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424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424B1
KR101916424B1 KR1020120020417A KR20120020417A KR101916424B1 KR 101916424 B1 KR101916424 B1 KR 101916424B1 KR 1020120020417 A KR1020120020417 A KR 1020120020417A KR 20120020417 A KR20120020417 A KR 20120020417A KR 101916424 B1 KR101916424 B1 KR 10191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electrodes
defrosting operation
defros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694A (ko
Inventor
김대희
송준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424B1/ko
Priority to US13/778,898 priority patent/US9429352B2/en
Priority to EP13157065.7A priority patent/EP2634512B1/en
Priority to CN201310063848.4A priority patent/CN103292429B/zh
Publication of KR2013009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7/00Detail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 F25B2347/02Details of defrosting cycles
    • F25B2347/023Set point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Abstract

본 발명은 신뢰성을 확보하고 효율을 높이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실외기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동결현상을 감지하고, 그 결빙의 정도에 따라 제상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잦은 제상운전으로 인한 냉난방 운전효율 및 능력의 저하 를 방지하고, 일정 수준의 쾌적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상운전에 의해 결빙의 제거를 통해 냉난방 운전시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동결현상을 감지하여 실외기를 보호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산업용 공기조화기 또는 중앙식 공기조화기의 경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각기에서 물을 냉각하고 냉각기에서 냉각된 물을 이용하여 빌딩, 공장, 체육관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의 실내를 공조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실외에 설치됨에 따라, 날씨나 실외온도에 따라 동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실외기에 구비되는 열교환기는 실외기가 냉난 또는 난방운전하는 경우, 열교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이 열교환기 표면에 얼어붙는 동결현상이 발생한다.
열교환기의 표면에 발생하는 이러한 동결현상은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공기조화기 동작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외기는 제상운전을 수행하는데, 제상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실내로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불가하므로, 사용자가 불편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목적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기 내부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동결현상을 감지하고, 결빙의 정도에 따라 제상운전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공기의 유동을 통해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 내의 착상 정도를 감지하는 착상검지부; 및 상기 착상검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내의 결빙으로 인한 착상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착상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 중, 열교환기 내에 설치된 착상검지부의 복수의 전극 간의 접촉에 따라 가변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착상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착상레벨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일정시간 제상운전을 수행한 경우 또는 상기 착상레벨이 일정값 미만인 경우, 일반운전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실외기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동결현상을 감지하고, 그 결빙의 정도에 따라 제상운전의 시기를 결정하여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잦은 제상운전으로 인한 냉난방 운전효율 및 능력의 저하 를 방지하고, 일정 수준의 쾌적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편의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며, 제상운전에 의해 결빙의 제거를 통해 냉난방 운전시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착상검지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착상검지부의 회로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 내의 착상감지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 및 복수의 실내기(11 내지 16)를 포함한다.
복수의 실내기(10)는 실내를 공조시키고, 복수의 실내기(10)는 실내 공조 부하에 따라 함께 혹은 단독으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순환되는 실내 공기와 신선한 실외 공기를 혼합하는 환기유닛, 공기청정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1 내지 16)는 실외기와 냉매배관 및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연결된 실외기와 통신한다.
여기서, 실내기(11 내지 16)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실외기(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1)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로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미도시)과,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 온도 센서(미도시), 그리고 실외기의 외부에 적설량을 감지하는 적설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중 실외기는 압축기(171), 압축기제어부(170), 밸브제어부(180), 데이터부(190), 통신부(160), 열교환기(120), 착상검지부(130), 입력부(145), 출력부(140), 센서부(150) 그리고 실외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45)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실외기의 동작 온/오프에 따른 신호, 실외기 동작에 대한 설정을 입력한다. 또한, 입력부(145)는 구비되는 스위치 설정에 따라 실외기 주소 또는 모드를 설정한다.
출력부(140)는 실외기의 동작 여부 또는 통신상태를 출력하며, 경우에 따라 특정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센서부(15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실외기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 압력, 실외기 각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또한, 센서부(150)는 냉매의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착상검지부(130)는 열교환기(120)에 설치되어, 열교환기 내의 결빙 정도를 감지한다. 이때, 착상검지부(130)는 열교환기(120) 내의 결빙 즉, 서리, 얼음의 착상 여부 및 그 정도를 감지한다.
열교환기(120)에서는 실외기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된다. 이때, 열교환 과정에서 온도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분이 열교환기에서 착상되어 서리 또는 얼음으로 결빙이 발생하게 된다.
착상검지부(130)는 이러한 열교환기 표면의 결빙을 감지한다.
압축기제어부(170)는 압축기(171)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한다.
밸브제어부(180)는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181)에 대하여 개폐 및 개폐정도를 제어한다. 또한, 팬제어부(미도시)는 실외기팬이 회전 동작하도록 하고, 실외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열교환기(120)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제어한다.
통신부(160)는 다른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경우에 따라 중앙제어기와 통신한다.
데이터부(190)에는 센서부(150) 및 착상검지부(130)에서 감지되거나 측정된 데이터가 누적하여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90)에는 실외기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압축기가 동작하도록 압축기제어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실외기 팬이 동작하도록 하며, 밸브제어부(180)를 통한 밸브제어를 통해 냉매의 유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센서부(150)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압축기 및 실외기팬이 동작하도록 하고, 실외기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부(140)로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착상검지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착상값에 대응하여 실외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착상의 정도, 즉 열교환기 내의 결빙 정도에 따라 실외기가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착상검지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착상의 정도를 판단하고, 기준값 이상이면 압축기제어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실외기가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착상검지부(130)로 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적설량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데이터부(190)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착상검지부(130)의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착상 정도를 판단한다. 감지신호의 크기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착상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상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 제상운전을 수행한 후 다시 지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운전하도록 하며, 착상검지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상운전이 다시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제상운전 시 정상적인 냉난방 운전이 불가하므로, 제상운전의 운전시간 또는 제상운전 횟수가 최소화 되도록 착상검지부(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상운전의 시점을 판단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상운전이 일정시간 이상 수행되는 경우 착상레벨이 일정값 이상이라 하더라도 일반운전으로 복귀하여 냉난방 운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상운전의 주기 또는 일정 시간 내에 수행되는 제상운전 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이면 기준값 또는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을 변경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가 도시된 도이다. 열교환기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열교환 효율을 증대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상검지부(130)는 열교환기(120)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열교환기(120)의 중앙부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120) 내에서의 결빙은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착상검지부(130)는 이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착상검지부(130)의 하단부로부터 결빙이 발생하여 상단부로 진행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착상검지부가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위치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변경되어 설치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4 는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착상검지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착상검지부(130)는 열교환기(120)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착상검지부(130)는 열교환기의 동관(122) 간격에 맞춰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열교환기는 어느 일측에 착상검지부(13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동과간격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착상검지부(130)는 열교환기의 핀과 핀 사이에 결합이 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착상검지부(130)는 복수의 전극(132, 133)과 절연부(134)를 포함한다.
착상검지부(130)는 열교환기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131)에 복수의 전극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극(132, 133)은 열교환기의 세로방향 동관에 평행하게 구성되며, 본체(131)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
전극(132, 133)은 본체의 좌측과 우측, 그리고 중앙에 각각 구비되어, 한층에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열교환기의 동관 크기에 따라 각 전극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고, 전극의 층별 간격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의 전극에는 열교환기의 동관(122) 방향으로 절연부(134)가 구비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2전극(132)(132a, 132b)에는 외측에, 즉 열교환기의 동관방향으로 절연부(134a, 134b)가 각각 형성된다. 중앙부에는 제 3 전극(133)이 구비된다.
제 1 내지 제 3 전극(132, 133)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 1, 2전극(132)(132a, 132b)은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착상검지부(130)는 제 1 및 제 2 전극이 열교환기의 동관(122)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절연부(134)가 열교환기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열교환기(120)의 동관(122)에 수분이 발생하여, 서리가 생기거나 수분이 얼어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전극이 중앙부의 제 3 전극 방향으로 휘어진다.
결빙되는 양이 증가할수록 제 1 및 제 2 전극의 휘어짐이 커지게 되어, 제 1 또는 제 2 전극이 제 3 전극에 접촉된다.
착상검지부(130)는 제 1 전극과 제 3 전극, 또는 제 2 전극과 제 3 전극이 접촉하여 연결되면, 소정 크기의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이때, 착상검지부(130)는 각 층별로 일정 크기의 저항과 연결되어, 층별 전극의 접속에 따라,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의 수가 상이하므로, 접촉되는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감지신호가 제어부(110)로 인가된다.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착상레벨을 판단한다. 이때 감지신호의 크기에 따른 착상레벌의 구분은 데이터부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른 착상검지부(130)의 회로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5 는 착상검지부의 회로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착상검지부의 회로구성에 따른 실시예로, 그 연결 및 구성은 가변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전극은 각각 스위치로써 동작하여, 열교환기 내의 결빙 현상에 따라 전극이 상호 접촉하는 경우 내부 회로가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전극에는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고, 착상검지부(130)의 각 측별 전극은 각각 하나하나가 스위치로써 동작한다.
즉 제 1 내지 제 3 전극은 내부적으로 저항과 연결되어 제 1 스위치(S1)로 동작하고, 제 1 내지 제 3 전극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다른 전극은 제 2 스위치(S2)로써 동작하게 된다.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스위치는 결빙정도에 따라 하단부부터 전극이 상호 접촉됨에 따라 스위치 온 되어, 내부 회로를 형성하게 되고, 스위칭되는 위치에 따라 패스내의 저항의 수가 변경되므로 전압이 분배되어 출력되는 감지신호(Vout)의 값이 가변된다.
예를 들어 제 3 스위치(S3)가 온되면, 제 5 저항(R5)과, 제 2 내지 제 4 저항(R2, R3, R4)에 대해 전압이 분배되어 감지신호(Vout)가 출력되고, 제 2 및 제 3 스위치(S2, S3)가 온되면, 제 4 및 제 5 저항이 병렬연결되면서 제 2, 3 저항(R2, R3)에 대하여 분배된 전압이 감지신호(Vout)으로 출력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과 제 3 전극이 하나의 스위치(S1)를 형성하고, 제 2 전극과 제 3 전극이 하나의 스위치(S4)를 형성하여, 한 층에 두개의 스위치가 형성되는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연결됨에 따라 전압이 분배된 소정크기의 감지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의 전압값의 크기에 따라, 착상의 정도, 즉 열교환기 내에 결빙이 어느 정도 발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의 전압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압축기제어부(170)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에 의해 판단되는 결빙의 정도가 열교환기의 1/2 이상 결빙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상운전을 지시할 수 있다.
기준값은 실외기가 설치된 주변환경, 실외온도, 실내온도, 계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 내의 착상감지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운전중(S310), 착상검지부(130)에 의해 열교환기 내의 결빙정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S320).
제어부(110)는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S330), 결빙의 정도를 나타내는 착상레벨을 산출한다(S340).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기준값과 착상레벨을 비교하여, 제상운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제상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상운전됨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S360). 이때 출력부는 제상운전에 따른 메시지 또는 효과음을 출력하거나 제상운전 알림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실외기는 통신부를 통해 실내기로 제상운전 알림메시지를 전송하여, 실내기를 통해 제상운전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압축기제어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제상운전을 시작한다(S370).
제어부(110)는 일정 시간 제상운전을 수행 한 후, 설정에 따른 일반 운전 모드로 복귀하여 냉난방운전을 수행한다.
또는 제어부(110)는 제상운전 중, 착상검지부(130)를 통해 착상을 감지하여,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른 착상레벨을 판단하여 제상운전을 유지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상운전을 중지하는데에 따른 판단의 기준은 제상운전을 시작하는 경우의 착상레벨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경우에 따라 일정시간 이상 결빙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상운전을 중지한 후, 소정 시간 후 재시작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운전 중, 착상검지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열교환기 내의 결빙 정도를 판단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의 열교환기내에 발생하는 결빙의 정도를 감지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열교환기 내의 결빙으로 인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제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어 제상운전을 수행하면서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어부 120: 열교환기
130: 착상검지부 132, 133: 전극

Claims (14)

  1. 압축기;
    공기의 유동을 통해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 내의 착상 정도를 감지하는 착상검지부; 및
    상기 착상검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내의 결빙으로 인한 착상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착상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검지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열교환기 장착 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본체의 하단부부터 상단부까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결빙되어 접촉되는 전극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검지부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간의 접촉에 따라, 연결된 저항의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제어부로 상이한 크기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일측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 삽입되며,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열교환기 내의 결빙에 의해 중앙부로 휘어져 전극과 전극이 상호 접촉하여 스위치로써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한 층에 적어도 두개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의 세로방향 관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상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상운전을 수행하고, 일정시간 제상운전 후 일반운전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상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상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착상검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착상레벨이 일정값 미만이면 일반운전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운전 중, 열교환기 내에 상기 열교환기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단부부터 상단부까지 복수의 전극이 복수의 층을 형성하는 착상검지부에서,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결빙되어 접촉되는 전극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 간의 접촉에 따라 가변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착상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착상레벨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일정시간 동안 제상운전을 수행한 경우 또는 상기 착상레벨이 일정값 미만인 경우, 일반운전으로 복귀하는 단계;
    일반운전 중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착상레벨을 산출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 중, 산출된 착상레벨이 상기 일정값 이상인 경우에도, 제상운전이 일정 시간 이상 수행된 경우, 일반운전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내의 제상운전 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값 또는 제상운전의 운전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20020417A 2012-02-28 2012-0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17A KR101916424B1 (ko) 2012-02-28 2012-0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3/778,898 US9429352B2 (en) 2012-02-28 2013-02-27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157065.7A EP2634512B1 (en) 2012-02-28 2013-02-27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063848.4A CN103292429B (zh) 2012-02-28 2013-02-28 空调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17A KR101916424B1 (ko) 2012-02-28 2012-0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94A KR20130098694A (ko) 2013-09-05
KR101916424B1 true KR101916424B1 (ko) 2018-11-07

Family

ID=4775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417A KR101916424B1 (ko) 2012-02-28 2012-0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9352B2 (ko)
EP (1) EP2634512B1 (ko)
KR (1) KR101916424B1 (ko)
CN (1) CN103292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466B1 (ko) * 2014-03-05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MX2016014539A (es) * 2014-05-06 2017-08-22 Evapco Inc Sensor para la descongelacion de bobina en un evaporador de sistema de refrigeracion.
KR102272056B1 (ko) * 2014-09-25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989494A (zh) * 2017-05-10 2017-07-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结霜检测装置和方法
CN107525224A (zh) * 2017-08-03 2017-12-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外机的控制方法及空调设备
CN107543288B (zh) * 2017-08-25 2020-03-0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空调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
CN110454910B (zh) * 2018-05-07 2020-08-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除霜的方法及设备
CN109028467B (zh) * 2018-09-27 2021-02-1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智能除霜方法及装置
WO2021229748A1 (ja) 2020-05-14 2021-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14440454B (zh) * 2022-03-01 2023-04-25 温岭煌格科技咨询有限公司 基于热膨胀和热能除霜的空气能热水器除霜方法
CN115468285A (zh) * 2022-08-22 2022-12-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空调的防冷风控制方法、控制装置和地暖空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94B1 (ko) * 2007-01-25 2007-04-2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트펌프 착상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4735A (en) * 1968-03-08 1970-05-26 Kiyoichi Nijo Temperature sensitive switching device
DE3308141A1 (de) 1983-03-08 1984-09-13 Martin 7120 Bietigheim-Bissingen Lang Verfahren zur erkennung der vereisung an energiedaechern und luftwaermetauschern von waermepumpen
IT240417Y1 (it) * 1996-01-30 2001-04-02 Whirlpool Europ S R L Dispositivo per rilevare la formazione di brina e per eliminarlaper riscaldamento particolarmente per evaporatori di frigoriferi
KR100210086B1 (ko) * 1996-12-20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가변장치 및 방법
US7883609B2 (en) * 1998-06-15 2011-02-08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Ice modification removal and prevention
JP2001264446A (ja) * 2000-03-22 2001-09-26 Tdk Corp 静電容量型物体検知装置及び冷却器の霜取り装置
KR100507685B1 (ko) * 2003-12-17 2005-08-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20050105029A (ko) 2004-04-30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101212695B1 (ko) 2007-06-14 2012-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2980497B1 (en) 2008-01-21 2022-09-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pump and air conditioner or water heater having the same
KR100997284B1 (ko) 2008-03-18 2010-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03233A (ko) * 2008-03-28 200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상제어방법
JP4749459B2 (ja) * 2008-12-15 2011-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
CN101929755A (zh) 2009-06-23 2010-12-29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空气源热泵除霜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669418B1 (ko) * 2009-11-12 2016-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리 착상 감지 장치 및 그를 냉각 시스템 및 냉장고
JP5170164B2 (ja) * 2010-06-11 2013-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加熱式触媒装置
KR101678437B1 (ko) * 2010-07-29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095295B (zh) 2011-02-24 2012-07-0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霜层厚度的除霜探测器及除霜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94B1 (ko) * 2007-01-25 2007-04-2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트펌프 착상 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4512B1 (en) 2017-07-12
CN103292429A (zh) 2013-09-11
US9429352B2 (en) 2016-08-30
KR20130098694A (ko) 2013-09-05
CN103292429B (zh) 2016-05-11
EP2634512A1 (en) 2013-09-04
US20130239596A1 (en)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42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590980B2 (ja) 冷凍空調装置
JP5598353B2 (ja) 空気調和装置
EP1655555A2 (en) Air conditioner
JP5831355B2 (ja) 空気調和機
KR101639837B1 (ko) 공기 조화기
JP2014062732A (ja) 冷凍装置
JP2010096474A (ja) 空調制御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CN105258219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控制系统
JP2011247524A (ja) 冷凍装置
JPWO2018142583A1 (ja) 冷凍システム
JP2013200085A (ja) 空気調和機
WO2016060145A1 (ja) 空気調和機
WO2019193714A1 (ja) 空気調和機
JP542470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319542B (zh) 一种大排量变频多联机系统的卸载启闭控制方法
JP2012063033A (ja) 空気調和機
JP3290251B2 (ja) 空気調和機
KR20040041442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20140112681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JPH0626689A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KR10167957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03529A1 (ja) 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36970B2 (ja) 空気調和装置
CN205048853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