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325B1 -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325B1
KR101289325B1 KR1020110029524A KR20110029524A KR101289325B1 KR 101289325 B1 KR101289325 B1 KR 101289325B1 KR 1020110029524 A KR1020110029524 A KR 1020110029524A KR 20110029524 A KR20110029524 A KR 20110029524A KR 101289325 B1 KR101289325 B1 KR 10128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card
augmented reality
gam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170A (ko
Inventor
김한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피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피게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피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02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32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마커 카드를 이용하여 현실공간에 가상의 3차원 캐릭터인 아바타를 등장시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더한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커 패턴이 표시된 마커 카드를 이용하여 3차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커 카드를 사용자가 직접 움직여 3차원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네트워크화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을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BASEBALL GAM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마커 카드를 이용하여 현실공간에 가상의 3차원 캐릭터인 아바타를 등장시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더한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은 실세계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최근 모바일 장치 등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에 구비된 카메라로 현실 세계를 비추면 해당 화면에 위치된 업소 등의 연락처 등이 가상적으로 겹쳐지는 등의 기술이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아케이드 게임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규모가 가장 큰 시장이지만, 현재까지 증강현실을 적용한 게임 장치가 등장하고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커 패턴이 형성된 마커 카드와, 상기 마커 카드의 마커 패턴과 그 움직임을 인식하여 캐릭터의 3차원을 모델링하는 증강현실 게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마커 카드는 캐릭터 마커 카드와, 아이템 마커 카드를 포함한다. 상기 캐릭터 마커 카드는 카드의 일면에 인쇄된 캐릭터와, 상기 캐릭터의 능력치가 표시된 능력치 정보와, 상기 캐릭터의 외형 정보 및 능력치 정보가 포함된 마커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템 마커 카드는 일면에 인쇄된 아이템과, 상기 아이템의 능력치가 표시된 능력치 정보와, 상기 아이템의 외형 정보 및 능력치 정보가 포함된 마커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증강현실 게임기는, 상기 마커 카드를 인식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임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와 접속되어 상기 플레이되는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메인 보드와 접속되어 상기 마커 카드의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을 획득하는 비디오카메라 모듈과, 상기 메인 보드와 접속된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접속된 코인기와, 상기 마커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디스펜서와, 게임유저 인터페이스인 버튼과, 게임셋업 정보를 표시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게임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된 비디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게임 모듈은, 상기 비디오카메라 모듈에서 획득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을 전송하는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상기 비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에서 마커 카드의 마커 패턴을 검출하여, 미리 저장된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마커 정보와 비교하여 검출된 마커 패턴을 파악하는 마커 검출 모듈과, 상기 비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에서 마커 카드의 마커 패턴의 이동을 검출하여 마커 카드 이동 정보를 생성하며, 마커 검출 모듈에서 파악된 마커 패턴과 마커 카드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트래킹 시스템과, 상기 가상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3차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 모듈과, 상기 3차원 모델링 모듈에서 생성된 3차원 캐릭터를 게임 영상에 정합하는 영상 정합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보드는 이더넷 허브에 의해 다수개의 증강현실 게임기를 네트워크화하는 이더넷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게임기는 사용자의 게임 스코어에 따라 티켓을 배출하는 티켓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킹 시스템은 상기 마커 카드의 이동 시, 특정 주기로 검출되는 마커 패턴의 위치 좌표 사이의 중간 좌표를 계산하여, 상기 3차원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프레임 레이트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게임기는 사용자의 게임 스코어에 따라 티켓을 배출하는 티켓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커 패턴이 표시된 마커 카드를 이용하여 3차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커 카드를 사용자가 직접 움직여 3차원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네트워크화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을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마커 카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메인보드 블록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트래킹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캐릭터 마커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에서 플레이되는 게임 장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마커 카드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마커 카드 중 캐릭터 마커 카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마커 카드 중 아이템 마커 카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 카드의 마커 패턴과 그 움직임을 인식하여 캐릭터의 3차원을 모델링하는 증강현실 게임기(1000)와, 마커 카드(20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블록도이다.
증강현실 게임기(1000)는 사용자가 마커 카드(2000)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보드(100)와, 메인 보드(100)와 접속된 인터페이스 보드(200)와, 메인 보드(100)와 접속된 이더넷 허브(3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 스피커(500), 비디오카메라 모듈(600)과, 인터페이스 보드(200)와 접속된 코인기(710), 카드 디스펜서(720), 티켓 디스펜서(730), 타석 패드 버튼(740), 컨트롤 패널(750), 및 조명 장치(760)를 포함한다.
메인 보드(100)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임 모듈(110)과, 이더넷 모듈(120)과, 비디오 모듈(130)과, 오디오 모듈(140) 및 제 1 USB 모듈(150)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메인보드 블록도이다.
게임 모듈(110)은 마커 카드(2000)를 인식하여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터페이스(111)와, 마커 검출 모듈(112)과, 트래킹 시스템(113)과, 3차원 모델링 모듈(114)과, 영상 정합 모듈(115)과,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와, 리소스 데이터베이스(117), 및 게임 엔진(미도시)을 포함한다.
비디오 인터페이스(111)는 비디오카메라 모듈(600)로부터 마커 카드(2000)에 대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을 전송받아 마커 검출 모듈에 전달한다. 이때, 비디오 인터페이스(111)에서 마커 검출 모듈에 전달되는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은 비조정 이미지이다. 또한, 비디오카메라 모듈(600)은 단일 이미지 또는 연속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마커 검출 모듈(112)은 비디오 인터페이스(111)에서 전달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을 기반으로 마커 카드(2000)에 표시된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커 카드(2000)를 인식하는 로드/언로드 모듈과, 마커 카드(2000)에서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 모듈과,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의 마커 패턴을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와 비교하여 인식하는 마커 패턴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로드/언로드 모듈은 마커 카드가 카메라 영상화면에 로드 또는 언로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로드/언로드 모듈은 비디오카메라 모듈(600)에서 획득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에 마커 패턴이 존재하는지 검출한다.
관심 영역 추출 모듈은 마커 카드(2000)에 대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에서 관심 영역을 추출한다. 즉, 비디오카메라 모듈(600)에서 획득된 마커 카드(2000)의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은 마커 카드(2000)뿐만 아니라 마커 카드(2000)가 위치한 지역의 배경 이미지까지 모두 획득된다. 따라서, 마커 카드(2000)의 마커 패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에서 마커 카드(2000)가 존재하는 영역을 획득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관심 영역 추출 모듈은 마커 카드(2000)가 존재하는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한다.
마커 패턴 인식 모듈은 관심 영역 추출 모듈에서 추출한 관심 영역에서 마커 카드(2000)의 마커 패턴을 인식한다. 이를 위해서, 마커 패턴 인식 모듈은, 마커 카드(2000)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를 이용한다. 즉, 마커 패턴 인식 모듈은 획득된 마커 패턴을 미리 저장된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인식된 마커 패턴이 어떤 패턴인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 획득된 마커 패턴의 사이즈를 조정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트래킹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트래킹 시스템(113)은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트래킹 시스템(113)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시키는 마커 카드(2000)의 위치를 추적한다. 또한, 트래킹 시스템(113)은 마커 카드(2000)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마커 패턴의 위치를 좌표로 표현한다. 또한, 추적된 마커 카드(2000)의 위치와 마커 패턴 인식 모듈에서 인식된 마커 패턴으로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이때, 가상 오브젝트에는 마커 카드(2000)의 위치 정보와 마커 패턴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트래킹 시스템(113)은 마커 카드(2000)의 이동 시 그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즉, 트래킹 시스템(113)은 검출된 마커 패턴의 위치 좌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현할 때, 특정 주기로 검출되는 좌표와 좌표 사이의 중간 좌표를 계산해 내어 화면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3차원 모델링 모듈(114)은 트래킹 시스템(113)에서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와 리소스 데이터베이스(117)를 기반으로 마커 카드(2000)의 마커 패턴에 대응하는 3차원을 모델링한다. 즉, 가상 오브젝트에 포함된 마커 패턴 정보 및 리소스 데이터베이스(117)에 저장된 리소스를 기반으로 해당 마커 패턴에 해당되는 캐릭터의 3차원을 모델링한다. 또한, 마커 카드(2000)의 위치 정보와 리소스 데이터베이스(117)에 저장된 리소스를 기반으로 마커 카드(2000)가 실시간으로 이동함에 따른 3차원 오브젝트, 예를 들어, 캐릭터의 3차원을 모델링한다.
영상 정합 모듈(115)은 3차원 모델링 모듈(114)에서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 예를 들어, 캐릭터들과, 트래킹 시스템(113)에서 추출된 마커 카드(20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합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원 캐릭터가 실제 촬영되는 비디오카메라 모듈(600)의 화면에 들어가 있어야 하므로 영상 정합 모듈(115)은 게임 엔진에 포함될 수 있다.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는 마커 카드(2000)에 구비된 마커 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디오카메라 모듈(600)을 통해 획득된 마커 카드(2000)를 포함하는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에서 추출된 마커 패턴은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 미리 저장된 마커 패턴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추출된 마커 패턴이 정확하게 어떤 마커 패턴인지 알 수 있다.
리소스 데이터베이스(117)는 마커 패턴 정보와 마커 카드(2000)의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을 모델링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한다. 즉, 리소스는 마커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링 정보와, 마커 카드(2000)의 이동 정보에 따라 해당 3차원 모델링이 변화되는 3차원 모델링 변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에 따라, 3차원 모델링 모듈(114)은 마커 패턴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캐릭터와, 마커 카드(2000)의 이동에 따른 3차원 캐릭터의 변화를 모델링할 수 있다.
이더넷 모듈(120)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가 다수개 구비될 경우, 다수의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네트워크화한다. 즉, 이더넷 모듈(12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는 다수의 사용자, 예를 들어, 1명 ~ 8명의 사용자가 한팀 또는 서로 다른 팀이 되어 증강현실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각각에 구비된 이더넷 모듈(120)은 별도의 이더넷 허브(300)와 접속될 수 있다.
비디오 모듈(130)은 메인보드(1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연결하여 메인보드(100)에서 생성된 3차원 캐릭터를 포함하는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비디오 모듈(130)과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게임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40)은 게임을 플레이함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피커(500)와 접속된다. 이때, 스피커(500)가 앰프 내장형이 아닐 경우, 스피커(500)와 오디오 모듈(140) 사이에 앰프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 USB 모듈(150)은 메인보드(100)와 인터페이스 보드(200)를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USB 모듈(150)은 인터페이스 보드(200)의 제 2 USB 모듈(210)과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보드(100)와 인터페이스 보드(200)가 USB 모듈로 접속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메인보드(100)와 인터페이스 보드(200)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면 USB 모듈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더욱이, 메인보드(100)와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그 기능을 통합하여 일체형 보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사용자가 게임 진행에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의 신호를 메인보드(100)에 제공하며, 게임 진행에 필요한 마커 카드(2000) 및 티켓을 배출하는 배출 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메인보드(100)의 제 1 USB 모듈(150)과 접속되는 제 2 USB 모듈(210)과, 유저 인터페이스와 접속되는 입/출력 포트(220)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게임에 필요한 컨트롤러로서, 타석 패드 버튼(740)과, 컨트롤 패널(750)을 포함한다.
타석 패드 버튼(740)은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석 패드 버튼(740)을 터치하면 게임 상 3차원 캐릭터가 배트를 휘두른다. 이때, 본 발명은 타석 패드 버튼(740)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컨트롤 패널(750)은 게임 셋업 정보를 표시 해주거나 변경하기 위한 조정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푸시 버튼과 카운터 메터, 7-SEGMENT FND 또는 LCD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사용자가 게임을 시작에 필요한 유가증권을 투입하기 위한 코인기(710)와, 마커 카드(2000)를 배출시켜 사용자가 이를 획득하게 하는 카드 디스펜서(720)와, 게임 진행에 따라 사용자가 획득한 스코어에 따라 티켓을 배출하는 티켓 디스펜서(730), 및 조명 장치(760)를 포함한다.
코인기(710)는 입/출력 포트(220)와 접속되어 사용자가 투입한 유가증권을 인식하며, 해당 인식 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200)에 전송하여 게임을 시작하게 한다.
카드 디스펜서(720)는 사용자가 코인기(710)에 유가증권을 투입하여 게임을 시작할 때, 게임 진행에 필요한 마커 카드(2000)를 배출한다.
티켓 디스펜서(730)는 사용자의 득점 스코어에 따라 티켓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배출된 티켓으로 경품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는 단순히 홈런만 치는 타격게임이 아닌 유저의 능력별 고득점이 가능한 콤보, 스페셜 볼, 사이클링, 홈런존 및 미션 등을 제공하는 클래식/아케이드/네트워크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여 득점 스코어에 따라 티켓을 배출할 수 있다.
조명 장치(760)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함에 따른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홈런을 칠 경우, 조명 장치가 점멸될 수 있다.
마커 카드(2000)는 사용자가 게임 진행 시 필요한 마커 패턴이 기록된 카드로서, 카드의 일면에 인쇄된 캐릭터 또는 아이템 이미지와, 해당 캐릭터 또는 아이템의 능력치가 표시된 능력치 정보와, 해당 캐릭터 또는 아이템의 외형 정보 및 능력치 정보가 포함된 마커 패턴을 포함한다. 이때, 마커 검출 모듈(112)은 마커 패턴을 인식하며, 해당 마커 패턴은 미리 저장된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와 비교된다. 즉, 마커 정보는 해당 마커 패턴의 형상에 대한 정보와, 해당 마커 패턴의 형상과 연계된 캐릭터 및 능력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릭터 정보는 해당 캐릭터의 외형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마커 카드(2000)가 캐릭터 마커 카드와 아이템 마커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카드(2000)는 후술될 캐릭터 마커 카드와 아이템 마커 카드 이외의 마커 카드일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의 캐릭터 마커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에서 플레이되는 게임 장면이다.
캐릭터 마커 카드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대 속성에 따라 노멀 캐릭터 마커 카드와 파워히터 마커 카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5대 속성은 어려운 공에 대처 능력인 멘탈, 공을 정확하게 맞추는 능력인 컨택, 공을 원하는 곳으로 보낼 수 있는 능력인 컨트롤, 배팅스피드 및 배팅파워를 포함할수 있다.
아이템 마커 카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 게임에 필요한 장비, 예를 들어, 헬멧 아이템 마커 카드, 스파이크 아이템 마커 카드, 장갑 아이템 마커 카드, 배트 아이템 마커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배트 아이템 마커 카드의 경우, 노멀 아이템 마커 카드와, 파워히터 아이템 마커 카드, 및 스페셜 아이템 마커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 마커 카드에 따라 사용자의 캐릭터 마커 카드로 생성된 3차원 캐릭터의 장비가 변화될 수 있다. 더불어, 장비의 변화 뿐만 아니라 해당 아이템 마커 카드의 능력치 수치가 더해질 수 있다. 또한, 마커 카드의 좌측 하단과 우측 상단에는 마커 패턴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마커 카드에서 마커 패턴에 대한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는 도 10과 같이 마커 카드를 이용한 증강현실 야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커 패턴이 표시된 마커 카드를 이용하여 3차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커 카드를 사용자가 직접 움직여 3차원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네트워크화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을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증강현실 게임기 2000: 마커 카드
100: 메인보드 110: 게임 모듈
111: 비디오 인터페이스 112: 마커 검출 모듈
113: 트래킹 시스템 114: 3차원 모델링 모듈
115: 영상 정합 모듈 116: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
116: 리소스 데이터베이스 120: 이더넷 모듈
130: 비디오 모듈 140: 오디오 모듈
150: 제 1 USB 모듈 200: 인터페이스 보드
210: 제 2 USB 모듈 220: 입/출력 포트
300: 이더넷 허브 400: 디스플레이 장치
500: 스피커 600: 비디오카메라 모듈
710: 코인기 720: 카드 디스펜서
730: 티켓 디스펜서 740: 타석 패드 버튼
750: 컨트롤 패널 760: 조명 장치

Claims (11)

  1. 마커 패턴이 형성된 마커 카드와,
    상기 마커 카드의 마커 패턴과 그 움직임을 인식하여 게임 오브젝트 데이터로 사용하고 카메라 영상과 합성하는 증강현실 게임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게임기는,
    상기 마커 카드를 인식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임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와 접속되어 상기 플레이되는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메인 보드와 접속되어 상기 마커 카드의 이미지 스트림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메인 보드와 접속된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접속된 코인기와, 상기 마커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디펜서와, 사용자의 게임 진행을 위한 버튼 및 게임 셋업 정보를 표시 해주거나 변경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커 카드는 캐릭터 마커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마커 카드는 카드의 일면에 인쇄된 캐릭터와,
    상기 캐릭터의 능력치가 표시된 능력치 정보와,
    상기 캐릭터의 외형 정보 및 능력치 정보가 포함된 마커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커 카드는 아이템 마커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마커 카드는 일면에 인쇄된 아이템과,
    상기 아이템의 능력치가 표시된 능력치 정보와,
    상기 아이템의 외형 정보 및 능력치 정보가 포함된 마커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게임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된 비디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게임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획득된 이미지 스트림을 전송하는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상기 비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된 이미지 스트림에서 마커 카드의 마커 패턴을 검출하여, 미리 저장된 마커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마커 정보와 비교하여 검출된 마커 패턴을 파악하는 마커 검출 모듈과,
    상기 비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된 이미지 스트림에서 마커 카드의 마커 패턴의 이동을 검출하여 마커 카드 이동 정보를 생성하며, 마커 검출 모듈에서 파악된 마커 패턴과 마커 카드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트래킹 시스템과,
    상기 가상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리소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3차원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 모듈과,
    상기 3차원 모델링 모듈에서 생성된 3차원 오브젝트를 카메라 영상과 합성하여 게임 영상에 정합시키는 영상 정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이더넷 허브에 의해 다수개의 증강현실 게임기를 네트워크화하는 이더넷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시스템은 상기 마커 카드의 이동 시, 특정 주기로 검출되는 마커 패턴의 위치 좌표 사이의 중간 좌표를 계산하여, 상기 3차원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프레임 레이트를 부드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게임기는 사용자의 게임 스코어에 따라 티켓을 배출하는 티켓 디스펜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KR1020110029524A 2011-03-31 2011-03-31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KR10128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24A KR101289325B1 (ko) 2011-03-31 2011-03-31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24A KR101289325B1 (ko) 2011-03-31 2011-03-31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170A KR20120111170A (ko) 2012-10-10
KR101289325B1 true KR101289325B1 (ko) 2013-07-24

Family

ID=4728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524A KR101289325B1 (ko) 2011-03-31 2011-03-31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326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KR20190001348A (ko) * 2017-06-27 2019-01-04 (주)셀빅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융합형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83B1 (ko) * 2013-07-08 2014-06-11 지승환 완구 부착형 증강현실 콘트롤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986A (ko) * 2006-11-13 2009-07-13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게임 시스템 및 게임 실행 관리 방법
KR20110004825A (ko) * 2010-12-20 2011-01-14 홍지완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연동 tcg 시스템 및 그 게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986A (ko) * 2006-11-13 2009-07-13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게임 시스템 및 게임 실행 관리 방법
KR20110004825A (ko) * 2010-12-20 2011-01-14 홍지완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연동 tcg 시스템 및 그 게임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2010.12.19 *
전자신문.2009.03.1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326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게임 카드의 증강현실 표시 방법
KR20190001348A (ko) * 2017-06-27 2019-01-04 (주)셀빅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융합형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KR101947270B1 (ko) * 2017-06-27 2019-04-29 (주)셀빅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융합형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170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170B2 (en) Wagering gaming apparatus for detecting user interaction with game components in a three-dimensional display
CN103285591B (zh) 识别使用控制器的用户
US82109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ly interactive board games
JP6058101B1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176673B2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method for providing game mode interworked with mobile g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EP3525897B1 (en) Game system
WO2019014392A1 (en) INPUT CONTROLLER AND CORRESPONDING GAME MECHANICS FOR VIRTUAL REALITY SYSTEMS
CN115413354A (zh) 游戏状态对象跟踪
JP2017012240A (ja) ゲーム装置
WO2008016064A1 (fr) dispositif de jeu, procédé d'affichage d'objet dans un dispositif de jeu et programme d'affichage
JP7432192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289325B1 (ko) 증강현실 야구 게임 장치
JP201918094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端末装置
JP683746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708540B2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35376B2 (ja) プログラム、処理方法、および情報端末装置
US20210241565A1 (en) Wager odds on player sensor data
JP728508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7044448A (ja) 遊技機および遊技システム
KR20140091630A (ko) 프리킥 시뮬레이션게임
US20240087072A1 (en) Live ev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100607046B1 (ko) 체감형 게임용 화상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방법
JP7457662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513173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220351575A1 (en) Lineup specific odds manip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