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920A - 더스트 흡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스트 흡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920A
KR20220063920A KR1020200149875A KR20200149875A KR20220063920A KR 20220063920 A KR20220063920 A KR 20220063920A KR 1020200149875 A KR1020200149875 A KR 1020200149875A KR 20200149875 A KR20200149875 A KR 20200149875A KR 20220063920 A KR20220063920 A KR 2022006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plate
dust
plat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012B1 (ko
Inventor
원은자
Original Assignee
원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은자 filed Critical 원은자
Priority to KR102020014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0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47Furniture or stationary devices with 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yclon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나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시키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 흡입 시스템은 일정한 면적과 부피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흡입판과, 상기 흡입판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판 내부의 공기를 이송시키며, 메인 필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이송 튜브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손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소음이 저감되며, 필터 교체 주기를 더욱 길게 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더스트 흡입 시스템{Dust Suction System}
본 발명은 더스트 흡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나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 시키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탁자나 책상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작업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중 분진이나 이물질이 비산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 위치와 작업자의 호흡기가 가깝게 위치하므로 비산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집진 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경우 중 하나가 네일 아트 가게에서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손톱을 다듬거나 기존에 굳어진 칠을 벗겨 내기 위해 행하는 드릴 시술이다. 드릴 시술 과정은 장시간 손톱 이물질이 비산되는 작업이므로 도 1의 사진에 예시된 종류의 흡입 머신으로 비산되는 이물질이 흡입된다. 도 1의 사진에 예시된 흡입 머신은 탁상에서 사용될 수 있게 최대한 흡입 구동기구와 이물질 수집통이 콤팩트하게 제작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집진 공간과 흡입 구동 기구가 함께 설치되다 보니 어느 정도 큰 두께로 제작될 수밖에 없다.
흡입 머신이 이처럼 높게 제작되면, 전용 받침대에 놓지 않는 한, 통상의 작업대나 책상에서는 피시술자가 장시간 손을 높이 들어올려야 하므로 상당한 고통과 피로가 올 수 있고, 시술자 또한 두 손을 높이 든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피시술자보다 더 큰 피로와 고통을 느낄 수 있다. 흡입 머신은 또한 흡입 구동 기구가 내장됨으로 인해 팬 소음이 시술자와 피시술자의 바로 코앞에서 울리므로 장시간 괴로운 소음에 시달려야 하는 문제도 있다. 특히 흡입 머신에서 흡입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시술자와 피시술자의 호흡기에 가까운 위치여서, 손톱에서 비산되는 이물질이 호흡기로 날려서 흡입되는 우려는 더욱 커짐에도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 문제이다. 흡입 머신은 또한 이물질이 별도로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 필터 상부에 모임으로써 수집되므로, 어느정도 이물질이 축적되면 필터 자체의 교체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필터를 세척해서 재활용하는 것은 위생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필터는 교체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흡입 머신에서는 필터 교체가 너무 잦을 수밖에 없어 상당한 유지 비용이 소요된다. 흡입 머신은 또한 상부로 날리는 분진에 대해서는 별도로 이를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날림분진이 시술자와 피시술자에게 바로 호흡 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2436호(공개일자: 2020. 06. 22)
이에 본 발명은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손의 높이를 탁자나 작업대의 높이 근처까지 낮출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도움 없이도 분진이 수집되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필터 교체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로 날리는 분진에 대해서도 상당량의 흡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원인 팬의 위치가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위치로부터 최대한 이격 됨으로써 장시간 소음에 시달리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흡입 시스템은 일정한 면적과 부피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흡입판과, 상기 흡입판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 판 내부의 공기를 이송 시키며, 메인 필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는 서로 이격 되며,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이송 튜브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 간의 상대 위치 조절이 자유로울 수 있다. 상기 흡입판의 상기 상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이물질 입자 거름용 스크린이 설치되며, 상기 이송 튜브에는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이물질 입자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분리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원통형이고 하부는 높이가 낮아질수록 점진적으로 수평 단면적이 감소되며 상기 이송 튜브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는 외부 실린더와, 외부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내부 실린더와, 상기 내부 실린더의 상단과 상기 흡입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제2이송 튜브와, 상기 외부 실린더의 하단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포집 챔버로 이루어지는 원심분리부이다. 상기 흡입판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부위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한 부위가 곡률중심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만곡 되거나 굴곡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판의 상단에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길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보조 가드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입판의 상부에는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의 투명 가드 판이 형성된다. 상기 일정한 부위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한 부위를 중심으로 양 측이 회전되어 서로 접합되거나 펼쳐지도록 경첩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이송 튜브를 향하여 팽만 되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흡입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손의 높이를 탁자나 작업대의 높이 근처까지 낮출 수 있다. 둘째, 필터의 도움 없이도 분진이 수집되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필터 교체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셋째, 상부로 날리는 분진에 대해서도 상당량의 흡입이 가능하다. 넷째, 소음원인 팬의 위치가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위치로부터 최대한 이격 됨으로써 장시간 소음에 시달리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더스트 흡입 머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흡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분리 수단인 사이클론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흡입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의 흡입 구동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변형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흡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흡입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판(10)과 흡입판(10)과 연결되어 흡입판(10)이 주변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 구동부(30)를 포함한다.
흡입판(10)은 일정한 면적과 부피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흡입판(10)은 전체적으로는 넓게 펼쳐지는 판 형상이지만 약간의 두께가 형성되어 내부에 먼지가 흡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흡입 구동부(30)는 흡입판(10)과 연결되고 내부에 송풍 팬이나 에어펌프 또는 에어 콤프레셔 등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 기구(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흡입 기구 전단에 설치되는 메인 필터(32)가 구비된다. 따라서 흡입 구동부(30)가 작동되면 흡입 구동부(30)와 연결된 흡입판(10)에서 흡입판(10) 주위의 먼지 등 이물질을 빨아들인다.
흡입판(10)과 흡입 구동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흡입판(10)과 흡입 구동부(30)는 이송 튜브(20)로 서로 연결되어, 흡입 구동부(30)가 작동되면 흡입판(10)에서 흡입되는 주변 공기와 비산되는 이물질이 이송 튜브(20)를 통해 흡입 구동부(30)로 전달된다.
흡입 구동부(30)가 이처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판(10)과 이격 되게 설치되고, 흡입 구동부(30)와 흡입판(10)이 이송 튜브(20)로 연결되면, 도 1의 사진에 나타난 종래의 네일 아트용 흡입장치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에 필터와 흡입 기구가 함께 내장됨으로써 장치가 두꺼워져 장시간 작업이 힘들어지고 심한 모터 소음에 장시간 시달려야 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송 튜브(20)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흡입판(10)과 흡입 구동부(30) 간의 상대 위치 조절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이송 튜브(20)는 필요에 따라 길게 제작되어 이물질이 비산되는 작업 위치와 흡입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내부에서 작동되는 흡입 구동부(30) 간의 거리가 최대한 크게 배치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이송 튜브(20)가 유연한 재질로 제작됨으로 인해 작업위치에서 소음이 최대한 배재될 수 있고, 작업을 수행하는 손의 위치가 통상의 탁자 높이에 근접되며 진동으로부터 해방되어 안정적이고 편안한 작업이 가능하다.
흡입판(10)은 이송 튜브(20)로 흡입 구동부(30)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되므로 흡입판(10)은 상면을 통하여 주변 공기와 이물질을 빨아들인다. 이때 이물질의 종류 중에는 작거나 미세한 입자도 있지만 중간 크기나 보다 큰 입자와 같은 굵은 입자도 있을 수 있고, 굵은 입자가 이송 튜브(20)로 장시간 대량으로 흡입되면 흡입 구동부(30)에 설치된 메인 필터(32)의 수명이 단축되어 보다 잦은 교체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흡입판(10)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스크린(12)이 설치된다. 흡입판(10) 상면이 이처럼 스크린(12)을 통과하도록 제작되면, 도 1에 제시된 종래의 네일 아트용 흡입 장치와 같이 메인 필터가 최초 흡입 위치에 설치되어 잦은 교체가 필요했던 경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시스템의 스크린(12)은 간단하게 털어내거나 간단한 물청소로 얼마든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굵은 입자형 이물질(G)을 미리 걸러낼 수 있으면서 반복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흡입판(10) 상면에 설치된 스크린(12)에서 큰 입자형 이물질(G)은 걸러지지만 중간입자 이물질(P)과 미세 입자 이물질(M)들은 이송 튜브(20)를 통해 흡수된다. 이때 이송 튜브(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2)을 통과한 중간입자 이물질(P)과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의 분리 수단인 사이클론의 개념도이다. 분리 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40)이 채택되어 원심력으로 무거운 입자와 공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분리 수단의 구조는 반드시 사이클론(40)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로형이나 기타 중력을 이용한 입자와 공기의 분리 구조(도시되지 않음)가 채택될 수도 있다.
분리 수단이 사이클론(40)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특히 도 3의 개념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의 필터가 없더라도 원심력과 관성력으로 분진 등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 입자와 공기가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입자 이물질(P)은 외부 선회류(B)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최외곽으로 몰려 외부 실린더(41)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되어 포집 챔버(42)에 모이며, 공기는 내부 실린더(43)의 하단을 통하여 내부 선회류(D)로 형성되어 상승기류가 되어 제2이송 튜브(50)로 빠져나간다. 사이클론의 원리 자체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사이클론(40) 형태의 분리 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수단 하부의 포집 챔버(42)에 차오르는 이물질을 비우기만 하면 다시 가동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이물질이 누적되면 곧바로 필터가 교체되어야 함으로 인해 소모되는 필터의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의 흡입판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흡입판(10)은 일정한 부위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한 부위가 곡률중심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만곡 되거나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평면 형태로 형성된 종래의 흡입 기구와 달리 주위로 비산되는 이물질의 포집도 가능하게 해 준다. 특히 흡입판(1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을 펼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네일 아트 드릴 작업의 경우 시술자가 흡입판(10)의 세워진 부분을 안고 시술을 수행하는 손은 흡입판(10)의 눕혀진 부분 상부에 위치하여 시술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상부로 비산되던 이물질이 흡입판(10)의 세워진 부분에 포집 될 수 있고, 이물질이 시술자를 향해 튀어 오르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판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흡입판(10)은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14)을 중심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한쪽은 바닥에 안착되고 나머지 한쪽은 세워져서 마치 노트북과 같은 형태로 펼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경첩(14)을 중심으로 양 쪽이 서로 회전되므로 접어서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작업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하고자 할 경우 접어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를 대비하여 이송 튜브(20)와 흡입판(10) 간의 결합도 탈착 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판(10)은 전체적으로 손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바닥뿐만 아니라 측면 부위도 일정정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태는 반드시 도 4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흡입판(10-2,10-3)은 도 5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손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상부에 투명 차단판이 설치될 수도 있다. 투명 차단판은 작업이 눈으로 직접 관찰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상부로 비산되는 이물질은 차단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흡입판(10-2)이 도 5의 (a)와 같이 형성될 경우, 상단에 보조 가드(13)가 도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고, 보조 가드(13)는 짧게 형성되더라도 각도 조절로 최대한 시술자를 향해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작업 과정의 관찰에는 지장이 없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판(10-3)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경우에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배치되는 손을 최대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물질의 비산 방지 작용이 보다 철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판(10-3)이 바닥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다리 형태의 안착대(15)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 수단을 통과한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송 튜브(50)를 통해 흡입 구동부(30)로 이송된다.
도 6은 도 2에서의 흡입 구동부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변형 실시예이다.
흡입 구동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기구(미도시)가 내장되는 송풍 구동 유닛(33)과, 메인 필터(32)가 내장되는 출구 여과 챔버(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이송 튜브(50)를 통해 전달받는 공기는 출구 여과 챔버(31)로 전달되고, 출구 여과 챔버(31) 내부의 메인 필터(3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 구동 유닛(33)을 통과한 후 송풍 구동 유닛(33)에 마련되는 여과공기 배출관(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구 여과 챔버(31)에 내장된 메인 필터(32)는 흡입판(10)과 사이클론(40) 형태의 분리 수단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되므로, 이미 굵은 입자형 이물질(G)과 중간 입자 이물질(P)은 여과되고 미세입자 이물질(M)만 함유한 상태의 공기가 통과된다. 따라서 메인 필터(32)는 남은 이물질인 미세 먼지만 여과시키게 되므로 교체 주기가 종래의 흡입 장치에 설치된 필터보다 현저하게 길 수 있다.
메인 필터(32)는 또한 출구 여과 챔버(31)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고 메인 필터(32)의 면적 또한 크게 제작된다면 더 오랜 시간 메인 필터(32)의 교체 없이 계속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출구 여과 챔버(31)의 크기가 보다 콤팩트하게 제작되면서도 메인 필터(32)의 교체 주기는 최대화 될 수 있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필터(32-2)는 이송 튜브(20)를 향하여 팽만 되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필터(32-2)가 도 7를 기준으로 볼 때 상부에 설치된 제2이송 튜브(50)를 향하여 팽만 되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 출구 여과 챔버(31)의 내부 용적은 제한됨에도 불구하고 메인 필터(32-2)의 면적은 훨씬 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메인 필터(32-2) 표면에 쌓이는 이물질 또한 분산됨으로 인해 단위면적당 누적되는 이물질의 양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메인 필터(32-2)의 중심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흘러내려 메인 필터(32-2) 상부는 계속 필터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필터(3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미세 먼지만을 여과시키므로 필터의 열화가 극히 느리게 진행되며, 상부로 팽만 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경우, 메인 필터(32-2) 교체 주기는 보다 더 길어져 필터 교체로 인한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시스템은 네일 아트의 드릴 작업을 예시로 들어 설명되었지만, 네일 아트 이외에도 분진이 날리는 탁상 작업이면 특정한 분야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B : 외부 선회류 D : 내부 선회류
G : 입자형 이물질 M : 미세입자 이물질
P : 중간입자 이물질 10,10-2,10-3 : 흡입판
11,11-2,11-3 : 슬림 챔버 12 : 스크린
13 : 보조 가드 14 : 경첩
15 : 안착대 20 : 이송 튜브
30 : 흡입 구동부 31 : 출구 여과 챔버
32,32-2 : 메인 필터 33 : 송풍 구동 유닛
34 : 여과공기 배출관 40 : 사이클론
41 : 외부 실린더 42 : 포집 챔버
43 : 내부 실린더 50 : 제2이송 튜브

Claims (8)

  1. 일정한 면적과 부피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흡입판;
    상기 흡입판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판 내부의 공기를 이송시키며, 메인 필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이송 튜브가 설치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튜브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흡입판과 상기 흡입 구동부 간의 상대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의 상기 상부에는 이물질 입자 거름용 스크린이 설치되며,
    상기 이송 튜브에는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이물질 입자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부는 원통형이고 하부는 높이가 낮아질수록 점진적으로 수평 단면적이 감소되며 상기 이송 튜브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는 외부 실린더와, 외부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내부 실린더와, 상기 내부 실린더의 상단과 상기 흡입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제2이송 튜브와, 상기 외부 실린더의 하단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포집 챔버로 이루어지는 원심분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은 일정한 부위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한 부위가 곡률중심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거나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의 상단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측면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보조 가드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입판의 상부에는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의 투명 차단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부위에는 상기 일정한 부위를 중심으로 양 측이 회전되어 서로 접합되거나 펼쳐지도록 경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필터는 상기 이송 튜브를 향하여 팽만되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흡입 시스템.
KR1020200149875A 2020-11-11 2020-11-11 더스트 흡입 시스템 KR102410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75A KR102410012B1 (ko) 2020-11-11 2020-11-11 더스트 흡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75A KR102410012B1 (ko) 2020-11-11 2020-11-11 더스트 흡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920A true KR20220063920A (ko) 2022-05-18
KR102410012B1 KR102410012B1 (ko) 2022-06-20

Family

ID=8180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875A KR102410012B1 (ko) 2020-11-11 2020-11-11 더스트 흡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0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156U (ko) * 2011-09-28 2013-04-05 (주)경서글로텍 진공청소기
KR101780008B1 (ko) * 2016-06-23 2017-09-19 주식회사 가르텐 손톱정리 테이블
KR101914412B1 (ko) * 2018-03-27 2018-11-01 이규일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KR102105019B1 (ko) * 2019-04-24 2020-04-27 오충록 네일샵용 공기 순환장치
KR102125360B1 (ko) * 2019-02-15 2020-06-22 김도영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KR20200072436A (ko) 2018-12-12 2020-06-22 로즈 티거 가부시키가이샤 네일 관리시 발생하는 분진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156U (ko) * 2011-09-28 2013-04-05 (주)경서글로텍 진공청소기
KR101780008B1 (ko) * 2016-06-23 2017-09-19 주식회사 가르텐 손톱정리 테이블
KR101914412B1 (ko) * 2018-03-27 2018-11-01 이규일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KR20200072436A (ko) 2018-12-12 2020-06-22 로즈 티거 가부시키가이샤 네일 관리시 발생하는 분진 흡입장치
KR102125360B1 (ko) * 2019-02-15 2020-06-22 김도영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KR102105019B1 (ko) * 2019-04-24 2020-04-27 오충록 네일샵용 공기 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012B1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47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JP4084323B2 (ja) 真空掃除機の集塵ユニット
RU2328961C1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AU783658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2349129C (en) Cyclone dust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US6398834B2 (en)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047407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437611C2 (ru) Портативный чистящий прибор
JP4131927B2 (ja) 電気掃除機
RU2336800C1 (ru) Пылесос и пылеот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JP2002051952A (ja) 真空掃除機
GB2370980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JP2005185838A (ja) 電気掃除機用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030072059A (ko) 진공청소기
TW201724998A (zh) 電動吸塵器
US20110219579A1 (en) Suction motor housing for an upright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05204880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集塵装置
KR100560325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110010220A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KR102410012B1 (ko) 더스트 흡입 시스템
EP3851005A1 (en) Working trolley with built-in dust suction system
KR10054043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JP2003199694A (ja) 集塵機用ユニット
JP2007021176A (ja) ゴミ分離装置
KR200436110Y1 (ko)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