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496B1 -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496B1
KR101918496B1 KR1020170033798A KR20170033798A KR101918496B1 KR 101918496 B1 KR101918496 B1 KR 101918496B1 KR 1020170033798 A KR1020170033798 A KR 1020170033798A KR 20170033798 A KR20170033798 A KR 20170033798A KR 101918496 B1 KR101918496 B1 KR 10191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otary drum
polishing space
polish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136A (ko
Inventor
신일
Original Assignee
(주)신일석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석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신일석재산업
Priority to KR102017003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4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06Artificial ageing of stones; Providing stones with an antique appearance
    • B28D1/008Artificial ageing of stones; Providing stones with an antique appearance by means of a tumb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량의 석재가 투입되어 움직이면서 석재가 서로 부딪혀 연마되는 연마공간을 가지며, 석재를 연마공간에 투입하거나 투입된 석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개폐문을 갖는 회전드럼; 회전드럼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드럼의 회전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및 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수단;을 갖는다.
또, 연마공간의 좌, 우측 끝부분은 마주하는 끝부분를 향해 돌출되어 있되 회전드럼의 내벽 방향에서 회전중심부로 갈수록 솟아있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측면보강부재가 구비된 형태이며, 측면보강부재의 외측면과 연마공간의 내벽 사이에는 연마공간의 내벽에서 측면보강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측면부 석재걸림부재가 위치되어 있어 회전드럼의 회전시 측면부 석재걸림부재에 석재가 걸려서 상승된 후 낙하될 때는 측면보강부재를 타고 미끄러져 내리면서 낙하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면굴림판석 제조장치는, 연마공간에 투입된 석재의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고, 각각의 석재는 모서리뿐 아니라 모서리 이외의 부분도 원활하게 연마되며, 연마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성도 우수하다.

Description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A PLATE STON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공 후 버려지는 폐석 등을 사용 가능한 석재로 가공하기 위해 폐석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석재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자투리 석재가 발생되는데 기존에는 이러한 자투리 석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용도 및 처리량에 한계가 있고, 재활용하기 위하여 가공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이유로 대부분 폐기처분 및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출원 제10-1987-0000054호(조경용 인공자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가 안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회전드럼 내에 파쇄한 자투리 석재 및 물을 넣고 회전드럼을 서서히 회전시켜 자투리 석재가 구르면서 표면이 연마가공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5-0012572호(연마분리장치)에는 건축용 폐자재로부터 자갈을 분리하는 기술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연마분리장치를 통해 건축용 폐자재에서 자갈을 분리한 후 자갈의 표면에 붙어 있는 콘크리트 등을 더욱 제거하기 위해서 전술한 회전드럼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여 자갈이 연마되도록 하는 방법도 실시되는 실정이다.
한편, 모서리부분이 곡면으로 부드럽게 처리된 자갈 및 자투리 석재 중 가로와 세로의 폭이 15㎝ 이상으로 비교적 크기가 큰 것은 대부분 조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 내에 자갈 및 자투리 석재를 투입하여 연마하는 방법을 통해서는 비교적 작은 조경용 석재만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86-0001267호(수석 가공장치)에는 충격완충수단이 구비되어 다소 큰 석재를 연마하더라도 충격으로부터 가공장치가 보호되도록 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투입될 수 있는 석재의 크기를 조금 증가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다.
보다 큰 석재를 가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6099호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투입된 석재의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마공간의 좌, 우측에 위치된 석재(벽쪽에 위치된 석재)는 상대적으로 연마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각각의 석재에서도 모서리는 연마율이 높지만 그 외의 부분은 연마율이 낮은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판석의 경우 회전드럼 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강하고 구르는 현상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모서리 외의 부분 연마가 원활하지 못하고, 모서리의 연마효율도 낮아 원하는 상태의 결과물을 얻는데 더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1987-0000054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05-0012572호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86-0001267호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60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공간에 투입된 석재의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고, 각각의 석재는 모서리뿐 아니라 모서리 이외의 부분도 원활하게 연마되며, 연마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성도 우수한 면굴림 판석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드럼 내에 다량의 석재를 투입 후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투입된 석재가 움직이면서 서로 부딪혀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연마공간의 좌, 우측 끝부분에 위치되는 석재는 측면부 석재걸림부재에 의해 상승되고, 낙하될 때는 측면보강부재를 타고 미끄러져 내리면서 연마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를 통해 연마공간에 투입된 석재의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체적인 연마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성도 우수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면굴림 판석 제조장치는, 다량의 석재가 투입되어 움직이면서 석재가 서로 부딪혀 연마되는 연마공간을 가지며, 석재를 연마공간에 투입하거나 투입된 석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개폐문을 갖는 회전드럼을 갖는다.
또, 회전드럼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드럼의 회전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을 갖는다.
또, 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수단을 갖는다.
또, 연마공간의 좌, 우측 끝부분은 마주하는 끝부분를 향해 돌출되어 있되 회전드럼의 내벽 방향에서 회전중심부로 갈수록 솟아있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측면보강부재가 구비된 형태이다.
또, 측면보강부재의 외측면과 연마공간의 내벽 사이에는 연마공간의 내벽에서 측면보강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측면부 석재걸림부재가 위치되어 있어 회전드럼의 회전시 측면부 석재걸림부재에 석재가 걸려서 상승된 후 낙하될 때는 측면보강부재를 타고 미끄러져 내리면서 낙하되도록 한다.
또, 연마공간의 내벽 중 측면보강부재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회전드럼의 회전시 석재가 걸려서 상승하고 낙하되도록 하는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중심부 석재걸림부재의 석재걸림면은 어느 한쪽 끝부분에서 다른 한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한다.
또,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고, 어느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갖는 석재걸림면의 면적이 넓은 부분과 다른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갖는 석재걸림면의 면적이 넓은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연마공간 내에서의 석재 움직임이 더욱 원활하도록 하여 각각의 석재는 모서리뿐 아니라 모서리 이외의 부분도 원활하게 연마되고, 연마시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면굴림판석 제조장치는, 회전드럼 내에 다량의 석재를 투입 후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투입된 석재가 움직이면서 서로 부딪혀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마공간의 좌, 우측 끝부분에 위치되는 석재는 측면부 석재걸림부재에 의해 상승된 후 낙하되는데 측면보강부재를 타고 미끄러져 내리면서 연마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낙하되므로 연마공간의 좌, 우측 끝부분에 위치되는 석재의 연마효율이 우수하여 연마공간에 투입된 석재의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체적인 연마시간이 단축되어 경제성도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 측면보강부재는 구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형상, 원뿔 형상, 상부가 잘린 원뿔 형상, 각뿔형상, 상부가 잘린 각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연마공간의 측면부에 위치된 석재의 움직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 회전드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측면부 석재걸림부재의 끝부분은 마주하는 측면보강부재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측면보강부재의 외측면과 측면부 석재걸림부재의 끝부분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수준인 경우 석재의 상승과 낙하가 더욱 원활한 특징이 있다.
또, 연마공간의 내벽 중 측면보강부재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회전드럼의 회전시 석재가 걸려서 상승하고 낙하되도록 하는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의 석재걸림면은 어느 한쪽 끝부분에서 다른 한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인 경우 석재의 움직임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더욱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연마공간의 횡단면에서 볼 때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고, 동일한 횡단면상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갖는 석재걸림면의 면적이 넓은 부분과 다른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갖는 석재걸림면의 면적이 넓은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석재가 혼합되면서 불규칙으로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각각의 석재는 모서리뿐 아니라 모서리 이외의 부분도 원활하게 연마되고, 연마시간이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3은 동일한 횡단면 상에 복수 개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가 위치되고, 중심부 석재걸림부재 중 면적이 넓은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표면이 매끄러운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연마공간에 투입된 석재의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고, 각각의 석재는 모서리뿐 아니라 모서리 이외의 부분도 원활하게 연마되며, 연마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성도 우수한 면굴림 판석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회전드럼 내에 다량의 석재를 투입 후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투입된 석재가 움직이면서 서로 부딪혀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다량의 석재가 투입되어 움직이면서 석재가 서로 부딪혀 연마되는 연마공간(11)을 가지며, 석재를 연마공간(11)에 투입하거나 투입된 석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개폐문(12)을 갖는 회전드럼(10)을 갖는다.
또, 회전드럼(1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드럼(10)의 회전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20)을 갖는다.
또, 동력을 사용하여 회전드럼(10)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수단(30)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투입된 석재가 고르게 연마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특히, 연마공간(11)의 좌, 우측 끝부분에 위치되는 석재의 연마율은 다른 지점에 위치된 석재의 연마율보다 낮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마공간(11)의 좌, 우측 끝부분에 위치되는 석재가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에 의해 상승되고, 낙하될 때는 측면보강부재(14)를 타고 미끄러져 내리면서 연마공간(11)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연마공간(11)의 좌, 우측 끝부분은 마주하는 끝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있되 회전드럼(10)의 내벽 방향에서 회전중심부로 갈수록 솟아있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측면보강부재(14)가 구비된 형태이다.
또, 측면보강부재(14)의 외측면과 연마공간(11)의 내벽 사이에는 연마공간(11)의 내벽에서 측면보강부재(14)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가 위치되어 있어 회전드럼(10)의 회전시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에 석재가 걸려서 상승된 후 낙하될 때는 측면보강부재(14)를 타고 미끄러져 내리면서 낙하되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드럼(10)이 회전되면 투입된 석재 중 연마공간(11)의 좌, 우측 끝부분에 위치된 석재는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에 걸려서 상승하게 되는데 원주를 그리며 상승하기 때문에 최상단부에 이르기 전에 대부분 낙하된다.
이와 같이 낙하될 때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게 낙하되면 석재는 항상 동일한 지점에서만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움직임이 크지 않게되며, 이로 인하여 연마효율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곧바로 다른 석재의 상부로 낙하되면 석재가 충격으로 깨지거나 크랙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연마공간(11)의 좌, 우측 끝부분에서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에 걸려 상승되는 석재가 측면보강부재(14)의 상부로 미끄러져 내리는 경우에는 석재의 움직임이 크며, 연마공간(11)의 좌, 우측 끝부분에 위치된 석재도 뒤섞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 낙하되는 석재가 다른 석재 위에 떨어질 때 큰 충격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석재가 손상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측면보강부재(14)는 구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형상, 원뿔 형상, 상부가 잘린 원뿔 형상, 각뿔형상, 상부가 잘린 각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연마공간(11)의 측면부에 위치된 석재의 움직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 회전드럼(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구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형상의 경우 내구성 향상 효과가 더욱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의 끝부분은 마주하는 측면보강부재(14)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측면보강부재(14)의 외측면과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의 끝부분 사이의 간격(T)이 일정하거나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석재의 상승과 낙하가 더욱 원활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마공간(11)의 내벽 중 측면보강부재(14)의 사이(좌측의 측면보강부재와 우측의 측면보강부재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회전드럼(10)의 회전시 석재가 걸려서 상승하고 낙하되도록 하는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구비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의 석재걸림면(15a)은 어느 한쪽 끝부분에서 다른 한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석재의 움직임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더욱 고른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연마공간(11)의 횡단면에서 볼 때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횡단면상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갖는 석재걸림면(15a)의 면적이 넓은 부분과 다른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갖는 석재걸림면(15a)의 면적이 넓은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석재가 혼합되면서 불규칙으로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면적이 넓은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석재가 걸리게 되므로 이와 같이 석재가 많이 걸리는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석재의 움직임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 우측으로 좌측으로 움직이는 현상이 커지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각각의 석재는 모서리뿐 아니라 모서리 이외의 부분도 더 원활하게 연마되고, 전체적인 연마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전술한 석재걸림면(15a)은 도 3에서와 같이 연마공간(11)의 회전중심을 향해 있는 변이 사선을 그리고 있는 각형인 것이 좋다.
첨부된 도4에서는 석재걸림면(15a)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수구(40)가 더 구비되어 있되 상기 배수구(40)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가 회전되어 그리는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연마공간(11)에 물을 채울 수 있는데 이러한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40)를 구비하는 것이다.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가 회전되어 그리는 원주 상에 배수가(40)가 형성되면 석재 부스러기 등으로 인해 배수구(40)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드럼회전수단(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나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모터(31)에 의한 동력이 회전드럼(10)의 좌측 끝부분에 위치된 제2기어(33)와 우측 끝부분에 위치된 제2기어(33)에 동시에 전달되고 이와 같이 전달된 동력이 각각의 제2기어(33)와 맞물려있는 제1기어(32)에 전달되어 회전드럼(1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기어를 사용한 동력전달 방식으로서 회전드럼(10)의 좌, 우측에 회전력이 동시에 전달되므로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률도 적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문(12)은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석재의 투입과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개폐문(12)이 상부의 힌지(12a)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좋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기울임설정수단의 실린더(51)와 힌지(52)를 통해 회전드럼(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드럼(10)의 일측을 들어올려 개폐문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연마공간(11)의 석재를 쏟아낼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개폐문의 회전을 위한 힌지(12a)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회전드럼(10)의 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회전드럼의 회전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드럼(10)에 회전가이드(16)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가이드(16)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홈을 갖는 가이드롤러(21)가 구비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10. 회전드럼
11. 연마공간
12. 개폐문
12a. 힌지
13. 측면부 석재걸림부재
14. 측면보강부재
15. 중심부 석재걸림부재
15a. 석재걸림면
16. 회전가이드
20. 지지프레임
21. 가이드롤러
30. 드럼회전수단
31. 모터
32. 제1기어
33. 제2기어
40. 배수구
51. 실린더
52. 힌지

Claims (5)

  1. 석재가 서로 부딪혀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석재 가공장치에 있어서,
    다량의 석재가 투입되어 움직이면서 석재가 서로 부딪혀 연마되는 연마공간(11)을 가지며, 석재를 연마공간(11)에 투입하거나 투입된 석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개폐문(12)을 갖는 회전드럼(10);
    상기 회전드럼(1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드럼(10)의 회전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20); 및
    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드럼(10)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마공간(11)의 좌, 우측 끝부분은 마주하는 끝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있되 회전드럼(10)의 내벽방향에서 회전중심부로 갈수록 솟아있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측면보강부재(14)가 구비된 형태이고,
    상기 측면보강부재(14)의 외측면과 연마공간(11)의 내벽 사이에는 연마공간(11)의 내벽에서 측면보강부재(14)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가 위치되어 있어 회전드럼(10)의 회전시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에 석재가 걸려서 상승된 후 이와 같이 상승된 석재가 낙하될 때는 측면보강부재(14)를 타고 미끄러져 내리면서 낙하되도록 된,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강부재(14)는 구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형상, 원뿔 형상, 상부가 잘린 원뿔 형상, 각뿔형상, 상부가 잘린 각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의 끝부분은 마주하는 측면보강부재(14)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측면보강부재(14)의 외측면과 측면부 석재걸림부재(13)의 끝부분 사이의 간격(T)이 일정하거나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공간(11)의 내벽 중 측면보강부재(14)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회전드럼(10)의 회전시 석재가 걸려서 상승하고 낙하되도록 하는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의 석재걸림면(15a)은 어느 한쪽 끝부분에서 다른 한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공간(11)의 횡단면에서 볼 때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고, 동일한 횡단면상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갖는 석재걸림면(15a)의 면적이 넓은 부분과 다른 하나의 중심부 석재걸림부재(15)가 갖는 석재걸림면(15a)의 면적이 넓은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는,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KR1020170033798A 2017-03-17 2017-03-17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KR10191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98A KR101918496B1 (ko) 2017-03-17 2017-03-17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98A KR101918496B1 (ko) 2017-03-17 2017-03-17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36A KR20180106136A (ko) 2018-10-01
KR101918496B1 true KR101918496B1 (ko) 2018-11-14

Family

ID=6387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98A KR101918496B1 (ko) 2017-03-17 2017-03-17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4243B (zh) * 2019-05-16 2021-04-09 温州青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料风化层分层分流水线破碎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498A (ja) * 2000-03-30 2001-10-10 Murata Mfg Co Ltd バレルめっき装置
KR101375569B1 (ko) 2013-12-03 2014-03-17 (주)삼덕개발 파석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498A (ja) * 2000-03-30 2001-10-10 Murata Mfg Co Ltd バレルめっき装置
KR101375569B1 (ko) 2013-12-03 2014-03-17 (주)삼덕개발 파석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36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470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KR101460659B1 (ko) 토사선별장치의 망막힘 방지장치
KR101918496B1 (ko)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판석을 제조하는 장치
CN210546326U (zh) 一种建筑施工现场选砂筛砂装置
KR100755994B1 (ko) 재생골재 파쇄 및 재생골재 표면 입도 개선장치
KR100700133B1 (ko) 표면이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조경석을 얻을 수 있는 석재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KR101918495B1 (ko) 표면이 매끄러운 면굴림 조경석을 제조하는 장치
KR20110008572A (ko) 폐석 재활용을 위한 석재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CN207951555U (zh) 一种建筑垃圾再生骨料整形设备
KR100554273B1 (ko) 선별분리장치
CN213865807U (zh) 一种建筑施工用污水过滤装置
CN216368326U (zh) 一种具有筛分功能的制砂装置
KR100514605B1 (ko)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CN110369100B (zh) 建筑垃圾处理装置
CN109201304B (zh) 一种新型叶轮洗砂机
CN210279444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废料收集装置
KR200435962Y1 (ko) 폐석을 재활용하기 위한 폐석 가공장치
KR100877848B1 (ko) 습식 이물질 선별 및 입형개선장치
CN110344566A (zh) 一种纳米环保聚合物速凝超硬地坪铺设方法
CN204602788U (zh) 砂石分离机
KR100500799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장치
KR102670205B1 (ko) 파쇄요철블록을 가지는 회전라이너를 이용한 재생골재 분쇄장치
CN205797882U (zh) 一种砂石清洗机
KR100719871B1 (ko) 폐기되는 석재를 사용 가능한 석재로 만드는 석재 연마장치
CN220835779U (zh) 一种再生混凝土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