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938A -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 Google Patents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938A
KR20090092938A KR1020080018198A KR20080018198A KR20090092938A KR 20090092938 A KR20090092938 A KR 20090092938A KR 1020080018198 A KR1020080018198 A KR 1020080018198A KR 20080018198 A KR20080018198 A KR 20080018198A KR 20090092938 A KR20090092938 A KR 2009009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network switch
wireless
wireless network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봉
김태환
정호원
김곤
Original Assignee
(주)한국시엠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시엠알 filed Critical (주)한국시엠알
Priority to KR102008001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2938A/ko
Publication of KR2009009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9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 설치되며 선 내외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에 유선 연결되며 선박의 각 층 복도에 설치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와; 선박의 각 층에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인프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선박의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선박의 각 층에 무선 정보가 자유롭게 교신될 수 있는 무선 인프라가 구축된 선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SHIP HAVING A RADIO INFRANET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 설치되며 선 내외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에 유선 연결되며 선박의 각 층 복도에 설치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와; 선박의 각 층에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인프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무선 통신을 수단으로 외부와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선박의 내부에서의 통신 수단은 지상에서의 급속한 무선 인프라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선 통신에 의존하고 있다.
선박이 이러한 유선 통신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선체가 전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박의 각 층은 금속층으로 구분되고 있기 때문에 전파가 자유롭게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선박에서는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서 무선으로 외부 통신을 수신하여 유선으로 각 층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런데 지상에서의 무선 인프라 발달은 선박 자체의 유선 통신망이 갖추어 짐에도 불구하고, 선박에서 오랫동안 거주하는 선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즉, 각 선원들이 가지는 휴대폰이나, 선실에 마련된 방송 설비가 선박 자체의 유선 통신망과 구분되어져 사용되므로 일례로 선박에서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갑판 상부로 선원이 나와야만 통화가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선원의 휴대폰 사용은 선박의 자체 유선 인프라가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선박의 각 층에서는 각 층 복도가 밀폐된 공간이 마치 거대한 도파관과 같이 거동하므로, 무선 설비를 마련한다 하여도 개방된 공간에서의 스펙과 일치될 수 없다.
이러한 선박 복도의 특수성은 각 복도 마다의 특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수치로 일관적인 계산을 실시하여 무선 인프라 설비를 구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종래의 선박에서의 불편은 더욱 개선하기 힘든 문제였다.
한편, 선박의 내부 공간은 선박의 크기에 한정되므로 유선 통신에 의한 복잡한 배선은 선박의 유지 관리에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선박의 각 층에 무선 정보가 자유롭게 교신될 수 있는 무선 인프라가 구축된 선박을 제공함으로서, 선박의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 설치되며 선 내외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에 유선 연결되며 선박의 각 층 복도에 설치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와; 선박의 각 층에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인프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는 파워 오브 이더넷(POE)에 의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가 형성된 복도층에는, 당해 층의 복도에 형성되는 정상파를 실측하여 전파강도가 약한 지점에도 골고루 정상파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계기를 더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여 선박의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선박의 각 층에 무선 정보가 자유롭게 교신될 수 있는 무선 인프라가 구축된 선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의 구조도
도 2와 도 3은 금속 밀폐 도파관에서 형성되는 정상파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 20 :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30 :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 40 : 호스트
300 : 무선 링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의 구조도이며, 도 2와 도 3은 금속 밀폐 도파관에서 형성되는 정상파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10)와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와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30) 및 호스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이다.
본 발명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10)는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 설치되며 선 내외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선박에 무선 네트워크(Elements of a wireless network)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외부의 무선 신호를 선박에서 수집하는 기지국이 필요하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10)는 선박에 설치되는 기지국(base station)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무선 네트워크 기반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이 되는 것으로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 설치된다.
원칙적으로 육상에서의 무선 기지국은 기지국에 결합(association)된 무선 호스트(40)와의 데이터(패킷) 송수신에 대한 책임을 지며, 결합된 다수의 무선 호스트의 전송을 조정한다.
그런데 선박의 경우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각 층(deck)이 금속으로 구분되며, 각 층에서도 출입구가 닫힌 상태가 되면 각 층의 복도가 금속에 밀폐되어 마치 거대한 도파관처럼 보여지게 된다.
따라서, 금속의 전파 차단 효과 때문에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 형성된 무선 기지국(무선 네트워크 주장치(10))으로부터 선박의 각 층에 위치하는 호스트(40)로 무선 결합(association)이 이루어 질 수 없다.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로부터 각 층의 복도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10)에 유선 연결되는 장치이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는 무선 중계기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유선으로 전달받아 선박의 각 층에 위치하는 호스트(40)와 무선 결합되어 데이터(패킷) 송수신에 대한 책임을 지며, 결합된 다수의 무선 호스트(40)의 전송을 조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무선 결합의 의미는 호스트(40)가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중계기)로부터 무선 통신 영역이내에 있으며, 호스트(40)가 자신과 큰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중계(relay)를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선박에 있어서는 재질이 금속이라는 특수성에 의하여 각 층의 복도는 마치 밀폐된 거대한 도파관과 같이 거동하는데, 밀폐된 도파관에서의 전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파를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정상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복도 내부에서 거리 및 위치에 영향을 받아 전파가 균등하게 전송되지 못함을 의미하므로, 상기한 무선 결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 2는 정상파를 설명하기 위하여 1자형 도파관의 모습을 예로 들었으나, 실제의 복도는 1자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각 선박의 특색, 데크의 특색에 따라 달리 설계될 것이므로 도 2에서 보여지는 정상파의 모습과 달리 매우 복잡한 정상파가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정상파에 의한 무선 결합의 방해를 제거하기 위하여 선박의 각 층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와 호스트(40) 또는 다른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를 유선 또는 무선 링크(300)(wireless link)시키는 하위 중계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취지는 선박 내부에 무선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선박의 각 데크에 어지럽게 널리는 전선의 배치를 간편하게 하고 그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비록 각 층의 복도에서 상기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와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는 유선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무선 링크(300)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는 지상에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의 효과거리를 확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선박에서는 각 층의 복도에 형성되는 정상파의 형상을 교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도 2의 정상파를 도 3의 정상파처럼 형태를 변환시키기 위함), 따라서 각 층의 복도에서 정상파를 가장 잘 교란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선박의 각 층의 복도는 그 구조와 길이가 다르며, 동일 설계하의 복도라 하더라도 다른 변수에 의하여 정상파의 형상은 달라지게 되므로 정상파의 형태를 수식에 의하여 계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
따라서 당해 층의 복도에는 그 특성에 맞추어져 형성된 정상파를 조사하고 이를 교란시키는 위치에 상기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상기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30)는 예를들어 도 2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에 의해 당해 층의 복도에 형성되는 정상파를 실측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를 이동하면서 전파강도가 약한 지점에서의 전파강도 변화를 실측하여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만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정상파를 실측하여 각 지점에서의 전파 강도를 미리 측정하고, 하나 또는 복수개의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를 복도를 따라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에서의 정상파의 상태를 측정하면 정상파가 약했던 부분이 강해지는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그 위치에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를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30)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선박의 각 층에서 정상파가 골고루 형성될 수 있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10)와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30)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 결합 관계로 설정되나 본 발명의 취지는 선박 내부의 전선을 감소시켜 선박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3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역시 무선의 전송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20),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에 파워 오브 이더넷(POE)에 의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각 선실에서 무선 호스트(wireless host)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선박이 제공되는 이점이 이다.
상기 무선 호스트는 유선 네트워크의 경우처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종단 시스템 장치로서, 랩톱이나 팜톱, PDA, 전화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 티브이, 감시카메라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호스트는 휴대폰과 같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고 티브이와 같이 이동할 수 없는 것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선박의 네비게이션 데크에 설치되며 선 내외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에 유선 연결되며 선박의 각 층 복도에 설치되는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와;
    선박의 각 층에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인프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스위치,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는
    파워 오브 이더넷(POE)에 의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node) 네트워크 스위치가 형성된 복도층에는, 당해 층의 복도에 상기 노드 네트워크 스위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정상파를 실측한 후, 중계기를 이동하면서 전파강도가 약한 지점에도 골고루 정상파가 형성되는 위치를 선정하여 중계기를 더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KR1020080018198A 2008-02-28 2008-02-28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KR20090092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98A KR20090092938A (ko) 2008-02-28 2008-02-28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98A KR20090092938A (ko) 2008-02-28 2008-02-28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38A true KR20090092938A (ko) 2009-09-02

Family

ID=4130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198A KR20090092938A (ko) 2008-02-28 2008-02-28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29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39B1 (ko) * 2009-09-23 2011-04-12 한국해양연구원 선체에서의 다중채널 초음파 통신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WO2012128403A1 (ko) * 2011-03-23 2012-09-27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선박의 선체 통신망 및 그 통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39B1 (ko) * 2009-09-23 2011-04-12 한국해양연구원 선체에서의 다중채널 초음파 통신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WO2012128403A1 (ko) * 2011-03-23 2012-09-27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선박의 선체 통신망 및 그 통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7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pecific vehicle
US8699517B2 (en) Dual WiFi apparatus for wireless internet and wireless internet system using the same
CN101854389A (zh) 煤矿多业务无线通信系统
CN104301135B (zh) 电力隧道wifi信号覆盖及设备网络管理系统及其方法
WO2018088842A1 (en) Vehic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090092938A (ko) 무선 인프라 구축 선박
JP4332595B1 (ja) ビル内広帯域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8316720A (ja) エレベータの無線機器装置
CN104080202A (zh) 一种用于隧道中的双通道射频拉远单元及分布式基站系统
CN204634054U (zh) 一种WiFi公用电话亭
US8693498B2 (en) WiFi apparatus for wireless internet and wireless internet system using the same
KR101858980B1 (ko) 건조선박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206100352U (zh) 一种楼宇无线对讲系统
WO2013176356A1 (ko) 구내 확장성을 갖는 원격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인빌딩 중계 시스템
JP200828882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8008437A1 (ja) 無線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降機制御システム、変電設備監視システム
CN201503909U (zh) 排气扇型美化天线
CN203523047U (zh) 无缝切换无线网络基站
US8334614B1 (en) Vessel of interest communications system
CN208158630U (zh) 一种海上通讯系统
KR101587473B1 (ko) 선박의 선내 통신 시스템 및 선내 방송 시스템용 통합 캐비넷 및 통합 스피커
CN103595458A (zh) 一种基于电缆的通信设备
CN207457514U (zh) 一种基于北斗卫星和gps的双模指挥终端
RU2572042C2 (ru) Способ внутрисудовой радиосвязи
JP4654442B2 (ja) 無線lan装置とミニfm送信機による災害時の情報伝達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