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20B1 -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20B1
KR102039820B1 KR1020180036783A KR20180036783A KR102039820B1 KR 102039820 B1 KR102039820 B1 KR 102039820B1 KR 1020180036783 A KR1020180036783 A KR 1020180036783A KR 20180036783 A KR20180036783 A KR 20180036783A KR 102039820 B1 KR102039820 B1 KR 10203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house
unit
magnitude
in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293A (ko
Inventor
함나연
권오빈
이수영
Original Assignee
함나연
권오빈
이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나연, 권오빈, 이수영 filed Critical 함나연
Priority to KR102018003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부와, 공동 주택의 주택 간 접하는 영역에 소정 간격 이상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가 측정한 소음의 크기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음 발생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소음 발생 위치에 따라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을 특정하며, 상기 소음 유발 주택의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는 행위를 자제할 것을 요청하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소음 피해 주택의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리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Description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preventing conflict by noises through floor,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본 발명은 소음 분쟁 예방을 위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층간 소음을 측정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당사자를 자제시키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과거와 달리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이 늘어나면서 서로 다른 가구가 벽 한 장을 맞대고 가까이 거주하는 일이 흔해졌다. 미국 드라마나 여러 매체에서 볼 수 있듯, 층간소음의 역사는 굳이 한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며 전 세계의 다세대 주택 입주자들은 이것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대한민국은 좁은 땅덩이와 높은 인구밀도 때문에 아파트던 원룸이던 공동주택 위주의 주거문화가 크게 발달해 있고, 이 때문에 층간소음 문제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불거질 수밖에 없는 형태이다.
윗집과 아랫집은 바닥과 천장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리를 낼 수밖에 없는 윗집과 어쩔 수 없이 들어야 하는 아랫집 간의 분쟁이 생긴 것이다. 또한, 천장 자체가 빈 공간에 나무재질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아서 일종의 우퍼 역할을 한다. 실제로 콘크리트 차원에서는 소음이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그렇게 크게 들리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천장구조물 덕분에 중, 저음 대역의 주파수가 공진되어서 에너지가 그 쪽 대역으로 몰린다. 그래서 듣기 거북한 둔탁한 소리가 주요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복도식 아파트에 살면 층간소음의 근원이 어디인지 파악하는 게 더 어렵다. 즉, 같은 호수 3층의 옆 호의 공사하는 소음이 1층까지 전달될 수 있다. 즉, 302호의 공사 소음이 101호로 전달될 수 있다. 소음의 환경적 특성상, 모든 사람에게 피해가 똑같지 않다. 소음은 오로지 개개인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판단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층간소음 가해자는 자신이 둔감한 건지 층간소음 피해자는 자신이 예민한 건지 알 길이 없으므로, 서로의 견해 차이에 의해 갈등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소음문제를 해결할 근본적 방법이 없고, 흔한 해결책들은 서로의 불편을 야기한다는 점도 문제다. 모든 집의 생활방식이 천편일률적인 것도 아니고, 소음 스트레스를 줄이자고 생활에 불편함을 요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층간소음 가해자의 편의를 봐주자고 소음 스트레스를 견디는 것도 역시 거의 불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층간소음을 방치할 경우 소음을 받는 대상자가 신경쇠약과 수면장애에 걸릴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444175호 2014년 09월 18일 등록 (명칭: 공동 주택 내의 소음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유발하는 측과 소음에 의한 피해를 받는 측 양자 모두에게 제공하여 소음에 대한 정보를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사용자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부와, 공동 주택의 주택 간 접하는 영역에 소정 간격 이상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가 측정한 소음의 크기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음 발생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소음 발생 위치에 따라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을 특정하며, 상기 소음 유발 주택의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는 행위를 자제할 것을 요청하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소음 피해 주택의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리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음 유발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가 상기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장치로 상기 자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소음 피해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가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장치로 상기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에 대한 식별자, 상기 소음의 크기와, 상기 소음이 발생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소음 기록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의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를 도출하고,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을 특정하여 특정된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 발생에 대한 주의를 요청하는 환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가 상기 소음 기록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공동 주택의 주택 간 접하는 영역에 소정 간격 이상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가 측정한 소음의 크기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음 발생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소음 발생 위치에 따라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을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 유발 주택의 경우,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소음이 발생되는 행위를 자제할 것을 요청하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소음 피해 주택의 경우,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리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층간 소음을 측정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있고, 그 소음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소음을 유발하는 측과 소음에 의한 피해를 받는 측 양자 모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소음을 유발하는 측은 피해를 받는 측이 받는 피해의 정도를 입증할 객관적인 자료를 가지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발생하는 때에 바로 소음을 유발하는 측을 자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사용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은 센서장치(10), 사용자장치(100), 스피커장치(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센서장치(10)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장치(100)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장치(10)는 공동 주택의 주택(H1, H2) 간 접하는 영역(FL)에 소정 간격 이상 분산되어 복수개가 설치된다. 주택 간 접하는 영역(FL)은 아랫집(H1)의 천장과 윗집(H2)의 바닥 사이의 공간, 서로 이웃하는 주택간 공유하는 측벽 사이의 공간을 예시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100)는 공동 주택 중 어느 하나의 주택에 속하는 것으로, 각 주택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장치(100)가 등록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고,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장치(100)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장치뿐만 아니라, 인터폰 등의 고정형 장치도 될 수 있다.
사용자장치(100)는 복수의 센서장치(10)로부터 소음이 발생한 위치 정보 및 소음의 크기를 수신하고, 소음의 크기의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소음이 발생한 위치 정보에 따라, 자신이 속하는 주택에서 소음이 유발되고 있는지 혹은 자신이 속하는 주택이 피해를 받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장치(100)는 발생된 소음의 크기를 사용자가 정확한 수치와 함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소음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장치(100)는 소음을 유발하는 측에 속하는 경우, 소음을 자제하도록 하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며, 피해를 받고 있는 주택에 속하는 경우,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리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스피커장치(200)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스피커로, 대표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스피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와 통신 연결을 통해 사용자장치(200)로부터 자제 요청 메시지 또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제 요청 메시지 또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공동 주택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기록인 소음 기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소음 기록 데이터는 소음이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 해당 소음을 유발한 소음 유발 주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해당 소음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소음 피해 주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해당 소음의 크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소음 기록 데이터는 분쟁이 발생할 경우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1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장치(10)는 센서유닛(11) 및 통신유닛(12)을 포함한다.
센서유닛(10)은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센서장치(10)가 설치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센서유닛(10)은 측정된 소음의 크기를 통신유닛(12)에 전달한다.
통신유닛(12)은 센서장치(10)의 식별자와 센서유닛(10)으로부터 전달된 소음의 크기를 사용자장치(100) 또는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100) 및 관리서버(300)는 센서장치(1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센서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센서장치(10)의 식별자와 소음의 크기를 수신하면, 센서장치(10)의 식별자를 통해 센서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장치(10)의 식별자는 센서장치(10)의 위치 정보를 내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사용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사용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오디오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센서장치(10), 스피커장치(200) 및 관리서버(300)와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무선 혹은 유선을 통해 다른 장치(10, 200, 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60)로부터 각종 명령, 메시지,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명령, 메시지, 데이터 등을 수신하면,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부(120)는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를 포함한다. 오디오부(120)는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또한, 오디오부(120)는 제어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는 경고음, 음성으로 이루어진 메시지, 음악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장치(100)의 각 종 기능,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문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의 기능은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14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140)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사용자장치(100)의 메뉴,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스토리지,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사용자장치(100의 부팅(booting) 및 운영(operation)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6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센서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 주택의 주택 간 접하는 영역에 소정 간격 이상 분산되어 설치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주택 간 접하는 영역은 아랫집의 천장과 윗집의 바닥 사이의 공간, 서로 이웃하는 주택간 공유하는 측벽 사이의 공간을 예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장치(10)는 S110 단계에서 센서유닛(11)을 통해 소음의 크기를 측정한 후, 통신유닛(12)을 통해 측정된 소음의 크기와 센서장치(10)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센서장치(1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소음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S120 단계에서 수신된 소음 측정 데이터의 소음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센서장치(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음 발생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소음 발생 위치에 따라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센서장치(10)가 그 위치 정보에 따라, 도 1과 같이, 아랫집(H1)의 천장과 윗집(H2)의 바닥 사이의 공간(FL)에 설치된 것이면, 아랫집(H1)의 천장과 윗집(H2)의 바닥 사이의 공간(FL)에 소음이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윗집(H2)이 소음 유발 주택이며, 아랫집(H1)이 소음 피해 주택이 될 수 있다.
사용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S130 단계에서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장치(100)가 소음 유발 주택에 속하는지 혹은 소음 피해 주택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오디오부(120)를 통해 자제 요청 메시지 혹은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S130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데시벨 단위의 소음 크기와 함께 해당 소음의 크기와 유사한 환경을 나타내는 문구를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로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도면 부호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의 크기가 123 db이면, 123 db이 '도로 위의 소음과 같다'는 문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소음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장치(100)가 어느 주택에 속하는지 여부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른다. 예를 들면, 사용자장치(100)는 사용자장치(100)의 사용자가 속한 주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주소)를 미리 저장하며, 그 저장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장치(100)가 어느 주택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장치(100)가 소음 유발 주택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오디오부(120)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는 행위를 자제할 것을 요청하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오디오부(120)를 통해 '아랫집에서 비행기 이착륙 수준의 소음이 측정되고 있습니다. 소음 유발 행위를 중단해주세요.'와 같은 음성을 자제 요청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장치(100)가 소음 유발 주택에 속하는 경우, 상기 소음 피해 주택의 경우, 오디오부(120)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리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오디오부(120)를 통해 '윗집으로부터 비행기 이착륙 수준의 소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윗집에 소음 발생을 중단하도록 요청하고 있습니다. 조금만 참아주세요.'와 같은 음성을 발생 알림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발생 알림 메시지는 단순히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신해서 민원을 제기하고 있으니 조금만 참으면 해결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추가로 전달하여, 직접적인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30 및 40은 층간 소음에 따른 불편을 호소하기 위해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 예컨대, 경비실, 층간소음 이웃사랑센터, 소음 발생 주택에 대한 연락처로 연결하기 위한 단축키(30, 40)이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장치(100)가 소음 유발 주택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통해 전술한 연락처를 제공하는 단축키(30, 4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S14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자제 요청 메시지 및 발생 알림 메시지를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소음 유발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200)가 존재하면, 해당 스피커장치(200)로 자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소음 피해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200)가 존재하면, 해당 스피커장치(200)로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스피커장치(200)는 S150 단계에서 자제 요청 메시지 또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즉, 소음 유발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200)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소음 피해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200)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S160 단계에서 소음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음 기록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누적하여 저장한다. 즉, 제어부(160)는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에 대한 식별자 및 소음의 크기와 더불어 소음이 발생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생성된 소음 기록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제어부(160)는 S170 단계에서 소음 기록 데이터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소음 기록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소음 기록 데이터는 분쟁이 발생할 경우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사용자장치(100)는 소음 유발 주택에 속하는 사용자장치라고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S160 단계에서 소음 기록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제어부(160)는 S210 단계에서 소음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음 주의 시간을 도출한다. 즉, 제어부(160)는 소음 기록 데이터로부터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의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를 도출하고,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시간을 소음 유발 주의 시간으로 특정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S220 단계에서 특정된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이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이 도래하면, 제어부(160)는 S230 단계에서 오디오부(120)를 통해 소음 발생에 대한 주의를 요청하는 환기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컨대, 환기 메시지는 '소음 발생에 주의해 주세요. 잦은 소음으로 아래층으로부터 민원이 빈번한 시간입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200)가 존재하면,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스피커장치(200)로 환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스피커장치(200)가 환기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기 메시지를 제공함에 따라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센서장치 11: 센서유닛
12: 통신유닛 110: 통신부
120: 오디오부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200: 스피커장치
300: 관리서버

Claims (5)

  1.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사용자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부;
    공동 주택의 주택 간 접하는 영역에 소정 간격 이상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가 측정한 소음의 크기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소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음 발생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소음 발생 위치에 따라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을 특정하며,
    상기 소음 유발 주택의 경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는 행위를 자제할 것을 요청하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소음 피해 주택의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리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에 대한 식별자, 상기 소음의 크기와, 상기 소음이 발생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소음 기록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의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를 도출하고,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을 특정하여 특정된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 발생에 대한 주의를 요청하는 환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가 상기 소음 기록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음 유발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가 상기 자제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장치로 상기 자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소음 피해 주택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스피커장치가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장치로 상기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3. 삭제
  4.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가 공동 주택의 주택 간 접하는 영역에 소정 간격 이상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장치가 측정한 소음의 크기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소음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음 발생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출된 소음 발생 위치에 따라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음 유발 주택의 경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소음이 발생되는 행위를 자제할 것을 요청하는 자제 요청 메시지를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소음 피해 주택의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소음의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리는 발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 및 소음 피해 주택에 대한 식별자, 상기 소음의 크기와, 상기 소음이 발생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소음 기록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된 소음 유발 주택의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를 도출하고, 소음 발생 빈도 및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인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을 특정하여 특정된 소음 유발 주의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소음 발생에 대한 주의를 요청하는 환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가 상기 소음 기록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소음 기록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따른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36783A 2018-03-29 2018-03-29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3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83A KR102039820B1 (ko) 2018-03-29 2018-03-29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83A KR102039820B1 (ko) 2018-03-29 2018-03-29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93A KR20190114293A (ko) 2019-10-10
KR102039820B1 true KR102039820B1 (ko) 2019-11-01

Family

ID=6820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83A KR102039820B1 (ko) 2018-03-29 2018-03-29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937A (ko) * 2021-02-16 2022-08-23 에피텍(주) 건축물의 진동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42079B2 (en) 2019-11-12 2024-03-26 Sungpil CHU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vent dispute over noise travelling between neighb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83B1 (ko) * 2019-10-21 2021-05-27 양희라 층간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CN114650267A (zh) * 2020-12-21 2022-06-21 全星泌 用于预防层间噪音纠纷的层间邻居通信方法及通信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72B1 (ko) 2013-05-07 2013-09-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바닥 충격음 경고장치
KR101343345B1 (ko) 2013-03-04 2013-12-19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KR101345603B1 (ko) 2013-08-26 2013-12-27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KR101465246B1 (ko) * 2013-12-24 2014-11-25 주식회사 케이티 층간 소음 발생 위치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75B1 (ko) 2013-04-10 2014-09-26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 주택 내의 소음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647704B1 (ko) * 2014-03-07 2016-08-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160080522A (ko) * 2014-12-29 2016-07-08 유승훈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KR20160086433A (ko) * 2015-01-09 2016-07-20 에스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층간 소음 경고장치
KR20160095480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조인스소프트 층간소음경보 시스템
KR101701594B1 (ko) * 2015-02-09 2017-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 층간 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95765B1 (ko) * 2015-06-11 2017-11-08 주식회사 피지오닉스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20170068348A (ko) * 2015-12-09 2017-06-19 편석준 공동주택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KR102430501B1 (ko) * 2015-12-29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단결정구조,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801813B1 (ko) * 2015-12-30 2017-12-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대 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9467A (ko) * 2016-02-23 2017-09-01 (주)알레그로 집합건물의 층간소음 모니터링 방법
KR20170111860A (ko) * 2016-03-30 2017-10-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345B1 (ko) 2013-03-04 2013-12-19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KR101307172B1 (ko) 2013-05-07 2013-09-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바닥 충격음 경고장치
KR101345603B1 (ko) 2013-08-26 2013-12-27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KR101465246B1 (ko) * 2013-12-24 2014-11-25 주식회사 케이티 층간 소음 발생 위치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2079B2 (en) 2019-11-12 2024-03-26 Sungpil CHU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vent dispute over noise travelling between neighbors
KR20220116937A (ko) * 2021-02-16 2022-08-23 에피텍(주) 건축물의 진동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1350B1 (ko) 2021-02-16 2022-12-27 에피텍(주) 건축물의 진동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93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820B1 (ko)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1626117B2 (en) Contingent device actions during loss of network connectivity
KR102264600B1 (ko) 적응적 통지 네트워크용 시스템 및 방법
US109445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monitoring
KR20170009866A (ko) 소음-민감 경보 제시 기법
CN111565355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4206275A1 (en) Method and devices for outputting an audio file
US9509832B2 (en) Recommending preferred ringer setting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2292333B1 (ko)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US20200082285A1 (en) User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US10694022B1 (en) Autonomous profile switcher for devices based upon external environment
US202400773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third-parties of an unfavorable condition
CN110753909B (zh) 服务调度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954731B2 (ja) 情報通信端末及び情報通信端末用のプログラム
KR102614763B1 (ko) 층간소음 측정 장치, 및 스마트 중재 서버와 층간소음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스마트 중재 방법
WO2019134288A1 (zh) 一种用于实现视图控制器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2023024443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djust loudness of connected and media source devices based on context
KR20190023544A (ko) IoT 센서와 연계된 사운드 기반의 디지털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US20230394953A1 (en) Drop-in on computing devices based on event detections
WO2023238232A1 (ja) インターフォン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169797B1 (ko) 이벤트 검출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JP2007234045A (ja) 合否情報通知方法、合否情報通知装置及び合否情報通知プログラム
US20240113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oom Disturbances
KR20180076623A (ko) 층간 소음 관리 장치
US10887286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nant-to-tenant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