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377B1 -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377B1
KR101915377B1 KR1020170001525A KR20170001525A KR101915377B1 KR 101915377 B1 KR101915377 B1 KR 101915377B1 KR 1020170001525 A KR1020170001525 A KR 1020170001525A KR 20170001525 A KR20170001525 A KR 20170001525A KR 101915377 B1 KR101915377 B1 KR 10191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bin
communication
body por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621A (ko
Inventor
원영수
허행찬
Original Assignee
원영수
신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수, 신미희 filed Critical 원영수
Priority to KR102017000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3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4Adaptation for use in or on ships, submarines, buoys or torpedo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신호의 송출을 위한 안테나와, 신호의 전달을 위한 신호선과, 절연을 위한 절연쉴드 및 신호의 제공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몸체부는 볼트형 구조로 형성되면서 벽체에 관통 체결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양측 끝단면이 각각 선실 내부 및 선실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선실 내부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선실 외부로 무선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antenna apparatus for wireless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안테나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이 어렵도록 차단된 실내와 실외의 난환경 통신을 위해 사용되면서 상기 실내의 각 상황을 실외에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환경 통신이라 함은 땅속, 물속, 콘크리트 속 등 아주 열악한 통신 환경을 의미하며, 이러한 난환경 통신기술로는 주로 자기장 통신기술(MFAN:Magnetic Field Area Network)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자기장 통신기술은 흙, 물, 콘크리트 등의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전파손실이 적으나 통신 거리가 짧다는 제한이 있다.
한편, 선박의 경우는 선박 내의 각 선실이 철판 구조물로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볼트와 넛트를 이용하여 이어 붙여진 공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실상 전자파가 차폐된 구조이며, 이로써 각 선실 간 통신은 유선에 의하지 않으면 곤란한 난환경의 통신 지역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한 선박 내부에서의 각 선실 내외부 간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4-0117065호, 등록특허 제10-1348099호, 등록특허 제10-1615901호, 공개특허 제10-2016-0022676호, 공개특허 제10-2016-0028111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비록 선박 내의 각 선실내에서 각종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사실상 각 선실 내의 무선통신 환경의 제공을 위해서는 상기 각 선실 내에 통신장비가 각각 비치되어 있어야만 하였던 단점이 있다.
특히,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각 선실 내에 구비되는 통신장비가 해당 선실의 내부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기술일 뿐 해당 선실 내부의 정보나 신호를 선실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선실의 벽체가 철판 구조물로 이루어짐에 따라 무선 신호의 투과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폐쇄된 선실 내부의 상황을 선실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선실 내부에 각 용도별 센서가 구비되어야 할 뿐 아니라, 이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는 사실상 유선을 통해 제공되어야만 함으로써 각 선실의 내외부에 대한 기밀 유지가 어렵고, 유선의 구축을 위한 비용의 증가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공개특허 제10-2016-0034538호의 경우는 격벽의 두께에 상관없이 선박 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임을 고려할 때 상기 철판 구조물로 이루어진 벽체를 자기장 통신이 정확히 투과하기가 사실상 어려울 뿐 아니라 이러한 통신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장비(통신을 위한 모듈)가 더욱 우수한 성능을 요구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축 비용이 비쌀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공개특허 제10-2014-0117065호 등록특허 제10-1348099호 등록특허 제10-1615901호 공개특허 제10-2016-0022676호 공개특허 제10-2016-0028111호 공개특허 제10-2016-003453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내의 각 선실과 같이 통신이 어렵도록 차단된 실내와 실외의 난환경 통신을 위해 사용되면서 상기 선실 내부의 각 상황을 선실 외부에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적용이 용이함과 더불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에 따르면 실외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단 및 벽체를 관통하여 끝단면이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체결단을 포함하며, 중앙측으로는 통과홀이 관통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에 위치되면서 신호를 실외로 송출하는 안테나; 상기 몸체부의 통과홀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실내에서 제공받은 각종 신호를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신호선; 상기 통과홀 내에 몸체부와 신호선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체결단에는 커넥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혹은, 센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체결단은 벽체에의 볼팅 체결을 위한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은 체결단의 볼팅 체결을 위한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다각형의 볼트헤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를 이루는 몸체부의 외면에는 장착 공간으로 제공되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통과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홈 내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절연쉴드는 상기 장착홈 내에도 제공되면서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과 상기 안테나의 통전됨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 외면에는 상기 안테나 및 장착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밀봉필름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선박 내의 각 선실 내외에 대한 상호 통신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한 통신이 유선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선 라인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각 구조물 간의 체결을 위한 고력볼트를 대체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볼트 구조를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에의 적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설치를 위한 설계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사용 용도에 따라 통신모듈을 달리 설정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실 내에 구축된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의 공용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선실 내의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선실 내로 사용자의 진입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선박의 내부에 적용되면서 상기 선박 내의 각 선실 내외부에 대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크게 몸체부(100)와, 안테나(200)와, 신호선(300) 및 절연쉴드(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몸체부(100)는 볼트형 구조로 형성되면서 벽체(20)에 관통 체결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양측 끝단면이 각각 선실 내부 및 선실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선실 내부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선실 외부로 무선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몸체부(100)는 실외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단(110) 및 벽체(20)를 관통하여 끝단면이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체결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체부(100)의 체결단(120)은 벽체(20)에의 볼팅 체결을 위한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머리단(110)은 체결단(120)의 볼팅 체결을 위한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다각형의 볼트헤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가 고력볼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몸체부(10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가 선실의 벽체(20)에 각종 구조물(예컨대, 출입문이나 창문 등)(30)의 체결을 위한 고력볼트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100)의 중앙측으로는 통과홀(10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머리단(110)의 외면에는 장착 공간으로 제공되는 장착홈(111)이 요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111)은 상기 통과홀(101)에 비해 더욱 큰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머리단(110)의 외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되며, 그 요입 깊이는 내부에 안테나(200)가 완전히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테나(200)는 실내의 신호를 실외에 위치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40)로 송출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안테나(200)는 헬리컬 안테나, 대수주기안테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및 그래핀 안테나 중 어느 한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로 2.4GHz ISM 대역을 포함하면서 사용주파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안테나(200)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통과홀(101)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머리단(110)의 장착홈(111) 내에 수용되며, 후술될 통신모듈(5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해당 머리단(110)의 외면이 향하는 실외측 방향을 향하여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지향성 안테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200)를 지향성 안테나로 구성하는 이유는 인접된 여타 통신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채널의 신호와 혼선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선실 내부에 대한 정보를 더욱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0)의 머리단(110) 외면에는 밀봉필름(130)이 부착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은 장착홈(111)에 의한 안테나(200)의 수용 구조 및 밀봉필름(130)에 의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차단 구조를 통해 해당 안테나(200)가 외부 물체와의 부딪힘에 의해 손상되거나 혹은,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밀봉필름(130)의 경우 실외측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가스 등이 해당 몸체부(100)의 통과홀(101)을 통해 실내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역할도 추가로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신호선(300)은 실내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20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써, 외부도체(310) 및 내부도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신호선(300)은 몸체부(100)의 통과홀(101)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그의 양 끝단은 상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체결단(120)의 끝단과 머리단(110)의 끝단에 각각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신호선(300)의 일측 끝단인 상기 머리단(110)의 끝단에 위치되는 부위는 상기 머리단(110)의 장착홈(111) 내에 구비되는 안테나(200)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상기 신호선(300)을 이루는 내부도체(320)의 외경과 외부도체(310)의 내경 간의 비(比)와 상기 외부도체(310)의 유전율에 의하여 50Ω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0)를 이루는 체결단(120)에 상기 신호선(300)과 연결되는 커넥터(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140)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혹은, 센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모듈(50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500)은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도록 서큘레이터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모듈로써, 지그비(Zigbee) 모듈 혹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될 수도 있고, 온도 센서나 습도 센서, 가스 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및 연기 센서와 같은 센서 모듈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용도의 통신모듈(500)을 선택하여 상기 커넥터(140)에 결합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500)의 후면에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Micro strip antenna)(510)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510) 및 전술된 안테나(200)는 사용공간에 따라 반치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하여 서비스 에어리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통신모듈(500)은 상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체결단(120)의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결단(120) 내로 상기 통신모듈(500)이 수용 장착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통신모듈(50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통신모듈(500)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부딪힘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쉴드(400)는 몸체부(100)와 신호선(300) 간을 절연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절연쉴드(400)는 그 내부를 상기 신호선(300)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신호선(300)이 상기 몸체부(100)의 통과홀(101) 내면에 접촉되어 통전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절연쉴드(400)의 전방측 끝단은 상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머리단(110)의 장착홈(111) 내에 구비되면서 해당 장착홈(111) 내에 위치된 안테나(200) 역시 상기 머리단(110)으로부터 절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쉴드(400)는 상기 신호선(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을 따라 관통공(410)이 관통 형성된 상태로 만들어진 개별 제품이 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00)의 통과홀(101) 내에 신호선(300)을 내장시킨 후 상기 통과홀(101) 내로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여 굳힘으로써 만들어지는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의 사용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각 선실의 벽체에 각종 구조물(예컨대, 도어나 유리창 등)(30)을 체결하도록 사용되는 다수의 고력볼트 중 어느 한 고력볼트를 대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선실 외부의 사용자가 해당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의 안테나(200)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원활히 송출받을 수 있는 범위에 위치된 고력볼트를 대체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고력볼트를 대체하는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통상의 고력볼트와 같이 머리단(110)을 조작하여 체결단(120)을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의 설치시에는 몸체부(100)의 머리단(110)이 선실 외부를 향하도록 함과 더불어 체결단(120)은 선실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의 사용 용도에 따른 통신모듈(500)을 결정한 후 이 결정된 통신모듈(500)을 상기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이루는 커넥터(14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사용 용도에 따른 통신모듈(500)이라 함은 해당 선실 내부에 대한 사용 목적에 따라 해당 선실 내부로의 진입 전에 선실 내부의 정보를 선실 외부에서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모듈(500)을 의미한다.
예컨대, 해당 선실이 기관실일 경우에는 상기 기관실에 도어를 개방하기 전에 기관실 내에 유독가스가 존재하는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연기 감지센서를 갖는 센서 모듈을 통신모듈(500)로 결정하여 선실 내부에 위치된 커넥터(140)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선실 내부에 유독 가스가 존재할 경우 이의 감지 신호는 상기 통신모듈(500)과 연결된 신호선(300)을 통해 안테나(200)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안테나(200)를 통해 선실 외부로 송출되며, 계속해서 상기 선실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개인의 무선 단말기(40)를 통해 상기 안테나(2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실 내부로 진입하지 않더라도 선실 내부의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무방비 상태로의 선실 진입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안전 사고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실 내부에 각종 센서 모듈을 포괄하여 제어하거나 혹은, 각종 통신을 위한 제어장치(예컨대, 제어용 컴퓨터)(50)가 별도로 존재한다면 상기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에는 각 통신모듈(500) 중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지그비 모듈 혹은,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하면 된다.
즉, 선실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그의 무선 단말기(40)를 통해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의 안테나(200)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선실 내부에 위치한 또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선실 내부의 상황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특정 선실 내의 신호를 선실 외부에만 송출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는 몸체부(100)를 이루는 머리단(110)이 실내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킴과 더불어 체결단(120)은 실외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실외에서 실내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를 두 개로 제공하면서 어느 한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실외에서 실내로 각종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함과 더불어 다른 한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실내에서 실외로 각종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가 설치되는 벽체(20)는 두 선실을 가로막는 벽체(20)가 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서로 구획된 두 선실 간의 통신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선박 내의 각 선실 내외에 대한 상호 통신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한 통신이 유선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선 라인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각 구조물(30) 간의 체결을 위한 고력볼트를 대체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볼트 구조를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에의 적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설치를 위한 설계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사용 용도에 따라 통신모듈을 달리 설정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실 내에 구축된 제어장치(50)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의 공용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10)는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선실 내의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선실 내로 사용자의 진입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20. 벽체
30. 구조물 40. 무선 단말기
50. 제어장치 100. 몸체부
101. 통과홀 110. 머리단
111. 장착홈 120. 체겨단
130. 밀봉필름 140. 커넥터
200. 안테나 300. 신호선
310. 외부도체 320. 내부도체
400. 절연쉴드 410. 관통공
500. 통신모듈
510.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Claims (5)

  1. 실외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머리단 및 벽체를 관통하여 끝단면이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체결단을 포함하며, 중앙측으로는 통과홀이 관통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에 위치되면서 신호를 실외로 송출하는 안테나;
    상기 몸체부의 통과홀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실내에서 제공받은 각종 신호를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신호선;
    상기 통과홀 내에 몸체부와 신호선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를 이루는 몸체부의 외면에는 장착 공간으로 제공되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통과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홈 내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절연쉴드는 상기 장착홈 내에도 제공되면서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과 상기 안테나의 통전됨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체결단에는 커넥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혹은, 센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체결단은 벽체에의 볼팅 체결을 위한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은 체결단의 볼팅 체결을 위한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다각형의 볼트헤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머리단 외면에는 상기 안테나 및 장착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밀봉필름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KR1020170001525A 2017-01-04 2017-01-04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KR10191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25A KR101915377B1 (ko) 2017-01-04 2017-01-04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25A KR101915377B1 (ko) 2017-01-04 2017-01-04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21A KR20180080621A (ko) 2018-07-12
KR101915377B1 true KR101915377B1 (ko) 2018-11-05

Family

ID=6291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525A KR101915377B1 (ko) 2017-01-04 2017-01-04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8077A (zh) * 2018-10-23 2019-02-19 济源市超光传感器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利用微波传感的金属裂缝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028A (ja) * 1995-06-02 1996-12-13 Ichikoh Ind Ltd アンテナ装置
KR100537501B1 (ko) * 2002-10-15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옥내 무선통신용 벽체 매립형 안테나 시스템
JP5777172B2 (ja) * 2013-02-22 2015-09-09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ドナーアンテナ及びリピータ
KR102172299B1 (ko) * 2014-08-18 2020-10-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8077A (zh) * 2018-10-23 2019-02-19 济源市超光传感器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利用微波传感的金属裂缝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21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1729A (en) Encapsulated tubular conductor
US8483262B2 (en) Piezoelectric cable perimeter monitoring system
WO2013186877A1 (ja) 車両用通信装置のアンテナ配置構造
US9093755B2 (en) Lower power localized distributed radio frequency transmitter
US8416092B2 (en) Device for triggering functions in a vehicle
JP6282386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
KR101915377B1 (ko) 난환경 통신용 안테나장치
WO2020012773A1 (ja) 空調機の通信システム及び空調機
EP0342858A2 (en) System for re-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from outside within an electromagnetic shielded space
CN1210628A (zh) 带金属外壳的开关设备
JP2000004533A (ja) 防爆基地局装置
US11789136B2 (en) Radar presence sensor device
JPH058304Y2 (ko)
DK201370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area
JP2007042048A (ja) 消防設備の点検の際に行う無線通信方法
CN215626077U (zh) 一种电梯光幕
Fedorov et al. Analysis of building methods wireless security alarm
JP3193050U (ja) 中継器用アンテナ
JP7109060B2 (ja) 電磁波抑制装置と電磁波抑制方法
JP2561715B2 (ja) ワイヤレス電気錠システム
JP2007134869A (ja) アンテナ収納ボックス
KR20090092938A (ko)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CN105826826A (zh) 一种高压组合变压器
CN105375114A (zh) 天线模块以及包括该天线模块的无线控制系统
JPH04172788A (ja) 衛星放送受信用中間周波信号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