2016-11-24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5593B2 (ja) 2018-05-23 2021-08-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化合物、これを含む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KR102252159B1 (ko) * 2019-08-27 2021-05-14 (주)네오위즈랩 증강현실 포토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그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018B1 (ko) * 2006-04-27 2008-04-02 김용환 카드를 이용한 게임 장치 및 방법
KR20110042474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10110379A (ko) * 2010-03-31 2011-10-07 주식회사 티쓰리엔터테인먼트 카메라를 이용한 카드 게임 시스템
KR101049090B1 (ko) * 2010-09-17 2011-07-15 성준형 증강 현실 마커 및 증강 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유통 방법
KR20100138863A (ko) * 2010-12-14 2010-12-3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카메라 탑재 단말기에서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1289325B1 (ko) 2011-03-31 2013-07-24 주식회사 아이피게임즈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326A (ko)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1947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To Control Access To A Computer System Using Interaction With An Output
CN101379528B (zh) 面部认证装置、面部认证方法
CN104823203B (zh) 生物特征模板安全性及密钥产生
CN103577801B (zh) 用于生物特征验证的质量度量的方法和系统
US20150186708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KR101285648B1 (ko) 비가시화정보 임베딩장치, 비가시화정보 인식장치, 비가시화정보 임베딩방법, 비가시화정보 인식방법 및 기록매체
US101087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biometric processing
US20110310260A1 (en) Augmented Reality
JP2015138449A (ja) 個人認証装置、個人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875582A (zh) 身份验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
JP2014523019A (ja) 動的ジェスチャー認識方法および認証システム
CN111640169A (zh) 历史事件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777922B1 (ko) 영상인식을 이용한 개인인증 및 전자서명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918513B1 (ko)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JP6079671B2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98991A1 (en) Game doll recognition system, recognition method and game system using the same
WO202011591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61530B2 (ja) 利用者検知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5883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285724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5787339B (zh) 基于目标识别技术的密码输入的方法及装置
JP2020149337A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58959A (ja) 類似画像判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6631737B1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052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sking biometric information in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