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698B1 - 커버링 쉘프 - Google Patents

커버링 쉘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698B1
KR101916698B1 KR1020170014460A KR20170014460A KR101916698B1 KR 101916698 B1 KR101916698 B1 KR 101916698B1 KR 1020170014460 A KR1020170014460 A KR 1020170014460A KR 20170014460 A KR20170014460 A KR 20170014460A KR 101916698 B1 KR101916698 B1 KR 10191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e
insertion hole
trunk
covering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743A (ko
Inventor
이창호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01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6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트렁크와 연결되는 걸이부의 구조변경을 통해 정비성을 개선하는 커버링 쉘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링 쉘프는 차량의 트렁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 양측에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 상기 트렁크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부 및 상기 삽입홀을 지나 상부로 연장된 상단은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삽입홀 하부에서 상기 삽입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의 상단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버링 쉘프{COVERING SHELF}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어 적재물을 적재하는 커버링 쉘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링 쉘프는 양측면이 자동차 트렁크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후방에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커버링 쉘프를 트렁크의 문이나 트렁크 내부에 연결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형태의 걸이부가 결합된다.
그러나 걸이부는 커버링 쉘프에 관통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와 양 끝단에 형성된 부분의 정비가 필요할 경우 커버링 쉘프 전체를 교환하거나 커버링 쉘프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을 파손시키면서 걸이부를 분리하고 정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특허등록 제10-0930763호는 커버링 쉘프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가변형 커버링 쉘프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특허등록 제10-0906675호는 커버링 쉘프와 리어시트 간의 이격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차량용 커버링 쉘프의 지지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진동을 감소시켜 소음을 줄이고 공간 활용을 개선한 커버링 쉘프의 구조는 개시하고 있지만, 커버링 쉘프와 트렁크를 연결하는 걸이부의 정비성을 개선하는 발명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버링 쉘프와 걸이부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케이블의 정비성을 개선하는 발명을 필요로 한다.
트렁크와 연결되는 걸이부의 구조변경을 통해 정비성을 개선하는 커버링 쉘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링 쉘프는 차량의 트렁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 양측에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 상기 트렁크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부 및 상기 삽입홀을 지나 상부로 연장된 상단은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삽입홀 하부에서 상기 삽입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의 상단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부로 연장된 와이어의 절곡을 통해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 하부의 접합된 와이어들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원통형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 및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고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링 쉘프는 트렁크와 와이어 형태로 연결된 걸이부의 구조 변경을 통해 걸이부를 커버링 쉘프로부터 편리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정비성이 개선된다.
또한, 걸이부의 상단은 인서트 사출 형태로 와이어들과 함께 성형되도록 형성되어 금속 소재의 와이어와 고분자 소재의 사출물의 결합을 통해 내구성 및 비용절감의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링 쉘프의 삽입홀의 구조 변경과 이에 대응되는 걸이부 상단의 구조변경을 통해 걸이부와 커버링 쉘프의 일체성은 유지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단순조작으로 걸이부와 커버링 쉘프를 편리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버링 쉘프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버링 쉘프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확대도.
도 5 및 6들은 도 2의 걸이부를 탈착하는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버링 쉘프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링 쉘프(10)는 트렁크(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선반 형태로 결합되는 지지부(11)를 포함하고, 지지부(11)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홀(12)의 하부에는 삽입홀(12)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지지부재(20)가 형성된다.
와이어(30)는 지지부재(20)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삽입홀(12)을 지나 지지부(11)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부 끝단에는 와이어(30)와 결합된 연결고리(40) 및 연결고리(40)와 와이어(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5)가 형성되어 트렁크(1)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버링 쉘프(10)는 지지부재(20)는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연결고리(40) 및 고정부재(45)는 와이어(30)와 탈착이 불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연결고리(40)와 와이어(30)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연결고리(40) 및 고정부재(45)를 삽입홀(12)을 통해 강제 취출 시 삽입홀(12), 연결고리(40) 및 고정부재(45)의 변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커버링 쉘프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100)는 지지부(200), 힌지부(300) 및 걸이부(400)를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프레임(210), 수납공간(220), 구획돌출부(230) 및 삽입홀(240, 250)을 포함한다.
커버링 쉘프(100)는 차량의 트렁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트렁크의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및 탈거가 용이하여 편리하게 트렁크에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일단 양측에 삽입홀(240, 250)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힌지부(300)는 상기 트렁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부(200)의 양측에 배치된다.
걸이부(400)는 와이어 형태로 하부에서 삽입홀(240, 250)들 각각을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단은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트렁크에 결합되며, 하단은 삽입홀(240, 250)들 각각의 하부에서 삽입홀(240, 250)들 보다 상대적으로 큰 부피로 형성되어 지지부(200)의 하부에 걸쳐지도록 형성된다.
커버링 쉘프(100)는 사용되면서 삽입홀(240, 250)들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변형이 발생되고 걸이부(400)의 와이어 부분의 손상이 발생되므로 주기적으로 정비가 필요하므로 걸이부(400)의 상단은 하부로 이동하여 삽입홀(240, 250)을 통과하도록 삽입홀(240, 25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수납공간(220)은 프레임(210)의 중앙 일부가 하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수납공간(220)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차량의 주행 중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구획돌출부(230)들은 수납공간(220)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납공간(220)에 적재된 적재물들을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다.
힌지부(300)는 힌지프레임(310), 힌지커버(320) 및 힌지홀(330)을 포함한다.
힌지프레임(310)은 지지부(200)의 프레임(210) 전방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에는 측면을 관통하며 하부로 연장되어 외부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힌지홀(330)이 형성된다.
힌지커버(320)는 힌지홀(330)을 향하도록 배치된 힌지프레임(310)을 따라 절곡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절곡 형상을 통해 원형의 제1 홀(321) 및 제2 홀(322)이 형성된다.
제1 홀(321)은 힌지홀(330)의 안쪽에 형성되고, 제1 홀(321)에 인접한 힌지커버(320)에는 돌기들이 형성되어 힌지부(300)와 결합되는 트렁크의 연결부분에 맞물리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편리하게 단계적으로 커버링 쉘프(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링 쉘프(100)가 단계적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돌기들이 트렁크의 연결부분을 단계적으로 움켜쥐는 구조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홀(321)에 형성된 돌기들을 통해 커버링 쉘프(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힌지부(300)를 축으로 커버링 쉘프(100)를 차량 내부를 향해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홀(322)은 힌지홀(330)과 외부공간이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원형으로 형성되어 트렁크의 연결부분이 제2 홀(322)을 통해 제1 홀(321)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홀(322)에 트렁크의 연결부분이 결합되는 경우 제1 홀(321)과 달리 돌기들의 부재로 커버링 쉘프(100)를 힌지부(300)를 축으로 회전하여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이 부드럽게 작동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커버링 쉘프(100)의 사용 용도와 취향에 따라 힌지부(300)와 트렁크 연결부분의 결합위치를 제1 홀(321) 또는 제2 홀(322)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6들은 도 2의 걸이부를 탈착하는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100)는 트렁크 연결유닛(500)을 더 포함하고, 걸이부(400)는 지지부재(410), 와이어(420), 연결고리(430) 및 고정유닛(440)을 포함한다.
지지부재(410)는 삽입홀(24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프레임(210)에 형성된 삽입홀(2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420)는 지지부재(410)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삽입홀(240)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된다.
연결고리(430)는 삽입홀(240)을 지나 상부로 연장된 와이어(420)의 끝단의 절곡을 통해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고정유닛(440)은 연결고리(430) 하부의 접합된 와이어들과 인서트 사출을 통해 고정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인서트 사출은 와이어(420)와 와이어(420)를 둘러싸는 고분자 또는 복합소재로 구성되고, 와이어(420)와 함께 원통형으로 사출되면서 금속재질의 와이어(420)와 고분자 소재의 성형성, 절연성, 윤활성 및 탄성력 등이 결합되어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고정유닛(440) 상부면과 하부면이 동일한 면적과 형태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삽입홀(240)은 고정유닛(440)이 삽입되고 관통하도록 고정유닛(440)의 원통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정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트렁크 연결유닛(500)은 트렁크의 문이나 내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연결고리(430)를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도록 중앙은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양측은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연결고리(430)를 트렁크 연결유닛(500)에 결합시켜 커버링 쉘프(100)가 트렁크의 특정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하고, 트렁크의 문에 트렁크 연결유닛(500)이 배치되는 경우 트렁크 문의 개방된 위치에 따라 커버링 쉘프(100)의 위치도 대응하여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400)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삽입홀(240, 250)들의 손상없이 연결고리(430) 및 고정유닛(440)을 삽입홀(240, 250)들을 통해 프레임(210)과 탈착할 수 있어 정비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삽입홀(25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이부(400)는 삽입홀(240)에 결합되는 걸이부(4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걸이부(400)와 삽입홀(240) 사이의 탈부착 구조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120)는 삽입홀(245) 및 고정유닛(445)을 제외하면 도 2 내지 6들의 커버링 쉘프(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200)는 삽입홀(245)을 포함하고, 걸이부(400)는 고정유닛(445)을 포함한다.
삽입홀(245)은 양끝단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끝단을 연결하는 양측면은 서로 평행한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지지부(200)의 프레임(210)을 상하부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고정유닛(445)은 양끝단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끝단들을 연결하는 양측면들은 서로 평행한 직선으로 형성된 하부면이 상부로 연장되어 삽입홀(245)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상하부로 연장된 중심축(80)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지며 연장 형성되고, 고정유닛(445)의 하부가 삽입홀(245)에 삽입되면 하부의 일부만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지부(200)에 걸쳐진다.
이 때 해당 사용자는 고정유닛(445)을 중심축(80)을 기준으로 고정유닛(445)의 상부를 소정의 각도로 시계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비틀며 고정유닛(445)을 하부를 향해 밀어내면 고정유닛(445)이 삽입홀(245)을 지나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걸이부(400)는 고정유닛(445)의 비틀어진 구조에 의해 쉽게 지지부(200)와 탈착되지 않으므로 걸이부(400)의 분실 가능성이 낮아지고, 탄성이 있는 고분자 재질로 사출 형성되는 고정유닛(445)의 특성상 삽입홀(245)의 손상이나 고정유닛(445)의 파손 없이 정비가 필요한 걸이부(400)를 지지부(200)에서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삽입홀(245)의 형태 및 이에 대응되는 고정유닛(445)의 형태는 별의 형태, 아령형태, 직사각형태를 포함하는 일측이 길게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유닛(445)은 상기 형태들이 중심축(80)을 따라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비틀어지는 구조를 형성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쉘프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링 쉘프(140)는 고정유닛(450)을 제외하면, 도 7의 커버링 쉘프(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걸이부(400)는 고정유닛(450)을 포함하고, 고정유닛(450)은 하단부재(451), 회전부재(452) 및 상단부재(453)를 포함한다.
하단부재(452)는 도 7의 삽입홀(245)과 동일한 형태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회전부재(452)는 하단부재(451)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삽입홀(245)이 관통하며 배치되는 프레임(210)의 두께만큼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
상단부재(453)는 하단부재(45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지만, 하단부재(451)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심축(8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하단부재(451), 회전부재(452) 및 상단부재(453)의 중심은 중심축(80)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회전부재(452)는 삽입홀(245)의 내부에서 중심축(80)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걸이부(400)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1차로 하단부재(451)에 의해 프레임(210)의 상부에 걸쳐져 분실이나 이탈이 어렵고, 우연히 하단부재(451)가 삽입홀(245)을 관통하여 프레임(210)의 하부로 이탈하여도 상단부재(453)가 프레임(210)에 걸쳐져 걸이부(400)와 지지부(200)의 탈착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걸이부(400)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 고정유닛(450)을 프레임(210)의 하부로 이동시켜 하단부재(451)를 삽입홀(245)을 통해 하부로 밀어내고, 회전부재(452)를 삽입홀(245)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중심축(80)을 축으로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단부재(453)를 삽입홀(245)을 지나 하부로 밀어내는 과정을 통해 삽입홀(245)과 고정유닛(450)의 파손없이 편리하게 걸이부(400)를 지지부(200)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커버링 쉘프 200: 지지부
300: 힌지부 400: 걸이부
500: 트렁크 연결유닛

Claims (7)

  1. 차량의 트렁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링 쉘프로서,
    일단 양측에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
    상기 트렁크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부; 및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부로 연장된 와이어의 절곡을 통해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연결고리 및 양끝단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하부면이 상부를 향해 비틀어지며 연장되는 형태로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 하부의 접합된 와이어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고정유닛의 하부면과 동일형태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는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쉘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앙에 하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돌출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쉘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프레임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에 하부로 개방된 힌지홀이 형성된 힌지프레임; 및
    상기 힌지홀의 상기 힌지프레임을 따라 절곡 연장되며 돌기들이 형성된 원형의 제1 홀과 상기 제1 홀과 연결되고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제2 홀이 형성되는 힌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쉘프.














KR1020170014460A 2017-02-01 2017-02-01 커버링 쉘프 KR10191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60A KR101916698B1 (ko) 2017-02-01 2017-02-01 커버링 쉘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60A KR101916698B1 (ko) 2017-02-01 2017-02-01 커버링 쉘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43A KR20180089743A (ko) 2018-08-09
KR101916698B1 true KR101916698B1 (ko) 2018-11-12

Family

ID=6325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460A KR101916698B1 (ko) 2017-02-01 2017-02-01 커버링 쉘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6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19Y1 (ko) 2002-08-07 2002-11-04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셀프트림 행거용 케이블싱커의 구조
JP4917502B2 (ja) * 2007-09-12 2012-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アシェルフ装置
JP2016016683A (ja) 2014-07-04 2016-02-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トノボード
KR101593043B1 (ko) * 2014-09-25 2016-02-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버링 셀프의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19Y1 (ko) 2002-08-07 2002-11-04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셀프트림 행거용 케이블싱커의 구조
JP4917502B2 (ja) * 2007-09-12 2012-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アシェルフ装置
JP2016016683A (ja) 2014-07-04 2016-02-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トノボード
KR101593043B1 (ko) * 2014-09-25 2016-02-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버링 셀프의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43A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5660B1 (en) Stand for a display device
EP2947246B1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JP5364924B2 (ja) 車両のアームレストヒンジユニット
CN108136413B (zh) 离心机的管架
CN103717447A (zh) 用于使头枕运动的装置
JP2011245883A (ja) リアパーセルシェルフのヒンジ構造
US20190241413A1 (en) Vehicle jack device
US20150028179A1 (en) Vibration damping receptacle device
KR101916698B1 (ko) 커버링 쉘프
CN104260659A (zh) 一种锁定机构
JP5467613B2 (ja) ミラー本体の支持構造
KR100586014B1 (ko) 자동차용 리어 셀프 트림
KR101315795B1 (ko) 유동식 걸이를 구비한 차량용 필러
JP4201088B2 (ja) 物干装置
CN101394778A (zh) 清洗装置及其安装件
CN207683641U (zh) 行李箱盖板限位结构和车辆
KR101117926B1 (ko) 자동차용 선글라스케이스의 개폐구조
KR100704575B1 (ko) 콘솔 암레스트와 이에 마련되는 힌지구조
KR102419217B1 (ko) 암레스트 힌지구조
KR200466869Y1 (ko) 음식물 배달박스의 도어 개폐장치
CN217321625U (zh) 提拉扣结构及注塑保温箱
KR100673783B1 (ko)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CN217575379U (zh) 悬停盖板的安装结构及车辆
KR200460413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JP5593348B2 (ja) ドアスト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