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00B1 -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00B1
KR101912500B1 KR1020160087516A KR20160087516A KR101912500B1 KR 101912500 B1 KR101912500 B1 KR 101912500B1 KR 1020160087516 A KR1020160087516 A KR 1020160087516A KR 20160087516 A KR20160087516 A KR 20160087516A KR 101912500 B1 KR101912500 B1 KR 10191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izer
weight
parts
surface layer
tack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743A (ko
Inventor
홍민기
김병민
송은호
전성모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8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00B1/ko
Priority to PCT/KR2017/007228 priority patent/WO2018012799A1/ko
Publication of KR2018000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및 제2 가소제 및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인 기재층;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IN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S AND MANUFACTURING MEHTOD OF THE SAME}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각종 부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를 일컫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센터페시아(ceter fascia), 대시보드(dash board), 콘솔박스(console box),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등에 사용되는 수지 성형품을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내장재는 높은 열 또는 자외선 등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는 일이 많고, 이로 인해 경질화, 변형, 변색 또는 퇴색 등의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구성하는 성분들이 사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행(migration) 또는 휘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높은 열 또는 자외선 등의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자동차 내장재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표면 물성 또는 광택 등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내장재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이행 또는 휘발을 방지하는 것이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각 부품의 기능성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점착력을 유지하는 것이 품질 경쟁력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장기간 높은 열 또는 자외선 등의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우수한 표면 물성 및 광택을 유지하고, 동시에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및 제2 가소제 및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인 기재층;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서,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 수성 용매,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화학 반응시켜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인 기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이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이행(migration) 또는 휘발을 방지함으로써, 경질화, 변색 및 퇴색 등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고, 동시에 우수한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면에서 특정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나 크기를 확대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및 제2 가소제 및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인 기재층;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100)은 기재층(10) 및 표면층(20)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자동차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각종 부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를 일컫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센터페시아(ceter fascia), 대시보드(dash board), 콘솔박스(console box),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도어 트림(Door trim) 등에 사용되는 수지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표면층에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층에도 가소제를 함께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소제를 포함하는 표면층 및 상기 제2 가소제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함으로써 가소제의 내이행성(migration resistance)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가소제가 표면층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어 상기 자동차 내장재의 경도 및 광택 등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기재층은 폴리우레탄(PU)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폴리우레탄(PU) 발포체는 원칙적으로 점착력을 가지므로 별도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표면층과 우수한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기재층에 상기 제2 가소제와 함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여, 점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제 2 가소제를 포함하여 점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나,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를 주재로 하면서 점착 부여제를 함께 사용함에 따라 제2 가소제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 표면층의 제1 가소제와 기재층의 제2 가소제 및 점착 부여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가소제의 내이행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표면층과 기재층간의 우수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계, 탄화수소계, 테르펜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제2 가소제에 용해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관계에서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어, 표면층과 기재층간의 향상된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제적으로, 로진계 점착 부여제는 중합 로진, 중합 로진 에스테르, 로진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점착 부여제는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인 ARKON P-90(아라카와 화학 제조),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인 퀸톤 B-170 (닛폰 제온사 제조) 등이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약 1 내지 약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내에 포함된 상기 점착 부여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제2 가소제에 충분히 용해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우수한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관계에서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2 가소제를 약 1 내지 약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90 내지 약 1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소제를 약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제2 가소제가 상기 범위의 중량비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표면층에서 가소제가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소제가 약 100 중량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가 우수한 표면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상기 함량의 제2 가소제를, 전술한 함량의 상기 점착 부여제와 함께 포함하여 상기 표면층에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제2 가소제는 각각 프탈레이트계(Phthalates) 가소제, 아디페이트계(Adiphates) 가소제, 포스페이트계(Phosphates) 가소제, 트리멜리테이트계(Trimellitates) 가소제, 에폭시계(Epoxy) 가소제, 글라이콜계(Glycol) 가소제, 지방산계(Aliphates)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제2 가소제는 각각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열 안정성이 우수하여 향상된 내이행성을 나타내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으며, 프탈레이트-프리(phthalate-free) 가소제를 사용함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의 방출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소제와 상기 제2 가소제는 동일한 종류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제2 가소제는 모두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이 각각 동종의 가소제인 제1 가소제 및 제2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두 층이 적층된 구조체를 자동차용 내장재에 적용할 때, 서로 상이한 종류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소제의 내이행성 향상에 보다 유리할 수 있고, 부드러운 표면 물성을 잘 유지하며 기재층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표면층은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소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약 10 내지 약 2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90 내지 약 1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소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유연한 물성을 부여하기에 용이하고 저온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기재층의 제2 가소제와 함께 자동차용 내장재 전체의 가소제 내이행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는 염화비닐(Vinyl chloride)의 단독 중합 수지; 염화비닐 및 다른 단위 단량체의 공중합 수지; 또는 가교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층은 가교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교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는 폴리염화비닐이 서로 가교 구조를 형성한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표면층이 가교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교 구조 내에 가소제가 트랩(trap)될 수 있고, 이로써 가소제의 흡수성 및 이행 방지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표면층에 포함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K-값(K-value)는 3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K-값(K-value)'은 열가소성 수지의 고유 점성도(intrinsic viscosity)에 관한 값으로 피켄처의 K-값(Fikentscher's K-value)이라고도 한다. 상기 K-값은 DIN EN ISO 1628-1의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K-값(K-value)이 약 3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표면층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충분한 기계적 또는 열적 물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가소제에 대한 흡수성도 저하하는 문제가 있으며, 약 80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표면층의 제조 공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K-값으로부터 환산표를 통해 열가소성 수지의 중합도를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중 하나인, 폴리염화비닐(PVC) 수지가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이의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는 약 1,000 내지 약 2,0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00 내지 약 1,600일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독 중합 수지의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란 중합에 의해 수지를 구성하는 염화비닐 단위 단량체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중합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 강도 및 신율이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표면층의 가공성 및 가소제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제1 가소제를 포함하는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이때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료,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활제, UV 안정제,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기재층은 제2 가소제 및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전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소제는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전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는 상기 제2 가소제, 상기 점착 부여제, 수성 용매,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PU)의 화학 구조는 폴리올 화합물의 히드록시기(-OH)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의 형성이 가능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아니하고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는 구체적으로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은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의 형성에 직접적인 반응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반응촉매, 기포안정제, 가교제, 발포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올 화합물을 약 30 내지 약 7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이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자동차용 내장재에 적합한 발포 구조를 갖는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소제 및 상기 점착 부여제와의 상용성도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는 밀도가 약 80 kg/㎥ 내지 약 250 kg/㎥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20 kg/㎥ 내지 약 180 kg/㎥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의 밀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상기 기재층이 가소제 내이행성의 효과를 구현하기 용이하며,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에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함께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과의 관계에서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표면층이 배치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은 표면층 : 기재층의 두께비가 약 1 : 7 내지 약 2 : 7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 7 내지 약 1.5 : 7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소제를 포함하는 표면층 및 상기 제2 가소제 및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기재층이 상기 범위의 두께비를 만족함으로써 가소제의 내이행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가 경도 및 광택 등에 있어서 우수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과 기재층간의 우수한 점착력으로 향상된 층간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2㎜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가소제가 표면층의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표면층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배치된 기재층과의 점착이 용이하고, 자동차용 내장재의 용도에 부합하는 적절한 두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 수성 용매,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화학 반응시켜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인 기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층에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층에도 가소제를 포함하여 가소제의 내이행성을 향상시켜 표면 경도 및 광택 등의 물성을 우수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층은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여,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간의 우수한 점착력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계, 탄화수소계, 테르펜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제2 가소제에 용해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관계에서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어, 표면층과 기재층간의 향상된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약 1 내지 약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내에 포함된 상기 점착 부여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제2 가소제에 충분히 용해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우수한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관계에서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2 가소제를 약 1 내지 약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90 내지 약 1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소제를 약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제2 가소제가 상기 범위의 중량비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표면층에서 가소제가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상기 제2 가소제와 함께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여 상기 표면층에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소제가 약 100 중량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가 우수한 표면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각각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약 60℃ 내지 약 140℃에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가 약 60℃ 미만인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와 제1 가소제가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상기 제1 가소제에 대한 흡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약 1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열분해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료,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활제, UV 안정제,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면층은 파우더 슬러쉬 몰딩(PSM, Powder Slush Molding)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파우더 슬러쉬 몰딩(PSM, Powder Slush Molding) 공법으로 상기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PSM 공법을 이용하여 상기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층의 결과적인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금형(11)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금형(11)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이 포함된 파우더 박스(powder box, 12)를 상기 금형(11)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금형(11) 및 상기 파우더 박스(12)를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반전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이 가열된 금형(11) 내부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금형(11) 및 상기 파우더 박스(12)를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반전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금형(11)의 일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표면층(10)이 형성되고 남은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시 파우더 박스(12)로 투입되는 단계; 상기 금형(11)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층(10)을 상기 금형(1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이 PSM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복잡한 표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정교하게 제조될 수 있고, 부드러운 감촉을 구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가소제, 상기 점착 부여제 및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제2 가소제에 상기 점착 부여제를 용해시키고, 상기 폴리올 화합물을 혼합한 후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비교적 반응성이 크고 점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폴리올 화합물, 상기 제2 가소제 및 점착 부여제를 우선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제2 가소제에 용해된 상기 점착 부여제가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에 전체적으로 잘 혼합될 수 있고, 후속하여 상기 기재층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은 반응촉매, 기포안정제, 가교제, 발포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분사(spray)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은 이로부터 형성된 기재층과 상기 표면층은 표면층 : 기재층 = 약 1 : 7 내지 약 2 : 7의 두께비를 만족하도록 도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 7 내지 약 1.5 : 7의 두께비를 만족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도포되는 경우에 도포의 가공성이 향상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가소제를 포함하는 표면층 및 상기 제2 가소제 및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기재층이 상기 범위의 두께비를 만족함으로써 가소제의 내이행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과 기재층간의 우수한 점착력으로 향상된 층간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화학 반응시켜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 및 폴리우레탄(PU) 발포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의 화학 반응은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 내의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화학 반응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폴리우레탄(PU) 발포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의 화학 반응은 상온 및 상압에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의 화학 반응은 상온 및 상압에서 일어나지만, 상기 화학 반응에 의한 반응열로 인하여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이 발포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기재층이 폴리우레탄(PU)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재층은 적절한 밀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층과의 관계에서 가소제의 내이행성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발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온'은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일 수 있고, 상기 '상압'은 약 0.8 기압 내지 약 1.2 기압의 압력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60℃의 온도에서 혼합기(mixer)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가소제로서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100 중량부를 혼합하고, 첨가제로서 열안정제, 활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PSM 공법으로 가공하여 1㎜ 두께의 표면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소제와 동일한 종류의 제2 가소제로서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10 중량부를 마련하고, 점착 부여제로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를 제2 가소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중량부를 제2 가소제에 용해시키고, 이를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화합물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상기 혼합물에 2,4-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혼합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이로써, 상기 제2 가소제 및 상기 점착 부여제와 함께,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올 화합물 62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표면층 일면에 25℃의 상온 및 1기압 상압 조건에서 도포와 동시에 발포함으로써 폴리우레탄(PU) 발포체를 포함하는 7㎜ 두께의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이로써, 상기 기재층 및 상기 표면층이 적층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소제가 20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소제가 40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가소제가 100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기 점착 부여제가 5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기 점착 부여제가 10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기 점착 부여제가 20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기 점착 부여제가 50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이 상기 제2 가소제 및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이 상기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실험예 1. 표면경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한 직후 및 이후 120℃의 온도 및 500시간의 조건에서 내열 노화시킨 후 상온에서 하루 방치하고 이후에 쇼어(shore) A 경도계를 이용하여 표면층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여 경질화의 정도를 관측하였다.
실험예 2: 내이행성(migration resistance)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여 초기 중량을 측정하고 120℃의 온도 및 500시간의 조건으로 시편을 노화시켰다.
이후에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외관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에 대하여 각각 1 ~ 4점으로 점수를 부과하였다. 구체적으로, 1점은 이행(migration)이 심해 기름 범벅인 상태를 나타내며, 2점은 이행(migration)이 진행되어 표면이 미끌미끌한 수준을 나타내며, 3점은 이행(migration)이 거의 진행되지 않아 표면이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며, 4점은 가소제의 이행(migration)이 일어나지 않아 표면이 우수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표면을 닦아 낸 전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가소제가 표면층에서 이행(migration)되는 정도를 판단하였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 노화 전후의 중량의 변화, 즉 중량의 감소량과 관련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하기 표 1 에,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는 표 2 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3: 광택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한 직후 및 이후 120℃의 온도 및 500시간의 조건에서 내열 노화시킨 후 상온에서 하루 방치하고 광택계를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상기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 에 있어서 제1 가소제 및 제2 가소제의 함량비와 표면경도, 내이행성 및 광택도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하기 표 1 에,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는 표 2 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4: 층간 부착성 (박리 강도)
박리강도는 표면층과 폴리우레탄 발포체(PU foam)인 기재층을 손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층간 부착성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층 및 기재층을 두 손으로 박리하였을 때, 부착력이 약하여 두 층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와 부착력이 강하여 기재층인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뜯겨져 나오는 경우로 박리 강도를 측정하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하기 표 1 에,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는 표 2 에 기재하였다.
O: foam의 응집파괴,
X: 층간의 계면박리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 5
제1 가소제 100중량부 100중량부 100중량부 100중량부 100중량부
제2 가소제
(제1 가소제 100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20
중량부
4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점착 부여제
(제2 가소제 100중량부 대비)
30
중량부
좌동 좌동 좌동 5
중량부
표면경도 50 46 41 35 36
내이행성 (4점 기준) 2 3 4 4 4
광택도 1.9 1.6 1.3 1.0 0.9
박리 위치 0 0 0 0 0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 1 비교예2
제1 가소제 100중량부 100중량부 100중량부 100중량부 100중량부
제2 가소제
(제1 가소제 100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
중량부
점착 부여제
(제2 가소제 100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20
중량부
50
중량부
표면경도 36 35 34 57 51
내이행성 (4점 기준) 4 4 4 1 2
광택도 1.0 0.9 0.9 2.3 1.9
박리 강도(kgf/in) 0 0 0 0 X
상기 표 1 및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자동차용 내장재는 제2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내이행성이 향상되고, 표면경도 및 광택이 일정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만 비교예 2에서와 같이 제2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 PU기재층과의 박리강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실시예와 같이 점착부여제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차용 내장재는 제2 가소제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우수한 박리강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0: 자동차용 내장재
10: 기재층
20: 표면층
11: 금형
12: 파우더 박스

Claims (19)

  1.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및
    제2 가소제 및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인 기재층; 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소제를 90 내지 140 중량부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K-값(K-value)는 30 내지 80이고,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2 가소제 4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계, 탄화수소계, 테르펜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제2 가소제는 각각 프탈레이트계(Phthalates) 가소제, 아디페이트계(Adiphates) 가소제, 포스페이트계(Phosphates) 가소제, 트리멜리테이트계(Trimellitates) 가소제, 에폭시계(Epoxy) 가소제, 글라이콜계(Glycol) 가소제, 지방산계(Aliphates)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는 상기 제2 가소제, 상기 점착 부여제, 수성 용매,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자동차용 내장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올 화합물을 30 내지 70 중량부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PU) 발포체는 밀도가 80 kg/㎥ 내지 250 kg/㎥ 인
    자동차용 내장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및 상기 기재층은 표면층 : 기재층의 두께비가 1 : 7 내지 2 : 7인
    자동차용 내장재.
  13. 제1 가소제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 수성 용매,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화학 반응시켜 제2 가소제,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인 기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소제를 90 내지 140 중량부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K-값(K-value)는 30 내지 80이고,
    상기 제1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2 가소제 4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제2 가소제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계, 탄화수소계, 테르펜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제1 가소제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60℃ 내지 140℃에서 혼합하여 제조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표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파우더 슬러쉬 몰딩(PSM, Powder Slush Molding) 공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가소제, 상기 점착 부여제 및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0160087516A 2016-07-11 2016-07-11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16A KR101912500B1 (ko) 2016-07-11 2016-07-11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7/007228 WO2018012799A1 (ko) 2016-07-11 2017-07-06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16A KR101912500B1 (ko) 2016-07-11 2016-07-11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743A KR20180006743A (ko) 2018-01-19
KR101912500B1 true KR101912500B1 (ko) 2018-10-26

Family

ID=6095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516A KR101912500B1 (ko) 2016-07-11 2016-07-11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2500B1 (ko)
WO (1) WO20180127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624A (ja) * 1993-04-16 1994-10-25 Toagosei Chem Ind Co Ltd 自動車内装材
JPH10309787A (ja) * 1997-05-13 1998-11-24 Okamoto Ind Inc ポリ塩化ビニル表皮付ポリウレタン発泡一体成形品
JP3834731B2 (ja) * 1997-09-18 2006-10-1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積層体
KR20040055091A (ko) * 2002-12-20 2004-06-26 황달영 경질층 및 발포층으로 구성된 폴리염화비닐 시트의제조방법
JP5694009B2 (ja) * 2010-03-18 2015-04-01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成形品用補強シート、樹脂成形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799A1 (ko) 2018-01-18
KR20180006743A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646B1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KR20160148107A (ko) 자동차용 내장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138196A (ja) プラスチック複合材料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7064B1 (ko) 유리 비산 방지용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유리 파손시 비산 방지 기능을 갖는 강화유리와 그 제조방법
KR101277947B1 (ko) 분체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DE102015220034A1 (de) Folienlaminat und Innenverkleidungsteil für Kraftfahrzeuge
KR101912500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728293B2 (ja) 合成樹脂表皮材の製造方法
WO2023127609A1 (ja) 可塑剤組成物、樹脂組成物、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KR100971557B1 (ko) 지방족 폴리우레탄 기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7022411B2 (en) Pressure and vacuum-deformable, grained bonding foil,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its utilization
JP2513833B2 (ja) 車輌用内装材
JPH11302495A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KR101613182B1 (ko) 부분 가교 폴리프로필렌용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HU218343B (en) Composite article used as floor and wall covering or as inner trim in the car industr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092951B1 (ko) 양면 점착 테이프용 기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6029B2 (ja) 内装用表皮材
KR20200036309A (ko)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5725B1 (ko) 연질 폴리우레탄겔 및 그 제조방법
JP2024138976A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0304108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WO2023054638A1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JP2005239861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該成形体にポリウレタン発泡体が積層されてなる二層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89247A1 (ja) 自動車内装材用積層シート、自動車内装材用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H01163040A (ja) ポリ塩化ビニル積層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