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247B1 - 보일러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247B1
KR101912247B1 KR1020170109252A KR20170109252A KR101912247B1 KR 101912247 B1 KR101912247 B1 KR 101912247B1 KR 1020170109252 A KR1020170109252 A KR 1020170109252A KR 20170109252 A KR20170109252 A KR 20170109252A KR 101912247 B1 KR101912247 B1 KR 10191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 exchange
plate
heat exchanger
exchan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강진구
이근용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5Other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e.g. internal filling means or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내에 겹겹히 적층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 열교환판을 설치하고, 이 열교환판 상단 양측에 열교환판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코너차단필러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코너차단필러에 의해 열교환판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열교환판의 상단 양측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너차단필러에 의해 하우징과 열교환판 사이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코너차단필러 상단 양측에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열교환판에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하우징과 열교환판 사이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유입되지 않아 하우징 내벽면이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 하우징의 가열 방지로 보일러 내의 온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따라, 보일러 내의 전자기기 또는 부품이 열에 의한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특히, 코너차단필러에 차단된 배기가스가 열교환판 사이로 유입되어 열교환판의 가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용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boil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에 설치된 열교환판의 상단 양측과 하우징 사이에 코너차단필러를 삽입 결합하여, 하우징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배기가스가 열교환판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및 아파트내에 설치되고 있는 온수보일러는 사용하는 연료종류에 따라 연탄, 기름, 가스 및 전기보일러로 구분하여 설치용도와 평수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보일러용 열교환기는 물을 가열하여 더운물을 이용하거나, 온수순환장치에 순환 시킬수 있도록 하여 장치가 설치된 방뿐 아니라 장치가 설치되지 아니한 방에도 가열된 온수를 공급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내부에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현열교환파이프를 형성하고, 이 현열교환파이프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현열교환핀을 형성한 현열부열교환기와, 상기 현열부열교환기 하부에 밀착 설치되고, 그 내부에 겹겹히 밀착된 적층 구조의 잠열교환파이프를 형성한 잠열부열교환기를 형성한 구조이다.
여기서, 보일러의 연소실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상기 현열부열교환기 및 잠열부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통과됨으로써, 상기 현열부열교환기 및 잠열부열교환기가 가열되는 것이다.
즉, 상기 현열부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상기 현열교환핀과 열교환작용되어 상기 현열교환핀을 가열하고, 이에따라, 상기 현열교환핀이 상기 현열교환파이프로 열을 전달하여 상기 현열교환파이프가 가열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이 물이 열교환작용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현열부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1차로 열교환된 배기가스는 상기 잠열부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이에따라, 상기 배기가스가 잠열교환파이프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잠열부열교환기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잠열교환파이프 사이로 통과되는 배기가스와 상기 잠열교환파이프는 서로 열교환작용되어 상기 잠열교환파이프가 가열되고, 이에따라, 상기 잠열교환파이프로 통과되는 물이 열교환작용에 의해 가열된다.
여기서, 배기가스는 상기 현열부열교환기에서 열교환작용으로 1차 온도 손실이 발생되고, 이후, 상기 잠열부열교환기에서 열교환작용으로 2차 온도 손실을 갖는 것이다.
즉, 상기 잠열부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현열부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배기가스의 2차 온도 손실이 일어나는 잠열부열교환기로 배기가스 통과시, 이 배기가스가 잠열교환파이프와 잠열부열교환기의 벽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잠열부열교환기의 케이싱이 직접적으로 가열되고, 이 케이싱을 통해 발산되는 열기가 보일러 내로 분출되어 보일러 내부 온도가 상승되며, 이 보일러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해 보일러 내에 구비된 전자기기 또는 열에 취약한 부품 손상이 발생되고, 양 말단에 구비된 잠열교환파이프와 잠열부열교환기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양 말단에 구비된 잠열교환파이프 상단에 열이 집중되어, 잠열교환파이프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이로인해, 불필요한 열 손실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390521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 내에 겹겹히 적층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 열교환판을 설치하고, 이 열교환판 상단 양측에 열교환판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코너차단필러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코너차단필러에 의해 열교환판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열교환판의 상단 양측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일 방향으로 겹겹히 적층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되는 열교환판; 상기 열교환판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열교환판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여, 상기 하우징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열교환판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코너차단필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판은, 그 일면에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도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코너차단필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열교환판 사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열교환판의 상단 코너를 커버하는 커브판과; 상기 커브판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브판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브판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코너차단필러의 덮개판은, 상기 커브판 일단에서 연장 형성된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 일단에서 이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브판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마감부; 및 상기 이음부와 상기 마감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마감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텐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 상면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텐션부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물흐름유도턱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그 일단에 적어도 2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그 상단이 하우징의 상단으로 노출된 압입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커브판은, 그 하단 양측 모서리에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벽면에 걸림되는 걸림쇠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너차단필러에 의해 하우징과 열교환판 사이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코너차단필러 상단 양측에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열교환판에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하우징과 열교환판 사이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유입되지 않아 하우징 내벽면이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 하우징의 가열 방지로 보일러 내의 온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따라, 보일러 내의 전자기기 또는 부품이 열에 의한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특히, 코너차단필러에 차단된 배기가스가 열교환판 사이로 유입되어 열교환판의 가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코너차단필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배기가스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고,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현열열교환기(미도시)가 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 테두리는 현열열교환기(미도시)를 떠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판(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200a)를 형성하고, 일 방향으로 겹겹히 적층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된다.
상기 통로(200a)는 물공급장치(미도시)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물이 순환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통로(200a)를 통해 순환되는 물은 상기 열교환판(200)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다.
상기 열교환판(200)은 그 일면에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도홈(201)을 더 형성한다.
상기 유도홈(201)은 "〉"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홈(201)은 상기 하우징(100)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지연시켜, 상기 열교환판(200)이 배기가스와 열교환작용 되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판(200)의 각 모서리는 곡선을 이루는 부채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차단필러(300)는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여, 상기 하우징(100)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코너차단필러(300)는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열교환판(200) 사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코너를 커버하는 커브판(310)과, 상기 커브판(310)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브판(310)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커브판(31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덮개판(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브판(310)은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모서리 외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판(200)의 모서리를 감싼다.
상기 커브판(310)은 그 양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정해진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열교환판(200) 상단 모서리를 감싸 커버한다.
상기 코너차단필러(300)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에서 상기 열교환판(200)의 통로(200a) 중심까지의 직선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코너차단필러(300)의 커브판(310) 및 덮개판(320)의 말단은 상기 열교환판(200)의 통로(200a) 중심 넘어에 위치된다.
상기 커브판(310)은 그 하단 양측 모서리에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걸림되는 걸림쇠(311)를 더 형성한다.
상기 걸림쇠(311)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에 점 접촉되어, 상기 커브판(310)이 상기 열교환판(200)의 모서리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판(320)은 상기 커브판(31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너차단필러(300)의 덮개판(320)은 상기 커브판(310) 일단에서 연장 형성된 이음부(321)와, 상기 이음부(321) 일단에서 이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커브판(31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마감부(322) 및 상기 이음부(321)와 상기 마감부(322)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마감부(32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텐션부(323)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부(322)는 그 일단에 적어도 2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그 상단이 하우징(100)의 상단으로 노출된 압입부(324)를 더 형성한다.
상기 마감부(322)의 압입부(324)는 하방으로 눌림되어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커브판(31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상기 압입부(324)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 상면에 밀착되는 현열열교환기(미도시)에 가압되어 상기 마감부(322)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한다.
상기 텐션부(323)는 상기 압입부(324)에 의해 상기 마감부(322)가 하방으로 눌리도록 안내한다.
상기 텐션부(323)는 상기 덮개판(320)의 마감부(322) 상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열교환판(200)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마감부(322)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마감부(322)는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322) 상면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텐션부(323)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물흐름유도턱(322a)을 더 형성한다.
상기 물흐름유도턱(322a)은 상기 마감부(322) 상면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텐션부 (323)양측 말단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텐션부(323) 중앙부에 물이 고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하우징(100) 내에 복수개로 겹겹이 적층되도록 형성된 열교환판(200)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기 열교환판(200)의 통로(200a)가 서로 이음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그 상,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통해 배기가스를 내부공간으로 유입한 후, 이 내부공간 내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상기 코너차단필러(300)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코너차단필러(300)의 커브판(310)을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커브판(310)의 걸림쇠(311)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에 점 접촉된 상태로 걸림되어, 상기 커브판(310)이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모서리를 감싸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브판(310)은 그 양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복수의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모서리를 동시에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커브판(310)이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로 진입됨에 따라, 상기 덮개판(320)이 상기 커브판(310)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커브판(31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한다.
이때, 상기 덮개판(320)의 이음부(321)와 상기 텐션부(323)에 의해 이음 연결된 상기 마감부(322)는 상기 텐션부(323)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상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상기 코너차단필러(300)로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 상면에 현열열교환기(미도시)를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현열열교환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마감부(322)의 압입부(324)가 하방으로 눌림되고, 이에따라, 상기 마감부(322)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커브판(31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 마감한다.
이후,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면, 이 배기가스가 상기 코너차단필러(3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특히,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열교환판(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판(200)은 그 일면에 형성된 상기 유도홈(201)으로 배기가스가 경유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함으로써,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이 지연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판(200)과 배기가스간의 열교환작용 시간 상승으로 상기 열교환판(200)이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판(100)의 통로(200a)을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이 물이 상기 통로(200a)를 따라 경유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열교환판(200)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면서 온수로 변화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 내의 열교환판(200)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 상면에서 상기 현열열교환기(미도시)를 분리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판(320)의 마감부(322)가 상기 텐션부(32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후, 상기 하우징(100) 상면에 현열열교환기(미도시)를 밀착 결합하게 되면,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덮개판(320)이 상기 커브판(31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 마감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판(200)과 하우징(100) 사이로 코너차단필러(300)를 삽입 결합하여, 열교환판(200)과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는, 코너차단필러(300)에 의해 하우징(100)과 열교환판(200) 사이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코너차단필러(300) 상단 양측에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열교환판(200)에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하우징(100)과 열교환판(200) 사이의 틈새로 배기가스가 유입되지 않아 하우징(100) 내벽면이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 하우징(100)의 가열 방지로 보일러 내의 온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하우징 200 : 열교환판
200a : 통로 201 : 유도홈
300 : 코너차단필러 310 : 커브판
311 : 걸림쇠 320 : 덮개판
321 : 이음부 322 : 마감부
322a : 물흐름유도턱 323 : 텐션부
324 : 압입부

Claims (10)

  1.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200a)를 형성하고, 일 방향으로 겹겹히 적층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되는 열교환판(200);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여, 상기 하우징(100)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열교환판(20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코너차단필러(300);
    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차단필러(300)는,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열교환판(200) 사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코너를 커버하는 커브판(310)과, 상기 커브판(310)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브판(310)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커브판(31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덮개판(320)을 형성하며,
    상기 코너차단필러(300)의 덮개판(320)은,
    상기 커브판(310) 일단에서 연장 형성된 이음부(321)와;
    상기 이음부(321) 일단에서 이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커브판(31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마감부(322); 및
    상기 이음부(321)와 상기 마감부(322)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마감부(32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텐션부(32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판(200)은,
    그 일면에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도홈(201)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322)는,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322) 상면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텐션부(323)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물흐름유도턱(322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6. 제 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322)는,
    그 일단에 적어도 2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그 상단이 하우징(100)의 상단으로 노출된 압입부(324)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브판(310)은,
    그 하단 양측 모서리에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걸림되는 걸림쇠(311)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브판(310)은,
    상기 열교환판(200)의 상단 모서리 외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차단필러(300)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에서 상기 열교환판(200)의 통로(200a) 중심까지의 직선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322)의 압입부(324)는,
    하방으로 눌림되어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커브판(310)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20170109252A 2017-08-29 2017-08-29 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191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52A KR101912247B1 (ko) 2017-08-29 2017-08-29 보일러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52A KR101912247B1 (ko) 2017-08-29 2017-08-29 보일러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247B1 true KR101912247B1 (ko) 2018-10-29

Family

ID=6410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252A KR101912247B1 (ko) 2017-08-29 2017-08-29 보일러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2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316A (ja) 2005-04-13 2006-10-26 Noritz Corp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JP2011519410A (ja) 2007-10-18 2011-07-07 ステゴ−ホールディ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 加熱装置および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316A (ja) 2005-04-13 2006-10-26 Noritz Corp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JP2011519410A (ja) 2007-10-18 2011-07-07 ステゴ−ホールディ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 加熱装置および熱交換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4445A1 (en) Condensing gas water heater, condensing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plate
US10527279B2 (en) Combustion apparatus
KR101912247B1 (ko) 보일러용 열교환기
JP2020016420A (ja) 燃焼装置および温水装置
KR100933419B1 (ko)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
JP5812339B2 (ja) 燃焼装置
KR101878203B1 (ko) 콘덴싱 방식의 연소장치
KR100570286B1 (ko) 열교환장치
KR101899911B1 (ko) 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1215688B1 (ko)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CN215864028U (zh) 燃气热水器
CN112556166B (zh) 温水装置
KR20120056545A (ko) 급기공기를 이용한 연소실 냉각구조
KR100822173B1 (ko) 보일러의 연소실 냉각구조
KR102371311B1 (ko) 잠열 열교환기 조립체
KR100872965B1 (ko) 열교환유로와 연소실냉각유로가 일체화된 보일러의 연소실냉각구조
US20230358440A1 (en) Boiler for making hot water and room heating water available simultaneously
KR102332115B1 (ko)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KR102552587B1 (ko) 히터를 이용한 난방 보일러
JPS586164Y2 (ja) パネル放熱器
CN217303186U (zh) 一种可调传热系数的全预混热交换器
CN220017745U (zh) 一种局部供暖型热水器
KR101381560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컨벡션 오븐
KR101962352B1 (ko) 열풍발생수단을 구비하는 보일러
KR200431526Y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