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51B1 -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51B1
KR101915651B1 KR1020170053389A KR20170053389A KR101915651B1 KR 101915651 B1 KR101915651 B1 KR 101915651B1 KR 1020170053389 A KR1020170053389 A KR 1020170053389A KR 20170053389 A KR20170053389 A KR 20170053389A KR 101915651 B1 KR101915651 B1 KR 101915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mpoo
fermentation liquid
natural
producing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791A (ko
Inventor
이광심
Original Assignee
이광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심 filed Critical 이광심
Priority to KR102017005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5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군(EM) 발효액에 자수엽, 깻잎, 치커리의 혼합재료를 혼합하여 두피의 노화방지로 인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두피의 건조를 방지하여 두피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탈모방지와 발모촉진 및 비듬억제효과가 우수함은 물론 모발을 윤기있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natural shampoo fermentation liquid using a useful microorganism group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hampoo using the natural shampoo fermentation liquid prepa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군(EM)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용미생물군(EM) 발효액에 자수엽, 깻잎, 치커리의 혼합재료를 혼합하여 두피의 노화방지로 인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두피의 건조를 방지하여 두피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 세척을 위해 비누 대신 샴푸와 린스를 사용하는데, 이는 모발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의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천연샴푸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천연샴푸(natural shampoo)는 친환경과 웰빙(well-being)이 강조되어 인체에 유해한 합성계면활성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고 천연소재 및 올리브 오일 등 개성과 용도에 따라 기능성 요소를 첨가하여 가정이나 소규모로 직접 제조되는 샴푸를 말한다.
상기 천연샴푸는 제조방법에 따라 HP 샴푸(Hot Process shampoo), CP 샴푸(Cool Process shampoo)로 나뉘며, 상기 HP 샴푸는 고온에서 가성칼리와 오일을 섞어 만드는 방법이고, CP 샴푸는 오일과 가성칼리를 저온에서 반응시켜 여러 첨가물을 넣어 만드는 방법이나, 방부제가 첨가되는 공장샴푸에 비해 유통기한이 매우 짧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천연샴푸에 기능성을 부가하고자 EM 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7934호에 공개된 바 있다.
상기 EM은 유용미생물군(Effective Microorganisms)의 약자로서, 약 80여종의 미생물을 조합, 배양한 것으로, 광합성세균, 유산균, 효모 등, 여러 종의 미생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므로 농업, 환경, 축산을 비롯한 일상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미생물로 시중에서 원액을 구입할 수 것이다.
선 공개된 특허는 혼합오일과 정제수, 가성소다, 산야초 분말, 기능성 원료 및 EM 발효액을 혼합하여 부작용 없이 탈모방지, 발모촉진, 두피 개선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으나, 많은 성분으로 이루어져 성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제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상 샴푸와는 달리 기능성 비누 형태로 제조되므로 건조에 따른 제조시간이 늘어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79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EM 발효액에 자수엽, 깻잎, 치커리의 혼합재료를 혼합하여 두피의 노화방지로 인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두피의 건조를 방지하여 두피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은,
쌀뜨물 100 중량부에 설탕 10~15 중량부, 소금 5~8 중량부 및 유용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3~7일 발효시킨 EM 발효액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EM 발효액에 혼합재료 10~20 중량부가 잠기도록 상온에서 1~2일 침전시켜 EM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EM 혼합물에 물비누 40~60 중량부를 투입하고, 끓인 후, 상온을 유지하도록 냉각시켜 비누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비누 혼합물을 상온에서 5~6 개월 발효시켜 천연샴푸 발효액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재료는 자소엽, 깻잎, 치커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혼합재료에 냉이 또는 씀바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EM 발효액에 자수엽, 깻잎, 치커리의 혼합재료를 혼합하여 두피의 노화방지 및 두피를 개선함으로써, 탈모방지와 발모촉진 및 비듬억제효과가 우수함은 물론 모발을 윤기있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의 제조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액 샴푸를 비듬발생 피실험자에게 사용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액 샴푸를 탈모발생 피실험자에게 사용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액 샴푸를 모발이 변색되는 피실험자에게 사용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의 제조 과정도이다.
본 발명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1 단계, EM 발효액을 형성한다.
상기 EM 발효액은 쌀뜨물 100 중량부에 설탕 10~15 중량부, 소금 5~8 중량부 및 유용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3~7일 발효시킨다.
이때, 상기 설탕 및 소금과 하기에서 설명하는 깻잎에 포함된 페릴키톤이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하므로 EM 발효액은 일정기간 부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상온은 15~25℃ 내의 온도를 말하는 것이다.
제2 단계, EM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EM 발효액에 혼합재료 10~20 중량부가 잠기도록 상온에서 1~2일 침전시켜 형성한다.
상기 혼합재료는, 자소엽, 깻잎, 치커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냉이 또는 씀바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소엽, 깻잎, 처커리, 냉이, 씀바귀는 각 1:1의 비율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소엽에 포함된 페릴알데히드라는 성분은 강력한 항균·방부효과가 있어 두피의 피부성 질환의 원인균을 소멸하여 염증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자소엽에 포함된 EPA는 비정상적으로 떨어진 면역력을 정상화시키므로 두피의 피부염에도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탈모를 예방함과 동시에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깻잎에 포함된 비타민A와 C 및 철분은 두피를 개선시키면서 루테올린 성분이 염증을 완화시켜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피지의 분리를 억제하여 모발 관리 및 피부 진정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치커리에 포함된 비타민A와 B, C 및 칼륨과 철분은 두피를 개선시키면서 두피 및 모발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이에 포함된 비타민C 및 아연은 항산화 물질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으므로 염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며 피부 진정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씀바귀에 포함된 항산화 비타민 및 철분은 항암효과가 있어 염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재료는 원재료를 빻아 도포천에 투입한 상태에서 EM 발효액에 도포천이 잠기도록 침전시킬 수도 있고,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시킨 후, 분쇄한 분말을 EM 발효액에 투입하여 혼합할 수도 있으나, 원재료에 포함된 성분이 EM 발효액과 원활히 혼합되기 위해서는 원재료를 빻아 도포천에 투입한 상태에서 EM 발효액에 침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단계, 비누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혼합재료의 원재료가 투입된 도포천을 분리한 EM 혼합물에 물비누 40~60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부재(미도시)로 혼합한 상태에서 약탕기와 같은 가열부재에 의해 100℃ 이상으로 끓도록 가열하여 비누 혼합물을 형성하는데, 상기 물비누는 통상의 물비누이다.
상기 가열부재로 가열되어 형성된 비누 혼합물이 상온을 유지하도록 냉각시키는데, 상기 비누 혼합물은 상온에서 냉각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냉각부재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제4 단계, 천연샴푸 발효액을 형성한다.
상기 비누 혼합물을 상온에서 5~6개월 발효시켜 천연샴푸 발효액을 형성하는데, 상기 천연샴푸 발효액은 유용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에 의해 쌀뜨물이 발효되면서 원액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원액의 천연샴푸 발효액:물을 1:80 내지 1:100의 부피비로 희석하여 발효액 샴푸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발효액 샴푸를 손으로 비벼 거품을 형성한 상태에서 두피에 골고루 묻힌 후, 손가락을 이용하여 두피를 마사지하면, 혼합재료의 성분에 의해 피지 및 노폐물이 제거되면서 영양소가 모근으로 공급되어 탈모 방지 및 모발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두피가 진정되면서 염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여 비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피의 건조를 방지하여 두피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실험예 1> 본 발명 발효액 샴푸의 효능 실험
상기의 EM 발효액에 자소엽, 깻잎, 처커리, 냉이, 씀바귀의 혼합재료를 각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물비누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발효시킨 천연샴푸 발효액을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에 물을 1:80~100으로 희석하여 형성된 발효액 샴푸를 두피 피부염, 비듬, 탈모가 발생한 피실험자에게 1~3개월 사용케 한 후, 그 증상 및 개선 정도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피실
험자
성별 증상 개선정도 결과
A 비듬발생 비듬발생안함 상태호전
B 탈모발생 탈모진행이 중단되고, 일부 모발이 생성됨 상태호전
C 모발 흰색으로 변색, 탈모발생 검은 모발이 생성되고, 탈모 진행이 중단됨 상태호전
D 피부병에 의한 비듬 발생, 탈모발생 가려움증 및 비듬발생이 없어지고 일부 모발이 생성됨 상태호전
E 탈모발생, 비듬발생 탈모 및 비듬발생이 없어짐 상태호전
F 탈모발생, 가려움증, 비듬발생 탈모 및 비듬발생이 없어지고 가려움증 해소됨 상태호전
G 가려움증, 탈모진행 가려움증 없어지고, 탈모진행이 중단됨 상태호전
H 비듬발생, 탈모발생 탈모진행이 중단되고, 일부 모발 재상되며, 모발이 부드러워짐 상태호전
I 모발이 가늘어짐 모발이 굵어지면서 윤택이 남 상태호전
J 모발이 뻣뻣해짐 모발이 부드러워지고 윤기가 생성됨 상태호전
상기의 [표 1]에서 피실험자는 남녀의 성별 관계없이 두피의 가려움증, 비듬발생 및 탈모가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발효액 샴푸를 사용한 후, [표 1] 및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태가 호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실험자의 체질 및 증상 정도에 따라 상태가 호전되는 기간이 차이가 있었으나, 부작용을 나타내는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쌀뜨물에 설탕, 소금 및 유용미생물군 (EM; Effective Microorganisms)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발효시켜 EM 발효액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자소엽, 깻잎, 치커리, 냉이 및 씀바귀를 건조하지 않은 상태에서 혼합한 천연 혼합재료를 빻은 후 도포천에 투입하여 상기 도포천이 상기 EM 발효액에 잠기도록 상온에서 침전시킴으로써 상기 자소엽, 깻잎, 치커리, 냉이 및 씀바귀에 포함된 성분이 상기 도포천을 통과하여 상기 EM 발효액으로 침투되도록 하여 EM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EM 혼합물에 물비누를 투입하고, 100℃ 이상의 온도로 끓인 후, 상온을 유지하도록 냉각시켜 비누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비누 혼합물을 상온에서 발효시켜 천연샴푸 발효액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모발의 뻣뻣해짐을 개선시키는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물을 1:80 내지 1:100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발효액 샴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의 제조방법.
KR1020170053389A 2017-04-26 2017-04-26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KR10191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89A KR101915651B1 (ko) 2017-04-26 2017-04-26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89A KR101915651B1 (ko) 2017-04-26 2017-04-26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91A KR20180119791A (ko) 2018-11-05
KR101915651B1 true KR101915651B1 (ko) 2018-11-06

Family

ID=6432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389A KR101915651B1 (ko) 2017-04-26 2017-04-26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557B1 (ko) * 2020-08-10 2021-12-16 고영임 커피 발효샴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발효샴푸
KR102542409B1 (ko) 2021-02-19 2023-06-1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91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5114B (zh) 一种调节皮肤微生物菌群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04771345A (zh) 一种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915651B1 (ko)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천연샴푸 발효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샴푸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CN105997572A (zh) 一种含纳米石墨烯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07375059B (zh) 一种艾叶防脱洗发液及其制备方法
US11090257B2 (en) Human body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5569105A (zh) 一种含稻壳提取物的祛屑控油、抑菌除螨组合物
CN110876695A (zh) 一种益生菌祛头皮屑洗发乳
US20160286820A1 (en) Fermented coconut antimicrobial product
KR101773804B1 (ko) 마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CN107184955A (zh) 一种含多肽的女士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075022A (zh) 一种祛痘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9010157A (zh) 一种6-氟咪唑并吡啶衍生物的用途
KR20160001141A (ko)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CN110051584A (zh) 一种治疗痤疮氨基酸洁面乳及其制备方法
CN110051583A (zh) 一种治疗痤疮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101894633B1 (ko) 피부 건강 및 미용 효능 비누의 제조방법
KR101987769B1 (ko) 유용미생물군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액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부질환 치료액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제의 제조방법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8619340A (zh) 抗癌功效的女性洗液
CN110604705A (zh) 一种婴儿山茶油护臀膏的配方及制备方法
CN115670953A (zh) 一种生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2220735A (zh) 一种em菌沐浴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