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408B1 -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Google Patents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8408B1 KR101918408B1 KR1020170093482A KR20170093482A KR101918408B1 KR 101918408 B1 KR101918408 B1 KR 101918408B1 KR 1020170093482 A KR1020170093482 A KR 1020170093482A KR 20170093482 A KR20170093482 A KR 20170093482A KR 101918408 B1 KR101918408 B1 KR 1019184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temperature
- nickel
- temperature strength
- austenitic steel
- mangane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차저용과 같이 매우 높은 온도에 사용되는 내열 스테인리스강(heat resistant stainless steel)에 다량 포함되는 고가의 합금원소인 니켈(Ni)을 저가 합금원소로 대체하면서도, 기존의 내열 스테인리스강과 동등 이상의 고온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은, 탄소(C): 0.35~0.5중량%, 실리콘(Si): 1.0~2.0중량%, 망간(Mn): 6.0~9.0중량%, 니켈(Ni): 13.5~15.5중량%, 크롬(Cr): 23~26중량%, 몰리브덴(Mo): 1.5~4.5중량%,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 함량에 대한 망간(Mn) 함량의 비율, CMn/CNi이 0.4~0.65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은, 탄소(C): 0.35~0.5중량%, 실리콘(Si): 1.0~2.0중량%, 망간(Mn): 6.0~9.0중량%, 니켈(Ni): 13.5~15.5중량%, 크롬(Cr): 23~26중량%, 몰리브덴(Mo): 1.5~4.5중량%,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 함량에 대한 망간(Mn) 함량의 비율, CMn/CNi이 0.4~0.65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보차저나 자동차 배기계와 같이 고온에 사용되는 내열 스테인리스강(heat resistant stainless steel)으로, 이 합금에 다량 포함되는 고가의 합금원소인 니켈(Ni)을 저가 합금원소로 대체하면서도, 기존의 내열 스테인리스강과 비교할 때 동등 이상의 고온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고온용 오스테나이트강은, 우수한 경도, 강도, 열적-기계적 피로 수명, 및 파괴인성을 가질 뿐 아니라, 열적으로 안정된 미세조직을 가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터보차저나 배기계용에 사용되어 왔다.
터보차저는 엔진의 실린더 내부에 많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함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터빈 하우징(turbine housing) 내의 터빈 휠(turbine wheel)을 회전시키며, 터빈 휠의 회전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대기의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하우징(compressor housing) 내의 압축기 휠(compressor wheel)을 회전시켜 엔진으로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터빈 휠을 수용하는 터빈 하우징은 엔진에서 배출되는 800~900℃의 배기가스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엔진의 출력에 따라 대단히 높은 열 충격을 받게 되므로 터빈 하우징은 고온에서 우수한 강도와 그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물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터빈 하우징용 재료로는, 현재 SCH 22종 내열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고온용 오스테나이트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내열 스테인리스강은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가의 합금원소인 Ni을 20중량% 이상 첨가하고 있어, 터빈 하우징의 제조비용을 높이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에는 탄소(C): 0.4~0.5중량%, 실리콘(Si): 1.0~2.0중량%, 망간(Mn): 1.0~2.0중량%, 니켈(Ni): 9.0~12.0중량%, 크롬(Cr): 21~24중량%, 나이오븀(Nb): 1.0~2.5중량%, 텅스텐(W): 0.5~3.5중량%,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합금을 통해, 니켈(Ni)의 함량을 대폭적으로 줄이면서 나이오븀(Nb) 및 텅스텐(W)을 첨가함으로써, 주조성과 고온강도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니켈(Ni)을 대체하기 위하여 첨가된 나이오븀(Nb)과 텅스텐(W)도 고가의 합금원소이고, 특히 나이오븀(Nb)의 경우 주조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나이오븀(Nb) 탄화물을 형성할 경우 합금의 취성을 증대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고온용 오스테나이트 합금에 비해 향상된 고온 특성을 가지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오스테나이트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소(C): 0.35~0.5중량%, 실리콘(Si): 1.0~2.0중량%, 망간(Mn): 6.0~9.0중량%, 니켈(Ni): 13.5~15.5중량%, 크롬(Cr): 23~26중량%, 몰리브덴(Mo): 1.5~4.5중량%,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 함량에 대한 망간(Mn) 함량의 비율, CMn/CNi이 0.4~0.65 범위를 유지하는,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은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유지하면서, 니켈(Ni)의 함량을 낮추고 이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합금원소인 망간(Mn)으로 대체하고, 합금 원소로 나이오븀(Nb)과 텅스텐(W)을 사용하지 않으며, 페라이트상의 생성을 최소화하면서 고온 탄화물 형성원소인 몰리브덴(Mo)을 첨가하여 M7C3 상의 비율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합금설계를 통해, 900℃에서의 고온강도가 134MPa 이상으로 높으면서, 형상 유지성능이 우수하여, 터보차저의 터빈 하우징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은 니켈(Ni)을 20중량% 이상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강과 비교하여 최대 10%의 고온강도 상승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3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와 비교예 1~3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900℃에서 고온 인장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3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와 비교예 1~3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900℃에서 고온 인장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포함한다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 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900℃ 이상의 고온 환경에 견딜 수 있는 고온강도를 구현할 수 있는 합금에 대해 연구한 결과,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량 첨가하던 니켈(Ni)의 함량은 다소 감소시키고, 동시에 나이오븀(Nb)이나 텅스텐(W)과 같은 고가의 탄화물 형성원소를 사용하지 않고 망간(Mn)을 소정 비율로 대체하고 동시에 몰리브덴(Mo)을 소정량 첨가할 경우,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고온강도의 구현이 가능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은, 탄소(C): 0.35~0.5중량%, 실리콘(Si): 1.0~2.0중량%, 망간(Mn): 6.0~9.0중량%, 니켈(Ni): 13.5~15.5중량%, 크롬(Cr): 23~26중량%, 몰리브덴(Mo): 1.5~4.5중량%,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 함량에 대한 망간(Mn) 함량의 비율, CMn/CNi이 0.4~0.65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순물 중에서, 인(P)과 황(S)은 각각 0.04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조성의 선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탄소(C): 0.35~
0.5중량%
탄소(C)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안정화 원소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기지조직에 고용강화되어 고온에서의 강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크롬(Cr)과 같은 합금원소들과 탄화물을 형성하여 액상의 주조성을 향상시키고 고온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탄소(C)의 효과를 얻기 위해 0.35중량% 이상의 탄소가 필요하며, 0.5중량%를 초과할 경우, 탄화물의 조대화로 인해 전반적인 기계적 특성과 크리프 저항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Si
): 1.0~
2.0중량%
실리콘(Si)은 고온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합금의 용탕 내에서 환원제 역할을 한다. 실리콘(Si)은 크롬(Cr)에 의한 산화방지를 도와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내산화성을 향상시킨다. 실리콘(Si)에 의해 형성되는 실리콘 산화물 입자들은 크롬(Cr)에 의해 합금 표면에 형성하는 피막 아래에 석출되어 부동태 피막의 형성을 돕고, 크롬(Cr) 이온이 불필요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실리콘(Si)의 이러한 효과는 고온에서 더욱 강화된다. 1.0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한 실리콘(Si)의 효과를 충분하게 얻기 어렵고, 실리콘(Si)이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 고온 크립 저항성을 낮출뿐 아니라, 실리콘(Si)이 페라이트(ferrite) 안정화 원소이므로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을 불안정하게 하기 때문에, 2.0중량% 이하로 첨가되어야 한다.
망간(Mn): 6.0~
9.0중량%
망간(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작용하며, 실리콘(Si)과 유사하게 용탕 내에서 환원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니켈(Ni)의 함량을 기존의 합금에 비해 적게 첨가하기 때문에, 망간(Mn)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일 경우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을 불안정하게 하여 페라이트상이 생길 수 있고, 9.0중량%를 초과할 경우, 고온에서의 내산화성 및 고온 성형성을 저하시키므로, 9.0중량% 이하로 유지한다. 보다 바람직한 망간(Mn)의 함량은 7.0~8.0중량%이다.
니켈(
Ni
): 13.5~15.
5중량%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원소로, 인성을 포함한 제반 기계적 특성과 내식성 및 내산화성 향상에 필수적인 원소인데, 13.5중량% 미만일 경우 고온강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5.5%중량%를 초과할 경우 제조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크롬(
Cr
): 23~
26중량%
크롬(Cr)은 스테인리스강의 우수한 내산화성, 내식성의 가장 핵심적인 원소로 합금의 표면에 Cr2O3 형태의 안정한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크롬(Cr)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내식성은 증가하며, 고온에서의 내산화, 내식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내식성 향상을 위해 크롬(Cr)은 23중량%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크롬(Cr)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 과다 첨가시 페라이트상을 형성시킬 수 있고, 다량의 탄화물을 형성할 수 있어 26중량% 이하로 제한한다.
몰리브덴(
Mo
): 1.5~
4.5중량%
몰리브덴(Mo)은 페라이트 안정화원소이나, 탄소와 결합하여 M7C3 상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오스테나이트 기지 내에서 고용강화 효과를 발생시켜 상온과 고온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킨다.
몰리브덴(Mo)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일 경우 M7C3 상의 면적 비율 향상 효과가 적어 강화 효과를 얻기 어렵고, 4.5중량% 초과일 경우 페라이트상이 안정화되어 다량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1.5~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
Ni
) 함량에 대한 망간(Mn) 함량의 비율,
C
Mn
/
C
Ni
0.4~0.65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 함량(중량%)에 대한 망간(Mn) 함량(중량%)의 비율이 0.4 미만일 경우, 니켈(Ni) 대체량이 충분하지 않아 경제성이 높지 않고 페라이트 상이 생성될 수 있고, 0.65 초과일 경우 우수한 고온 강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4~0.6이다.
인(P):
0.04중량%
이하
인(P)은 불순물로서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성분으로, 합금 내에 편석되어 합금의 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0.04중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3중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황(S):
0.04중량%
이하
황(S)은 합금 내에서 MnS와 같은 황화물을 형성하여 합금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나, 형성된 황화물은 합금의 전반적인 물성을 저하시키므로 0.04중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은,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Nieq가 31~33이고,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Creq가 25~32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Nieq = %Ni + 30%C + 0.87%Mn - 0.33%Cu + 30(%N-0.045)
[식 2]
Creq = %Cr + %Mo + %W + 1.5%Si + 0.5%Nb + 5%V + 3%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은, 미세조직상 페라이트 조직의 비율이 면적비율로 1% 이상일 경우 고온에서 안정성을 저하시켜 바람직하지 않고, M7C3 상은 상온 및 고온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M7C3 상의 면적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Mn의 함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페라이트상의 면적비율이 증가하므로, M7C3 상의 면적비율은 2~3%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은, 900℃에서의 인장강도가 130MPa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4MPa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에 있어서, 페라이트 조직의 면적비율로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에 있어서, M7C3 상의 면적비율은 5% 미만일 경우 고온강도 향상효과를 얻기 어렵고, 13% 초과일 경우 낮은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로 인해 페라이트가 다량 형성되어 고온강도가 급감하므로, 5~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아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실시예 1, 실시예 2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Ni와 Mn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비교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와, Mo의 함량을 다르게 한 비교예 2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강종 | 조성 (중량%) | ||||||||
C | Si | Mn | P | S | Ni | Cr | Mo | Fe | |
비교예 1 | 0.40 | 1.2 | 10.2 | 0.04 | 0.04 | 12 | 25 | 4 | Bal. |
비교예 2 | 0.40 | 1.2 | 7.9 | 0.04 | 0.04 | 14 | 25 | 6 | Bal. |
비교예 3 | 0.40 | 1.2 | 5.6 | 0.04 | 0.04 | 16 | 25 | 2 | Bal. |
비교예 4 | 0.40 | 1.2 | 5.6 | 0.04 | 0.04 | 16 | 25 | 4 | Bal. |
실시예 1 | 0.40 | 1.2 | 7.9 | 0.04 | 0.04 | 14 | 25 | 2 | Bal. |
실시예 2 | 0.40 | 1.2 | 7.9 | 0.04 | 0.04 | 14 | 25 | 4 | Bal. |
위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도록 5종류의 원료를 준비한 후, 용해로에서 용해한 후, 1550℃∼1600℃에서 출탕하고, 즉시 1500℃∼1550℃에서 사각형 시험편용 주형에 주입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시험편에 대하여 XRD와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를 사용하여 상(phase)을 분석하고, 상온(25℃)과 고온(900℃)에서 인장시험을 수행하였고, 상(phase) 분율을 측정하였다.
미세조직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비교예 1~4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페라이트상의 피크는 검출되지 않고, 비교예 1~2의 경우 페라이트상의 피크가 일부 검출되었다.
아래 표 2는 EBSD를 사용하여, 도 1 및 2에서 확인되는 강의 미세조직에서 페라이트 상과 M7C3 상이 차지하는 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강종 | 면적 분율 (%) | |
페라이트 | M7C3 | |
비교예 1 | ~3.3 | 14.1 ± 0.7 |
비교예 2 | ~1.3 | 17.7 ± 0.7 |
비교예 3 | - | 5.0 ± 0.5 |
비교예 4 | ~0.4 | 9.0 ± 0.3 |
실시예 1 | - | 7.3 ± 0.4 |
실시예 2 | ~0.4 | 13.1 ± 0.4 |
위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경우, EBSD를 통한 분석에서 페라이트 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1% 미만이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약 0.4%의 분율로 페라이트 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비교예 1 및 2의 경우, 페라이트 상의 분율이 1% 이상인 3.3%와 1.3%로 관찰되었다.
M7C3 상 상온 및 고온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고온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Mo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비교예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라이트상이 증가하여,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고온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한다. 따라서, M7C3 상의 분율은 페라이트상을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 억제하면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 및 고온 인장강도
아래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와 비교예 1~3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강을 900℃에서 인장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강종 | 고온 인장특성 | ||
항복강도 (MPa) |
인장강도 (MPa) |
연신율 (%) |
|
비교예 1 | 94 | 109 | 41.3 |
비교예 2 | 108 | 119 | 71.0 |
비교예 3 | 110 | 127 | 44.5 |
비교예 4 | 100 | 126 | 67.3 |
실시예 1 | 120 | 134 | 38.5 |
실시예 2 | 127 | 143 | 54.0 |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니켈(Ni) 및 망간(Mn)의 함량과 비율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와 상이한 비교예 1, 3 및 4, 몰리브덴(Mo)의 함량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비교예 2의 경우, 고온 인장강도가 각각 109MPa, 119MPa, 127MPa, 126MPa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니켈(Ni) 16중량%, 망간(Mn) 5.6중량%를 포함하는 합금조성(비교예 3, 4)과, 니켈(Ni) 14중량%, 망간(Mn) 7.9중량%를 포함하는 합금조성(실시예 1, 2)을 비교하면, 동일한 몰리브덴(Mo)을 첨가할 때 니켈(Ni)의 오스테나이트 기지 안정화 효과가 망간(Mn)에 비해 크기 때문에, 비교예 3 및 4와 같이 니켈(Ni)을 더 많이 포함하는 합금조성이 기지 내 탄소가 더욱 고용되어 탄화물 분율이 적다. 이로 인해 몰리브덴(Mo)의 첨가에도 상대적으로 탄화물 M7C3 면적분율 상승 정도가 적어 고온강도 향상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이때, 비교예 4가 실시예 1에 비해 높은 탄화물 분율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고온강도가 낮은 이유는 높은 몰리브덴(Mo) 함량으로 페라이트상이 면적비율 0.4%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니켈(Ni) 12중량%, 망간(Mn) 10.2중량% 합금조성(비교예 1)과, 니켈(Ni) 14중량%, 망간(Mn) 7.9중량% 합금조성(실시예 2)과 비교하여, 몰리브덴(Mo) 첨가 시, 비교예 1의 경우 다량의 망간(Mn)의 첨가로 인해 낮은 오스테나이트 기지 안정도를 지니며, 동시에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인 몰리브덴(Mo)이 첨가되어 고온에서 취약한 페라이트상이 면적비율 1% 이상으로 다량 형성되어, 고온강도 향상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또한, 니켈(Ni) 14중량%, 망간(Mn) 7.9중량%, 몰리브덴(Mo) 6 중량% 합금조성(비교예 2)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인 몰리브덴(Mo)이 과다하게 첨가되어 페라이트 상의 면적비율이 1% 이상으로 다량 형성되어 고온물성이 취약해지므로, 900℃ 이상의 온도에서 내구성이 요구되는 터보차저의 하우징용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Claims (7)
- 탄소(C): 0.35~0.5중량%, 실리콘(Si): 1.0~2.0중량%, 망간(Mn): 6.0~9.0중량%, 니켈(Ni): 13.5~15.5중량%, 크롬(Cr): 23~26중량%, 몰리브덴(Mo): 1.5~4.5중량%,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원소 중 니켈(Ni) 함량에 대한 망간(Mn) 함량의 비율, CMn/CNi이 0.4~0.65 범위를 유지하는,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중, P: 0.04중량% 이하, S: 0.04중량% 이하인,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제1항에 있어서,
900℃에서의 인장강도가 130MPa 이상인,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강이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Nieq가 31~33이고,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Creq가 25~32인,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식 1]
Nieq = %Ni + 30%C + 0.87%Mn - 0.33%Cu + 30(%N-0.045)
[식 2]
Creq = %Cr + %Mo + %W + 1.5%Si + 0.5%Nb + 5%V + 3%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강에 포함되는 페라이트 조직은 면적비율로 1% 미만인,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강에 포함되는 M7C3 상은 면적비율로 5~13%인,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강으로 제조한 터보하우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482A KR101918408B1 (ko) | 2017-07-24 | 2017-07-24 |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PCT/KR2018/008322 WO2019022460A1 (ko) | 2017-07-24 | 2018-07-24 |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482A KR101918408B1 (ko) | 2017-07-24 | 2017-07-24 |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8408B1 true KR101918408B1 (ko) | 2018-11-13 |
Family
ID=6439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3482A KR101918408B1 (ko) | 2017-07-24 | 2017-07-24 |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8408B1 (ko) |
WO (1) | WO20190224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01379A1 (en) * | 2020-03-28 | 2021-09-30 |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 Austenitic stainless steel alloys and turbocharger components formed from the stainless steel alloys |
GB2611819B (en) * | 2021-10-18 | 2024-09-18 | Alloyed Ltd | A heat-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572B1 (ko) | 1999-12-09 | 2004-04-28 | 주식회사 포스코 | 내열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내열스테인레스강 |
KR100766251B1 (ko) | 2006-06-09 | 2007-10-12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온특성이 우수한 니켈 저감형 오스테나이트계 내열스테인레스강. |
JP2014208875A (ja) | 2013-03-22 | 2014-11-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0700A (ja) * | 1993-08-31 | 1995-03-14 | Nidatsuku Kk | 高耐力高耐食性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鋳鋼 |
JP2010280950A (ja) * | 2009-06-04 | 2010-12-16 | Daido Steel Co Ltd | 排気バルブ用耐熱鋼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766039B1 (ko) * | 2015-09-18 | 2017-08-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오스테나이트계 내열볼트 및 그 제조방법 |
US20170088910A1 (en) * | 2015-09-29 | 2017-03-30 |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 Corrosion and cracking resistant high manganese austenitic steels containing passivating elements |
-
2017
- 2017-07-24 KR KR1020170093482A patent/KR1019184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7-24 WO PCT/KR2018/008322 patent/WO201902246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572B1 (ko) | 1999-12-09 | 2004-04-28 | 주식회사 포스코 | 내열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내열스테인레스강 |
KR100766251B1 (ko) | 2006-06-09 | 2007-10-12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온특성이 우수한 니켈 저감형 오스테나이트계 내열스테인레스강. |
JP2014208875A (ja) | 2013-03-22 | 2014-11-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22460A1 (ko) | 2019-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13581B1 (en) | Heat and corrosion resistant cast stainless steels with improve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ductility | |
KR101809853B1 (ko) |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
EP2556177B1 (en) | Austenitic heat-resistant cast steel | |
JP5232620B2 (ja) | 球状黒鉛鋳鉄 | |
US5997806A (en) | Heat-resisting cast steel | |
CN110997960B (zh) | 燃气轮机盘材料以及其热处理方法 | |
KR20160091041A (ko) | 터보차저 터빈하우징용 오스테나이트계 내열주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터보차저 터빈하우징 | |
KR101918408B1 (ko) |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
JPH055161A (ja) | 高温強度の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およびそれからなる排気系部品 | |
KR101974815B1 (ko) | 크롬(Cr) 저감을 통한 상온 및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
KR101963120B1 (ko) |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 및 그 제조 방법 | |
JPH11209851A (ja) | ガスタービンディスク材 | |
KR102073900B1 (ko) | 상온 및 고온 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
KR101438825B1 (ko) | 페라이트계 구상흑연 주철재 | |
KR102135185B1 (ko) | 상온 및 고온 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 |
KR102113824B1 (ko) | 고온 수명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내열 스테인리스강 | |
KR101488293B1 (ko)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
JP3662151B2 (ja) | 耐熱鋳鋼及びその熱処理方法 | |
KR20180076081A (ko) | 가공성과 고온특성이 우수한 내열강 | |
KR20240094640A (ko) | 내수소취성 및 저온 충격인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18329B1 (ko) | Ni 저감형 오스테나이트계 고내열 주강 및 이를 이용한 EGR 쿨러 장치 | |
JPH06212366A (ja) | 高温強度の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およびそれからなる排気系部品 | |
Maziasz et al. | Heat and corrosion resistant cast CF8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ductility | |
KR20070028809A (ko) | 엔진 배기매니폴드용 구상흑연주철의 조성물 | |
CN114318104A (zh) | 一种可用于汽油机可变截面喷嘴环的耐热钢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