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602B1 - 근육 생장 촉진 의류 - Google Patents

근육 생장 촉진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602B1
KR101917602B1 KR1020170080562A KR20170080562A KR101917602B1 KR 101917602 B1 KR101917602 B1 KR 101917602B1 KR 1020170080562 A KR1020170080562 A KR 1020170080562A KR 20170080562 A KR20170080562 A KR 20170080562A KR 101917602 B1 KR101917602 B1 KR 10191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pneumatic
providing
pneumatic pressure
inf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찬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알티
Priority to KR102017008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의류의 일부분에 공압을 제공하여 해당 부분이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의 생장을 촉진시켜주기 위한 근육 생장 촉진 의류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는 수트부; 상기 수트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팽창수축부; 및 일측이 상기 수트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팽창수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수축부로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육 생장 촉진 의류{auxetic suit for muscle strength}
본 발명은 근육 생장 촉진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의류의 일부분에 공압을 제공하여 해당 부분이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의 생장을 촉진시켜주기 위한 근육 생장 촉진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근육 또는 인대의 부상을 방지하며, 근육 또는 인대에 부상이 있는 경우, 부상 부위의 고정을 통한 재활의 보조 및 신체 보정 등의 목적으로, 스포츠 선수, 스포츠 동호인, 생활 체육인, 부상 재활자 또는 일반인 등은 강력한 신축성을 가진 스포츠용, 의료용 또는 신체 보정용의 다양한 기능성 의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경기력 향상을 위한 경기복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근력을 높여주기 위해 유선형의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함께 초고신축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이러한 경기복의 착복 및 탈복 시 많은 힘과 시간이 소비된다.
또한, 인체에 미세 전류를 흘려보내 직접적으로 신체 또는 근육에 자극을 전달하면서 안정적인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일으키도록 된 패드가 결합 된 의류(즉, EMS 의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EMS 의류는, 착용자가 자주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전기적 자극에 의하여 타동적으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법이다. 이때, 착용자가 자주적으로 운동을 병행하면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다. 역으로, 착용자가 자주적으로 운동을 하면서 전기 자극을 받음으로써 운동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성 의류는, 운동 시 의류상에 늘어져 연결된 전선들이 움직임에 간섭을 주어 운동성 기동성과 같은 활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착용자가 다소 격렬한 운동을 할 시에 컨트롤부와 의류를 연결하는 전선(소켓 포트 등)이 빠지거나 컨트롤러가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류와 컨트롤러가 전선을 통해 연결되므로, 운동 범위가 컨트롤러가 설치된 부분으로 극히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류에 전류를 발생시키는 패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동 시 착용함에 의해 땀이 많이 배게 되는 의류의 특성상 수시로 세탁이 이루어져야 하나, 의류를 세탁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세탁을 한다 하더라도 의류에서 패드를 분리시키는 일이 무척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373014 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6-00901141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의류의 일부분에 공압을 제공하여 해당 부분이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의 생장을 촉진시켜주기 위한 근육 생장 촉진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는 수트부; 수트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팽창수축부; 및 일측이 수트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팽창수축부에 설치되어, 팽창수축부로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제공부를 포함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팽창수축부는, 일측이 수트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팽창수축부재; 및 제1 팽창수축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팽창수축부재의 팽창에 의해 팽창되어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팽창수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팽창수축부재는,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여 제2 팽창수축부재를 압박하여, 제2 팽창수축부재를 팽창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2 팽창수축부재는, 제1 팽창수축부재의 사이에 '+' 또는 'X'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공압제공부는, 수트부에 설치되어,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재; 일측이 제공부재에 설치되고, 타측이 제1 팽창수축부재에 설치되어, 제공부재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제1 팽창수축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 및 수트부에 고정 설치되고, 전달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달부재를 수트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공압제공부는,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달부재를 외부로 노출시켜 주기 위한 관통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공압제공부는, 제공부재로부터 팽창수축부로 제공되는 공압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근육 생장 촉진 의류는, 수트부와 팽창수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트부에서 팽창수축부를 탈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1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근육 생장 촉진 의류는, 수트부와 공압제공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트부에서 공압제공부를 탈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2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근육 생장 촉진 의류는, 수트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트부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의류의 일부분에 공압을 제공하여 해당 부분이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의 생장을 촉진시켜주기 위한 근육 생장 촉진 의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쉽게 근육을 생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근육 생장 촉진 의류는,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볍게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공압이 제공되는 부분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생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는 팽창수축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는 팽창수축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상태도,
도 4는 도 1에 있는 공압제공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는 공압제공부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육 생장 촉진 의류(10)는, 수트부(100), 팽창수축부(200), 공압제공부(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트부(100)는,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며, 외면에 팽창수축부(200)와 공압제공부(300)를 설치시켜 준다. 수트부(100)는,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트부(100)를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탈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팽창수축부(200)는, 수트부(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공압제공부(3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공압제공부(300)는, 일측이 수트부(100)에 설치되고, 타측이 팽창수축부(200)에 설치되어, 팽창수축부(200)로 공압을 제공해 준다. 팽창수축부(200)와 공압제공부(300)는,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트부(100)를 착용했을 시에, 가볍게 활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근육 생장 촉진 의류(10)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수트부(100)에 설치된 팽창수축부(200)에 공압제공부(300)가 공압을 제공하여 해당 팽창수축부(200)가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의 생장을 촉진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쉽게 근육을 생장시킬 수 있다. 또한, 근육 생장 촉진 의류(10)는,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볍게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팽창수축부(20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생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팽창수축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팽창수축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팽창수축부재(210), 적어도 하나의 제2 팽창수축부재(22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팽창수축부재(210)는, 일측이 수트부(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공압제공부(3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을 자극한다. 제1 팽창수축부재(210)는, 공압제공부(3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여 제2 팽창수축부재(220)를 압박하여, 제2 팽창수축부재(220)를 팽창시켜 준다. 제1 팽창수축부재(210)는, 제2 팽창수축부재(220)의 모서리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서로 연결 형성되어, 공압제공부(3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을 시에 전체적으로 동시에 팽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팽창수축부재(220)는, 제1 팽창수축부재(2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팽창수축부재(210)의 팽창에 의해 팽창되어 근육을 자극한다. 제2 팽창수축부재(220)는, 바람직하게는, 제1 팽창수축부재(210)의 사이에 '+' 또는 'X'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팽창수축부재(220)는, 팽창될 시에, 자극시키기 위한 근육과의 표면적을 넓혀주어, 넓은 부위(또는,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빠르게 자극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공압제공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있는 공압제공부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압제공부(300)는, 제공부재(310), 전달부재(320), 고정부재(33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공부재(310)는, 수트부(100)에 설치되어, 공압을 제공해 준다. 제공부재(310)는, 내부에 일정한 양의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거나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공압을 전달부재(3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부재(320)는, 일측이 제공부재(310)에 설치되고, 타측이 제1 팽창수축부재(210)에 설치되어, 제공부재(310)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제1 팽창수축부재(210)로 전달해 준다. 전달부재(320)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고정부재(330)에 의해 수트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구부러질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330)는, 수트부(100)에 고정 설치되고, 전달부재(32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달부재(320)를 수트부(100)에 고정시켜 준다. 고정부재(330)는, 수트부(10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며, 전달부재(320)를 감싸도록 제공부재(310)와 제1 팽창수축부재(210)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3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압제공부(300)는, 관통홀부재(340), 제어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부재(340)는, 고정부재(33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부재(3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달부재(320)를 외부로 노출시켜 준다. 관통홀부재(340)의 크기는, 전달부재(3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되어, 전달부재(32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는, 제공부재(310)로부터 팽창수축부(200)로 제공되는 공압의 양을 제어한다. 제어부재는, 제공부재(310)에서 팽창수축부(200)(즉, 제1 팽창수축부재(210))로 제공되는 공압의 양과 제공되는 시간을 기 설정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재는, 제1 팽창수축부재(210)로 공압이 충분히 제공되었을 시에, 더 이상 제1 팽창수축부재(210)로 공압을 제공하지 않고 제1 팽창수축부재(210)가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팽창수축부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팽창수축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상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팽창수축부(200)는, 제1 팽창수축부재(210)가 공압제공부(3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제1 팽창수축부재(210)가 팽창된 상태이다. 이 때, 제1 팽창수축부재(210)는 팽창함과 동시에 제2 팽창수축부재(220)를 압박해준다. 이에 제2 팽창수축부재(220)는, 제1 팽창수축부재(210)의 팽창에 의해 압박되면서 사이 공간(즉, 면적)이 줄어들게 되며, 이와 동시에 팽창하여 근육 생장 촉진 의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을 자극해 줄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팽창수축부(200)는, 제1 팽창수축부재(210)가 공압제공부(3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기 전의 느슨한 상태이거나 제1 팽창수축부재(210)로 제공된 공압이 제거된 상태이다. 이 때, 제1 팽창수축부재(210)는 수축함과 동시에 제2 팽창수축부재(220)에 가해지던 압력을 해제해준다. 이에 제2 팽창수축부재(220)는, 제1 팽창수축부재(210)의 수축에 의해 압박된 사이 공간(즉, 면적)이 늘어나게 되며, 근육 생장 촉진 의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을 자극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팽창수축부(200)는, 공압제공부(3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제1 팽창수축부재(210)와 제2 팽창수축부재(220)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면서 사용자의 근육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근육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능성 의류(10)는, 수트부(100), 팽창수축부(200), 공압제공부(300), 제1 탈부착부(400), 제2 탈부착부(500), 개폐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트부(100), 팽창수축부(200), 공압제공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탈부착부(400)는, 수트부(100)와 팽창수축부(2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트부(100)에서 팽창수축부(200)를 탈부착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탈부착부(500)는, 수트부(100)와 공압제공부(3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트부(100)에서 공압제공부(300)를 탈부착시켜 준다. 제1 탈부착부(400)와 제2 탈부착부(500)는, 바람직하게는 벨크로로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용도(예를 들면, 운동복)로 수트부(100)를 착용할 시에, 수트부(100)에서 팽창수축부(200) 또는 공압제공부(300)를 탈부착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600)는, 수트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트부(100)를 개폐시켜 준다. 개폐부(600)는, 예를 들어 지퍼, 단추 등과 같은 개폐장치로서, 수트부(100)를 개폐시켜 사용자가 수트부(100)를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20: 근육 생장 촉진 의류
100: 수트부
200: 팽창수축부
210: 제1 팽창수축부제
220: 제2 팽창수축부재
300: 공압제공부
310: 제공부재
320: 전달부재
330: 고정부재
340: 관통홀부재
400: 제1 탈부착부
500: 제2 탈부착부
600: 개폐부

Claims (10)

  1.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는 수트부;
    상기 수트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팽창수축부; 및
    일측이 상기 수트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팽창수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수축부로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수축부는,
    일측이 상기 수트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팽창수축부재; 및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의 팽창에 의해 팽창되어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팽창수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는,
    상기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하여 상기 제2 팽창수축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제2 팽창수축부재를 팽창시켜 주고,
    상기 제2 팽창수축부재는,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의 사이에 '+' 또는 'X'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팽창수축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생장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는,
    상기 제2 팽창수축부재의 모서리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서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을 시에 전체적으로 동시에 팽창되며,
    상기 팽창수축부는,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가 상기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팽창수축부재를 압박하여 면적이 줄어들거나,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가 상기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기 전 또는 공압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제2 팽창수축부재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어 면적이 늘어나서 사용자의 근육을 자극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제공부는,
    상기 수트부에 설치되어,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재;
    일측이 상기 제공부재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공부재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상기 제1 팽창수축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 및
    상기 수트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달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달부재를 상기 수트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제공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달부재를 외부로 노출시켜 주기 위한 관통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제공부는,
    상기 제공부재로부터 상기 팽창수축부로 제공되는 공압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트부와 상기 팽창수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트부에서 상기 팽창수축부를 탈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1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트부와 상기 공압제공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트부에서 상기 공압제공부를 탈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2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트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트부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생장 촉진 의류.
KR1020170080562A 2017-06-26 2017-06-26 근육 생장 촉진 의류 KR10191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562A KR101917602B1 (ko) 2017-06-26 2017-06-26 근육 생장 촉진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562A KR101917602B1 (ko) 2017-06-26 2017-06-26 근육 생장 촉진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602B1 true KR101917602B1 (ko) 2018-11-13

Family

ID=6439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562A KR101917602B1 (ko) 2017-06-26 2017-06-26 근육 생장 촉진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173B1 (ko) * 2011-01-31 2011-04-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 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공기주입형 운동 보조용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458161B1 (ko) * 2013-05-14 2014-11-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JP3202147U (ja) 2015-11-04 2016-01-21 智恵 橋爪 体形補正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173B1 (ko) * 2011-01-31 2011-04-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 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공기주입형 운동 보조용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458161B1 (ko) * 2013-05-14 2014-11-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JP3202147U (ja) 2015-11-04 2016-01-21 智恵 橋爪 体形補正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254B1 (ko) 근육 보조 의류
KR102245252B1 (ko) 근육 보조 의류
CN104337668A (zh) 便携式人体支架系统
US20180303704A1 (en) Vibrating therapeutic apparel
KR101766644B1 (ko)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KR200473718Y1 (ko) 보정 속옷
KR101917602B1 (ko) 근육 생장 촉진 의류
EP0329815B1 (en) A patella brace
CN101133982A (zh) 一种气压矫肢板
CN213666016U (zh) 一种多功能膝关节支架
CN109700102B (zh) 一种可调节加压服装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TW201622596A (zh) 可調節式彈性褲及其鬆緊度調整方法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102245253B1 (ko) 근육 보조 의류
KR20150144181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종아리 마사지기
CN216535701U (zh) 小腿绑带和下肢支架
CN218921763U (zh) 髋关节防护气囊
CN111698971A (zh) 减压防护支架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217161154U (zh) 一种具有缓冲按摩功能的运动护腰
CN213250100U (zh) 一种新型足下垂矫正带
US20240180753A1 (en) Compression apparatus
CN220175338U (zh) 一种可穿戴充气式矫正器
JP2023094760A (ja) エアー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