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520B1 -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520B1
KR101915520B1 KR1020110115194A KR20110115194A KR101915520B1 KR 101915520 B1 KR101915520 B1 KR 101915520B1 KR 1020110115194 A KR1020110115194 A KR 1020110115194A KR 20110115194 A KR20110115194 A KR 20110115194A KR 101915520 B1 KR101915520 B1 KR 10191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resolution
data
display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058A (ko
Inventor
조치현
장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520B1/ko
Priority to US13/660,199 priority patent/US9084015B2/en
Priority to EP12190982.4A priority patent/EP2590404B1/en
Priority to JP2012241670A priority patent/JP6207146B2/ja
Priority to CN201210439867.8A priority patent/CN103093717B/zh
Publication of KR2013005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방법이, 동영상 표시모드시 표시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각각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확인된 해상도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표시부에 전송하는 과정과,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하여 표시부가 설정된 밝기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IMAG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상도에 따라 밝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배터리를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며, 따라서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줄이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전류를 줄이는 방법은 회로적인 접근을 통해 저전력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휴대단말기는 표시부의 크기가 커지고 이런 표시부를 통해 고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영상 표시에 따른 전류 소모도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때 저전력화된 카메라모듈 및 영상표시모듈을 단말에 적용하면 모듈 단에서 소비하는 전류는 줄어들 수 있지만, 표시부의 크기(LCD size)가 증가 또는 동영상 프리뷰(preview) UI에 따라 표시부 및 제어부의 소모전류가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동영상 표시 시 표시부의 크기증가 및 영상의 해상도 증가로 발생하는 소모전류를 줄이는 장치 및 방법으로써,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 별로 표시부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시 소모전류를 개선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의변경 없이 촬영되는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표시 이미지의 해상도를 제어하여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는, 동영상 촬영모드시 설정된 해상도로 동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해상도에 따른 밝기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동영상 촬영모드시 상기 카메라를 설정된 해상도로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의 해상도에 따른 밝기 제어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확인하여 출력하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밝기제어 데이터 수신시 표시할 영상의 밝기를 설정하고, 상기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밝기로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방법은, 동영상 표시모드시 표시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각각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된 해상도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표시부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하여 표시부가 상기 설정된 밝기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방법은, 동영상 촬영모드시 상기 카메라를 설정된 해상도로 제어하여 동영상을 획득하는 과정과, 각각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에 설정된 해상도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표시부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하여 표시부가 상기 설정된 밝기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동영상 표시시 표시되는 동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를 제한하여 표시부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고해상도 동영상 촬영 시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동영상의 밝기를 감소시켜 동영상 촬영시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화소 수 및 이에 따른 밝기 제어 값 등과 같은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단말기에서 동영상을 표시할 때, 표시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고, 해상도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휘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전류소모를 줄인다. 특히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그대로 처리하면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를 해상도 단계별로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의 밝기는 휘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밝기 제어데이터는 표시부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는 휘도 제어데이터가 될 수 있다.
최근 멀티미디어 기능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휴대단말기는 동영상 표시를 위한 디폴트(default) 해상도를 최대 해상도로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들도 최초 한 번 LCD밝기를 최대로 설정하고 그 이후 밝기 변경을 하지 않는 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표시부의 밝기는 의도치 않게 하드웨어 리소스를 과다 사용하여 소모전류를 낭비하게 된다. 그러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은 최대 밝기로 표시하지 않아도, 상기 촬영되는 영상의 해상도와 무관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되는 영상과 상관없이 촬영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유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별 최대 밝기를 제한하여 소모전류를 개선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00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표시시,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해상도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가 될 수 있다.
메모리110은 단말기의 휴대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를 제어하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CD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패널140은 상기 표시부13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130 및 터치패널150은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다.
카메라16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촬영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설정되며, 촬영모드시 설정된 해상도로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동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휘도)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면 표시부130을 통해 소모되는 전류를 단계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설정모드에서 밝기 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이후 사용자가 동영상 표시모드를 수행하면 제어부100은 표시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한 후, 확인된 해상도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발기를 제어하여 표시부130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110은 영상의 해상도에 따른 밝기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구비한다. 이때 밝기를 제한하는 수준은 max밝기 대비 % 비율로 정하고, 그 값은 제조사 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휴대단말기에서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가 1920*1080, 1280*720, 720*480, 640*480, 320*240, 176*144라고 가정하면, 상기 메모리110에는 하기 <표 1>과 같이 해상도에 따른 밝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해상도 밝기
1920*1080 60%
1280*720 70%
720*480 80%
640*480 90%
320*240 100%
176*144 100%
상기 <표 1>에서 최대 밝기가 200cd(candela)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을 최대 밝기 200cd로 제어하는 중에 동영상 표시모드가 실행되면, 표시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며, 확인된 해상도의 밝기로 표시부130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최대 밝기인 200cd/㎡로 표시부13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동영상 표시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설정된 해상도를 확인하며, 이때 상기 동영상의 해상도가 1920*1080일 경우 최대 밝기(100%)의 60%인 120cd/㎡로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한한다. 이후 상기 동영상표시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max밝기인 200cd/㎡ 로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해상도에 따른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어할 때, 최소 밝기 및 최대 밝기를 모두 참조하여 최대 해상도는 최소 밝기 값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해상도들은 일정 비율로 증가시켜 밝기 제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최소밝기가 100cd/㎡이고 최대밝기가 200cd/㎡이며 5단계 해상도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최대 해상도에서는 100cd/㎡로 밝기를 제한하고 그 이하 단계에서는 최대밝기와 최소 밝기의의 차이 값인 100cd를 5단계로 나눠 25cd/㎡씩 증가시켜 제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110에는 하기 <표 2>와 같이 해상도에 따른 밝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해상도 밝기(cd/㎡)
1920*1080 100
1280*720 125
720*480 150
640*480 175
320*240 200
176*144 200
상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해상도별 밝기 값은 표시부130의 특성 및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110에 해상도에 따라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어하는 테이블을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동영상 표시모드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분석하여 표시부13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설정모드에서 표시부130의 밝기 제어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모드에서 표시부130의 밝기 제어모드를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며, 확인된 해상도에 따른 밝기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30에 제어데이터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표시부130의 밝기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에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설정된 밝기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 표시모드는 카메라160의 동영상 촬영모드가 될 수 있다.
도 2는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터치패널140을 통해 설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30에 설정모드에서 설정할 수 있는 메뉴들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패널14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밝기 제어모드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표시부130을 해상도에 따른 밝기 제어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213단계에서 밝기제어모드가 아닌 다른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널140을 통해 동영상표시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3단계에서 현재 해상도에 따른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밝기제어모드가 설정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밝기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235단계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며, 237단계에서 확인된 동영상의 해상도에 따른 밝기 제어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10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밝기 제어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밝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데이터의 밝기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239단계에서 표시데이터를 프레임 버퍼에 버퍼링하며,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프레임버퍼에 버퍼링되는 표시데이터를 읽어 상기 설정된 밝기로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233단계에서 밝기 제어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241단계에서 표시데이터를 프레임 버퍼에 버퍼링하며,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프레임버퍼에 버퍼링되는 표시데이터를 읽어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의 밝기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시스템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밝기(최대 밝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밝기로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영상 표시모드시 밝기 제어 기능이 설정되면, 휴대단말기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따라 설정된 밝기로 표시 기능을 수행하며, 이로인해 표시부130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 표시모드는 카메라160의 동영상 촬영, 영화 재생모드, 텔레비전 수신모드 또는 게임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30의 밝기 제어는 카메라16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표시할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사진(jpeg 이미지)을 촬영할 때 카메라160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6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영상을 압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130에 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를 제한하는 경우에도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영상의 해상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상기 카메라160을 통해 최대 해상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카메라160을 통해 획득되는 최대 해상도의 데이터가 되며, 단지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밝기가 설정된 밝기로 제한되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160을 통해 영상 촬영시,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한하여 표시부130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는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6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카메라 설정모드의 선택을 감지하면, 카메라 설정모드에서 설정할 수 있는 메뉴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설정모드에서 설정할 수 있는 메뉴들은 해상도(resolution),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outdoor visibility, video qua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밝기제어모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패널140을 통해 해상도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설정 가능한 해상도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가능한 해상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1920*1080, 1280*720, 720*480, 640*480, 320*240, 176*144라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카메라160을 통해 촬영할 해상도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상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설정메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밝기제어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3단계에서 동영상 촬영 시에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밝기제어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해상도 또는 밝기제어모드 설정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32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기능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160을 통해 촬영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3단계에서 표시부13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밝기 제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밝기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335단계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확인하며, 337단계에서 확인된 해상도에 따른 밝기 제어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10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밝기 제어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밝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데이터의 밝기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39단계에서 상기 카메라16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30에 전송하며, 상기 표시부130은 상기 수신되는 카메라160의 촬영 영상을 상기 설정된 밝기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339단계에서 상기 카메라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면서 코덱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60으로부터 촬영되는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130에서 해상도에 따라 설정된 밝기로 표시되며, 또한 설정된 해상도의 데이터로 메모리110에 저장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333단계에서 밝기 제어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341단계에서 카메라1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30에 전송하며, 상기 표시부130은 표시데이터를 읽어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의 밝기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시스템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밝기(최대 밝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밝기로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에서 동영상 표시모드시 동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표시부13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표시부130의 소모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임의의 해상도를 지닌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밝기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결정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결정된 밝기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해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이고, 및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해상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감소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밝기 제어 모드를 실행하고, 및
    상기 밝기 제어 모드가 실행된 경우,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밝기로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녹화(video recording), 영화(movie), 방송(broadcast) 및 게임(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를 확인하는 동작;
    메모리에 저장된 밝기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결정된 밝기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해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이고, 및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해상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감소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밝기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동작; 및
    상기 밝기 제어 모드가 실행된 경우,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밝기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녹화(video recording), 영화(movie), 방송(broadcast) 및 게임(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
  7.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녹화 모드에서 기 지정된 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메모리에 저장된 밝기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결정된 밝기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해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이고,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해상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감소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밝기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동작; 및
    상기 밝기 제어 모드가 실행된 경우, 상기 밝기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밝기로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카메라 설정 모드에서 상기 해상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녹화(video recording), 영화(movie), 방송(broadcast) 및 게임(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
  11. 삭제
KR1020110115194A 2011-11-07 2011-11-07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1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94A KR101915520B1 (ko) 2011-11-07 2011-11-07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US13/660,199 US9084015B2 (en) 2011-11-07 2012-10-25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EP12190982.4A EP2590404B1 (en) 2011-11-07 2012-11-01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JP2012241670A JP6207146B2 (ja) 2011-11-07 2012-11-01 携帯端末機の映像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CN201210439867.8A CN103093717B (zh) 2011-11-07 2012-11-06 用于移动装置的显示控制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94A KR101915520B1 (ko) 2011-11-07 2011-11-07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058A KR20130050058A (ko) 2013-05-15
KR101915520B1 true KR101915520B1 (ko) 2018-11-07

Family

ID=4742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194A KR101915520B1 (ko) 2011-11-07 2011-11-07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84015B2 (ko)
EP (1) EP2590404B1 (ko)
JP (1) JP6207146B2 (ko)
KR (1) KR101915520B1 (ko)
CN (1) CN1030937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20B1 (ko) * 2011-11-07 2018-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6207203B2 (ja) * 2013-04-01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245775B (zh) * 2015-09-25 2018-04-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摄像头成像方法、移动终端及装置
CN107172274A (zh) * 2017-04-27 2017-09-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负载的方法及终端
US20180366084A1 (en) * 2017-06-19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between display technologies
CN110351604A (zh) * 2019-07-29 2019-10-18 北京德为智慧科技有限公司 不同影像模态的自适应显示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371A (ja) 2007-09-10 2009-04-23 Ricoh Co Ltd 画像記録装置
US20110115833A1 (en) * 2009-11-18 2011-05-19 Fujitsu Limited Portable terminal and luminance adjustment program
US20110176786A1 (en) * 2008-11-17 2011-07-21 Shenzhen Tcl New Technolog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video setting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4327B2 (ja) * 1997-07-04 1999-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H11164178A (ja) * 1997-11-27 1999-06-18 Kyocera Corp 液晶モニタ付きデジタルカメラ
JP2005210705A (ja) * 2003-12-26 2005-08-04 Sharp Corp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信機、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処理プログラム
CN1878245A (zh) * 2005-06-07 2006-12-13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校正数字图像的曝光度的方法
KR20060130906A (ko) 2005-06-09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색상 제어 기능을 갖는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색상 제어 방법
WO2007029443A1 (ja) * 2005-09-09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画像処理方法、画像記録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
US20070286596A1 (en) * 2006-06-08 2007-12-13 Lonn Fredrik A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in a camera equipped mobile radio terminal
US20080297662A1 (en) 2007-06-01 2008-12-04 Gibbs Benjamin K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mobile electronic device performance when processing video content
US8488901B2 (en) 2007-09-28 2013-07-16 Sony Corporation Content based adjustment of an image
US20090158350A1 (en) * 2007-12-14 2009-06-1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recording options of media content
JP5166124B2 (ja) 2008-06-04 2013-03-21 株式会社東芝 カメラ付き携帯端末のバックライト調整装置
KR101915520B1 (ko) * 2011-11-07 2018-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371A (ja) 2007-09-10 2009-04-23 Ricoh Co Ltd 画像記録装置
US20110176786A1 (en) * 2008-11-17 2011-07-21 Shenzhen Tcl New Technolog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video settings
US20110115833A1 (en) * 2009-11-18 2011-05-19 Fujitsu Limited Portable terminal and luminance adjustment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2429A (ja) 2013-05-23
CN103093717B (zh) 2016-12-21
US9084015B2 (en) 2015-07-14
EP2590404B1 (en) 2016-09-14
EP2590404A2 (en) 2013-05-08
US20130113974A1 (en) 2013-05-09
CN103093717A (zh) 2013-05-08
JP6207146B2 (ja) 2017-10-04
KR20130050058A (ko) 2013-05-15
EP2590404A3 (en)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7340A2 (en) Dat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915520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US92243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and mobile terminal
KR101795040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US7702171B2 (en) Screen data transmitting device
US7903107B2 (en) Adaptive refresh rate features
EP31739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
US201701640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over a network
JP2015018285A (ja) 携帯電話端末、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1899680B (zh) 一种显示设备及其设置方法
US20050101343A1 (en) Mobile phone device with video output
EP34325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CN104346057B (zh) 背景色的调节方法及装置
JP2008299320A (ja) 電子装置、最適化方法、及び最適化システム
JP2007334034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99424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ing display for auxiliary light
CN105338403B (zh) 滤镜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102989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CN114677975A (zh) 画面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161024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6002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349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in portable terminal
CN1602055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1110900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loading device, data parsing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EP1865725A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