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130B1 -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130B1
KR101914130B1 KR1020180073144A KR20180073144A KR101914130B1 KR 101914130 B1 KR101914130 B1 KR 101914130B1 KR 1020180073144 A KR1020180073144 A KR 1020180073144A KR 20180073144 A KR20180073144 A KR 20180073144A KR 101914130 B1 KR101914130 B1 KR 10191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upport
support frame
finishing pane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18007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e.g. at the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은, 건축구조물의 내력벽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에 다수의 단위 마감패널이 연속되는 비내력벽체를 형성하도록 지지하여 주기 위한 고정구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직교하는 X-Y축 선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직립된 수직편이 절개되어 절곡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지지판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가지며, 지지 프레임에 지지판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편이 각각 단위 마감패널의 한 모서리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 사방에서 지지하는 구성적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적 특징에 의하면, 특성이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최적의 통기성 확보와 결로방지 등의 기능성 향상은 물론 외적 심미감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뿐 아니라 시공효율의 향상과 시공원가의 절감을 통해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의 효과적인 감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A fixing device for a finishing panel of building structures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마감패널 고정구(fasten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의 내력벽과 나란한 상태의 비내력 이중벽체로 마감 시공되는 마감패널의 네모서리부를 사방에서 동시에 지지하여 미세한 틈새만 형성되는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한 고정구로 사용되는 조인트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 골조를 이루며 외부로 노출되는 내력벽체를 은폐하여 미려한 내·외장상태로 마감하기 위해 내·외장 패널을 설치하는 마감공사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내·외장 마감공사는 통상 건축물의 내력벽체 전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프레임에 예를 들어 클립이나 브래킷 등과 같은 일련의 고정구(fastener)를 이용하여 예컨대 천연석재나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목재, 압출 성형 시멘트패널 등과 같은 마감패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차수벽이나 내·외장벽체의 역할과 기능을 하게 되는 비내력 이중벽체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주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공사시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352호와 제10-1341846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마감패널 고정구(fastener)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존의 마감패널 고정구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구성 부품의 수량이 많아 제조비용의 증가와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시공효율과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단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4530호에는 마감패널의 각 모서리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에 의해 포켓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는 고정구(fastener)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마감패널의 네모서리부가 위치하는 코너부를 지지판이 커버하여 막은 상태로 지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단위 마감패널을 일일이 꽂아 넣는 형태로 시공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제조비용의 증가와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시공효율의 저하와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단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1671호에는 4개의 받침날개에 구비된 끼움부에 마감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fastener)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천장 형성시 마감패널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클립바 등의 부품이 추가적으로 소용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제조비용의 증가와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시공효율의 저하와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단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마감패널 고정구(fastener)는 마감패널 사이에 줄눈이 형성되는 오픈 조인트 커튼월 형태로 시공되는 경우에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줄눈에 실리콘 등의 코킹재를 씰링할 수 밖에 없어서 시공비용과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45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1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3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17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19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8911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39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고정구 및 그 고정구를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가 지니고 있는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감패널의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와 구성에 의해 제조 용이성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량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감패널의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시공성의 대폭적인 향상이 가능하여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의 효과적인 감축 및 시공효율성과 시공성능이 향상되도록 개량된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율적인 수리 보수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를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은, 건축구조물의 내력벽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에 다수의 단위 마감패널이 연속되는 비내력벽체를 형성하도록 지지하여 주기 위한 고정구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직교하는 X-Y축 선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직립된 수직편이 절개되어 절곡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지지판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지지판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편이 각각 상기 단위 마감패널의 한 모서리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상태로 사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는, 건축구조물의 내력벽 전면에 일정 배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과, 그 지지 프레임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에 한 모서리부가 사방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가장자리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접착되어 연속되는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전면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마감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 브래킷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직교하는 X-Y축 선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직립된 수직편이 절개되어 절곡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지지판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지지판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편이 각각 상기 단위 마감패널의 한 모서리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상태로 사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사각 판상체나 원형 또는 타원형 판상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의 지지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결합공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력벽 전면에 수직 바(bar)나 수평 바(bar)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또는 양측단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엔드 프레임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러너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러너 프레임에는 각각 단위 마감패널의 끝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엔드 브래킷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클립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를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단순한 구조와 구성에 의해 제조가 용이하여 대량생산에 의한 제조비용의 절감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둘째,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4개의 마감패널 한 모서리씩을 사방에서 동시에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부자재의 소요량 감축에 의한 시공원가의 절감을 통해 시공비용을 효과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셋째, 단위 마감패널의 탈착에 의한 조립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과 시공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을 통해 시공기간의 효과적인 단축과 시공과정에서의 보정 및 조정작업을 통해 시공 정밀도와 시공 품질의 향상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넷째, 단위 마감패널을 셀(cell) 형태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수리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다섯째, 미세한 틈새를 가지는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의 시공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특성이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최적의 통기성 확보와 결로방지 등의 기능성 향상은 물론 외적 심미감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와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의 엔드 브래킷으로 사용되는 클립부재를 예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과 그 동작 상태를 이해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은 건축구조물의 내력벽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미도시; 도 4 및 도 5의 부호 200 참조)에 다수의 단위 마감패널(미도시; 도 4 및 도 5의 부호 300 참조)이 연속되는 비내력벽체를 형성하도록 지지하여 주기 위한 고정구(fastener)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중심 결합공(110H)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심부를 직교하는 X-Y축 선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직립된 수직편(111b)(112b) (113b)(114b)이 절개되어 절곡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지지판(111a)(112a) (113a)(114a)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11)(112)(113)(114)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지지판(111a)(112a)(113a)(114a)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편(111b)(112b)(113b)(114b)이 각각 상기 단위 마감패널의 한 모서리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 사방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은 스크류나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중심 결합공(110H)을 통해 건축구조물의 내력벽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날개부(111)(112) (113)(114)의 지지판(111a)(112a)(113a)(114a)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편(111b)(112b)(113b)(114b)의 양면에 각각 단위 마감패널(미도시; 도 4의 도면부호 300 참조)의 한 모서리면이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단위 마감패널의 시공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각 판상체나 원형 또는 타원형 판상체가 성형 원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공되는 단위 마감패널(300)의 두께와 재질 및 중량 등에 따라 미리 설계된 두께의 규격을 가지도록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치수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수직편(111b)(112b)(113b)(114b)의 두께는 단위 마감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의 간격을 결정지우게 된다.
한편, 상기 날개부(111)(112)(113)(114)의 수직편(111b)(112b)(113b)(114b)은 성형 가공 등에 의한 제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끝단부에 경사부(C)가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111)(112)(113)(114)의 지지판(111a)(112a)(113a)(114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결합공(110h)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집합 결합공이 구비되는 것은 시공 정밀도와 시공품질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중심 결합공(110H)이 유일한 단일의 결합공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스크류나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중심 결합공(110H)에만 단일 결합부재로 체결됨으로써, 건축 마감패널을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과정이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크류나 볼트 등의 결합부재의 체결상태가 헐거워진 상태로 변형이 발생하여 건축 마감패널이 고정되는 정렬상태가 변형되는 시공불량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 결합공(110H)과 주변 결합공(100h)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집합 결합공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협력적 결합기능을 통하여 정상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해 줌에 따라 건축 마감패널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은 상기 중심 결합공(110H)과 주변 결합공(110h)을 통해 스크류나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건축구조물의 내력벽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미도시; 도 4 및 도 5의 부호 200 참조)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하 및 좌우에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복수의 단위 마감패널을 사방에서 동시에 조인트 하는 상태로 지지하게 되는 고정구(fastener)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의 제작을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일정한 규격을 가지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사각 패널 형태로 재단된 단위 금속 판재(100M)를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준비하여 중심부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X축선과 Y축선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절개한 절개부를 축선과 Y축선을 향하도록 내측 방향(화살표시 -> B 방향)으로 직립되게 절곡(bending)하여 일체화된 단위 성형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은 건축 마감패널의 재질이나 규격 등의 경량화되는 정도에 따라 예를 들면 몰드 성형이나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고강도 플라스틱 성형품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건축 시공상의 외관미 등을 고려하여 목재 등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특정한 재질이나 성형방법 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와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의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해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는, 건축구조물의 내력벽(10)의 전면에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200)과, 그 지지 프레임(200)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조인트 브래킷(100) 및 그 조인트 브래킷(100)에 한 모서리부가 사방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가장자리가 접착제(B)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200)에 접착되어 연속되는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전면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마감패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인트 브래킷(100)은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200)에 체결되는 결합부재(S)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110H)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심부를 직교하는 X-Y축 선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직립된 수직편(111b)(112b)(113b)(114b)이 절개되어 절곡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지지판(111a) (112a)(113a)(114a)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11)(112)(113)(114)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에 상기 지지판(111a)(112a)(113a)(114a)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편(111b)(112b)(113b)(114b)이 각각 상기 단위 마감패널(300)의 한 모서리부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 사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200)의 사이에는 상기 수직편(111b)(112b)(113b)(114b)이 칸막이 형태로 삽입된 구조로 시공된다. 이로써, 상기 단위 마감패널(300)은 인접하는 다른 마감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수직편(111b)(112b)(113b)(114b)의 두께에 해당하는 치수 규격의 미세한 틈새만 형성된 상태로 실질적인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 마감 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특성이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절한 통기성의 확보를 통한 결로방지 등의 기능성 향상은 물론 외적 심미감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건축구조물의 내력벽(10)의 전면에 수직 바(bar)나 또는 수평 바(bar)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이 혼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 시공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도 4 에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건축구조물의 내력벽(10)의 전면에 수직 바(bar) 형태로 설치된 시공구조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천장과 바닥에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부 러너 프레임(201)과 하부 러너 프레임(201)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수직 바(bar)와 수평 바(bar) 형태로 다수가 설치되더라도 마감패널의 사이에 미세한 틈새만 형성되는 실질적인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미를 저해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평면도로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6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1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원형이나 타원형의 판상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부분적인 노출에 의해서도 장식 기능을 가지는 액세서리의 기능을 부여하여 보다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의 엔드 브래킷으로 사용되는 클립부재(100E)를 예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클립부재(100E)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판상의 몸체(110E)와, 그 몸체(110E)의 일측단이 걸림턱 형태로 절곡 성형된 지지부(111E)가 구비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천장과 바닥에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부 러너 프레임(201)과 하부 러너 프레임(201)에는 상기 클립부재(100E)거 설치되어 각각 최상단의 단위 마감패널 상단과 최하단의 단위 마감패널 하단을 지지하는 시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조인트 브래킷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1, 112, 113, 114 : 날개부
111a, 112a, 113a, 114a : 지지판
111b, 112b, 113b, 114b : 수직편
200 : 지지 프레임
300 : 단위 마감패널

Claims (6)

  1. 건축구조물의 내력벽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에 다수의 단위 마감패널이 연속되는 비내력벽체를 형성하도록 지지하여 주기 위한 고정구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110H)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심부를 직교하는 X-Y축 선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직립된 수직편(111b)(112b)(113b)(114b)이 절개되어 절곡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지지판(111a)(112a)(113a)(114a)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11)(112)(113)(114)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지지판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편이 각각 상기 단위 마감패널의 한 모서리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 사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각 판상체와 원형 및 타원형 판상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결합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4. 건축구조물의 내력벽 전면에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200)과, 그 지지 프레임(200)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조인트 브래킷(100) 및 그 조인트 브래킷(100)에 한 모서리부가 사방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가장자리가 접착제(B)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200)에 접착되어 연속되는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전면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마감패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 브래킷(100)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110H)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심부를 직교하는 X-Y축 선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직립된 수직편(111b)(112b)(113b)(114b)이 절개되어 절곡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지지판(111a)(112a)(113a)(114a)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11)(112)(113)(114)를 가지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지지판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편이 각각 상기 단위 마감패널의 한 모서리 양측단면을 지지하여 4개의 인접하는 단위 마감패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커튼월 형태로사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각 판상체와 원형 및 타원형 판상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결합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KR1020180073144A 2018-06-26 2018-06-26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KR10191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44A KR101914130B1 (ko) 2018-06-26 2018-06-26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44A KR101914130B1 (ko) 2018-06-26 2018-06-26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130B1 true KR101914130B1 (ko) 2018-11-01

Family

ID=6439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44A KR101914130B1 (ko) 2018-06-26 2018-06-26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13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6761004B2 (en) Reconfigurable room partitioning system
KR101529009B1 (ko)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20180132428A1 (en) Building Structure, Building and Greenhouse
KR101914130B1 (ko)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KR101914129B1 (ko)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KR20110124738A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20200072758A (ko)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CN111764544B (zh) 一种装配式隔墙龙骨型材
JP6453621B2 (ja) 壁構造体
BE1017309A6 (nl) Afwerkorgaan voor een kamer.
KR101303473B1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20130003853U (ko)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CN207063277U (zh) 一种模块式吊顶风口的接口结构
JP3129499U (ja) ドア枠ユニット構造
KR102283881B1 (ko) 버드 스크린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
JP2019116785A (ja) 天井パネル
JP3625368B2 (ja) 内装システムの隅構造
KR200380138Y1 (ko) 복합패널 조립체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CN110273518B (zh) 一种可单块拆卸的快装墙饰面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100399003B1 (ko) 벽 일체형 유니트 욕실구조
JP2006161316A (ja) 物品取付け用スライド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構造
KR200382337Y1 (ko) 짜맞춤식 돌출 창
JP2006263380A (ja) 洗面化粧台の壁面へ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