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746B1 -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 Google Patents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746B1
KR101913746B1 KR1020180000088A KR20180000088A KR101913746B1 KR 101913746 B1 KR101913746 B1 KR 101913746B1 KR 1020180000088 A KR1020180000088 A KR 1020180000088A KR 20180000088 A KR20180000088 A KR 20180000088A KR 101913746 B1 KR101913746 B1 KR 10191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field
frequenc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희
유형주
황난경
최우희
서수현
정성민
Original Assignee
박찬희
유형주
황난경
최우희
서수현
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희, 유형주, 황난경, 최우희, 서수현, 정성민 filed Critical 박찬희
Priority to PCT/KR2018/0098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45395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7/00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K47/02AC/DC converter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5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dynam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Ac Conversion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생성하되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할 수 있는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고효율 교류전력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직류 전원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직류 전원이 주파수 및 펄스폭을 가지며 공급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직류 전원이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교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류 출력부는 철심과, 상기 철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자극편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정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제1계자 권선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역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제2계자 권선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권취되어 상기 제1,2계자 권선에 의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기자 권선을 포함하는 교류전력 발생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Electric Power Generator managing frequency and voltag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직류는 전기를 손쉽게 저장할 수 있지만 고전압으로의 변압이 어렵다. 반대로 교류는 전기를 저장할 수는 없지만 고전압으로의 변압이 자유롭기 때문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뿐만아니라, 가정의 전력 사용, 건물등의 비상전력의 사용등 고효율의 교류전력 발생기의 필요성이 점차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8732호(2014.06.2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353627호(2000.12.1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생성하되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할 수 있는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고효율 교류전력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는 직류 전원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직류 전원이 주파수 및 펄스폭을 가지며 공급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직류 전원이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교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류 출력부는 철심과, 상기 철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자극편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정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제1계자 권선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역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제2계자 권선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권취되어 상기 제1,2계자 권선에 의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기자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및 펄스폭을 조절하는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와, 상기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의 출력 신호로 상기 직류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교류 출력부에 제공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전압이 다이나믹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 권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2계자 권선이 상기 철심의 상,하부에 각각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교류 출력부의 자극편은 상기 제1,2계자 권선의 최외측과, 상기 제1,2계자 권선의 사이와, 그리고 상기 제1,2계자 권선과 상기 전기자 권선의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류 출력부의 철심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선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선홈을 통해 상기 제1,2계자 권선에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이 각각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제1계자 권선은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1계자 권선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계자 권선은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2계자 권선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자 권선은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전기자 권선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교류 출력부의 철심, 자극편, 제1계자 권선, 제2계자 권선 및 전기자 권선이 제1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제1유닛의 제1계자 권선 및 상기 제2계자 권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기자 권선을 통해 단상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과 동일한 구성의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동일한 구성의 제3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의 제1계자 권선, 상기 제2유닛의 제1계자 권선, 상기 제3유닛의 제1계자 권선, 상기 제1유닛의 제2계자 권선, 상기 제2유닛의 제2계자 권선 및 상기 제3유닛의 제2계자 권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기자 권선을 통해 삼상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생성하되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할 수 있는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고효율 교류전력 발생기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를 도시한 블록도 및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중에서 교류 출력부의 일부 구성(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중에서 교류 출력부의 일부 구성(유닛)에 대한 결선 상태를 도시한 사진 및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중에서 교류 출력부의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중에서 교류 출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의 주파수 및 펄스폭을 조절하는 개념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100)에 대한 블록도 및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류전력 발생기(100)는 직류 전원부(110)와, 제어부(120)와, 교류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직류 전원부(11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태양 전지, 연료 전지 등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직류 전원부(110)는 장시간동안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또는 ESS(Energy Storage System)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직류 전원부(110)의 직류 전원이 주파수 및 펄스폭을 가지며 공급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주파수 및 펄스폭을 조절하는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121)와,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121)의 출력 신호로 직류 전원을 조절하여 교류 출력부(130)에 제공하는 스위칭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121)는 직류 전원부(110)로부터 소정 레벨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PWM IC(Pulse Width Modulation Integrated Chip)와, PWM IC의 출력 신호에 의해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의 포토 커플러(PC1~PC6)(Photo Coupler)를 포함한다. 여기서, PWM IC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및 펄스폭에 따라 포토 커플러(PC1~PC6)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특히, PWM IC는 다수의 포토 커플러(PC1~PC6)를 순차적으로 턴온/턴오프한다.
또한, 일례로 스위칭부(122)는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에 소스가 연결되고, 직류 전원부(110)의 음극(-)에 드레인이 연결되며, 포토 커플러(PC1~PC6)의 출력측에 게이트가 연결된 IGBT(TR1~TR6)(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GBT(TR1~TR6)는 드레인에서 소스를 향하여 정방향인 바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각 포토 커플러(PC1~PC6)의 출력측에 2개의 IGBT의 게이트가 병렬로 연결되어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고레벨의 직류 전원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한쌍의 IGBT는 하나의 포토 커플러에 연결되며, 이러한 한쌍의 IGBT는 포토 커플러(PC1~PC6)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IGBT(TR1~TR6) 대신 스위칭 속도가 더욱 빠른 통상의 파워 MOS 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이 구비될 수도 있다.
교류 출력부(130)는 제어부(120)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즉, 스위칭부(122)의 턴온/턴오프),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교류 출력부(130)는, 단상 교류 출력의 경우,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 제1계자 권선(134)(예를 들면, 정방향으로 권취되며 상단은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에 연결되고 하단은 첫번째 IGBT(TR1)를 통하여 직류 전원부(110)의 음극에 연결됨)과 제2계자 권선(135)(예를 들면, 역방향으로 권취되며 상단은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에 연결되고 하단은 두번째 IGBT(TR2)를 통하여 직류 전원부(110)의 음극에 연결됨) 및 이로부터 유도 기전력을 얻는 상호간 직렬로 연결된 전기자 권선(136)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제1,2계자 권선(134,135)과 전기자 권선(136)은 철심(131)에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제1계자 권선(134)의 하단은 스위칭부(122)의 첫번째 IGBT(TR1)의 소스에 연결되고, 제2계자 권선(135)의 하단은 스위칭부(122)의 두번째 IGBT(TR2)의 소스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계자 권선(134)은 정방향으로 권취되고 제2계자 권선(135)은 역방향으로 권취되며 또한 첫번째 및 두번째 IGBT(TR1,TR2)가 순차적으로 턴온/턴오프됨으로써 전기자 권선(136)을 통하여 단상 교류 전원이 출력된다. 여기서, 첫번째 및 두번째 IGBT(TR1,TR2)는 동시에 턴온되지는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교류 출력부(130)는, 삼상 교류 출력의 경우, 세번째 IGBT(TR3)에 다른 제1계자 권선(134)이 연결되고, 네번째 IGBT(TR4)에 다른 제2계자 권선(135)이 연결되며, 다섯번째 IGBT(TR5)에 또다른 제1계자 권선(134)이 연결되고, 여섯번째 IGBT(TR6)에 또다른 제2계자 권선(135)이 연결되며, 첫번째, 세번째, 다섯번째, 두번째, 네번째, 여섯번째 IGBT(TR1,TR3, TR5, T2, TR4, TR6)가 순차적으로 턴온됨으로써, 전기자 권선(136)을 통하여 삼상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류전력 발생기(100)는 스위칭부(122)의 IGBT(TR1~TR6)를 순차적으로 턴온/턴오프하되, 그 주파수 및 펄스폭을 조절함으로써,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동시에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100)중에서 교류 출력부(130)의 일부 구성(유닛)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출력부(130)를 구성하는 한 유닛은 철심(131)과, 자극편(133)과, 제1계자 권선(134)과, 제2계자 권선(135)과, 전기자 권선(136)을 포함할 수 있다.
철심(131)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이는 강자성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전원 공급선이 지나가는 결선홈(132)을 포함한다.
자극편(133)은 디스크 형태로서 철심(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6개의 자극편(133)이 배열됨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자극편(133)은 제1,2계자 권선(134,135)의 최외측과, 제1,2계자 권선(134,135)의 사이와, 그리고 제1,2계자 권선(134,135)과 전기자 권선(136)의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강자성체가 바람직하다.
제1계자 권선(134)(전자석)은 예를 들면 자극편(133)의 사이로서 철심(131)에 정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계자 권선(134)은 전기자 권선(136)을 중심으로 그 상,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다.
제2계자 권선(135)(전자석)은 예를 들면 자극편(133)의 사이로서 철심(131)에 역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계자 권선(134)은 전기자 권선(136)을 중심으로 그 상,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다.
특히, 제1,2계자 권선(134,135)은 같은 방향끼리 델타 결선될 수 있다.
전기자 권선(136)은 예를 들면 상부의 제2계자 권선(135)과 하부의 제1계자 권선(134)의 사이인 철심(131)에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 권선(136)은 출력 권선이며, 이는 형상 및 결선 방법에 따라 소, 중, 대형으로 확장될 수 있다. 더불어, 제1유닛의 전기자 권선(136) 다수가 상호간 직렬로 연결되고, 유닛끼리는 병렬로 결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교류 출력부(130)의 한 유닛은 제1,2계자 권선(134,135)에 의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기자 권선(136)이 단상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100)중에서 교류 출력부(130)의 일부 구성(유닛)에 대한 결선 상태에 대한 사진 및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출력부(130)를 구성하는 한 유닛은 철심(13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결선홈(132)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선홈(132)을 통해 제1,2계자 권선(134,135)의 전원 공급선(직류 전원부(110)의 양극)이 연결되고, 제1,2계자 권선(134,135)의 외측에는 직류 전원부(110)의 음극이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철심의 길이를 충분히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갯수만큼 제1,2계자 권선(134,135) 및 전기자 권선(136)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100)중에서 교류 출력부(130)의 원리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전원부(1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PWM IC(미도시)의 IGBT를 통해 제1계자 권선(134)(정방향 계자 코일)에 공급되면(제2계자 권선(135)(역방향 계자 코일)의 전류 공급 중단), 자극편(133)에 N,S의 극이 생성된다. 또한, 직류 전원부(1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PWM IC(미도시)의 IGBT를 통해 제2계자 권선(135)(역방향 계자 코일)에 공급되면(제1계자 권선(134)(정방향 계자 코일)의 전류 공급 중단), 자극편(133)에 S,N극이 생성된다.
따라서, 제1계자 권선(134) 및 제2계자 권선(135)을 통하여 자극편(133)에 N,S의 자기장 및 S,N의 자기장이 전기자 권선(136)에 교번자계를 형성함으로써, 결국 전기자 권선(136)을 통하여 교류 전원이 생성된다.
여기서, 제1계자 권선(134)(정방향 권선) 또는 제2계자 권선(135)(역방향 권선)에 전류가 공급될 때, 다른 방향의 권선은 이미 기전력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류 공급의 입력 비율은 적어지고, 출력은 증가하게 되며, 유닛이 증가하여도 전류 공급은 동일하게 된다
참고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 전원을 주기의 처음~1/4(T) 시간동안 제1계자 권선(134)에 공급한 후 차단하고, 이어서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 전원을 1/2(T)~3/4(T) 시간동안 제2계자 권선(135)에 공급한 후 차단하되,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결국 전기자 권선(136)을 통해 단상 교류 전원이 출력됨을 볼 수 있다. 도 4b의 듀티비(Duty Ratio)는 예시로서 적절한 듀티비로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100)중에서 교류 출력부(130)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교류 출력부(130)의 철심(131), 자극편(133), 제1계자 권선(134), 제2계자 권선(135) 및 전기자 권선(136)이 제1유닛(U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3유닛(U2,U3) 역시 상술한 제1유닛(U1)과 동일하게 철심(131), 자극편(133), 제1계자 권선(134), 제2계자 권선(135) 및 전기자 권선(1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중 제1,2,3유닛(U1,U2,U3)의 제1계자 권선(134)(1,2,3)에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이 연결되고, 또한 제1,2,3유닛(U1,U2,U3)의 제2계자 권선(135)(4,5,6)에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이 연결되며, 제1,2,3유닛(U1,U2,U3)의 제1,2계자 권선(134,135)은 전원 공급선(GND)을 통해 직류 전원부(110)의 음극(-)에 연결된다. 즉, 철심(131)에 구비된 결선홈(132)을 통해 전자석 전원 연결선(그라운드)이 제1,2계자 권선(134,135)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2,3유닛(U1,U2,U3)의 제1,2계자 권선(134,135)은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다. 더불어, 제1,2,3유닛(U1,U2,U3)의 전기자 권선(136)은 각각 직렬로 연결되며, 유닛끼리 병렬로 연결되어 3개의 출력 단자(A,B,C)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예를 들어, 제1유닛(U1)의 제1계자 권선(134)(1) 및 상기 제2계자 권선(135)(4)에 순차적으로 상기 직류 전원(양극)이 공급되면 전기자 권선(136)의 출력 단자(A)를 통해 단상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예를 들어, 제1유닛(U1)의 제1계자 권선(134)(1), 상기 제2유닛(U2)의 제1계자 권선(134)(2), 상기 제3유닛(U3)의 제1계자 권선(134)(3), 상기 제1유닛(U1)의 제2계자 권선(135)(4), 상기 제2유닛(U2)의 제2계자 권선(135)(5) 및 상기 제3유닛(U3)의 제2계자 권선(135)(6)에 순차적으로 직류 전원(양극)이 공급되면 전기자 권선(136)의 출력 단자(A,B,C)를 통해 삼상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교류 출력부(130)에서, 1 내지 6에 동일한 직류 전원을 번갈아가며 공급하면, 삼상(A,B,C)의 교류 전기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1,4), (2,5) 및 (3,6)의 세쌍은 삼상 교류 출력을 얻기 위한 구조로서, 위상 차이가 120도씩 나도록 직류 전원의 공급 시간을 조절한다.
여기서, (1,4), (2,5) 및 (3,6)의 세쌍은 동일 방식으로 동작하는데, 삼상 교류 출력을 위해 세쌍으로 구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상 교류 출력의 경우 (1,4)만 동작한다.
일례로, 1에는 직류 전원의 양극을 주기의 처음 내지 1/4(T) 시간동안 공급하고 끊는 것을 반복하며, 4에는 직류 전원의 양극을 1/2(T) 내지 3/4(T) 시간동안 공급하고 끊는 것으로 반복함으로써, 출력 단자(A)를 통해 단상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상부의 1,2,3,4,5,6 단자에 양극(+)을 연결하고, 하부의 GND 단자에 음극(-)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양극(+)과 음극(-)은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100)의 주파수 및 펄스폭을 조절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전압 레벨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20)의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121) 그리고 스위칭부(122)의 동작에 의해 스위칭부(122)의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파수 조절에 의해 결국 교류 전원의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20)의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121) 그리고 스위칭부(122)의 동작에 의해 스위칭부(122)의 듀티 사이클이 예를 들면 1:1, 2:1, 3:1 및 4:1 등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이때 1:1에서 입력 전기 및 출력 전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4:1에서 입력 전기 및 출력 전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즉, 스위칭부(122)를 통한 직류 전원의 입력 전기가 높아질수록 출력 전기도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100)는 편승 이론에 기초하여 상술한 구조의 유닛의 확장이 용이하고, 전자식 제어부(120)를 통해 주파수로 입력 전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기구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구조여서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교류전력 발생기(100)는 기술집약산업(기계,전기,전자, 제어)으로서, 성장잠재력과 파급효과가 큰 유망산업이며, 에너지 고갈의 염려 없는 청정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폐기시 및 환경 훼손 위험이 없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교류전력 발생기
110; 직류 전원부 120; 제어부
121;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
PC1~PC6; 포토 커플러 122; 스위칭부
TR1~TR6; IGBT 130; 교류 출력부
131; 철심 132; 결선홈
133; 자극편 134; 제1계자 권선
135; 제2계자 권선 136; 전기자 권선

Claims (9)

  1. 직류 전원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직류 전원이 주파수 및 펄스폭을 가지며 공급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직류 전원이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교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류 출력부는 철심과, 상기 철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자극편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정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제1계자 권선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역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제2계자 권선과, 상기 자극편 사이의 상기 철심에 권취되어 상기 제1,2계자 권선에 의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기자 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교류 출력부의 철심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선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선홈을 통해 상기 제1,2계자 권선에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이 각각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및 펄스폭을 조절하는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와, 상기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의 출력 신호로 상기 직류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교류 출력부에 제공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및 펄스폭 조절부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전압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권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2계자 권선이 상기 철심의 상,하부에 각각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출력부의 자극편은 상기 제1,2계자 권선의 최외측과, 상기 제1,2계자 권선의 사이와, 그리고 상기 제1,2계자 권선과 상기 전기자 권선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자 권선은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1계자 권선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계자 권선은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제2계자 권선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자 권선은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전기자 권선은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출력부의 철심, 자극편, 제1계자 권선, 제2계자 권선 및 전기자 권선이 제1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제1유닛의 제1계자 권선 및 상기 제2계자 권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기자 권선을 통해 단상 교류 전원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과 동일한 구성의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동일한 구성의 제3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의 제1계자 권선, 상기 제2유닛의 제1계자 권선, 상기 제3유닛의 제1계자 권선, 상기 제1유닛의 제2계자 권선, 상기 제2유닛의 제2계자 권선 및 상기 제3유닛의 제2계자 권선에 순차적으로 상기 직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기자 권선을 통해 삼상 교류 전원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력 발생기.
KR1020180000088A 2017-08-28 2018-01-02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KR10191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9877 WO2019045395A2 (ko) 2017-08-28 2018-08-27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8887 2017-08-28
KR1020170108887 2017-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746B1 true KR101913746B1 (ko) 2018-10-31

Family

ID=6409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88A KR101913746B1 (ko) 2017-08-28 2018-01-02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3746B1 (ko)
WO (1) WO2019045395A2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518A1 (ko) 2020-03-30 2021-10-07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KR20210122377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고탄성 절연판이 구비된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20210122370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생기의 유닛구조
KR20210122380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KR20210122376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코어부재를 가진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20210122373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출력효율이 증대되는 비 회전식 교류 발생기
KR20210122379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WO2021230496A1 (ko) 2020-05-13 2021-11-18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20210140835A (ko) * 2020-05-13 2021-11-23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20210141811A (ko) * 2020-05-13 2021-11-23 최우희 전력변환장치
KR20210141809A (ko) * 2020-05-13 2021-11-23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102669441B1 (ko) 2022-06-14 2024-05-24 유형주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627A (ja) * 1999-06-10 2000-12-19 Sony Corp 絶縁コンバータトランス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0911122B1 (ko) 2009-05-21 2009-08-11 (주)그린파워테크놀로지스 복수의 dc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개선된 전력변환장치
JP2015133779A (ja) 2014-01-09 2015-07-23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電力変換装置
JP2016208743A (ja)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1386B2 (ja) * 2011-11-24 2016-03-09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JP6099951B2 (ja) * 2012-11-29 2017-03-22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JP6470051B2 (ja) * 2015-01-21 2019-02-13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627A (ja) * 1999-06-10 2000-12-19 Sony Corp 絶縁コンバータトランス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0911122B1 (ko) 2009-05-21 2009-08-11 (주)그린파워테크놀로지스 복수의 dc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개선된 전력변환장치
JP2015133779A (ja) 2014-01-09 2015-07-23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電力変換装置
JP2016208743A (ja)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518A1 (ko) 2020-03-30 2021-10-07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KR20210122370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생기의 유닛구조
EP4131749A4 (en) * 2020-03-30 2023-09-06 Woo Hee Choi NON-ROTATING DIRECT CURRENT ELECTRIC GENERATOR
KR102518165B1 (ko) 2020-03-30 2023-04-05 유형주 출력효율이 증대되는 비 회전식 교류 발생기
KR20210122376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코어부재를 가진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20210122373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출력효율이 증대되는 비 회전식 교류 발생기
KR20210122379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KR102587050B1 (ko) 2020-03-30 2023-10-20 유형주 비회전식 코어부재를 가진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102410949B1 (ko) * 2020-03-30 2022-06-21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KR20210122377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고탄성 절연판이 구비된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20210122380A (ko) * 2020-03-30 2021-10-12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KR102332746B1 (ko) 2020-03-30 2021-12-01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생기의 유닛구조
KR102332747B1 (ko) * 2020-03-30 2021-12-01 최우희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KR102344370B1 (ko) * 2020-03-30 2021-12-30 최우희 고탄성 절연판이 구비된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102399042B1 (ko) * 2020-03-30 2022-05-19 최우희 출력효율이 증대되는 비 회전식 교류 발생기
KR20220069896A (ko) * 2020-03-30 2022-05-27 유형주 출력효율이 증대되는 비 회전식 교류 발생기
KR102410952B1 (ko) * 2020-03-30 2022-06-21 최우희 비회전식 코어부재를 가진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20220088654A (ko) * 2020-03-30 2022-06-28 유형주 비회전식 코어부재를 가진 비회전식 교류 발전기
KR20210140835A (ko) * 2020-05-13 2021-11-23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102447626B1 (ko) * 2020-05-13 2022-09-28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20220132514A (ko) * 2020-05-13 2022-09-30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20220135233A (ko) * 2020-05-13 2022-10-06 최우희 전력변환장치
KR20220136974A (ko) * 2020-05-13 2022-10-11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102452616B1 (ko) * 2020-05-13 2022-10-12 최우희 전력변환장치
KR102452610B1 (ko) * 2020-05-13 2022-10-12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20210141809A (ko) * 2020-05-13 2021-11-23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102534309B1 (ko) 2020-05-13 2023-05-18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102534308B1 (ko) 2020-05-13 2023-05-18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KR20210141811A (ko) * 2020-05-13 2021-11-23 최우희 전력변환장치
KR102588494B1 (ko) * 2020-05-13 2023-10-12 유형주 전력변환장치
WO2021230496A1 (ko) 2020-05-13 2021-11-18 최우희 비회전식 교류 발전장치
AU2021272685B2 (en) * 2020-05-13 2024-01-11 Woo Hee Choi Non-rotating alternating current generating device
KR102669441B1 (ko) 2022-06-14 2024-05-24 유형주 비회전식 직류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395A2 (ko) 2019-03-07
WO2019045395A3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746B1 (ko) 주파수 및 전압 조절이 가능한 교류전력 발생기
US6205035B1 (e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ith a step-up mode in one direction and a step-down mode in the other direction
Chang et al. Establishment of a switched-reluctance generator-based common DC microgrid system
KR101264884B1 (ko) 전기 모터 시스템
TWI495250B (zh)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device
US8106623B2 (en) Conservation of electrical energy and electro-magnetic power in battery charger with AC drive
JP2018509869A (ja) コンバータのトポロジ及び制御
US8081494B2 (en) Fully integrated multi-phase grid-tie inverter
US20140049998A1 (en) DC to AC Power Converter
CN105375536A (zh) 磁电源耦合到集成电路模块
Khan et al. Elimination of filter inductor in switching cell AC–AC converters using magnetic integration
CN107787548B (zh) 电动机驱动和蓄电池充电共用的逆变器
JP2019092372A (ja) 電力変換装置、電力系統、および電力系統を制御する方法
JP2009095075A (ja) 3レベル電圧可逆チョッパ装置
JP2010284029A (ja) インバータ駆動用電源回路
US11165359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configured to perform power conversion between direct current and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CN109196766A (zh) 双向绝缘型dc/dc转换器及智能电网
US11990830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and virtual DC voltage generator circuit
KR20130135784A (ko) 단상 교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인버터를 구비한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Wang Design of multilevel integrated modular motor drive with gallium nitride power devices
US11107936B2 (en) Output voltage control circuit device for plurality of power supply cells connected in series
US201701552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or Electronic Switching Element
US20220200480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system, and program
CN104734531B (zh) 变频器
KR20140050974A (ko) 전동기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