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161B1 -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161B1
KR101458161B1 KR1020130054332A KR20130054332A KR101458161B1 KR 101458161 B1 KR101458161 B1 KR 101458161B1 KR 1020130054332 A KR1020130054332 A KR 1020130054332A KR 20130054332 A KR20130054332 A KR 20130054332A KR 101458161 B1 KR101458161 B1 KR 10145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hape
air
space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나영
김여경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41D27/202Pocket closures with flap-sealed slid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착용이 가능한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와 결합 가능하며, 형상의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패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는 몸체부에 패드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켜 몸체부를 착용한 사람 또는 마네킹의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다. 몸체부는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개폐 가능한 주머니를 각각 구비한다. 패드부는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주머니에 삽입되며, 주머니에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 또는 복원되어 주머니의 외형을 변형시킨다.

Description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FUNCTIONAL WEAR FOR BODY IMAGE CONTROL}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한 상태에서 형상을 변형시켜 착용한 사람 또는 마네킹의 체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물관, 의류 매장 등에서 의류(의복)를 전시하기 위해 마네킹을 배치하고, 배치된 마네킹에 의류를 착용시킨다. 의류를 전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네킹은 체형, 신체 규격(크기) 등이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제작된다. 여기서 규격은 현시대의 평균 규격이거나 현시대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신체의 규격일 것이다. 박물관에서 전시되는 의류는 고대에 제작된 것으로 현시대의 규격과는 차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시대의 의류를 전시하는 박물관에서는 고시대의 규격에 맞는 마네킹을 의류마다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정해진 규격에 따라 마네킹이 제작되고, 마네킹의 체형 또는 신체의 변형이 불가능해, 의류 전시를 위한 마네킹의 제작비용 또는 구매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의류 매장에서 전시되는 의류는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진다. 이로 인해, 의류 매장에서 의류를 전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규격의 마네킹을 구매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류 매장에서 의류전시를 위해 마네킹의 구매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구입 가능한 의류는 기성복으로 현시대의 평균적인 신체 규격에 맞춰 제작된다. 하지만, 의류를 구입하여 착용하는 사람들은 신체 규격, 체형이 모두 다르다. 이로 인해, 기성복으로 판매되는 의류를 구입한 사람은 자신의 신체 규격과 체형이 의류의 규격과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오차를 무시하고 착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는 의류를 구입한 사람의 신체규격 또는 체형을 변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신체규격 또는 체형을 변형시키는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0-0068682호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박물관 및 의류매장 등에서 전시되는 의류들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박물관 및 의류매장 등에 배치된 마네킹의 체형 및 신체규격(이하, ‘체형’이라 함)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기성복으로 판매되는 의류의 규격과 의류를 구입한 사람의 체형간의 오차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신의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는 착용이 가능한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와 결합 가능하며, 형상의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패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는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개폐 가능한 주머니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몸체부는 상의 몸체와 하의 몸체로 구성되며, 상의 몸체와 하의 몸체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부와 주머니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몸체부와 주머니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몸체부와 주머니는 주머니 부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또한, 패드부는 원기둥, 타원기둥, 구형, 반구형 또는 다각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와 결합된다.
또한, 패드부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1 공기주입부재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패드로 구비된다.
또한, 패드부는 제1 패드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2 공기주입부재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패드를 구비한 적층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사람이나 마네킹에 착용시킬 수 있는 몸체부에 구비된 개폐가능한 주머니에 형상의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패드부를 삽입시킴으로써, 박물관 및 의류매장 등에서 전시되는 의류들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박물관 및 의류매장 등에 배치된 마네킹의 체형을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몸체부의 주머니에 삽입되는 패드부가 제1 패드와 제1 패드를 감싸는 제2 패드로 이루어지며,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을 변형시켜 착용한 사람의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1 패드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군집시켜 배치가능하므로, 기성복으로 판매되는 의류의 규격과 의류를 구입한 사람의 체형 간의 오차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의 패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는 사람이 착용하거나, 마네킹에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10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는 사람이 착용할 경우, 착용한 사람의 체형을 변형 및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는 마네킹(200)에 착용시킬 경우, 전시하려는 의류 등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마네킹(200)의 체형을 변형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는 사람과 마네킹(200)에 모두 착용시켜 체형을 변형, 조절 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의 설명은 사람의 경우와 마네킹의 경우를 분리하여 각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에 대한 설명은 사람이 착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더라도 이는 마네킹에 착용시킨 경우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는 착용이 가능한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110)와 결합 가능하며, 형상의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패드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는 몸체부(110)에 패드부(120)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켜 몸체부(110)를 착용한 사람 또는 마네킹의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다.
몸체부(110)는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개폐 가능한 주머니(111)를 각각 구비한다. 패드부(110)는 몸체부(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주머니(111)에 삽입되며, 주머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 또는 복원되어 주머니(111)의 외형을 변형시킨다.
몸체부(110)는 상의 몸체(110a)와 하의 몸체(110b)로 구성되며, 상의 몸체(110a)와 하의 몸체(110b)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를 착용하는 사람(이하, ‘사용자’라 함)에 따라 상의 몸체(110a) 또는 하의 몸체(110b)를 개별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의 상의 몸체(110a)만을 착용하여, 사용자의 상체의 체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의 하의 몸체(110b)만을 착용하여 하체의 체형만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남녀 또는 노소를 구분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의 상의 몸체(110a) 및 하의 몸체(110b)를 모두 착용하여,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의 체형을 조절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몸체부(110)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사람이나 마네킹이 상의 몸체(110a)와 하의 몸체(110b)를 각각 착용한다. 몸체부(11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의 몸체(110a)와 하의 몸체(110b)는 하나의 몸체부(110)로 이루어질 것이다.
몸체부(110)는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또는 마네킹이 착용 시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지며, 단추를 이용해 몸체부(110)를 개폐하여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다. 단추로는 똑딱단추를 이용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복수의 구간에 주머니(111)를 형성하고 있다. 몸체부(110)에 형성된 주머니(111)의 개수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몸체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긴팔형태의 상의 몸체(110a)와 긴바지 형태의 하의 몸체(1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0)는 속옷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사용자나 마네킹이 몸체부(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류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신체부위와 접하는 부분에 주머니(111)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몸체부(110)는 상의 몸체(110a)가 긴팔형태로 이루어지고, 하의 몸체(110b)가 짧은 바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몸체부(110)의 형태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몸체부(110)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패드부(120)를 삽입하기 위해 주머니(111)를 구비한다. 몸체부(110)에 구비된 주머니(111)는 일 측이 개구되고, 이 개구는 개폐가능하다. 주머니(111)는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지며, 단추 등의 개폐부재(112)에 의해 내부 공간이 개폐된다. 단추로는 똑딱단추를 이용할 수 있다. 주머니(111)는 몸체부(110)와 신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와 주머니(111)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와 주머니(111)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몸체부(110)와 주머니(111)는 주머니 부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10)와 주머니(111)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주머니(111)는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지며, 단추 등의 주머니 부착부재에 의해 몸체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단추로는 똑딱단추를 이용할 수 있다.
주머니(111)가 주머니 부착부재에 의해 몸체부(110)와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신체부위에 주머니(111)를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된 주머니(111)를 탈착할 수 있다. 주머니(111)는 내부 공간에 패드부(120)를 수용하고, 주머니(111)와 패드부(120)의 고정을 위해 패드부 부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의 패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120)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1 공기주입부재(122)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패드(121)로 구비된다.
또한, 패드부(120)는 제1 패드(121)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2 공기주입부재(124)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패드(123)를 구비한 적층형태이다.
제2 패드(123)는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이루어지며, 제2 패드(123)에 형성되는 구역이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 제1 경계구간(125)과 대응되거나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 패드(123)의 각 구역을 구분하는 제2 경계구간(126)을 형성한다.
패드부(120)는 원기둥, 타원기둥, 구형, 반구형 또는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드부(120)의 형상은 제1 패드(121) 및 제2 패드(123)의 형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패드(121) 및 제2 패드(123)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패드(121) 및 제2 패드(123)의 형상은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 또는 마네킹(200)의 특정 신체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부(120)는 벨크로, 단추 및 양면접착 소재 등을 이용해 몸체부(110)와 결합된다. 단추는 똑딱단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양면접착 소재는 양면접착제 또는 양면접착 테이프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패드부(120)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엉덩이 부위에 형성된 주머니(111)에 삽입되어 체형을 조절할 수 있다. 엉덩이 부위에 형성된 주머니(111)에 삽입되는 패드부(120)의 형상은 엉덩이 부위의 형상과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부(120)의 제1 패드(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개가 군집되어 하나의 제1 패드(1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패드(121)는 하나의 제1 공기주입부재(122)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패드(121)에 하나의 제1 공기주입부재(122)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 복수의 제1 패드(121)는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군집될 것이다.
한편, 복수의 제1 패드(121)가 제1 공기주입부재(122)를 각각 구비하여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패드(121)는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주머니(11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도 3의 (a)는 패드부(120)의 평면도이고, (b)와 (c)는 패드부(120)의 단면도이다.
패드부(120)의 제1 패드(121)는 도 3의 (b) 및 (c)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이루어지며, 제1 패드(121)가 하나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경우 내부는 단일 공간이 되어 제1 단일공간(129)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패드(121)가 복수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구역을 구분하고 길이를 가지며 오목해지는 제1경계구간(125)을 구비하고, 제1경계구간(125)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어 제1 복수공간(130)으로 이루어진다.
제1 패드(121)는 복수개가 군집되어 제2 패드(123)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경계구간(125)은 제1 패드(121)가 군집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경계구간(125)은 하나의 제1 패드(121)의 일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121)에 제1경계구간(125)을 형성하여 사용자는 제1경계구간(125)이 특정 신체 부위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도록 위치시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드(121)에 형성된 제1경계구간(125)이 ‘王’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남성 사용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패드(121)를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남성 사용자의 복부에 ‘王’형상의 근육이 형성된 것처럼 체형을 변형 및 조절할 수 있다. 패드부(120)는 제1 패드(121)의 상부에 적층형으로 이루어진 제2 패드(123)를 형성하여 제1 패드(121)에 의해 조절된 체형을 보다 강조하거나 재차 수정할 수 있다. 제1 패드(121)의 군집에 의한 형상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패드부(120)는 제1 패드(121)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패드(121) 및 제2 패드(1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패드(123)는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이루어지며, 제2 패드(123)가 하나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경우 내부는 단일 공간이 되어 도 3의 (d)와 같이 제2 단일공간(13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패드(123)가 복수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구역을 구분하고 길이를 가지며 하부로 오목해지는 제2 경계구간(126)을 구비하고, 제2 경계구간(126)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어 제2 복수공간(132)으로 이루어진다. 제2 패드(123)에 도 3의 (c)와 같이 제2경계구간(126)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패드(121)를 통해 변형된 체형을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제1 패드(121)의 외부에 제2 패드(123)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체형조절 및 변형의 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다. 또한, 제2경계구간(126)은 제1경계구간(125)과 대응되는 위치 또는 대응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제1 패드(121)를 통해 조절한 체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패드(123)를 통해 체형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경계구간(126)은 제1경계구간(125)과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패드(121)와 제2 패드(123)는 고무 튜브와 같이 신축성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형상의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패드(121)와 제2 패드(123)는 공기가 주입될 때 팽창되며 형상이 커지고, 공기가 배출될 때, 팽창되며 커진 형상이 다시 복원되는 방식으로 형상이 변형 및 복원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일공간(129)으로 제1 공기주입부재(122)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제1 단일공간(129)이 상부로 볼록하게 팽창되며, 공기가 배출되면 제1 단일공간(129)이 수축되어 형상이 복원된다. 또한, 제1 복수공간(130)은 서로 연통되며, 제1 복수공간(130)으로 제1 공기주입부재(122)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제1 복수공간(130)이 상부로 볼록하게 각각 팽창되며, 공기가 배출되면 제1 복수공간(130)이 각각 수축되어 형상이 복원된다.
아울러, 제2 단일공간(131)으로 제2 공기주입부재(124)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제2 단일공간(131)이 상부로 볼록하게 팽창되며, 공기가 배출되면 제2 단일공간(131)이 수축되어 형상이 복원된다.
또한, 제2 복수공간(132)은 서로 연통되며, 제2 복수공간(132)으로 제2 공기주입부재(124)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제2 복수공간(132)이 상부로 볼록하게 각각 팽창되며, 공기가 배출되면 제2 복수공간(132)이 각각 수축되어 형상이 복원된다.
패드부(120)는 도 6과 같이 제1 패드(121)에 제1 복수공간(130)을 형성하고, 제2 패드(123)에 제2 단일공간(131)을 형성하는 적층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패드부(120)는 제1 패드(121)에 제1 단일공간(129)을 형성하고, 제2 패드(123)에 제2 복수공간(132)을 형성하는 적층형태로 구비된다. 패드부(120)의 적층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패드부(120)는 도 6과 같이 이루어져, 제2 단일공간(131)을 형성하는 제2 패드(123)가 제1 복수공간(130)을 형성하는 제1 패드(121)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패드(121)에서 1차로 체형을 변형시키고, 도 6과 같이 제1 패드(121)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패드(123)를 이용해 2차로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복부에 “王”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패드(121)의 제1 복수공간(130)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제2 패드(123)에는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제1 패드(121)의 제1 복수공간(130)에만 공기를 주입하여 복부에 “王”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드(123)의 제2 단일공간(131)에 공기를 주입하여 복부에 형성된 “王”자 형상이 없어지도록 체형을 변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2 패드(123)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에서 제1 패드(121)의 제1 복수공간(130)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켜 복부에 형성된 “王”자 형상이 없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부에 형성된 “王”자 형상이 없어지도록 체형을 변형시키기 위해, 제1 패드(121)의 제1 복수공간(130)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제2 패드(123)의 제2 단일공간(131)에 공기를 주입하여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다.
제1 경계구간(125)에 의해 형성된 제1 패드(121)의 각 구역은 서로 연통되며, 제2 경계구간(126)에 의해 형성된 제2 패드(123)의 각 구역은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제1 패드(121)의 제1 공기주입부재(122)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제1 복수공간(130)에 각각 공기가 주입되어 상부로 제1 복수공간(130)이 팽창된다.
아울러, 패드부(120)는 제2 패드(123)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3 공기주입부재(미도시)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3 패드(미도시)를 구비한 적층형 패드일 수 있다.
패드부(120)가 적층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적층되는 패드의 수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패드부(120)는, 제3 패드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n 공기주입부재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n 패드를 구비한 적층형 패드일 수 있다. 여기서, ‘n’은 4이상의 자연수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100)는 사람이나 마네킹(200)에 착용시킬 수 있는 몸체부(110)에 구비된 개폐가능한 주머니(111)에 형상의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패드부(120)를 삽입시킴으로써, 박물관 및 의류매장 등에서 전시되는 의류들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박물관 및 의류매장 등에 배치된 마네킹의 체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주머니(111)에 삽입되는 패드부(120)가 제1 패드(121)와 제1 패드(121)를 감싸는 제2 패드(123)로 이루어지며,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을 변형시켜 착용한 사람의 체형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1 패드(121)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군집시켜 배치가능하므로, 기성복으로 판매되는 의류의 규격과 의류를 구입한 사람의 체형 간의 오차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10: 몸체부 110a: 상의 몸체
110b: 하의 몸체 111: 주머니
112: 개폐부재
120: 패드부 121: 제1 패드
122: 제1 공기주입부재 123: 제2 패드
124: 제2 공기주입부재 125: 제1경계구간
126: 제2경계구간 129: 제1 단일공간
130: 제1 복수공간 131: 제2 단일공간
132: 제2 복수공간 200: 마네킹

Claims (20)

  1. 착용이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 가능하며, 형상의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1 공기주입부재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패드로 구비되며,
    제1 패드가 복수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구역을 구분하고 길이를 가지며 오목해지는 제1경계구간을 구비하고, 제1경계구간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어 제1 복수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2. 착용이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 가능하며, 형상의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1 공기주입부재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패드로 구비되며,
    상기 패드부는 제1 패드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2 공기주입부재를 구비하며, 공기의 주입량 또는 배출량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패드를 구비한 적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개폐 가능한 주머니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4. 제3항에 있어서,
    패드부는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주머니에 삽입되며,
    주머니에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 또는 복원되어 주머니의 외형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5. 제3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상의 몸체와 하의 몸체로 구성되며,
    상의 몸체와 하의 몸체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6. 제3항에 있어서,
    주머니는 벨크로, 지퍼 또는 단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재에 의해 내부 공간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7. 제3항에 있어서,
    몸체부와 주머니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몸체부와 주머니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몸체부와 주머니는 주머니 부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8. 제7항에 있어서,
    주머니 부착부재는 벨크로, 지퍼 또는 단추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패드부는 원기둥, 타원기둥, 구형, 반구형 또는 다각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0. 제2항에 있어서,
    제2 패드가 하나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경우 내부는 단일 공간이 되어 제2 단일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1. 제2항에 있어서,
    제2 패드가 복수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구역을 구분하고 길이를 가지며 하부로 오목해지는 제2 경계구간을 구비하고, 제2 경계구간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어 제2 복수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2. 제1항에 있어서,
    제1 복수공간은 서로 연통되며, 제1 복수공간으로 제1 공기주입부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제1 복수공간이 상부로 볼록하게 각각 팽창되며, 공기가 배출되면 제1 복수공간이 각각 수축되어 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3. 제10항에 있어서,
    제2 단일공간으로 제2 공기주입부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제2 단일공간이 상부로 볼록하게 팽창되며, 공기가 배출되면 제2 단일공간이 수축되어 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4. 제11항에 있어서,
    제2 복수공간은 서로 연통되며, 제2 복수공간으로 제2 공기주입부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제2 복수공간이 상부로 볼록하게 각각 팽창되며, 공기가 배출되면 제2 복수공간이 각각 수축되어 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5. 제10항에 있어서,
    패드부는
    제1 패드에 제1 복수공간을 형성하고, 제2 패드에 제2 단일공간을 형성하는 적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6. 제10항에 있어서,
    패드부는
    제1 패드에 제1 단일공간을 형성하고, 제2 패드에 제2 복수공간을 형성하는 적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54332A 2013-05-14 2013-05-14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KR10145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32A KR101458161B1 (ko) 2013-05-14 2013-05-14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32A KR101458161B1 (ko) 2013-05-14 2013-05-14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161B1 true KR101458161B1 (ko) 2014-11-06

Family

ID=5228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332A KR101458161B1 (ko) 2013-05-14 2013-05-14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602B1 (ko) * 2017-06-26 2018-11-13 주식회사 에프알티 근육 생장 촉진 의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52Y1 (ko) * 2006-08-10 2006-11-10 주식회사 우양크리에이션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KR101127920B1 (ko) * 2009-10-14 2012-03-21 김삼녀 부피조절이 가능한 보정속옷
KR200464651Y1 (ko) * 2012-09-11 2013-01-14 박윤자 바지용 힙 보정기구
KR101248094B1 (ko) * 2011-02-28 2013-03-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 스트링 어셈블리를 이용한 실루엣 가변용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52Y1 (ko) * 2006-08-10 2006-11-10 주식회사 우양크리에이션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KR101127920B1 (ko) * 2009-10-14 2012-03-21 김삼녀 부피조절이 가능한 보정속옷
KR101248094B1 (ko) * 2011-02-28 2013-03-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 스트링 어셈블리를 이용한 실루엣 가변용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
KR200464651Y1 (ko) * 2012-09-11 2013-01-14 박윤자 바지용 힙 보정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602B1 (ko) * 2017-06-26 2018-11-13 주식회사 에프알티 근육 생장 촉진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759B2 (en) Article of apparel for concealing objects
US10813400B2 (en) Hip pocket pants, shorts and skirts
US20200054079A1 (en) Leotard including built-in supportive bra
US20090031469A1 (en) Combination garment and figure-enhancing device and method
US6892399B1 (en) Womens' pant's construction with crotch panel for slimming appearance of thighs
US20220346461A1 (en) Undergarment systems and methods
US10021921B2 (en) Jeans garment having body contouring and shape-enhancing functions
US20150211829A1 (en) Modular concealable armored garment and system
US10342269B1 (en) Supportive transparent bra
KR200430682Y1 (ko) 기능성 팬티
WO2010010340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ngerie
US20200100918A1 (en) Garment with loop and pocket for breast prostheses
US20140123368A1 (en) Jeans with detachable moveable pockets
KR200464651Y1 (ko) 바지용 힙 보정기구
GB2468175A (en) Lingerie with pockets
KR101458161B1 (ko) 체형조절을 위한 기능성 의류
KR20150047906A (ko) 체형 보정용 바지
US8100876B1 (en) Undergarments with sanitary absorbent device holder
US20150164155A1 (en) Convertible Garment
KR20190137322A (ko) 체형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기능성의류
US7387561B2 (en) Upper body controlling and smoothing bodysuit
US20230071395A1 (en) Concealed weight incorporating upper body garment
US8245325B1 (en) Flannel lined uniform pants
US7416470B2 (en) Upper body controlling and smoothing bodysuit
CN109714994A (zh) 露背支撑胸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