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412B1 -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 Google Patents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412B1
KR101914412B1 KR1020180034814A KR20180034814A KR101914412B1 KR 101914412 B1 KR101914412 B1 KR 101914412B1 KR 1020180034814 A KR1020180034814 A KR 1020180034814A KR 20180034814 A KR20180034814 A KR 20180034814A KR 101914412 B1 KR101914412 B1 KR 10191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pace
hose
body frame
top plate
nail 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일
Original Assignee
이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일 filed Critical 이규일
Priority to KR102018003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0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user-driven air-pumps or compresso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본체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재 및 수납프레임과, 상기 수납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은, 내부에 상면이 개방되면서 밀폐된 작업공간부를 갖되, 상기 작업공간부의 개방된 상면에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상판이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장치와 연결된 흡입호스가 끼워질 수 있는 호스삽입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작업공간부의 전면에는 작업자의 손 출입을 위한 전면 손출입구가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고객의 손 출입을 위한 후면 손출입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 및 흡입시킴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네일아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Sanitary table for nail art}
본 발명은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 및 흡입시킴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네일아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아트(Nail Art)란 손톱이나 발톱에 다양한 모양이나 색상을 칠하거나 네일 파츠를 부착하여 더욱 아름답게 손발톱을 가꾸는 미용 기술로서, 최근 외모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네일아트가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네일아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샌딩용 스틱과 같은 연마도구를 사용하여 손톱 등의 표면을 매끄럽게 정돈하거나 원하는 모양으로 다듬은 후, 원하는 각종 색상이나 모양을 얻도록 매니큐어 등의 네일재료를 손톱 등에 도포하거나 코팅하게 된다.
따라서, 네일아트 과정에서는 연마도구 등의 사용에 따라 많은 미세분진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매니큐어 등의 도포시 사용되는 벤젠이나 신나 등에 의해 유해한 유기화학물질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네일아트 작업이 개방된 환경 하에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네일아트 작업시 발생하는 미세분진이나 유해 화학물질 등이 사방으로 비산하거나 주위로 흩어지면서 작업공간을 더럽히거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등 유해한 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유해한 환경속에 장시간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네일아트 작업을 하는 작업자나 네일아트를 받는 고객에게 호흡기 계통 의 질환이나 각종 피부질환 등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이 유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네일아트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흡진하기 위한 기기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된 흡진기기는 대부분 작업테이블 위의 개방된 공간에서 네일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그 아래로 분진을 흡진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산량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사방으로 비산하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입하기 어려워 흡진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6904호 (네일관리용 흡진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네일아트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밀폐된 구조를 이루면서 발생되는 미세분진이나 유해물질의 흡입을 극대화함으로써 작업환경을 위생적으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본체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재 및 수납프레임과, 상기 수납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은, 내부에 상면이 개방되면서 밀폐된 작업공간부를 갖되, 상기 작업공간부의 개방된 상면에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상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장치와 연결된 흡입호스가 끼워질 수 있는 호스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작업공간부의 전면에는 작업자의 손 출입을 위한 전면 손출입구가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고객의 손 출입을 위한 후면 손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작업공간부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투명상판의 분리시 사이를 통과하는 투명상판과 접촉하여 투명상판을 닦아주는 상판클리너가 설치되는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 손출입구와 후면 손출입구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복수개로 분할된 연성재질의 밀폐깃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흡입장치가 설치되는 장치수납부와, 상기 장치수납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흡입장치와 연결된 흡입호스가 수용되는 호스수용부와, 상기 호스수용부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호스수용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상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에 의하면,
연마나 도포 등의 네일아트 작업이 밀폐된 구조의 작업공간부에서 이루어지면서 흡입장치를 통해 이를 흡입하기 때문에,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거나 흩어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차단하여 흡입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네일아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공간부의 내부 뿐만 아니라 주변의 분진이나 먼지 등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이나 유지보수가 쉬워 사용편의성이 우수함과 함께 네일아트 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통상적인 테이블의 용도로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내부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체프레임의 작업공간부 내부로 작업자와 고객이 손이 출입되는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개폐상판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개방된 호스수용부의 외부로 흡입호스가 인출된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테이블구조체가 수납프레임의 좌우 양쪽에 한쌍으로 결합된 것을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투명상판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판클리너가 구비된 작업공간부를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체프레임 위에 회동상판이 결합된 것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가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이하, “테이블구조체(100)라 약칭함.)는 본체프레임(10)과, 다리부재(20)와, 수납프레임(30)과, 흡입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네일아트 작업이 수행되는 부분으로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내부에는 네일아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부(11)가 마련된다.
상기 작업공간부(11)는 전후면, 좌우측면 및 밑면은 모두 막혀있으면서 상면은 개방되는 구조, 즉 상면만 개방이 된 밀폐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공간부(11)의 개방된 상면에는 투명상판(12)이 구비된다.
상기 투명상판(12)은 작업공간부(11)의 개방된 상면을 막아 작업공간부(11)가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하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외부에서 작업공간부(11)를 보면서 네일아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작업공간부(11)의 일측면에는 호스삽입구(13)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삽입구(13)에는 상기 흡입장치(40)와 연결된 흡입호스(41)가 끼워질 수 있으며. 이렇게 흡입호스(41)가 끼워진 상태에서 흡입장치(40)가 가동되면 작업공간부(11) 내부의 분진이나 유해물질 등은 흡입호스(41)를 통해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공간부(11)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전면 손출입구(14)와 후면 손출입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손출입구(14)는 네일아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손이 작업공간부(11)로 출입이 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 손출입구(14)는 작업자의 양쪽 손이 출입 가능하도록 좌우 한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손출입구(15)는 네일아트 작업을 받는 고객의 손이 작업공간부(11)로 출입이 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후면 손출입구(15)도 고객의 양쪽 손이 동시에 출입될 수 있도록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통 네일아트는 한 손씩 차례대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후면 손출입구(15)는 후면 중앙부분에 하나만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 손출입구(14)와 후면 손출입구(15)에는 각각 밀폐깃(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폐깃(16)은 플렉시블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실리콘 등과 같은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전면 손출입구(14) 또는 후면 손출입구(15)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복수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깃(16)은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작업자 또는 고객이 전면 손출입구(14) 또는 후면 손출입구(15)로 손을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전면 손출입구(14) 또는 후면 손출입구(15)를 최대한 밀폐시킴으로써 작업공간부(11)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이나 유해물질들이 전면 손출입구(14) 또는 후면 손출입구(15)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체프레임(10)은 좌우 양측면이 상기 다리부재(20)와 수납프레임(30)에 결합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이 위치되는 높이는 네일아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등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 손을 편하게 넣을 수 있는 정도의 높이가 바람직하며, 한편 작업자나 고객 등에 따라 본체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부재(20)와 수납프레임(30)의 하부에는 통상적인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적용되어 있는 높이조정 받침구(도면 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10)에는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공간부(11)의 측면에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개방수납부(19)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프레임(30)은 위와 같이 본체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다리부재(20)와 함께 본체프레임(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함과 함께, 상기 흡입장치(40)가 설치 수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수납프레임(30)은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장치수납부(31)와, 호스수용부(32)와, 레일부(33)와, 개폐상판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수납부(31)는 내부에 흡입장치(40)가 설치되어 수납된다.
이러한 장치수납부(31)의 전면에는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수납도어(31a)가 결합되고, 측면 또는 후면에는 공기 유통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통기공(31b)들이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에는 수납된 흡입장치(40)의 가동을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버튼이나 스위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호스수용부(32)는 상기 장치수납부(31)의 상단에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장치(40)와 연결된 흡입호스(41)가 수용된다.
상기 레일부(33)는 상기 호스수용부(32)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개폐상판부(3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개폐상판부(34)는 상기 레일부(33)에 설치되며, 레일부(3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됨으로써 호스수용부(32)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개폐상판부(34)의 상면에는 네일아트용 도구나 재료들을 수납할 수 있는 물품수납공간(3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장치(40)는 네일아트 작업시 발생된 미세분진이나 유해물질 등을 흡입하는 장치로서,상기 수납프레임(30)의 장치수납부(31) 내부에 설치 수납된다.
이러한 흡입장치(40)는 흡입력의 발생을 위한 임펠러와 모터 등이 내부에 구비됨과 함께, 미세분진 등을 걸러내는 분진필터와 유해물질 등을 정화시키는 정화필터 등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입장치(40) 자체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이미 다양한 구성과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면서 본 발명의 특징과는 무관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흡입장치(40)에는 흡입력 공급을 위한 흡입호스(41)가 연결된다.
상기 흡입호스(41)는 구부름 등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흡입호스(41)는 기본적으로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본체프레임(10)의 호스삽입구(13)에 끼워짐으로써 흡입장치(40)의 흡입력을 작업공간부(11)로 제공하게 되는데, 한편으로는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개폐상판부(34)를 개방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본 발명의 테이블구조체(100) 주변에도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호스(41)는 흡입장치(40)로부터 호스삽입구(13)까지의 거리보다 충분히 길면서 구부림을 통해 호스수용부(32)에는 용이하게 수용이 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의 테이블구조체(100)를 사용한 네일아트 작업은,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작업자와 고객이 모두 전면 손출입구(14)와 후면 손출입구(15)를 통해 각각 작업공간부(11)로 손을 넣은 상태에서 작업공간부(11) 상측의 투명상판(12)을 통해 내부를 보면서 네일아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흡입장치(40)의 흡입호스(41)는 호스삽입구(13)에 끼워진 상태로서 흡입장치(40)가 가동되면 흡입호스(41)를 통해 흡입력이 작업공간부(11)로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네일아트의 작업이 밀폐된 작업공간부(11)의 내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이나 유해물질 등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이렇게 차단된 미세분진이나 유해물질 등은 모두 흡입호스(41)를 통해 제공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장치(40)로 흡입되면서 필터링 또는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변환경이 분진이나 유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나 고객의 건강이 악화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네일아트 작업이 완료된 후 또는 테이블구조체(100) 주변에 먼지 등이 많아 지저분한 경우에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개폐상판부(34)를 슬라이딩시켜 호스수용부(32)를 개방시키고, 호스삽입구(13)로부터 흡입호스(41)를 이탈시킨 후 외부로 인출하여 지저분한 주변의 먼지 등도 흡입시킴으로써 테이블구조체(100)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작업환경을 더욱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납프레임(30)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상기 본체프레임(10)이 대칭을 이루어 한쌍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본체프레임(10)이 수납프레임(30)의 좌우 양쪽에 한쌍으로 결합되면,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을 사용하거나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흡입호스(41)가 인출 가능하기 때문에 흡입호스(41)를 양쪽의 호스삽입구(13)에 선택적으로 끼워줌으로써 하나의 흡입장치(40)를 가지고 양쪽의 작업공간부(11)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투명상판(12)은 작업공간부(11)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아크릴판, 투명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파손의 위험성이 있음과 함께, 비록 흡입장치(40)에 의해 흡입이 되더라도 일부 분진이나 화학물질 등이 하면에 묻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투명도가 저하될 것이므로 작업 시야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투명상판(12)은 작업공간부(11)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지만, 교체 및 세척 등이 용이하도록 고정시키지 않고 작업공간부(11)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상판(12)은 안착방식과 달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작업공간부(11)의 좌우 측면 및 후면 상부에는 투명상판(12)의 테두리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17)이 형성되고, 전면 상부에는 투명상판(12)이 출입될 수 있는 상판출입구(1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상판(12)의 전단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으면서 상기 상판출입구(18)에 걸리는 상판홀더(21a)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투명상판(12)은 상판출입구(18)를 통해 인입되어 지지홈(17)에 지지됨으로써 작업공간부(11)의 상면에 결합되고,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판출입구(18)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작업공간부(11)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 상기 작업공간부(11)의 전면 상부에는 투명상판(12)의 인출시 통과하는 투명상판(12)과 접촉하여 투명상판(12)을 닦아주는 상판클리너(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클리너(50)는 투명상판(12)의 통과가 가능하게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지지대(51)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51)에 각각 결합된 쿠션재(52)와, 상기 쿠션재(52)의 외부를 감싸면서 투명상판(12)을 닦아주는 세척천(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52)는 투명상판(12)의 통과시 압축이 가능한 스펀지나 우레탄 등 일정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재(52)에 고정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회전 가능하게 지지대(51)에 축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판클리너(50)는 투명상판(12)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 그 사이를 투명상판(12)이 통과하게 되는 바, 이 때 쿠션재(52)의 탄성에 따라 세척천(53)이 투명상판(12)과 일정압력으로 접촉하면서 투명상판(12)에 묻어있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을 닦아주게 된다.
따라서, 투명상판(12)에 분진 등이 묻어 투명도가 저하된 경우에도, 투명상판(12)을 한번 인출시켰다가 다시 인입시키는 것만을 통하여 매우 간편하게 투명상판(12)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상판(12)의 보호를 위하여, 도 7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본체프레임(10)에는 회동상판(60)이 추가로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동상판(60)은 투명상판(12)의 상측에서 일단이 회동편(61)을 통해 본체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상판지지편(62)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상판(60)은 네일아트 작업시에는 다리부재(20) 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작업공간부(11)를 작업자가 볼 수 있게 투명상판(12)을 노출시킨다.
반면에, 네일아트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투명상판(1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회동상판(60)은 투명상판(12) 위로 회동되어 본체프레임(10)에 지지됨으로써 투명상판(12)을 외력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며, 이렇게 회동상판(60)이 본체프레임(10) 위에 지지되면, 네일아트 작업 이외에 본 발명의 테이블구조체(100)를 책상, 식탁 등과 같은 통상적인 테이블의 용도로도 널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구조체는 밀폐된 작업공간부에서 연마나 도포 등의 네일아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거나 퍼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 이러한 분진이나 유해물질을 흡입장치를 통해 최대한 흡입시킴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네일아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본체프레임 11: 작업공간부
12: 투명상판 13: 호스삽입구
14: 전면 손출입구 15: 후면 손출입구
16: 밀폐깃 18: 상판출입구
20: 다리부재 30: 수납프레임
31: 장치수납부 32: 호스수용부
33: 레일부 34: 개폐상판부
40: 흡입장치 41: 흡입호스
50: 상판클리너 52: 쿠션재
53: 세척천 60: 회동상판

Claims (4)

  1.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본체프레임(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재(20) 및 수납프레임(30)과, 상기 수납프레임(30)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은,
    내부에 상면이 개방되면서 밀폐된 작업공간부(11)를 갖되,
    상기 작업공간부(11)의 개방된 상면에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상판(1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장치(40)와 연결된 흡입호스(41)가 끼워질 수 있는 호스삽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작업공간부(11)의 전면에는 작업자의 손 출입을 위한 전면 손출입구(14)가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고객의 손 출입을 위한 후면 손출입구(15)가 형성되며,
    상기 작업공간부(11)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투명상판(12)의 분리시 사이를 통과하는 투명상판(12)과 접촉하여 투명상판(12)을 닦아주는 상판클리너(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손출입구(14)와 후면 손출입구(15)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복수개로 분할된 연성재질의 밀폐깃(16)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프레임(30)은,
    상기 흡입장치(40)가 설치되는 장치수납부(31)와, 상기 장치수납부(31)의 상단에 형성되며, 흡입장치(40)와 연결된 흡입호스(41)가 수용되는 호스수용부(32)와, 상기 호스수용부(32)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33)와, 상기 레일부(33)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호스수용부(32)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상판부(34);를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4. 삭제
KR1020180034814A 2018-03-27 2018-03-27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KR10191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14A KR101914412B1 (ko) 2018-03-27 2018-03-27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14A KR101914412B1 (ko) 2018-03-27 2018-03-27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412B1 true KR101914412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814A KR101914412B1 (ko) 2018-03-27 2018-03-27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20A (ko) * 2020-11-11 2022-05-18 원은자 더스트 흡입 시스템
KR20220081490A (ko) 2020-12-09 2022-06-16 강경일 네일아트용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95Y1 (ko) 2016-04-18 2017-08-10 윤완진 네일아트용 작업 테이블
KR101780008B1 (ko) * 2016-06-23 2017-09-19 주식회사 가르텐 손톱정리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95Y1 (ko) 2016-04-18 2017-08-10 윤완진 네일아트용 작업 테이블
KR101780008B1 (ko) * 2016-06-23 2017-09-19 주식회사 가르텐 손톱정리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20A (ko) * 2020-11-11 2022-05-18 원은자 더스트 흡입 시스템
KR102410012B1 (ko) * 2020-11-11 2022-06-20 원은자 더스트 흡입 시스템
KR20220081490A (ko) 2020-12-09 2022-06-16 강경일 네일아트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7295A (en) Worktop air cleaner
US6444002B1 (en) Nail salon air purification system
US5439104A (en) Eyeglass cleaning station
KR101914412B1 (ko)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KR100445968B1 (ko) 진공정화기가 부착된 손톱손질용 테이블
US20160157463A1 (en) Grooming box
JP5307794B2 (ja) 聴診器洗浄用組立品
KR20200072436A (ko) 네일 관리시 발생하는 분진 흡입장치
KR101117672B1 (ko) 이동식 분진제거 안전 판재 면취기
KR101766904B1 (ko) 공기정화기가 통합된 데스크스탠드형 네일관리용 흡진기
KR101958795B1 (ko)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CN212326652U (zh) 防护装置
JP2020130996A (ja) 吸入範囲の拡張が可能な吸塵機
KR200484195Y1 (ko) 네일아트용 작업 테이블
KR102323098B1 (ko) 발 케어 서비스 시스템
CN109157157B (zh) 一种全身除尘装置
KR200254938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미용 테이블
JPS6310944Y2 (ko)
JP2008289671A (ja)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390583B1 (ko) 청소효율이 증가된 에어 재순환 타입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장치
JP2008167966A (ja) 掃除用具、鏡用掃除用具、床用掃除用具、電子機器用掃除用具及び窓ガラス用掃除用具
CN105326198A (zh) 多功能工作台
CN213889441U (zh) 一种打磨吸尘装置
CN214805413U (zh) 一种职业病用医疗器械盒
JPH0785724B2 (ja) 理容器具等の洗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