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719B1 - 영상투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투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719B1
KR101916719B1 KR1020120037526A KR20120037526A KR101916719B1 KR 101916719 B1 KR101916719 B1 KR 101916719B1 KR 1020120037526 A KR1020120037526 A KR 1020120037526A KR 20120037526 A KR20120037526 A KR 20120037526A KR 101916719 B1 KR101916719 B1 KR 101916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bundle
disposed
polarizat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007A (ko
Inventor
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719B1/ko
Priority to US13/803,790 priority patent/US9429765B2/en
Priority to CN201310123268.XA priority patent/CN103365047B/zh
Priority to EP13001851.8A priority patent/EP2651143B1/en
Publication of KR2013011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73Polarisers in the lamp hou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광다발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다발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광원과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명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계는, 상기 광다발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조명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 및 입체영상을 구현하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계내에서 상기 광다발을 편광으로 변환시키는 편광형성부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투사장치{IMAGE PRO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생성된 영상을 외부로 확대투사하는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대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대화면을 구현하는 기기의 일 예로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기능을 갖춘 영상투사장치가 있다.
영상투사장치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를 말하며, 대표적인 예로 프로젝터,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이 있다.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대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대화면을 구현하는 장치의 일 예로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기능을 갖춘 영상투사장치가 있다. 영상투사장치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를 말하며, 대표적인 예로 프로젝터, 프로젝션 텔레비전을 들 수 있다.
최근 보다 현실에 가까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영상투사장치에는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영상투사장치에서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은 두 가지로 나뉜다. 한가지는 SG(Shutter Glass) 방식으로 좌안/우안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재생해 동기화 되어 있는 3D 안경을 통해 입체를 구현하는 방법이며 다른 한가지는 FPR(Film Patterned Retarder) 방식으로 원편광 Shutter를 이용하여 좌안/우안의 위상차이를 발생시켜 편광 방식의 3D 안경을 통해 사람 뇌에서 입체를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원편광 Shutter를 이용하는 방식들은 광학계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투사장치에서 컴팩트한 구성임에도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D Shutter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구현시에, 영상투사장치의 광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투사장치는, 광다발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다발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광원과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명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계는, 상기 광다발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조명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 및 입체영상을 구현하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계내에서 상기 광다발을 편광으로 변환시키는 편광형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조명계는 상기 편광형성부에 대한 상기 광다발의 입사각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광다발의 경로상에서 상기 편광형성부의 앞쪽에 배치되는 오목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렌즈들은 조리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오목렌즈는 상기 광다발의 경로상에서 상기 조리개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형성부는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에 의하여 상기 조리개의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의 입사각은 상기 오목렌즈에 의하여 1 도 내지 5.3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들은 상기 오목렌즈와 편광형성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편광형성부는 상기 광다발을 서로 다른 방향의 원편광들로 순차적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편광형성부는 FPR(Film Patterned Retarder) 방식의 원평광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조명계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편광형성부와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편광형성부는 2차원 영상의 구현시에 상기 복수의 미러로 향하는 광다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계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영상투사장치는 조명계에서 렌즈군의 사이에 편광형성부를 배치시킴에 따라, 컴팩트한 광학계에서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또한, 편광형성부의 앞쪽에 오목렌즈가 배치됨에 따라, 편광형성부로 입사되는 광다발의 입사각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편광형성부로 인한 광효율 저감이 방지 또는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계에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미러를 이용함에 따라, 편광형성부가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광학계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영상투사장치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영상투사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광학계를 도식화한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조명계에서 광 진행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조명계에서 편광형성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a 및 도 7b는 편광형성부의 삽입 전후의 광학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영상투사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영상투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영상투사장치(100), 스크린부(101) 및 편광 안경부(102)를 포함한다.
영상투사장치(100)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프로젝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투사장치(100)는 프로젝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영상투사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에 내장되는 투사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영상투사장치(100)는 서로 다른 편광 방향(103a, 103b)을 가지는 제1 및 제2 영상(104a, 104b)을 함께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로 다른 편광 방향을 구비하는 편광은 각각 제1 및 제2 편광(103a, 103b)으로 칭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편광(103a, 103b)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4a, 104b)은 입체 영상을 형성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4a, 104b)은 각각 좌안 및 우안 영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4a, 104b)은 각각 우안 및 좌안 영상이 될 수 있다.
스크린부(101)는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확대 투사되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스크린부(101)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104a, 104b)이 투사되도록 영상투사장치(100)의 투사 방향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스크린부(101)는, 예를 들어 벽면이나 무채색 또는 은색의 막 등이 될 수 있다. 스크린부(101)는 편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편광 유지 스크린이 될 수 있다.
편광 안경부(102)는 서로 다른 원편광(103a, 103b)에 각각 대응하는 편광판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는 각각 양안시차를 가지는 좌안 및 우안 영상(104a, 104b)이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체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투사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입체 영상투사장치(100)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상기 영상투사장치(100)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1, 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광학부품 및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1)에는 조작부(11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사용자가 시작, 종료, 줌인(Zoom -In), 줌아웃(Zoom-Out) 포커싱(Focusing) 등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2)에는 투사부(114), 제1 및 제2 공기 유동부(115a, 115b), 인터페이스(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투사부(114)는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공기 유동부(115a, 115b)는 복수의 관통공들로 이루어져 영상투사장치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강제 대류를 이용한 영상투사장치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인터페이스(116)는 영상투사장치(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16)를 통하여 영상투사장치(100)에서 투사할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116)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공급가능한 전자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 디브디(DVD) 플레이어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영상투사장치에서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영상투사장치(100)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광학계를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12)에는 제어 회로기판(121) 및 전원기판(122)이 장착될 수 있다. 제어 회로기판(121)은 영상투사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원기판(122)은 교류 전원 등을 공급받아 영상투사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하부 케이스(112)에는 렌즈 등의 광학소자들이 배열되어 영상을 형성하고 외부로 투사하는 광학계(1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학계(130)와 하부 케이스(112) 사이에는 광학계(130)가 조립될 수 있는 구조물(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계(130)는 광원(131), 조명계(140), 디스플레이 소자(132) 및 투사계(133)를 포함한다.
광원(131)은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빛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광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광원(131)은, 예를 들어 초고압 수은 램프(UHV Lamp),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 등이 될 수 있다. 광원(131)의 동작을 돕기 위하여 광원(131)에 공급되는 전기를 안정화하는 안정기와 강제 대류를 발생시키는 냉각 팬 등이 하부 케이스(112)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31)에서 발생한 광다발이 일정한 방향으로 조명되도록, 광원(131)과 인접하게 조명계(140)이 배치된다. 조명계(140)는 광이 집속되도록 렌즈 등의 광학소자가 일정 배열로 군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조명계(140)는 상기 광다발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의 원편광들(103a, 103b, 도 1 참조)로 순차적으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조명계의 복수의 렌즈들(141)의 사이에 편광형성부(142)가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편광형성부(142)가 조명계에서 렌즈들의 사이 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광학계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132)는 원편광들(103a, 103b)을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 영상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소자(132)는 입사되는 편광을 반사시켜 영상을 형성하도록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소자(132)는 구현할 좌안 및 우안 영상에 대응되게 입사되는 광다발을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에서 독립적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전자소자는,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따라 경사각이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로 변화하는 마이크러 미러를 평면상에 격자로 배열한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자소자는 액정 디스플레이소자 중 광을 반사하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패널이 될 수 있다.
투사계(133)는 디스플레이 소자(132)에서 형성된 영상을 확대투사하도록 이루어진다. 투사계(133)는 렌즈들과 상기 렌즈들을 지지하는 구조물이 조합되어 투사부(114, 도 2a 참조)를 형성하게 된다.
다시 조명계(140)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조명계(140)는 상기 광원(131)과 디스플레이 소자(132)의 사이에 배치되어 광다발의 조명 및 편광화를 담당하게 된다. 이하, 상기 조명계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조명계(140)에서 광 진행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조명계에서 편광형성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편광형성부의 삽입 전후의 광학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렌즈들(141)은 광원에서 발생한 광다발을 디스플레이 소자(132)에 조명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들(141)과 광원(131)의 사이에는 광 통합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광 통합부(134)는 광원(131)의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광들이 모이는 위치에 배치되며, 광들을 균일하게 분포하여 복수의 렌즈들(141)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광 통합부(134)는, 예를 들어 광 터널(Light Tunnel), 인티그레이터(Integrator)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광다발 휘도의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상기 광 통합부(134)를 지난 광다발은 다시 상기 복수의 렌즈들(14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소자(132)의 크기에 맞도록 굴절된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복수의 렌즈들(141)은 오목렌즈와 볼록렌즈가 조합되어 조리개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편광형성부(142)는 입체영상을 구현하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계(140)내에서 상기 광다발을 편광으로 변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형성부(142)는 상기 광다발을 서로 다른 방향의 원편광들로 순차적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 상기 편광형성부(142)는 FPR(Film Patterned Retarder) 방식의 원평광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편광형성부(142)는 선편광 셔터가 될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편광형성부(142)는 상기 조리개의 위치에 배치된다. 만약, 조리개의 입사각이 10도 이상으로 크다면 조리개에 위치하는 편광형성부(142)에 의하여 조명계의 광효율은 저하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편광형성부(142)가 조리개에 위치하면서도 조명계(140)의 광효율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조리개의 입사각을 1 도 내지 5.3도의 범위내에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계(140)는 상기 편광형성부(142)에 대한 상기 광다발의 입사각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광다발의 경로상에서 상기 편광형성부(142)의 앞쪽에 배치되는 오목렌즈(143)를 포함한다. 즉, 복수의 렌즈들(141) 중 어느 하나의 오목렌즈(143)가 편광형성부(142)의 앞쪽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오목렌즈(143)는 상기 광다발의 경로상에서 상기 조리개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렌즈들(141) 중 어느 하나의 볼록렌즈(144)는 상기 오목렌즈(143)와 편광형성부(142)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볼록렌즈(144)에 의하여 모이는 방향으로 굴절되기 전에 오목렌즈(143)에 의하여 펼쳐지는 방향으로 굴절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조리개의 입사각은 1 도 내지 5.3도로 형성된다.
입사각이 작기 때문에 원평광 셔터가 삽입되더라도 이로인한 조명 마진 감소 및 밝기 효율 감소가 거의 없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학계는 입체영상뿐만 아니라 2차원 영상도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형성부(142)는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에 의하여 상기 조리개의 위치로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형성부(142)가 이동하기에 2차원 화면의 시청시에는 편광형성부(142)의 사용으로 인한 광효율 저감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7a 및 도 7b은 각각 원평광 셔터를 삽입하기 전과 후의 조명형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편광형성부(142)의 삽입 전후에서 조명형상 및 밝기의 차이가 시뮬레이션 오차 수준으로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추가비용 및 구성 공간이 필요한 더미 글래스 등이 없는 입체영상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광형성부(142)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편광형성부(142)의 이동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광학계의 크기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미러를 이용하여 크기 증가없이 편광형성부(142)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광학계를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계(14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미러(145, 146)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미러(145, 146)는 상기 편광형성부(142)와 디스플레이 소자(132)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소자와 인접하게 프리즘(147)이 배치된다. 프리즘(147)은 내부 빗변에서 입사되는 광다발을 반사 또는 투과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미러(146)에서 반사된 광다발을 디스플레이 소자(132)를 향하여 굴절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2)에서 형성된 영상을 투사계(133)로 투과하게 된다.
상기 편광형성부(142)는 2차원 영상의 구현시에 상기 복수의 미러(145, 146)로 향하는 광다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계(13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편광형성부(142)에서 형성된 편광은 180도 굴절되어 프리즘(147)으로 입사되며, 이를 통하여 매우 컴팩트한 광학계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영상투사장치는 여러가지 형태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영상투사장치(200)의 사시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도 5의 광학계는 스크린에 인접한 상태에서 대화면을 투영하는 UST(ultra short throw ratio) 광학계의 구현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투사부(214)는 영상을 상부 케이스(211)의 상면에서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투사계(미도시)의 최종단에는 근접거리에서 대화면을 구현하도록 상기 투사계(미도시)에서 출사되는 광다발을 미러(234)에서 외부를 향하여 반사한다. 이를 위하여 미러(234)는 오목미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영상투사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광다발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다발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광원과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명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계는,
    상기 광다발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조명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 및
    입체영상을 구현하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계내에서 상기 광다발을 편광으로 변환시키는 편광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형성부는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입체영상 구현 시, 상기 이동에 의하여 조리개의 위치로 삽입되고,
    2차원 영상 구현 시, 상기 이동에 의하여 상기 조리개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계는,
    상기 편광형성부에 대한 상기 광다발의 입사각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광다발의 경로상에서 상기 편광형성부의 앞쪽에 배치되는 오목렌즈를 더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들은 조리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오목렌즈는 상기 광다발의 경로상에서 상기 조리개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의 입사각은 상기 오목렌즈에 의하여 1 도 내지 5.3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들은 상기 오목렌즈와 편광형성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형성부는 상기 광다발을 서로 다른 방향의 원편광들로 순차적으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형성부는 FPR(Film Patterned Retarder) 방식의 원평광 셔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계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편광형성부와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형성부는 2차원 영상의 구현시에 상기 복수의 미러로 향하는 광다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장치.
KR1020120037526A 2012-04-10 2012-04-10 영상투사장치 KR101916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526A KR101916719B1 (ko) 2012-04-10 2012-04-10 영상투사장치
US13/803,790 US9429765B2 (en) 2012-04-10 2013-03-14 Image projection apparatus
CN201310123268.XA CN103365047B (zh) 2012-04-10 2013-04-10 图像投影设备
EP13001851.8A EP2651143B1 (en) 2012-04-10 2013-04-10 Image proj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526A KR101916719B1 (ko) 2012-04-10 2012-04-10 영상투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007A KR20130115007A (ko) 2013-10-21
KR101916719B1 true KR101916719B1 (ko) 2019-01-30

Family

ID=4809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526A KR101916719B1 (ko) 2012-04-10 2012-04-10 영상투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9765B2 (ko)
EP (1) EP2651143B1 (ko)
KR (1) KR101916719B1 (ko)
CN (1) CN103365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0411B2 (ja) * 2015-06-15 2019-02-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d表示用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3d表示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276A (ja) * 2003-10-10 2005-04-28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及び投射型表示方法
JP2010243543A (ja) *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7516B1 (en) * 1995-05-23 2004-03-16 Colorlink, Inc. Single-panel field-sequential color display systems
US6257726B1 (en) * 1997-02-13 2001-07-10 Canon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apparatus and projecting apparatus
CA2277656C (en) * 1999-07-19 2010-04-27 Imax Corporation Image projection system
GB0119176D0 (en) 2001-08-06 2001-09-26 Ocuity Ltd Optical switching apparatus
EP1331827A1 (en) 2002-01-28 2003-07-30 Thomson Licensing S.A. Brighter light engine architecture
US7083282B1 (en) * 2002-02-19 2006-08-01 Colorlink, Inc. Light recycling colored light source and method of using
US6962415B2 (en) * 2004-02-27 2005-11-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o-optical dimming system
US20050237487A1 (en) * 2004-04-23 2005-10-27 Chang Nelson L A Color wheel assembly for stereoscopic imaging
TWI255962B (en) * 2004-08-20 2006-06-01 Coretronic Corp Dimensional image projector
US7429111B2 (en) * 2004-12-06 2008-09-30 Jds Uniphase Corporation Two-panel color management system
JP5213360B2 (ja) * 2006-06-08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光学系及び画像投射装置
EP2067066B1 (en) * 2006-09-29 2014-11-05 RealD Inc.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s for stereoscopic projection
TW201019031A (en) * 2008-11-04 2010-05-16 Wistron Corp Projecting system capable of forming 3D images and related method
CN102460270B (zh) * 2009-05-22 2015-08-05 瑞尔D股份有限公司 偏振调制器以及具有偏振调制器的立体投影设备
JP5263031B2 (ja) 2009-06-26 2013-08-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US8696133B2 (en) * 2009-09-11 2014-04-15 Konica Minolta Opto, Inc.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image projecting device
JP5402791B2 (ja) * 2010-04-02 2014-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US8287129B2 (en) * 2010-05-21 2012-10-16 Eastman Kodak Company Low thermal stress birefringence imaging system
US8567957B2 (en) * 2011-07-11 2013-10-29 Microvision, Inc. Active polarization switch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projection sources
CN103631075B (zh) * 2012-08-24 2016-08-03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照明系统、投影装置及照明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276A (ja) * 2003-10-10 2005-04-28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及び投射型表示方法
JP2010243543A (ja) *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007A (ko) 2013-10-21
CN103365047A (zh) 2013-10-23
EP2651143A2 (en) 2013-10-16
US9429765B2 (en) 2016-08-30
CN103365047B (zh) 2016-03-16
US20130265550A1 (en) 2013-10-10
EP2651143A3 (en) 2017-07-26
EP2651143B1 (en)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35588A1 (en) 3D display apparatus
TWI498598B (zh) 立體裸視投影裝置及顯示裝置
JP2007534984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WO2009150743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1587426B1 (ko) 영상투사장치
JP200702497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10139590A (ja) 画像投影装置及び投影画像の二次元/三次元切替え方法
KR101916719B1 (ko) 영상투사장치
US9104048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with single modulator
US10728534B2 (en) Volumetric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US8985785B2 (en) Three dimensional laser image projector
EP2653921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6330327A (ja) 投影型三次元画像表示装置
KR101667700B1 (ko) 입체 영상투사장치
US8960912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JP2013113997A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
JP3149346U (ja) 大会場向け投影システム
KR101730428B1 (ko) 입체 영상투사장치
CN117452648A (zh) 一种ar眼镜
KR20130084449A (ko)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JP2007024977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40010288A (ko) 영상투사장치
KR20100035058A (ko) 영상 투사 장치, 그를 구비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입체 영상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