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281B1 - 층간 소음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281B1
KR101913281B1 KR1020160180982A KR20160180982A KR101913281B1 KR 101913281 B1 KR101913281 B1 KR 101913281B1 KR 1020160180982 A KR1020160180982 A KR 1020160180982A KR 20160180982 A KR20160180982 A KR 20160180982A KR 101913281 B1 KR101913281 B1 KR 10191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threshold value
alarm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623A (ko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이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수 filed Critical 이재수
Priority to KR102016018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2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어, 세대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세대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기; 및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소음 알람을 발생시키는 소음 알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알람기는, 소음 알람을 발광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램프; 소음 알람을 음악이나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interformational noise}
본 발명은 층간 소음 관리 장치로서, 아파트, 빌라 등의 공동주택에서 발생될 수 있는 층간 소음을 세대원 스스로 조심하여 관리할 수 있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건축물은 층간 바닥 슬래브에 의한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는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하부층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주거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층간 소음은 다세대 주택 혹은 아파트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음 공해이다. 층간 소음은 화장실 물소리, 바닥 충격음 소리, 피아노 소리, 오디오 소리, 대화 소리, TV 소리 등을 총칭하여 부르는 것으로, 층간 소음 중 바닥 충격음은 경량 충격음(58㏈ 이하)과 중량 충격음(50㏈ 이하)으로 분류된다. 과거 단독 주택 위주의 생활에서 오늘날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이 일반화 되면서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층간 소음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층간 소음이 규정된 기준을 넘어서는 경우 피해자가 이에 대한 피해를 청구할 수 있도록 관련 법기준이 강화되고 있다. 강화된 층간 소음 규정은 1분간 평균 소음이 주간 40dB, 야간 35dB 이상인 경우 피해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피해 입증을 위해서는 일반 개인이 소음 측정 장치를 구매해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러한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최근에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저감 내지 차단하기 위한 각종 바닥구조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개발된 바닥구조는 대부분 바닥 슬래브 위에 흡차음이나 방진소재 등을 적층하고, 공기층을 적절히 형성하거나, 고무층과 섬유층, 흡음판 등을 여러 층으로 적층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개발된 바닥구조만으로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어서, 여전히 층간소음문제는 상/하부층 거주자들간의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층간소음을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 층간 소음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수단이지만, 층간소음을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용이하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10-0429786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아파트, 빌라 등의 공동주택에서 발생될 수 있는 층간 소음을 세대원 스스로 조심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층간 소음 관리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어, 세대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세대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기; 및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소음 알람을 발생시키는 소음 알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알람기는, 소음 알람을 발광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램프; 소음 알람을 음악이나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임계치는, 소음 제1임계치, 소음 제2임계치, 및 소음 제3임계치를 가지며, 소음 제1임계치 < 소음 제2임계치 < 소음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알람 램프는,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를 의미하는 녹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스피커는,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경보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상기 세대 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 진동을 감지하는 바닥 진동 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알람기는, 상기 바닥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소음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임계치는, 진동 제1임계치, 진동 제2임계치, 및 진동 제3임계치를 가지며, 진동 제1임계치 < 진동 제2임계치 < 진동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알람 램프는,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를 의미하는 녹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스피커는,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경보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측정되는 세대 소음 및 바닥 진동을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소음 이력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대별 세대 소음 및 바닥 진동의 평균 크기를 파악하여, 파악된 평균 크기가 상기 소음 제3임계치 또는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시간대가 도래하는 경우, 상기 알람 램프를 적색으로 발광하거나 상기 알람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외부의 이동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소음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세대 소음이 상기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진동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세대 소음이 상기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미리 등록된 외부의 부모님 휴대폰으로 소음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셋탑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세대 내의 세대 소음이나 바닥 진동을 감지하여 소음 발생에 대한 알람을 함으로써, 세대원 스스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심하게 되어, 층간 소음 관련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 내에 소음 측정기가 마련된 층간 소음 관리 장치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대 소음의 크기에 따른 알람 램프의 발광 형태를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대 소음의 크기에 따른 알람 스피커의 음성 출력 형태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 내에 진동 측정기가 마련된 층간 소음 관리 장치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음 이력을 통해 소음 알람을 발생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셋탑박스를 구비한 층간 소음 관리 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 내에 소음 측정기가 마련된 층간 소음 관리 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대 소음의 크기에 따른 알람 램프의 발광 형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대 소음의 크기에 따른 알람 스피커의 음성 출력 형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 내에 진동 측정기가 마련된 층간 소음 관리 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 측정기(100)와 소음 알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측정기(100)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어, 세대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하, '세대 소음'이라 함)을 dB 크기로서 측정하는 측정기기이다.
소음 알람기(200)는, 소음 측정기(100)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소음 알람을 발생시킨다. 소음이 소음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세대 내에 있는 세대원이 알람이 발생됨을 알게 되어 미리 조심하는 것이다. 따라서 밑에 세대층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스스로 조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음 알람기(200)는, 소음 알람을 발광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램프(21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램프(210)는, LED램프, OLED램프, 형광램프 등의 다양한 램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램프의 종류에 제한이 없다.
알람 램프(210)는, 측정되는 세대 소음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발광할 수 있다. 소음 임계치가, 소음 제1임계치, 소음 제2임계치, 및 소음 제3임계치를 가지며, 소음 제1임계치 < 소음 제2임계치 < 소음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진다고 가정할 경우, 알람 램프(210)는, 소음 측정기(100)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의를 의미하는 녹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소음 측정기(100)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를 의미하는 황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소음 측정기(100)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으로 발광한다. 여기서 '주의' < '경보' < '경고'의 순서대로 소음 크기 큼을 경고하는 것이므로, 세대 내의 세대원은 알람 램프(210)의 발광 색상을 통해 소음 정도를 확인하고 더욱 조심하게 된다.
한편, 소음 알람기(200)는, 알람 램프(210)이외에도 소음 알람을 음악이나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스피커(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알람 스피커(220)는, 측정되는 세대 소음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소음 임계치가, 소음 제1임계치, 소음 제2임계치, 및 소음 제3임계치를 가지며, 소음 제1임계치 < 소음 제2임계치 < 소음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진다고 가정할 경우, 알람 스피커(220)는, 소음 측정기(100)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의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소음 측정기(100)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를 의미하는 경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소음 측정기(100)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음성을 출력한다. 따라서 세대 내의 세대원은 알람 스피커(220)의 알람 음성을 통해 소음 정도를 확인하고 더욱 조심하게 된다.
한편,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세대 내의 소음의 크기 이외에도 세대의 바닥의 진동을 감지하여 알람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세대의 마루 바닥에서 아이들이 뛸 경우, 그 충격으로 밑에 층에 심각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세대 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 진동을 감지하는 바닥 진동 측정기(300)를 구비한다. 따라서 소음 알람기(200)는, 상기 바닥 진동 측정기(300)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소음 알람을 발생시킨다.
소음 알람기(200)가 알람 램프(210)로 구현되는 경우 측정되는 바닥 진동의 크기에 따라서 각각 다른 형태로 발광한다. 예를 들어, 진동 임계치가, 진동 제1임계치, 진동 제2임계치, 및 진동 제3임계치를 가지며, 진동 제1임계치 < 진동 제2임계치 < 진동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진다고 가정할 때, 알람 램프(210)는,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의를 의미하는 녹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를 의미하는 황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소음 알람기(200)가 알람 스피커(220)로 구현되는 경우 측정되는 바닥 진동의 크기에 따라서 각각 다른 형태의 음성이나 음악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진동 임계치가, 진동 제1임계치, 진동 제2임계치, 및 진동 제3임계치를 가지며, 진동 제1임계치 < 진동 제2임계치 < 진동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진다고 가정할 때, 알람 스피커(220)는,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의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를 의미하는 경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음성을 출력한다.
한편, 초등생의 어린아이들이 있는 가정의 경우, 어린아이들이 하교 후에 집에 있는 오후 4시부터 오후 7시 사이에 세대내에서 뛰고 놀아 소음을 가장 크게 발생할 확률이 크다. 이와 같이 이전의 소음 발생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소음 발생 전에 미리 소음 알람을 발생시켜 미연에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별도의 소음 발생 이력을 관리하여 소음 알람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하 도 5와 함께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음 이력을 통해 소음 알람을 발생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 측정기(100), 진동 측정기, 알람 램프(210) 및 알람 스피커(220)로 된 소음 측정기(200) 이외에도 소음 이력 저장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소음 이력 저장부(400)는, 측정되는 세대 소음 및 바닥 진동을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소음 이력 저장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시간대별로 측정되는 세대 소음 및 바닥 진동을 소음 이력으로서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음 이력 저장부(40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소음 이력 저장부(400)에 저장된 시간대별 세대 소음 및 바닥 진동의 평균 크기를 파악하여, 파악된 평균 크기가 소음 제3임계치 또는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시간대가 도래하는 경우, 알람 램프(210)를 적색으로 발광하거나 알람 스피커(220)를 통해 경고 음성을 출력한다. 여기서 평균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크기인데, 예컨대, 2일 동안의 시간대별 평균 크기, 또는 3일 동안의 시간대별 평균 크기, 1주일 동안의 시간대별 평균 크기가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파악되는 소음의 평균 크기가 최소 소음 수준인 소음 제3임계치 또는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시간대가 있는 경우, 소음이 발생될 확률이 크다는 것을 미연에 알려주어 소음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모가 없고 세대내에 어린아이만 있을 시에 어린아이를 관리할 어른이 없어, 어린아이가 집에서 뛰고 놀아 밑에 층 세대에 큰 소음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부모가 없는 세대의 경우 별도의 소음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이하 도 6과 함께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셋탑박스를 구비한 층간 소음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외부의 이동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으며, 소음 측정기(100)를 통해 측정된 세대 소음이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진동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세대 소음이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미리 등록된 외부의 부모님 휴대폰(10)으로 유무선 통신망(20)을 통하여 소음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셋탑박스(500)를 구비한다.
부모님 휴대폰(10)을 미리 등록해놓아, 만약, 세대내 소음이 최고 수준인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외부에 있는 부모님 휴대폰(10)으로 소음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여, 외부에 있는 부모가 아이들이 뛰고 놀아 집에서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 있는 부모는, 소음 알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집의 어린아이들에게 전화를 걸어 조용히 있을 것을 단속하거나, 신속하게 집으로 복귀하여 어린아이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여기서 홈네트워크 셋탑박스(500)와 부모님 휴대폰(10)과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망(2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모님 휴대폰(10)은, 스마트폰, 피쳐폰 등과 같이 이동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휴대폰이 모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소음 측정기 200:소음 알람기
210:알람 램프 220:알람 스피커
300:진동 측정기 400:소음이력 저장부
500:홈네트워크 셋탑박스

Claims (9)

  1.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어, 세대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세대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소음 알람을 발생시키는 소음 알람기;
    상기 세대 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 진동을 감지하는 바닥 진동 측정기;및
    측정되는 세대 소음 및 바닥 진동을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소음 이력 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알람기는, 소음 알람을 발광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램프; 소음 알람을 음악이나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알람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소음 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소음 임계치는, 소음 제1임계치, 소음 제2임계치, 및 소음 제3임계치를 가지며, 소음 제1임계치 < 소음 제2임계치 < 소음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지고,
    상기 진동 임계치는, 진동 제1임계치, 진동 제2임계치, 및 진동 제3임계치를 가지며, 진동 제1임계치 < 진동 제2임계치 < 진동 제3임계치의 크기값을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소음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대별 세대 소음 및 바닥 진동의 평균 크기를 파악하여, 파악된 평균 크기가 상기 소음 제3임계치 또는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시간대가 도래하는 경우, 상기 알람 램프를 적색으로 발광하거나 상기 알람 스피커를 통해 경고 음성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람 램프는,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를 의미하는 녹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으로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람 스피커는,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경보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소음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세대 소음이 설정된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 음성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람 램프는,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를 의미하는 녹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으로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람 스피커는,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1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2임계치 이하인 경우 주의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2임계치를 초과하고 진동 제3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보를 의미하는 경보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바닥 진동이 설정된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 음성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층간 소음 관리 장치는,
    외부의 이동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소음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세대 소음이 상기 소음 제3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진동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세대 소음이 상기 진동 제3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미리 등록된 외부의 부모님 휴대폰으로 소음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관리 장치.
KR1020160180982A 2016-12-28 2016-12-28 층간 소음 관리 장치 KR10191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82A KR101913281B1 (ko) 2016-12-28 2016-12-28 층간 소음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82A KR101913281B1 (ko) 2016-12-28 2016-12-28 층간 소음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23A KR20180076623A (ko) 2018-07-06
KR101913281B1 true KR101913281B1 (ko) 2018-10-30

Family

ID=6292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82A KR101913281B1 (ko) 2016-12-28 2016-12-28 층간 소음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806B1 (ko) * 2018-10-04 2019-08-14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음의 주파수 분석 기반 세대 간 소음 방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3397A (ja) 2006-07-26 2008-02-14 Kawamura Electric Inc 騒音監視システム
KR101444175B1 (ko) 2013-04-10 2014-09-26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 주택 내의 소음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397A (ja) * 2001-06-22 2003-01-08 Komei Seishi Kk 2層発泡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05138B1 (ko) * 2012-01-04 2013-09-05 최준성 층간 소음 및 진동 경보시스템
KR101630308B1 (ko) * 2013-12-31 2016-06-14 가람전자(주)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20150086940A (ko) * 2014-01-21 2015-07-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층간소음 알림장치
KR20150134937A (ko) * 2014-05-23 2015-12-02 조상진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통한 층간소음 모니터링 및 경고알람 기기
KR20150139207A (ko) * 2014-06-03 2015-12-11 이상현 층간소음 규제 시스템
KR20150144456A (ko) * 2014-06-16 2015-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71972A (ko) * 2014-12-13 2016-06-22 박병운 층간 소음 경보 장치
KR20160082666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코맥스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
KR20160095480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조인스소프트 층간소음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3397A (ja) 2006-07-26 2008-02-14 Kawamura Electric Inc 騒音監視システム
KR101444175B1 (ko) 2013-04-10 2014-09-26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 주택 내의 소음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23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308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US116822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lert based on noise
KR101690006B1 (ko) 층간소음 및 층간진동 감지시스템
KR102039820B1 (ko)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31090B1 (ko) 건물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대응방법
KR101795765B1 (ko)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101913281B1 (ko) 층간 소음 관리 장치
KR101456363B1 (ko) 진동 및 소음 경보 시스템
TW202146061A (zh) 檢測人和/或動物運動並進行移動消毒的方法
KR102257683B1 (ko) 층간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90221A (ko) 멀티-모드 음향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44454A (ko)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KR200468438Y1 (ko)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101767444B1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 연계된 화재 알림 시스템
JP2010108027A (ja) 警報器
JP2005267561A (ja) 救助システム
KR20160071972A (ko) 층간 소음 경보 장치
KR102008332B1 (ko)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KR20150086940A (ko) 층간소음 알림장치
JP2019040282A (ja) 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KR101993307B1 (ko) 이웃을 이용한 독거인의 위험상황 처리방법
KR101869640B1 (ko) 층간소음 정보제공 장치
JP7467181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469970B1 (ko) 층간 소음 알림 기능을 갖는 시스템
US116425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rtual personal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