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866B1 -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866B1
KR101914866B1 KR1020170066065A KR20170066065A KR101914866B1 KR 101914866 B1 KR101914866 B1 KR 101914866B1 KR 1020170066065 A KR1020170066065 A KR 1020170066065A KR 20170066065 A KR20170066065 A KR 20170066065A KR 101914866 B1 KR101914866 B1 KR 10191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llagenase
mmp
expression
ganoderma lucid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선아
박세호
이재열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 비트로(in vitro)에서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또는 금속단백분해효소-1(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 및 콜라게네이즈 또는 금속단백분해효소-1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은 콜라게네이즈의 활성 및 UVB에 의해 발현이 증가한 금속단백분해효소-1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Reagent Composition for Inhibiting Expression of Collagenase or MMP-1, and Method for Inhibiting Expression of Collagenase or MMP-1}
본 발명은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또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 Autumn olive)는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보리수나무속(Elaeagnus)에 속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서 국내에서는 합천군 가야면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보리똥나무, 뻘똥, 핑크팝보리수로 알려져 있다. 이는 거제, 고성 등의 지역에서 재배되어 6~7월 수확되는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및 7~8월에 화천, 춘천 등의 지역에서 재배되며 주황색 원형모양의 둥근 열매를 갖는 갈매보리수나무(일명 비타민나무, Hippophae rhamnoides L.)와는 달리 10~11월에 열매가 포도송이처럼 열려 붉은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길이 1cm의 구형으로 다소 떫은맛과 단맛을 가지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윗부분은 짙은 녹색을 띤다. 보리수나무의 열매, 잎과 뿌리를 중국에서 우내자(牛子)라고 하며, 이질, 지혈, 지사제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보리수나무의 열매를 한방에서는 목반하(木半夏)라고 하며 효능으로는 설사, 출혈, 소화불량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는 열매뿐만 아니라 잎, 뿌리 및 가지를 기침, 천식 등의 치료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보리수나무에 관한 효능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으로 열매, 잎, 꽃 추출물의 항균활성, 열매의 일반성분 및 라이코펜 함량 분석,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열매와 잎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가 보고되어 있으며, 뜰보리수 관련 연구로서 잎의 유용성분 분석, 열매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미백효과, 항혈소판 및 항염증 등의 보고가 있다.
보리수나무는 체계적인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며, 식용으로 허가되어 있으나 식품 소재로서 활용이 전혀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리수나무의 잎의 기능성과 고부가가치 바이오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0303호(2017.02.2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인 비트로(in vitro)에서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 비트로(in vitro)에서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효과적으로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효과적으로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 비트로(in vitro)에서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 비트로(in vitro)에서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야보리수 잎 추출물의 콜라게네이즈 및 금속단백분해효소-1의 억제 활성을 개시하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의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 비트로에서 콜라게네이즈 활성 억제 및 금속단백분해효소-1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세포외(extracellular)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야보리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콜라게네이즈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섬유아세포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야보리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야보리수 잎을 에탄올 또는 열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 콜라게네이즈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 및 UVB를 조사한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 비트로(in vitro)에서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1회 내지 3회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회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특히 상온에서 추출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콜라게네이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바, 적절한 양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콜라게네이즈의 발현을 억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 비트로(in vitro)에서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1회 내지 3회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특히 상온에서 추출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1회 내지 3회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특히 상온에서 추출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1회 내지 3회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특히 상온에서 추출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는 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 제조 및 시약의 명명
경남 합천 지역에서 얻은 건조 상태의 가야보리수 잎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70% 에탄올(Duksan, Ansan, Korea)로 3회 반복 추출하였고, 또한 건조 상태의 가야보리수 잎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멸균수를 첨가하여 열수 추출(80℃, 3시간)하였다. 추출한 추출물은 여과지(Advantec, No. 5A, Tokyo, Japan)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때, 가야보리수 잎 에탄올 추출물은 24.92 g, 가야보리수 잎 열수 추출물은 9.58 g을 각각 수득하였고, 가야보리수 잎 에탄올 추출물을 'EUL EtOH' 및 가야보리수 잎 열수 추출물을 'EUL H2O'로, 대조군으로 사용할 시약인 에피칼로카테킨 갈레이트를 'EGCG'로 명명하였다.
< 실시예 2> 가야보리수 잎 추출물의 콜라게네이즈 ( Collagenase ) 발현 억제 활성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야보리수 잎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의 콜라게네이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아조콜(Azocoll)과 콜라게네이즈 타입 I 효소(collagenase type I enzyme)를 사용하였다. 즉, 콜라겐 효소의 기질인 아조콜(Azo dye-impregnated collagen, A4341, Sigma-Aldrich, USA) 1 mg에 완충용액인 0.1 M Tris-HCl(pH 7.0)을 900 μL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200 unit/mL의 농도로 제조한 콜라게네이즈 타입 I 효소(C0130, Sigma-Aldrich, USA) 용액 100 μL를 첨가하여 총 반응액이 1 mL가 되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에서 준비한 반응액에, 가야보리수 잎 에탄올 또는 열수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500 μL씩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43℃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이 완료되면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분해되지 않은 콜라겐은 침전시키고 분해된 콜라겐을 함유하는 상등액을 취해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 효소용액 대신 반응완충액을 효소용액과 동량 첨가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자체의 값도 측정하여 효소 활성 계산 시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야보리수 잎 추출물에 대한 콜라게네이즈 효소 활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가야보리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콜라게네이즈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야보리수 잎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의 IC50 값을 계산한 결과, 각각 1.818 mg/mL, 1.325 mg/mL로 계산되었다.
< 실시예 3> 가야보리수 잎 추출물의 금속단백분해효소-1 ( metalloproteinase -1; MMP-1) 발현 억제 효과 확인
먼저 실험에 사용할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는 Korea Collection Tissue Center(Seoul, Korea)로부터 분양받았으며, 10% FBS와 1%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를 첨가한 DMEM 배지(Welgene, Korea)를 이용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인큐베이터에서 2~3회 계대 배양한 후 사용하였고, 가야보리수 추출물의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Human MMP-1 ELISA kit(Abcam, USA)를 사용하였다.
먼저 CCD-986sk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1X105 cells/well이 되게 분주하였고, 5% CO2 조건에서 인큐베이터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 CCD-986sk에 UVB(15 mJ/cm2)를 조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딩(seeding) 시,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혼합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고갈(starvation)시킨 후 상기 추출물들을 처리하였다. 그 후 상등액을 수거하고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세포 상등액을 이용하여 human MMP-1 ELISA 실험방법에 따라 MMP-1 발현을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가야보리수 잎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의 MMP-1의 발현과 UVB에 노출된 섬유아세포의 MMP-1 발현량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10 μM의 EGCG(Sigma-Aldrich, USA)를 처리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B에 노출된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발현량이 정상군의 2배 이상 증가하였고, 10 μg/mL 농도의 가야보리수 잎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처리 시에는 정상군의 MMP-1 발현량과 동등한 발현량을 나타냈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정상군보다 더 낮은 MMP-1 발현량을 나타내었다. 즉, 피부 세포에서 UVB에 의해 발현되는 콜라게네이즈 효소 인자인 MMP-1이 가야보리수 잎 추출물에 의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9)

  1.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비트로(in vitro)에서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콜라게네이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비트로에서 콜라게네이즈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
  5.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비트로(in vitro)에서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시약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
  9.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서,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야보리수 잎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백분해효소-1(Metalloproteinase-1,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170066065A 2017-05-29 2017-05-29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 KR10191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65A KR101914866B1 (ko) 2017-05-29 2017-05-29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65A KR101914866B1 (ko) 2017-05-29 2017-05-29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866B1 true KR101914866B1 (ko) 2018-11-02

Family

ID=6432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65A KR101914866B1 (ko) 2017-05-29 2017-05-29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266A (ko) 2019-05-02 2020-1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컬캅플라본 ⅱ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 고발현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4313A1 (en) * 2008-07-25 2016-03-17 Mary Kay Inc. Compositions comprising elaeagnus lancelotus extract
KR101702775B1 (ko) 2015-10-08 2017-02-06 보사모영농조합법인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4313A1 (en) * 2008-07-25 2016-03-17 Mary Kay Inc. Compositions comprising elaeagnus lancelotus extract
KR101702775B1 (ko) 2015-10-08 2017-02-06 보사모영농조합법인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266A (ko) 2019-05-02 2020-1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컬캅플라본 ⅱ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mp 고발현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8953A (zh) 绿茶多糖的制备方法以及含有所述多糖的用于皮肤增白、保湿和抗皱效果的化妆品组合物
US10251824B2 (en) Method for inducing pluripotent stem cells and pluripotent stem cells prepared by said method
US20070098823A1 (en) Maca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uch an extract
Carvalho et al. Wound healing properties and mucilage content of Pereskia aculeata from different substrates
KR101884298B1 (ko) 도라지를 버섯균사체로 고체발효시켜 총페놀성화합물과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발효 방법
Paiva et al. Opuntia sp. cactus: biological characteristics, cultivation and applications
KR102232572B1 (ko) 병풀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Hegazi In vitro studies on Delonix elata L., an endangered medicinal plant
KR20190076620A (ko)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4866B1 (ko) 가야보리수(Elaeagnus umbellata)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및 이의 억제 방법
KR20070079465A (ko)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KR20190075382A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102164506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10B1 (ko) 청보리잎과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0220B1 (ko) 천연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부 비만 감소용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
KR102555539B1 (ko) 오크라 발아 삼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Maudu et al. The effect of gibberellins on sprouting of cuttings and quality of bush tea (Athrixia phylicoides DC)
KR20220082583A (ko) 기능성 벌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3096B1 (ko) 생리활성을 갖는 발효 쑥 및 발효 솔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EP2734215B1 (en) Improved process for pygeum extraction
KR20200098287A (ko)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20050007716A (ko) 카뎁신 케이의 활성을 저해하는 접골목 추출물
TWI819243B (zh) 醱酵憂遁草萃取物的製造方法及醱酵憂遁草萃取物用於製備抑制基質金屬蛋白酶與玻尿酸酶的組成物之用途
Dessalegn Effect of Traditional Fermentation Time on Total Phenolic Content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Kocho: Ethiopian Fermented Food from Enset (Ensete ventricusum welw. Chessman)
KR102502327B1 (ko) 감초 부산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