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122B1 -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22B1
KR101912122B1 KR1020160101170A KR20160101170A KR101912122B1 KR 101912122 B1 KR101912122 B1 KR 101912122B1 KR 1020160101170 A KR1020160101170 A KR 1020160101170A KR 20160101170 A KR20160101170 A KR 20160101170A KR 101912122 B1 KR101912122 B1 KR 10191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frame
wall
insertion piec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403A (ko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진 filed Critical 강성진
Priority to KR102016010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벽체프레임을 이중구조로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결로를 해결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은 하중을 외부프레임은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벽체프레임(100)은 L앙카 볼트(B)에 체결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 외부벽체프레임(110)과, 그 내측에 볼트 등으로 2중 구조가 되도록 체결고정되는 내부벽체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며;
간격유지클립(300)은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벽체프레임(100)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벽체프레임(100)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311)가 형성된 삽입편(310)과, 삽입편(310)을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할 때 손으로 잡고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삽입중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편(310)이 벽체프레임(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절곡편(3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Double standard Wall House System}
본 발명은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벽체프레임을 이중구조로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결로를 해결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은 하중을 외부프레임은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란 지붕과 기둥 또는 벽으로 구성된 공간이다.
기술적으로 기초, 기둥 또는 벽체, 상부층의 바닥(스라브) 또는 지붕(평지붕, 경사지붕)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연결하여 축조하여야 한다. 안정적인 건축물은 상부층의 수평하중(고정하중, 적재하중 등)과 외부적인 힘(풍압, 지진 등)에 견디게끔 기둥이나 벽체를 결구하여 지내력에 대응하여 축조된 기초(독립기초, 줄기초, 매트기초)에전달하면서 변형이 없는 구조체이다.
기존의 건축공법은 전문 기술력을 보유한 기능인들이 수많은 공정을 현장 여건에 맞춰가면서 설치하고 완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많은 노동력과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기에 품질의 저하와 비용이 증가 된다.
대안으로 국내특허등록 10-0643075호, 10-0705697호와 같은 모듈러 건축물의 개발이 활발하다.
이러한 모듈러 공법은 내후성강을 소재로 기본틀을 80%이상 사전 제작해 현장에서 설치하는 선진화된 건축공법이다.
컨테이너 형태의 철골 구조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해 상자를 쌓듯이 건물을 짓는 방식이다. 이 공법은 건축물의 품질 확보와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쉽게 이동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어 종전 건설공법에 비해 공사품질, 경제성, 환경친화성 면에서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모듈러 공법의 가장 큰 강점은 공사기간과 경제성이다. 공사기간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고 공사비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에서 탁월하다는 것이다.
또한, 현장 작업을 줄여 폐기물 발생이 최대한 억제되고 현장의 소음과 먼지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러 공법은 각형강관 기둥과 C형강 보를 강접합하고 합성 혹은 PC 바닥판을 C형강 웨브에 삽입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모듈러 공법은 이동수단의 제한으로 각각 분리된 상태의 모듈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동하는데 많은 운반비용과 적재하차에서 파손이 발생하고, 힘든 조립작업을 통하여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모듈러 건축물은 수요자의 욕구를 채우기에 부족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등록 10-0643075호 국내특허등록 10-07056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벽체프레임을 이중구조로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결로를 해결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은 하중을 외부프레임은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이중벽체프레임은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외부로 시공되어 벽체를 이루는 벽체프레임(100)과;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벽체프레임(100)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클립(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벽체프레임(100)은 L앙카 볼트(B)에 체결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 외부벽체프레임(110)과, 그 내측에 볼트 등으로 2중 구조가 되도록 체결고정되는 내부벽체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며;
간격유지클립(300)은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벽체프레임(100)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벽체프레임(100)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311)가 형성된 삽입편(310)과, 삽입편(310)을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할 때 손으로 잡고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삽입중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편(310)이 벽체프레임(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절곡편(3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중벽체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의 평탄작업단계는 건축물을 시공할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 지면의 평탄도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 후 안전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기초프레임조립단계는 평탄작업한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기초프레임을 조립하는 것으로, 기초프레임을 사각형상으로 다수의 층으로 적층한 후 L앙카 볼트가 구비된 브라켓으로 기초프레임을 체결하여 고정하여 기초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
타설 및 양생단계는 조립된 기초프레임을 지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기초프레임의 내측에 타설하여 양생하되 L앙카 볼트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최상부에서 일부가 돌출된 상태가 되어 이후에 건축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벽체프레임조립단계는 양생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최상부에서 일부가 돌출된 L앙카 볼트에 벽체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로;
벽체프레임 조립단계는 다시 L앙카 볼트에 외부벽체프레임을 체결고정하는 단계와, 외부벽체프레임에 간격유지클립을 고정하는 단계와, 내부벽체프레임을 외부벽체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체결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은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벽체프레임을 이중구조로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결로를 해결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은 하중을 외부프레임은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촌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체 구성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용 프레임(1)은 도 1 ~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외부로 시공되어 벽체를 이루는 벽체프레임(100)과;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벽체프레임(100)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클립(300)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벽체프레임(100) 중 외부벽체프레임(110)은 L앙카 볼트(B)에 체결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L앙카 볼트(B)에 의해 고정되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외부벽체프레임(110)을 L앙카 볼트에 의해 기초프레임에 체결한 후 그 내측에 볼트 등으로 내부벽체프레임(120)을 2중 구조가 되도록 체결고정한다.
이때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이에 간격유지클립(300)을 삽입한 후 내부벽체프레임(120)을 외부벽체프레임(110)에 체결고정한다.
상기 간격유지클립(300)은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벽체프레임(100)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편(310)과 삽입편 일단에서 절곡형성된 절곡편(330)으로 이루어진다.
삽입편(310)은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프레임(100)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311)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편(330)은 삽입편(310)을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할 때 손으로 잡고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삽입중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편(310)이 벽체프레임(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중벽체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탄작업단계는 건축물을 시공할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 지면의 평탄도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 후 안전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초프레임조립단계는 평탄작업한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기초프레임을 조립하는 것으로, 기초프레임을 사각형상으로 다수의 층으로 적층한 후 L앙카 볼트가 구비된 브라켓으로 기초프레임을 체결하여 고정하여 기초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이다.
타설 및 양생단계는 조립된 기초프레임을 지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기초프레임의 내측에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이다.
벽체프레임조립단계는 양생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최상부에서 일부가 돌출된 L앙카 볼트에 벽체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이다.
벽체프레임 조립단계는 다시 L앙카 볼트에 외부벽체프레임을 체결고정하는 단계와;
외부벽체프레임에 간격유지클립을 고정하는 단계와;
내부벽체프레임을 외부벽체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체결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건축물은 벽체프레임을 이중구조로 조립하여 시공함으로써 결로를 해결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은 하중을 외부프레임은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벽체프레임 110 : 외부벽체프레임
120 : 내부벽체프레임 300 : 간격유지클립

Claims (4)

  1.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외부로 시공되며, L앙카 볼트(B)에 체결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 외부벽체프레임(110)과, 그 내측에 볼트 등으로 2중 구조가 되도록 체결고정되는 내부벽체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벽체프레임(100)과;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벽체프레임(100)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되어 소정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벽체프레임(100)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311)가 형성된 삽입편(310)과, 삽입편(310)을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삽입할 때 손으로 잡고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삽입중 벽체프레임(100) 사이에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편(310)이 벽체프레임(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절곡편(330)으로 구성된 것 간격유지클립(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01170A 2016-08-09 2016-08-09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KR10191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170A KR101912122B1 (ko) 2016-08-09 2016-08-09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170A KR101912122B1 (ko) 2016-08-09 2016-08-09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03A KR20180017403A (ko) 2018-02-21
KR101912122B1 true KR101912122B1 (ko) 2018-10-26

Family

ID=6152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170A KR101912122B1 (ko) 2016-08-09 2016-08-09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1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96B1 (ko) * 2009-04-28 2010-01-20 (주)이에스연구소 경량패널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97B1 (ko) 2004-12-23 2007-04-10 주식회사 포스코 모듈러 건축물의 보와 기둥 접합 구조
KR100643075B1 (ko) 2006-01-05 2006-11-13 주식회사 광스틸 모듈형 조립식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63706B1 (ko) * 2006-04-11 2007-01-03 노정병 스틸 하우스 용접 이음 다중 패널 볼트 조립 공법
KR101214246B1 (ko) * 2011-02-18 2012-12-20 (주) 에스와이씨 미끄럼방지 요철이 구비된 체결용 평판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96B1 (ko) * 2009-04-28 2010-01-20 (주)이에스연구소 경량패널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03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291B2 (en) Stronger wall system
US20060236627A1 (en) Combination lift and anchor connector for fabricated wall and floor panels
DK178478B1 (da) System til konstruktion af en bygning
KR100973152B1 (ko) 복층 건물의 필로티 보강 구조체
KR20170120259A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US8499504B1 (en) Prefabricate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WO2006095266A1 (en)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s using prefabricated materials
KR101862567B1 (ko)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KR101912122B1 (ko) 이중벽체 표준 하우스시스템
US11155977B2 (en) Portal frame with lap joint for moment resistance
JP5612353B2 (ja) 建物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JP5319401B2 (ja) 柱脚保護構造
KR20180025372A (ko) 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KR20160030029A (ko) 이동식 가옥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2172651B1 (ko) 간이 수영장 건설공법
CN116547432A (zh) 建筑组件、由其形成的建筑物结构及其构造方法
KR101437083B1 (ko)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KR101695378B1 (ko)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KR10090938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JP671548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144942B1 (ko)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029490A (ko) 경량화 구조로된 프리캐스트 패널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트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