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396B1 -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396B1
KR101918396B1 KR1020170037939A KR20170037939A KR101918396B1 KR 101918396 B1 KR101918396 B1 KR 101918396B1 KR 1020170037939 A KR1020170037939 A KR 1020170037939A KR 20170037939 A KR20170037939 A KR 20170037939A KR 101918396 B1 KR101918396 B1 KR 10191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content
record
relative tot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335A (ko
Inventor
배재현
송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3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3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8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745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ingle video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운동 경기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PORTS PLAYER'S RECORD}
본 발명은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운동 경기 콘텐츠를 시청하던 중에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구, 축구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운동 경기에 대해 방송국에서는 직접 관람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생중계를 해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처럼 스포츠 생중계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은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에 대한 과거 경기 기록을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다.
물론 종래에도 방송국에서 선수 교체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교체 투입된 선수에 대한 정보를 송출해 주고 있는데, 이는 방송국 주도의 정보 제공에 해당하므로 각 시청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야구 경기를 시청하는 사람들 중에 투수와 타자 간의 상대 전적을 궁금해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타자의 최근 타율을 궁금해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 방송국에서 각 선수에 관한 모든 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출하는 것은 오히려 운동 경기 시청을 방해하는 것이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각 시청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운동 경기 선수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과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하여도, 각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식에 따라 방송 콘텐츠 재생 시점이 각각 다를 수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야구 경기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은 현 시점의 투수와 타자 간의 상대 전적을 알고 싶어서 그들 간의 상대 전적을 외부의 서버로 요청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현 시점에서의 타자와 투수가 누구인지를 특정하지 않는 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방송 콘텐츠의 재생 시점이 다른 경우 엉뚱한 정보가 수신될 수도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1-003535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동 경기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에 대한 과거 경기 기록 정보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는, 운동 경기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의 선수 경기 기록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선수 기록 요청부와; 상기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경기 기록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운동 경기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운동 경기 방송을 시청하던 시청자는 그 운동 경기 선수들의 경기 기록 일 예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요청한 시점을 서버에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시청자가 알고자 하는 선수를 오류 없이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경기 방송과 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동시에 확인하고 있는 상태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 전환이 이루어진 채널에서 방송 중인 경기의 선수들에 대한 경기 기록으로 자동으로 갱신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동작 수행 단계 중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동작 수행 단계 중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방송 서버(300),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서버(300)는 운동 경기에 대한 중계방송을 송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야구, 축구, 배구, 농구 등과 같은 프로 스포츠의 경기를 중계 방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서버(300)는 운동 경기 방송(콘텐츠)을 송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버(300)는 운동 경기를 생중계 하는 경우, 그 생중계하는 채널 정보와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각 운동 경기 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관리하고,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운동 경기 선수들에 대한 경기 기록을 포함하는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선수들의 경기 기록은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것일 수도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방송 서버(300)와 연동하여 현 시점에 각 방송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운동 경기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예를 들어 방송 채널 정보 또는 운동 경기 콘텐츠 식별 고유 번호 등)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운동 경기를 확인할 수 있고, 그 확인된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에 소정의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시간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특정 선수들(일 예로, 해당 시점에 서로 대결하고 있는 선수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정보들이 포함된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를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현 시점의 실시간 시간에 대응되는 실시간 시간 정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 현 시점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프레임의 순서에 대응되는 프레임 순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판단한 특정 시간 정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간 정보들은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사용자가 경기 기록을 알고자하는 선수들을 특정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사용자가 현재 야구 경기를 시청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상술한 시간 정보를 야구 경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면,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해당 야구 경기의 해당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에 타자와 투수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그 확인된 타자와 투수 간의 상대 전적 기록을 추출한 후 상대 전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각 시간대별로 각 야구장에서의 타자와 투수가 누구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현 시점에서 경기 중인 모든 구장에서의 정보를 각 구장별로 취합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서버(3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표시하고, 또한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특정 선수들에 대한 기록을 요청하여 수신/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선수 기록 요청부(130), 표시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각종 요청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요청을 입력받거나 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선수들에 대한 경기 기록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조작에 따른 각종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특히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의해 재생하는 각종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예를 들어 전력 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앞서 사용자 입력부(110)의 한 예인 터치 패드와 일체화 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부(120)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야구 생중계 방송이 표시되고 있는 일 예는 도 3(a)에 도시되었다.
채널 전환 처리부(150)는 외부로부터 운동 경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채널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운동 경기 콘텐츠는 각각의 채널에 할당된 생중계 방송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채널 전환 처리부(150)는 채널 전환을 처리하여 서로 다른 운동 경기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채널 전환의 방식은 기존의 일반적인 채널 전환 방식은 물론이고, 특별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수와 타자 간의 상대 전적 리스트가 표시되는 경우, 해당 리스트에는 일명 '타구장 경기'버튼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해당 '타구장 경기'버튼을 누른 후 예를 들어 팝업 리스트 형태로 나타나는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때 채널 전환 처리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채널로 전환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수의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팝업 리스트 형태 등에 의해 선택하는 과정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대 전적 리스트에 '타구장 경기'버튼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가 도 3(b)에 도시되었다.
한편,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운동 경기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의 선수 경기 기록 요청이 감지되면 현재 재생중인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재생 중인 운동 경기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식별 정보는 각 운동 경기 콘텐츠의 고유 번호일 수도 있고, 또는 해당 운동 경기 콘텐츠를 방송하고 있는 방송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현 시점에 재생되고 있는 운동 경기 콘텐츠는 야구 경기 생중계 방송 콘텐츠이고, 사용자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을 감지하면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해당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러한 선수 기록 요청부(130)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는 앞서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기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확인되는 현 시점의 실시간 시간에 대응되는 실시간 시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시간 정보는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는데, 여기서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가 콘텐츠 시작 시점(예를 들어 야구 경기 시작 시점)을 감지한 경우, 그 감지된 콘텐츠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간 중계방송의 경우라도 지역별로 또는 특정 시청자 그룹별로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침에 따라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선수 기록 요청부(130)가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를 포함시키게 되면 상술한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각 시청자들에 대한 방송 시간 지연 처리를 전혀 고려할 필요 없이 실제 시청자들이 현재 보고 있고 그 과거 기록을 알고 싶어 하는 선수들이 누구인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상술한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처리부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운동 경기 콘텐츠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생중계 방송 콘텐츠가 아니라 VOD 콘텐츠인 경우 상술한 VOD 콘텐츠에 포함된 각 프레임별 고유 번호 등에 해당하는 프레임 순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운동 경기 콘텐츠가 생중계 방송 콘텐츠인 경우에는 상술한 시간 정보는 운동 경기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선수 기록 요청부(130)가 판단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 경기 콘텐츠의 프레임에 지속적으로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사용자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이 감지되는 시점의 프레임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고, 또는 운동 경기 콘텐츠의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에만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기 운동 경기 콘텐츠 프레임에 포함된 시간 정보와 그 운동 경기 콘텐츠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의 실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방송 수신 딜레이 값을 산출하고, 추후 사용자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이 감지되는 시점의 실제 시간에 이러한 방송 수신 딜레이 값을 가산한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에는 선수 변경 메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상기 선수 변경 메뉴의 조작을 통한 사용자의 선수 변경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선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사용자가 상대 전적 리스트 상의 타자 이름(124)을 클릭 또는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타자들의 이름이 일종의 팝업 리스트가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중 어느 하나의 타자 이름을 선택하면,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그 선택된 타자 이름을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수의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팝업 리스트 형태 등에 의해 선택하는 과정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따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된 선수들에 대한 경기 기록, 예를 들어 상대 전적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전환 처리부(150)에 의해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때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그 전환된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전환 처리부(150)에 의해 전환된 채널에서 타 운동 경기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그 타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첨언하면,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경기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경기 장소 선택 메뉴, 선수 경기 기록 확인 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나타내는 기간 선택 메뉴, 선수 경기 기록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기록 종류 선택 메뉴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메뉴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표시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어 표시 제어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 일부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야구 구장을 선택한 경우 그 야구 구장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가 '홈런과 안타'를 선택한 경우 그 홈런과 안타'에 대한 기록을 요청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록 기간으로써 '3년'을 선택한 경우, 해당 기간 동안의 기록을 요청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선수 기록 요청부(130)의 상술한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새로 고침' 버튼(미 도시함)을 누를 때 마다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고, 또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될 때마다 자동으로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의 갱신의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경기 시작 전 후에 따라 서로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 따라 수신되어 표시된 상태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었다.
도 4는 경기 전 라인업이 확정 전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한 상태이고, 도 5는 경기 전 라이업이 확정 후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한 상태이고, 도 6은 경기 중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한 상태이고, 도 7은 경기 후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한 상태이다.
이를 위해 선수 기록 요청부(130)는 각 경기들의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획득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고, 각 시간대별로 필요한 정보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요청하거나 또는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현 시간에 따라 가공할 수도 있다.
표시 제어부(140)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에 따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경기 기록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가 수신되면 기존에 재생하고 있던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해당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140)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함과 아울러 그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표시 제어부(140)에 의해 운동 경기 콘텐츠 및 상대 전적 리스트가 함께 표시되고 있는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었다.
도 3(b)를 참조하면 운동 경기 재생 화면(121)이 계속 표시됨과 아울러 화면 일 영역에 해당 경기의 투수와 타자 간의 상대 전적 리스트(122)가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시 제어부(1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채널 전환이 이루어져 타 운동 경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타구장에서 경기 중인 선수들 또는 타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타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그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로 기존의 상대 전적 리스트를 갱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채널에서 방송 중인 운동 경기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채널이 전환된 이후에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는 도 3(c)에 도시되었다.
즉, 채널 전환이 된 타 구장의 경기 장면(121')이 표시됨과 아울러 해당 구장에서의 현 시점의 타자와 투수 간의 상대 전적 리스트(122')가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 사용자가 특정 선수를 직접 지정(즉, 선수 변경)함에 따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선택된(변경된) 선수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그 새로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로 기존의 상대 전적 리스트를 갱신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40)는 기 구비된 센서(미 도시함)를 이용하여 '가로 보기 모드'와 '세로 보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가로 보기 또는 세로 보기를 판단하는 것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제어부(140)는 판단된 보기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지 '세로 보기 모드'인지에 따라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 화면과 경기 기록 리스트의 표시 화면의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40)는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화면과 경기 기록 리스트의 표시 화면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표시하고, 그 판단된 보기 모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화면을 상단에 배치하고 경기 기록 리스트의 표시 화면을 하단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이동을 통해 하단의 상기 경기 기록 리스트의 나머지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와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 간의 통신 및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미리 야구 선수들과 관련된 정보들을 미리 수집하여 저장해 놓았다고 가정한다(단계 S1). 특히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각 야구 선수들의 소속 팀과 과거 경기 기록을 누적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또한 현재 각 방송 채널에서 어떤 팀이 서로 경기를 벌이는지에 대한 정보와, 각 시간대별 투수와 타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특정 채널의 야구 생중계 방송을 재생 및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3), 사용자로부터 현 시점의 타자와 투수 간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이 입력되면(단계 S5), 현재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7).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서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방송 채널에서 경기 중인 팀의 현 시점의 투수와 타자가 누구인지 확인한 후, 해당 투수와 타자 간의 과거 상대 전적을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를 생성하여(단계 S9)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11).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별도의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는 그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에 투수와 타자였던 선수들 간의 과거 상대 전적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대 전적 리스트에는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과거 3년간)의 상대 전적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야구 생중계 방송에 대한 재생을 유지하면서, 화면 일 영역에 그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13).
이에 따라 야구 경기 시청자는 야구 경기 시청을 계속하면서도, 현 시점의 투수와 타자 간의 과거 상대 전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의 과정을 거친 이후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야구 생중계 방송과 함께 타자와 투수 간의 상대 전적 리스트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21),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이 입력된 경우(단계 S23),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해당 요청에 따라 타 구장 경기의 방송을 표시한다(단계 S25).
이때 채널 전환 처리와 더불어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그 타 구장의 투수와 타자간 상대 전적을 요청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27).
이어서 콘텐츠 재생 단말기(100)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선수 기록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타 구장 투수와 타자 간 상대 전적 리스트를 기존에 표시되고 있던 상대 전적 리스트 대신 표시한다(단계 S29).
따라서 사용자는 채널 전환하여 타 구장의 경기를 시청하면서도, 별도의 조작 없이 해당 타 구장 경기의 투수와 타자 간의 상대 전적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재생 단말기 200 : 선수 기록 관리 서버
300 : 방송 서버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선수 기록 요청부
140 : 표시 제어부 150 : 채널 전환 처리부

Claims (17)

  1. (a) 운동 경기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는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현 시점의 실시간 시간에 대응되는 실시간 시간 정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 현 시점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프레임의 순서에 대응되는 프레임 순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는 생중계 방송 콘텐츠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는 특정 채널에 할당된 생중계 방송 콘텐츠이고,
    (c) 상기 (b) 단계 이후, 사용자의 채널 전환 요청이 감지된 경우 채널 전환을 처리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전환된 채널에서 타 운동 경기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 상기 타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c) 단계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타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타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가 갱신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에는 선수 변경 메뉴가 더 포함되어 있고,
    (f) 상기 선수 변경 메뉴의 조작을 통한 사용자의 선수 변경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선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g)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변경된 선수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를 갱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9. 운동 경기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의 선수 경기 기록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선수 기록 요청부와;
    상기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경기 기록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선수 경기 기록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기록 요청부는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기록 요청부의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는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현 시점의 실시간 시간에 대응되는 실시간 시간 정보,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경과 시간 정보, 현 시점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프레임의 순서에 대응되는 프레임 순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는 생중계 방송 콘텐츠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는 특정 채널에 할당된 생중계 방송 콘텐츠이고,
    사용자의 채널 전환 요청이 감지된 경우 채널 전환을 처리하는 채널 전환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전환 처리부에 의해 전환된 채널에서 타 운동 경기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 상기 선수 기록 요청부는 상기 타 운동 경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타 운동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간의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타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대 전적 리스트에는 선수 변경 메뉴가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선수 기록 요청부는 상기 선수 변경 메뉴의 조작을 통한 사용자의 선수 변경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선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를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로부터 변경된 선수에 대응되는 상대 전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대 전적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상대 전적 리스트를 갱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기록 요청부는 경기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경기 장소 선택 메뉴, 선수 경기 기록 확인 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나타내는 기간 선택 메뉴, 선수 경기 기록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기록 종류 선택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선택 정보를 상기 선수 경기 기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선수 기록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기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가로 보기 모드'와 '세로 보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보기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화면과 상기 경기 기록 리스트의 표시 화면을 중첩표시하고, 그 판단된 보기 모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운동 경기 콘텐츠의 재생 화면을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경기 기록 리스트의 표시 화면을 하단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이동을 통해 하단의 상기 경기 기록 리스트의 나머지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단말기.
KR1020170037939A 2017-03-24 2017-03-24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1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9A KR101918396B1 (ko) 2017-03-24 2017-03-24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9A KR101918396B1 (ko) 2017-03-24 2017-03-24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121A Division KR101954035B1 (ko) 2018-10-19 2018-10-19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35A KR20180108335A (ko) 2018-10-04
KR101918396B1 true KR101918396B1 (ko) 2018-11-13

Family

ID=6386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939A KR101918396B1 (ko) 2017-03-24 2017-03-24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3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0128A1 (en) 2014-06-17 2015-12-17 Natanel Eisenberg Online Gaming System Using Advertis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0128A1 (en) 2014-06-17 2015-12-17 Natanel Eisenberg Online Gaming System Using Adverti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35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2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videos and statistics of sports events
KR101612628B1 (ko) 실시간 분석 및 예측에 의한 참여형 스포츠 게임 시스템 및 스포츠 게임 방법
EP2499818A1 (en) Video synchronized merchandising systems and methods
WO2014050968A1 (ja) 投稿状況通知システム、情報通信端末、投稿状況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00923B1 (ko)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 중계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950971B1 (ko) 스포츠 영상 제공 장치
US9215575B2 (en) Encoding and distribution of game play through compact message encoding and graphical rendering
US20180351894A1 (en) Chat terminal device, chat system, chat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014995A (zh) 视频回放方法、介质、眼镜及程序产品
KR101954035B1 (ko)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1015226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athering and transmitting golf tournament information
KR101932845B1 (ko) 운동 경기 콘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120023A1 (en) Entertainment content fitness gaming system
KR101918396B1 (ko)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3250117A (ja) 映像配信サーバ
EP2724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videos and statistics of sports events
KR20190088452A (ko) 콘텐츠의 주요 장면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7472548B2 (ja) サーバ、試合表示システム、広告設定方法及び広告設定プログラム
CN112883883A (zh) 信息提示方法、装置、介质、眼镜及程序产品
KR101956519B1 (ko) 운동 경기 콘텐츠 표시를 위한 제어방법
EP3905701A1 (en) Moving image tagging device and moving image tagging method
US20020092027A1 (en) Automatic image retrieval system
KR101918395B1 (ko)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108333A (ko) 콘텐츠의 주요 장면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988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ame-related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