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094B1 -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094B1
KR101918094B1 KR1020170032895A KR20170032895A KR101918094B1 KR 101918094 B1 KR101918094 B1 KR 101918094B1 KR 1020170032895 A KR1020170032895 A KR 1020170032895A KR 20170032895 A KR20170032895 A KR 20170032895A KR 101918094 B1 KR101918094 B1 KR 10191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df
stirring
stirrer
discharg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780A (ko
Inventor
손창현
권영두
박병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094B1/ko
Priority to PCT/KR2018/002370 priority patent/WO2018169230A1/ko
Publication of KR2018010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B09B3/0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01F15/0289
    • B01F15/0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5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a rotary discharge means, e.g. a screw beneath the receptacle
    • B01F35/754551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a rotary discharge means, e.g. a screw beneath the receptacle using helica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4Heating or cooling systems using radiation, e.g. microwaves or electromagnetic radiation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7Mixing of ingredients for making paper pulp, e.g. wood fibres or wood pulp
    • B01F2215/007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MDF 회수방법은 분쇄된 MDF 조각을 교반기에 공급하는 MDF 공급단계; 상기 교반기에 수분과 열을 공급함과 동시에, 또는 공급에 연이어서 MDF 조각을 교반하는 해섬단계; 및 상기 해섬단계를 통해 해체된 MDF의 목제 섬유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MDF recovery device by stirring and the recovery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기에 수분과 열을 공급함과 동시에, 또는 공급에 연이어서 MDF 조각을 교반함으로써, 목재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균일한 수분 및 열의 공급을 통해 해섬효율을 극대화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판이란 목질 재료를 원료로 하여 얻는 목섬유를 접착제와 함께 고온 고압으로 압착 성형하여 판재로 만든 가공재의 한 종류를 말한다. 밀도의 크기에 따라 고밀도 섬유판(HDF), 중밀도 섬유판(MDF), 저밀도 섬유판(LDF)으로 분류한다.
이 중 MDF는 조직이 치밀하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며, 기계 가공성과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일반 목재를 대신하여 가구 등의 재료로 널리 이용된다.
우리나라의 MDF 산업은 국내 소비뿐만 아니라 국외 수출로 급격히 성장하여 2000년대에 들어 합판과 파티클보드보다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2012년도에는 181만㎥ 생산되었으며, 60%가 가구용, 34%가 건축내장재, 4%가 포장재 그리고 1%가 마루재로 사용되었다.
이들 용도에 있어서의 평균 수명을 10년 정도로 본다면 생산량 이상의 폐기물이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 같은 막대한 양의 폐MDF는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하여 처리되어 환경적으로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종래에는 폐MDF를 재활용하기 위해 수분을 공급하면서 이중 스크류 사이로 MDF 조각을 이송시켜 MDF의 목재섬유를 회수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중 스크류에 의해 MDF 조각이 분쇄되는 과정에서 목재 섬유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재생 MDF의 강도 저하를 가져와 현장 적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폐MDF를 해섬, 즉 MDF 목재 섬유 간에 고착된 접착제를 녹여내어 목재 섬유를 해체하면서, 이와 동시에 배출이 이뤄지도록 하였다. 그런데 해섬공정은 배출공정에 비해 장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해섬과 배출이 동시에 이뤄짐으로 인해 해섬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목재 섬유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목재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해섬이 이뤄지도록 하는 MDF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0328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목재 섬유의 손상이 최소화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섬속도와 배출속도가 독립적인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섬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예비가열공정을 통해 해섬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쇄된 MDF 조각을 교반기에 공급하는 MDF 공급단계; 상기 교반기에 수분과 열을 공급함과 동시에, 또는 공급에 연이어서 MDF 조각을 교반하는 해섬단계; 및 상기 해섬단계를 통해 해체된 MDF의 목제 섬유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MDF 회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섬단계는, 100 °C 미만의 물을 공급하여 수분과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섬단계는, 150°C 이하의 증기를 공급하여 수분과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섬단계는, 초고주파 발생장치로 초고주파(Microwave)를 생성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초고주파 발생장치는, 균일분산장치가 구비되어 균일한 초고주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반기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형성되어 교반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단계는, 이송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단계는,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단계는, 플러그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기 전에 MDF 조각을 미리 가열하여 상기 해섬단계에서의 가열시간을 단축하는 예비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예비가열단계는 초고주파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예비가열단계는 초고주파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섬단계에서의 교반속도는 상기 배출단계에서의 배출속도와는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MDF 조각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 MDF 조각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 및 MDF 조각을 혼합하여 주는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가 구비된 교반기; 상기 교반기로부터 해섬된 목재 섬유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교반기 및 배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MDF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분 공급수단 및 열 공급수단은 온수 공급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분 공급수단 및 열 공급수단은 스팀 분사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열 공급수단은 초고주파 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기는 상기 교반날개에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용 모터; 및 일단은 교반용 모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날개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용 모터의 동력을 상기 교반날개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배출 실린더; 상기 배출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목재 섬유를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배출용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는 컨베이어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는 플러그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반용 모터와 상기 배출용 모터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반기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형성되어 교반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반날개와 상기 지지봉 사이의 간격은 상기 교반기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은 목재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목재 섬유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은 해섬속도와 배출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충분한 해섬이 이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은 해섬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MDF 회수장치는 교반기(100), 지지대(200),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대(200)는 교반기(100) 및 배출부(30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지지대(200) 상부에는 배출부(300)를 지지하는 배출부 베이스(210)가 결합될 수 있다.
배출부 베이스(210)는 두 개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출부(300)의 양단을 지지한다.
교반기(100)는 투입된 MDF 조각을 해섬, 즉 MDF 목재 섬유 간에 고착된 접착제를 녹여 내어 목재 섬유를 해체한다.
배출부(300)는 교반기(100)로부터 해섬된 목재 섬유를 배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교반기(100)는 몸체(110), 수분 공급수단(140), 열 공급수단(150), 교반기구(40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MDF에 대한 해섬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으로서, 투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된다.
MDF는 교반기(100)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며, 해섬 후 교반기(100)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
투입구(120)와 배출구(130)의 개수는 해섬속도, MDF 투입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몸체(110)의 하부에는 몸체(110)를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다리(16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해섬을 위해 기계적 전단력에 의존하지 않고, 가수분해 반응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 상태에서 MDF 조각을 휘젖어 주어(stirring)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목재 섬유를 해체한다.
해섬공정에서 MDF 목재 섬유 사이에 고착된 접착재에 가수분해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분 및 열을 공급한다.
교반기(100)에는 이를 위한 수분 공급수단(140) 및 열 공급수단(150)이 구비된다.
수분 및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 100 °C 미만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수분 공급수단(140) 및 열 공급수단(150)은 온수 공급 밸브가 될 수 있다.
한편 열전달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분 및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 150°C 이하의 증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수분 공급수단(140) 및 열 공급수단(150)은 스팀 분사 노즐이 될 수 있다.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 교반기(100) 후방으로 증기발생장치(170)가 설치되며, 상기 증기발생장치(170)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스팀 분사 노즐을 통해 MDF 조각에 분사된다.
증기를 사용할 경우, 교반기(100) 내의 온도,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계(500), 압력계(510)가 설치되며, 안전을 위한 안전변(520) 또한 설치될 수 있다.
해섬공정에서 수분의 양은 적절히 제어되어야 한다. 수분이 너무 많으면 배출되는 목재 섬유에 잔류 수분이 과다하게 되어 건조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과다 수분은 드레인 밸브(530)를 통해 교반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수분이 너무 적으면 접착재의 가수분해반응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고, 교반장치에 과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수분공급과 독립적으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열시간을 단축하고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초고주파 가열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고주파 발생장치(도면 미도시)가 교반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초고주파 가열시에는 불균일한 가열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이나 부분적인 탄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균일분산장치(도면 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구(40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구(400)는 교반용 모터(410), 구동축(420), 교반날개(430), 지지봉(440)을 포함한다.
교반용 모터(410)는 교반날개(430)에 동력을 제공하며, 후술할 배출용 모터(330)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교반용 모터(410)는 교반기(100)의 상부에 장착된다.
구동축(420)은 교반용 모터(410)의 동력을 교반날개(430)에 전달한다. 구동축(420)은 교반용 모터(410)에 직결될 수도 있으나, 교반용 모터(410)와 구동축(420) 사이에 커플러(450)가 개재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교반날개(430)는 MDF 조각을 휘젖어 주어 혼합한다. 이를 통해 온수 또는 증기가 균일하게 MDF 조각에 분포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가수분해 반응이 전 MDF 조각에 걸쳐서 균일하게 일어난다.
교반날개(430)는 구동축(42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440)은 교반날개(430)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교반기(100)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봉(440)은 교반날개(430)와 함께 MDF 조각에 마찰력을 부가하여 교반작용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한다. 지지봉(440)은 교반기(100)의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의 형상은 MDF 조각이 교반기 몸체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송할 때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해 원형 단면 봉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MDF 조각은 교반기(100)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므로, 교반기(100) 상부에는 MDF 조각의 크기가 크고, 그에 비해 교반기(100) 하부에는 해섬공정을 통해 분쇄된 작은 크기의 MDF 조각이 존재한다.
따라서 교반날개(430)와 지지봉(440) 사이의 간격은 교반기(100)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부(3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부(300)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출부(300)는 배출 실린더(310), 이송 스크류(320), 배출용 모터(330)를 포함한다.
배출 실린더(310)는 교반기(100)로부터 배출된 목재 섬유가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배출 실린더(310)에는 상부에 입구(340)가 형성되며, 교반기(100) 하부의 배출구(130)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배출 실린더(310)의 출구(350)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송된 목재 섬유는 상부의 입구(340)로 투입되어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된 후 일측에 형성된 출구(350)로 배출된다.
이송 스크류(320)는 배출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송 스크류(320)는 해섬된 목재 섬유를 이송한다.
배출용 모터(330)는 교반기(100)로부터 배출된 목재 섬유에 이송 동력을 제공한다.
배출용 모터(330)는 교반용 모터(410)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해섬속도와 배출속도는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해섬과 배출이 동시에 이뤄지는 구조의 회수장치에서는 해섬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이 이뤄지게 되어 만족할만한 해섬이 이뤄지지 않았다. 해섬 및 배출 속도를 결정하는 리드각을 변경할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어, 리드각 변경만으로는 해섬공정에 충분한 시간을 부여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출용 모터와 구동용 모터를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배출부(300)는 다른 실시예로서 컨베이어 시스템(도면 미도시)이 채택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교반기(100)의 내압이 대기압 이상인 경우에는 플러그 스크류(도면 미도시)를 채택할 수 있다.
해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예비가열장치(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기(100)에서 MDF 조각을 해섬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해섬공정을 단축하기 위해 MDF 조각을 교반기(100)에 투입하기 전에 미리 가열하는 것이다.
예열하는 방법으로는 100 °C 미만의 물을 공급하는 방법, 150°C 이하의 증기를 공급하는 방법, 초고주파로 가열하는 방법 중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교반기 100
몸체 110
투입구 120
배출구 130
수분 공급수단 140
열 공급수단 150
다리 160
증기발생장치 170
지지대 200
배출부 베이스 210
배출부 300
배출 실린더 310
이송 스크류 320
배출용 모터 330
입구 340
출구 350
교반기구 400
교반용 모터 410
구동축 420
교반날개 430
지지봉 440
커플러 450
온도계 500
압력계 510
안전변 520
드레인 밸브 530

Claims (24)

  1.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한 교반기를 이용하는 MDF 회수방법에 있어서,
    분쇄된 MDF 조각을 교반기에 공급하는 MDF 공급단계;
    상기 교반기에 수분과 열을 공급함과 동시에, 또는 공급에 연이어서 MDF 조각을 교반하는 해섬단계; 및
    상기 해섬단계를 통해 해체된 MDF의 목재 섬유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해섬단계는, 상기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기의 몸체에 고정된 상기 지지봉 사이에 교반기 내부의 MDF칩이 개재되어 마찰력 증가로 인해 교반효율이 높아지고 목재 섬유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섬단계는,
    100 °C 미만의 물을 공급하여 수분과 열을 공급하는, MDF 회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섬단계는,
    150°C 이하의 증기를 공급하여 수분과 열을 공급하는, MDF 회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섬단계는,
    초고주파 발생장치로 초고주파(Microwave)를 생성하여 가열하는, MDF 회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주파 발생장치는,
    균일분산장치가 구비되어 균일한 초고주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이송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MDF 회수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MDF 회수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플러그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MDF 회수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기 전에 MDF 조각을 미리 가열하여 상기 해섬단계에서의 가열시간을 단축하는 예비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가열단계는 초고주파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섬단계에서의 교반속도는 상기 배출단계에서의 배출속도와는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방법.
  13.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MDF 조각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 MDF 조각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 및 MDF 조각을 혼합하여 주는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가 구비된 교반기;
    상기 교반기로부터 해섬된 목재 섬유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교반기 및 배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교반날개에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용 모터; 및
    교반용 모터와 상기 교반날개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용 모터의 동력을 상기 교반날개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기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기의 몸체에 고정된 상기 지지봉 사이에 교반기 내부의 MDF칩이 개재되어 마찰력 증가로 인해 교반효율이 높아지고 목재 섬유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수단 및 열 공급수단은 온수 공급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수단 및 열 공급수단은 스팀 분사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수단은 초고주파 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배출 실린더;
    상기 배출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목재 섬유를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배출용 모터;를 포함하는, MDF 회수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컨베이어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플러그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 모터와 상기 배출용 모터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22. 삭제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와 상기 지지봉 사이의 간격은 상기 교반기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주파 발생장치는,
    균일분산장치가 구비되어 균일한 초고주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 회수장치.
KR1020170032895A 2017-03-16 2017-03-16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KR10191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895A KR101918094B1 (ko) 2017-03-16 2017-03-16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PCT/KR2018/002370 WO2018169230A1 (ko) 2017-03-16 2018-02-27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895A KR101918094B1 (ko) 2017-03-16 2017-03-16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780A KR20180105780A (ko) 2018-10-01
KR101918094B1 true KR101918094B1 (ko) 2018-11-13

Family

ID=6352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895A KR101918094B1 (ko) 2017-03-16 2017-03-16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8094B1 (ko)
WO (1) WO2018169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6115A (zh) * 2018-10-12 2020-04-21 山西晋光化工有限公司 一种用于纸张涂布增白的荧光增白剂分散液制作设备
CN111760634B (zh) * 2020-07-17 2021-09-21 苏州贝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磁性材料搅拌砂磨循环系统
CN111790288B (zh) * 2020-07-21 2022-08-09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磁性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419A (ja) * 2001-12-14 2003-07-02 Bunzo Kobayashi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5307402A (ja) * 2004-04-23 2005-11-04 Topia:Kk プラスチック繊維成形体、プラスチック繊維成形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繊維板の製造装置
KR100719839B1 (ko) * 2007-01-25 2007-05-18 (주)유청크린라이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스크루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5271B2 (ja) * 2005-09-22 2012-12-26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ならびにそのパルプ製造装置、パルプ供給装置および脱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419A (ja) * 2001-12-14 2003-07-02 Bunzo Kobayashi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5307402A (ja) * 2004-04-23 2005-11-04 Topia:Kk プラスチック繊維成形体、プラスチック繊維成形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繊維板の製造装置
KR100719839B1 (ko) * 2007-01-25 2007-05-18 (주)유청크린라이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스크루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230A1 (ko) 2018-09-20
KR20180105780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094B1 (ko) 교반작용을 이용한 mdf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US6629831B2 (en) Apparatus for alte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fluids
RU25106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строго смешивания сред
EP2516730B1 (en) Recycling technology
KR20110115610A (ko) 펄프 가공 장비로 바이오매스 기반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EP04182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hydrolyzing of keratinaceous materials
JP6590465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前処理乾燥機及び燃焼プラント
FI75610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fibermassa av lignocellulosahaltigt material.
US6648251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ggregating derived timber products
CN106715064A (zh) 木材改性的方法
JP5503282B2 (ja) バイオマス材料の連続加圧熱水処理方法
CN206568437U (zh) 一种eps预发混料系统
CN105276952A (zh) 一种用于大豆膳食纤维脱水的烘干装置
JP2017185640A (ja) 木質繊維及び木質繊維板の製造方法
WO2016128224A1 (en) Process to transfer a ligno-cellulosic feedstock
Winandy et al. Wood-plastic composites using thermomechanical pulp made from oxalic acid pretreated red pine chip
EP3054050B1 (en) Pretreatment process of a ligno-cellulosic feedstock
CN104440578A (zh) 砂光粉再利用装置及方法
KR101857919B1 (ko) 대류,전도 및 복사기능을 갖는 산업용 건조기
KR20100071694A (ko)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RU2349385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оспуска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бумаги и/или картона
CN111421697A (zh) 塑胶脱水干燥机
KR20190128936A (ko) Wpc용 목분 내 리그닌 및 수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Adeeb et al. Cost–benefit analysis of medium-density fiberboard production by adding fiber from recycled medium-density fiberboard
CN110608601A (zh) 空心桨叶干燥机返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