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896B1 - 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 - Google Patents

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896B1
KR101911896B1 KR1020160104368A KR20160104368A KR101911896B1 KR 101911896 B1 KR101911896 B1 KR 101911896B1 KR 1020160104368 A KR1020160104368 A KR 1020160104368A KR 20160104368 A KR20160104368 A KR 20160104368A KR 101911896 B1 KR101911896 B1 KR 10191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laminated
layer
mol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0352A (en
Inventor
정기율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주)미정
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정, 정재현 filed Critical (주)미정
Priority to KR102016010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896B1/en
Publication of KR2018002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2Laminating or undulating a continuous dough sheet, e.g. by folding transversely or longitudinally onto a mov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Abstract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성형시키는 복 수개의 반죽기와, 복 수개의 반죽기에 각각 성형된 반죽으로 면대를 각각 성형시키는 복 수개의 성형기와, 성형기에서 성형된 복 수개의 면대를 순차 적층시켜 이송하는 적층 이송부와, 적층 이송부에서 이송된 적층면대를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로 성형하는 적층 면대 성형부와, 적층 면대 성형부에서 성형된 적층 면대를 복 수회 압연하여 성형시키는 압연부 및 압연부에서 성형된 면대를 설정된 형상 및 길이로서 절단시켜 면발을 제조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대의 구조를 다층으로 구현함에 따라 각 층을 이루는 면대의 재료를 선택적으로 투입하고, 그 양을 조절함에 따라 식감과 맛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 multi-layered face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ading machine for kneading a plurality of kneaders for mixing and kneading a material, a plurality of molding machines each for molding a face sheet with dough each molded into a plurality of kneading machines, A lamination face plate forming section for pressing the lamination face plate conveyed from the lamination conveying section to form a lamination fac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rolling section for rolling the lamination face sheet formed by the lamination face plate forming section to form a sheet; And a cut section for cutting the formed face shee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length to produce a face f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surface layer is implemented in multiple layers, the material of the surface layer constituting each layer can be selectively introduced and the amount of the surface layer can be adjusted to control the texture and taste.

Description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와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ed surface preparation apparatus and a multi-layered surface preparation method using a multi-

본 발명은 식감 및 맛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다층구조의 면대를 제조할 수 있는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 및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ayered face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multi-layered face sheet, which can manufacture a multi-layered face sheet so that the texture and taste can be easily controlled.

일반적으로, 면은 제조나 조리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BC6000∼BC5000년경에 이미 아시아 지방에서 만들어 먹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지며, 한국에서도 아주 오래 전부터 생일, 혼례 등 경사스러운 날의 특별음식으로 애용 되어 왔다.In general, cotton is relatively easy to manufacture and cook, so BC6000 ~ BC 5,000 years ago, it is said to have started to eat in Asia, has long been a favorite food in South Korea for a long time, such as birthday and wedding ceremony.

이러한 면을 이용한 요리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재료에 따라 밀가루로 만든 밀국수, 소면(素麵), 마카로니, 메밀가루로 만든 메밀국수, 감자의 녹말로 만든 당면 등이 있고, 반죽하여 뽑아낸 면을 수분이 14~15% 정도가 되게 건조시킨 건면(乾麵), 반죽한 것을 끈 모양으로 만들어 가열한 생면(生麵), 생면을 삶은 다음 기름에 튀기거나 또는 그대로 뜨거운 바람으로 건조시켜 녹말을 알파화(α化)한 호화건면 등이 있다.There are many kinds of dishes using these sides. Depending on the materials, there are wheat noodles made of flour, soba noodles made of buckwheat flour, macaroni, buckwheat noodles made of buckwheat flour, potato starch, The dried surface is dried to 14 ~ 15% moisture, the raw surface which is made by making the kneaded thing into a string shape, the raw surface is boiled, then it is fried in oil or dried by hot wind And a luxurious noodle in which starch is alpha-converted.

근래에는 보다 다양한 제품등이 출시되어왔다. 예를 들면, 기름에 튀긴뒤에 스프와 함게 조리하는 라면과, 즉석라면, 촉촉한 상태의 면으로 출시되는 생면등, 면발의 굵기나 건조방식, 판매방식, 조리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다. More and more products have been introduced in recent years. For example, various kinds of noodles have been releas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noodles, the drying method, the selling method, and the cooking method, such as ramen which is fried in oil and cooked with soup, instant noodles, and noodles which are released as moistened noodles.

이중에서 종래에는 밀가루의 고유 색상인 흰색이 일반적이며, 메밀가루, 갈근 분말 등 일부 기능성 가루등이 첨가된 유색면이 생산되어 왔다. Among them, white, which is a unique color of flour, is generally used, and colored cotton having added some functional powder such as buckwheat flour and powdered flour has been produced.

그러나 종래의 유색상을 갖는 국수는 주원료나 부원료를 혼합시켜 색을 원래 색상인 하얀색에 다른 색상을 부가하는 것이기에 재료간의 시각적인 효과만을 강조할 뿐, 이에 따른 식감의 조절이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noodles having the conventional oil color are mixed with the main raw material or the subsidiary raw material so that the color is added to the original color, white color, so that only the visual effect of the materials is emphasized.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55648호(2007.08.2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755648 (Aug. 29,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 수개가 적층되어 식감 및 맛 조절이 가능한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 및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ed surface preparation apparatus and multi-layered surface preparation metho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이루는 면대 및 이를 이용한 면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성형시키는 복 수개의 반죽기와, 복 수개의 반죽기에 각각 성형된 반죽을 성형하여 각각 면대를 성형시키는 복 수개의 성형기와, 성형기에서 성형된 복 수개의 면대를 순차 적층시켜 이송하는 적층 이송부와, 적층 이송부에서 이송된 적층면대를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로 성형하는 적층 면대 성형부와, 적층 면대 성형부에서 성형된 적층 면대를 복 수회 압연하여 성형시키는 압연부 및 압연부에서 성형된 면대를 설정된 형상 및 길이로서 절단시켜 면발을 제조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layered face plate and the cotton mak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kneaders for mixing and kneading the materials and a kneader for molding the kneading molds, A lamination face plate forming section for pressing the lamination face plate transferred from the lamination transfer section to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lamination face plate forming section for pressing the lamination face plate transferred from the lamination transfer section, And a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surface plate formed by the rolling uni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length to produce a face flou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식감을 갖는 면대를 적층시킬 수 있어 다양한 맛을 갖는 면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laminating a face sheet having different texture to produce a surface having various flavors.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료로서 제조된 면대들을 적층시킨 면대로서 면을 제조함에 따라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iving a visual effect by producing a face as a face sheet in which face faces produced from different materials are lamin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이루는 면대 및 면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층 면대 성형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다층 구조의 면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서 압연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면대를 이용한 면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적층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ace plate and a fac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aminated sheet forming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ace sheet of a multi-layer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mplified view of a rolled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 using a face sheet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aminated transfer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수단"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의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 absent, "and " means"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of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 Be able 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면대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면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face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를 간략 도시한 블럭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multi-layered face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구동 및 정지명령이 입력되는 조작패널(도시되지 않음)과, 조작패널(도시되지 않음)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각 구성을 온오프 시키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어 투입된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부(110)와, 반죽부(110)에서 반죽된 원재료를 판형상으로 성형된 면대를 출력하는 성형부(120)와, 성형부(120)에서 출력된 면대를 이송하는 적층 이송부(130)와, 적층 이송부(130)에서 이송된 복 수개의 면대를 적층시키는 적층 면대 성형부(140)와, 적층 면대 성형부(140)에 적층된 다층구조의 면대를 복수회 이상 압착하는 압연부(150)와, 압연부(150)에서 압착된 면대를 설정된 크기로서 절단하는 절단부(160)와, 절단부(160)에서 절단된 면을 포장하는 포장부(170)를 포함한다.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panel (not shown) for turning on and off each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A kneading unit 110 for kneading the input material driven by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a forming unit 120 for outputting the kneaded raw material from the kneading unit 110 to a plate- A lamination conveying section 130 for conveying the facets output from the forming section 120, a lamination facet forming section 140 for laminating a plurality of facets conveyed from the lamination conveying section 130, A cut portion 160 for cutting the face portion pressed by the rolled portion 150 to a predetermined size; a cut portion 160 cut at the cut portion 160; And a packaging portion 170 for packaging the surface.

반죽부(110)는 면대의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한다. 여기서 반죽부(110)는 면대의 층수에 일치되는 반죽기(111~113)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반죽부(110)는 총 3개층의 구조를 갖는 면대를 제조한다면, 제1 내지 제3층(C)의 재료를 반죽하는 제1 내지 제3반죽기(111~113)를 포함한다. 이중, 제1반죽기(111)는 제1층(A)의 면대를 이루는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고, 제2반죽기(112)는 제2층(B)의 면대를 이루는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고, 제3반죽기(113)는 제3층(C)의 면대를 이루는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한다. The kneading part 110 mixes and kneads the material of the face plate. Here, the kneading part 110 includes kneaders 111 to 113 which correspond to the number of layers of the face plate. For example, if the kneading part 110 manufactures a face sheet having a total of three layers, it includes first to third kneaders 111 to 113 kneading the materials of the first to third layers (C) . The first kneader 111 mixes and knead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ace of the first layer A and the second kneader 112 mixes and knead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ace of the second layer B, The third kneader (113) mixes and knead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ace of the third layer (C).

또한, 면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층을 이룰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일예로서 제1내지 제3층(C)을 이루는 면대와 그 제조 과정을 일예로서 설명한다. 이는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face plate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face plate constituting the first to third layers C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3개 층을 이루는 면대는 제1층(A)과 제3층(C)을 제2층(B)의 상하면으로 각각 적층하면, 제1층(A)과 제3층(C)이 외층을 이루고, 제2층(B)이 내층을 이룬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layer (A) and the third layer (C) are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layer (B), the first layer (A) The third layer (C) forms an outer layer, and the second layer (B) forms an inner layer.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인 식감의 조절을 위하여 제1층(A)과 제3층(C)은 동일 재료 및 혼합비로서 동일한 식간을 갖도록 면대를 형성하고, 제2층(B)은 색다른 식감을 위하여 제1층(A) 및 제3층(C)에 비하여 거칠거나 또는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te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ayer (A) and the third layer (C)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material and mixing ratio, and the second layer (B) (A) and the third layer (C) can have rough or soft texture.

또는 제1층(A)과 제3층(C)은 단맛이 적고 구수한 맛을 낸다면, 제2층(B)은 보다 강한 단맛이나 기타 맛을 위하여 곡물류(쌀, 보리)외에 기능성 재료(약재류, 곡물류, 견과류, 마른 채소 및 과일, 고구마, 감자, 찻잎중 적어도 하나)가 더 투입될 수 있고, 층별 색상이 동일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Or the first layer (A) and the third layer (C) give a sweet taste and a savor taste, the second layer (B) At least one of fresh fruits, grains, nuts, dried vegetables and fruits, sweet potatoes, potatoes, and tea leaves) may be further introduced, and the layer colo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즉, 외층을 이루는 제1층(A)과 제3층(C)은 동일 재료들이 혼합 및 반죽되고, 제2층(B)은 제1층(A)과 제3층(C)과 다른 재료 및/또는 혼합비로서 반죽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first layer A and the third layer C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are mixed and kneaded with the same materials, and the second layer B is formed by mixing the first layer A and the third layer C with another material And / or a mixing ratio.

성형부(120)는 반죽부(110)의 구성과 동일한 숫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성형부(120)는 제1층(A)을 성형하는 제1성형기(121)와, 제2층(B)을 성형하는 제2성형기(122)와, 제3층(C)을 성형하는 제3성형기(123)를 포함한다. The forming part 120 i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as that of the kneading part 110. For example, the molding part 120 includes a first molding machine 121 for molding the first layer A, a second molding machine 122 for molding the second layer B, a third layer C, And a third molding machine 123 for molding the second molding machine.

여기서, 제1 내지 제3성형기(121~123)는 판형상으로 면대를 성형한다. 예를 들면, 제1성형기(121)는 제1반죽기(111)에서 반죽 및 혼합된 재료를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판 형상의 제1면대(A)를 성형한다. 마찬가지로, 제2성형기(122)는 제2반죽기(112)의 반죽을 성형하여 제2면대(B)를 성형하고, 제3성형기(123)는 제3층(C)을 이루는 제3면대(C)를 성형한다. Here, the first to third molding machines 121 to 123 mold the face plates in a plate shape. For example, the first molding machine 121 presses the kneaded and mixed materials in the first kneader 111 to form a first face plate A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Similarly, the second molding machine 122 molds the second face plate B by molding the dough of the second kneader 112, and the third molding machine 123 forms the third face plate C ).

상기와 같은 성형부(120) 및 반죽부(110)는 일체형으로 구성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죽부와 성형부는 일체형으로서 재료를 반죽하여 면대 형상으로 성형하여 적층 이송부로 성형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성형부 및 반죽부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세부 구조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The molding part 120 and the kneading part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the kneaded portion and the form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material may be kneaded, molded into a face-to-face shape, and formed into a laminated transfer portion. Such a single-piece or separate-shaped forming portion and a kneading portion ar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as a generally known configuration is applied.

적층 이송부(130)는 제1 내지 제3성형기(121~123)에서 성형된 제1 내지 제3면대(A~C)를 순차적으로 적층 이송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기의 적층 면대 성형부(140)와 함께 설명한다. The stack conveying unit 130 sequentially stacks the first to third face plates A to C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molding machines 121 to 123.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conjunction with the laminated surface forming section 140 described below.

적층 면대 성형부(140)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laminated sheet forming section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층 면대 성형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층 면대를 간략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aminated sheet forming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a laminated surface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적층 이송부(130)는 제1성형기(121) 내지 제3성형기(123)에서 성형된 각각의 면대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131~133)와, 제1면대(A) 내지 제3면대(C)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이송하는 이송벨트(134) 및/또는 회전롤러(135)를 포함한다. 2 and 3, the laminated transfer unit 130 includes at least one guide rollers 131 to 133 for guiding respective face plates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molding machines 121 to 123, And a conveyance belt 134 and / or a rotation roller 135 for sequentially stacking and conveying the first to third side panels A to C, respectively.

가이드롤러(131~133)는 성형기(121~123)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성형된 면대를 이송벨트(134)의 상면으로 안내한다. 예를 들면, 제1가이드롤러(131)는 제1성형기(121)에서 성형된 면대를 이송벨트(134)의 상면으로 안내하고, 제2가이드롤러(132)는 제2성형기(122)에서 성형된 면대를 제1면대(A)의 상면으로 안내하고, 제3가이드롤러(133)는 제3성형기(123)에서 성형된 제3면대(C)를 제2면대(B)의 상면으로 안내한다. At least one or more guide rollers 131 to 133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molding machines 121 to 123 to guide the formed face shee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134. For example, the first guide roller 131 guides the surface plate formed by the first molding machine 12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134, and the second guide roller 132 guides The third guide roller 133 guides the third face plate C formed by the third molding machine 123 to the upper face of the second face frame B .

여기서, 제1가이드롤러 내지 제3가이드롤러(131, 132, 133)는 상호 밀착되도록 회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방향을 전환 및/또는 유도할 수 있도록 전환롤러(131a, 132a, 133a)가 각각 구비된다. The first guide roller 131, the second guide roller 131, the third guide roller 133, the third guide roller 133, and the third guide roller 133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guide rollers 131a, 132a, and 133a Respectively.

이송벨트(134)는 다 수개의 회전롤러(135)에 의하여 무한회전되어 제1성형기 내지 제3성형기(121~123)로부터 성형된 면대를 순차 및/또는 적층시켜 이송한다. The conveyance belt 134 is rotated endlessly by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135 to convey the formed face sheets from the first molding machine to the third molding machine 121 to 123 sequentially and / or stacked.

즉, 적층 이송부(130)는 제1성형기 내지 제3성형기(121~123)로부터 순차적으로 성형된 제1내지 제3면대(A~C)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적층면대 성형부(120)로 이송시킨다. That is, the stack conveying unit 130 sequentially stacks the first to third face plates A to C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first molding machine to the third molding machines 121 to 123, and transfers them to the lamination face plate molding part 120 .

적층 면대 성형부(140)는 적층된 면대들을 가압하는 다층가압롤러(141)와, 면대가 적층될 때 마다 소정의 압력을 가압시키는 순차가압롤러(142)를 포함한다. The laminated sheet forming section 140 includes a multilayer pressure roller 141 which presses the stacked face plates and a sequential pressing roller 142 which presses a predetermined pressure each time the sheet stack is stacked.

다층가압롤러(141)는 적층 이송부(130)에 의하여 다층을 이루어 이송된 적층면대를 가압하여 두께의 감소 및 각층을 이루는 면대를 접착시킨다. The multilayer pressurizing roller 141 presses the stacked face plates conveyed in the form of a multilayer by the stack conveying unit 130 to reduce the thickness and adhere the face sheets constituting each layer.

순차가압롤러(142)는, 예를 들면, 제2면대(B)가 제1면대(A)의 상면으로 적층된 이후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다층가압롤러(141)의 역할을 분담할 수 있다. The sequential pressurizing roller 142 can pressurize the second face plate B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fter the second face plate B is stacked on the upper face of the first face plate A to share the role of the multilayer pressure roller 141 have.

또는, 면대가 4층으로 적층될 경우에는 순차가압롤러(142)가 2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순차가압롤러(142)는 제1면대(A)가 제2면대(B)에 적층된 이후에 1차 가압하고, 제1순차가압롤러(142)의 후방에 설치된 제2순차가압롤러(142)는 제2면대(B)에 제3면대(C)가 적층된 이후에 제1면대(A)와 제2면대(B) 및 제3면대(C)가 적층된 면대들을 가압한다.Alternatively, when the sheet is stacked in four layers, two successive pressing rollers 142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first sequential pressurizing roller 142 first pressurizes after the first face plate A is stacked on the second face B and presses the second pressurizing roller 142, which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quential pressurizing roller 142, The sequential pressure roller 14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ace side A and the second face side B and the third face side C are stacked on each other after the third face side C is stacked on the second face side B Pressure.

상기와 같은 순차가압롤러(142) 및 다층가압롤러(141)는 보다 많은 수의 면대가 적층될 경우에 면발의 굵기나 두께를 보다 얇게 조절할 경우에 유리하고, 면대들이 이동과정중에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등에 의하여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quential pressure roller 142 and the multi-layer pressure roller 141 are advantageous when the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noodles are adjusted to be thinner when a greater number of the noodles are stack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lodgement due to shaking or the like.

또한, 다층가압롤러(141)와 순차가압롤러(142)에 의한 반복적인 가압은 재료를 더욱 찰지게 할 수 있어 반죽기에서의 반죽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Repeated pressurization by the multi-layer pressurizing roller 141 and the sequential pressurizing roller 142 can further tighten the material, thereby saving the kneading time in the kneader.

또한, 본 발명의 면대는 복수개의 면대가 적층 되더라도 각 층간의 두께(h1~h3)와 전체 두께의 비율을 설정하여 식감의 조절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대가 제1 내지 제3층(C)을 이룰 경우에 외층을 이루는 제1층(A)과 제3층(C)의 두께(h1, h3)와, 내층을 이루는 제2층(B)의 두께(h2)를 한정하여 식감(예를 들면, 씹히는 정도로서 부드럽고, 딱딱한 정도) 및/또는 맛(예를 들면, 당도)을 조절함이 가능하다.Further, the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the texture of the surface by setting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h1 to h3) between the respective layers and the total thickness, even if a plurality of the surface layers are laminated. For example, the thicknesses (h1, h3) of the first layer (A) and the third layer (C) forming the outer layer and the thicknesses It is possible to limit the thickness (h2) of the liquid (B) to control the texture (e.g., softness and hardness to the degree of chewing) and / or taste (e.g., sugar content).

또한, 내층과 외층의 재료 성분비를 조절하여 위와 같은 식감과 맛의 조절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exture and taste of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by controlling the material composition ratio.

예를 들면, 내층은 적층된 면대의 높이에서 20~30%, 외층은70~80%의 높이(두께)를 갖도록 각 면대의 두께(h1, h2, h3)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층의 높이는 제1층(A)과 제3층(C)의 두께를 합한 것이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h1, h2, h3) of each fac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inner layer has a height (thickness) of 20 to 30% at the height of the laminated face and 70 to 80% of the outer layer. Here, the height of the outer layer is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layer (A) and the third layer (C).

또한, 외층은 면대 형성이 쉬운 소맥분을 주재료로 하여 혼합하고, 내층은 외층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면대형성의 가공성이 떨어지더라도 부드러운 식감이나 소맥분과 다른 맛(구수함, 단맛, 쓴맛, 신맛, 짠맛중 어느 하나)을 줄 수 있는 재료가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내층은 소맥분에 비하여 보다 구수하고, 단맛이 강한 쌀, 보리 또는 기능성 원료를 포함할 수있다. In addition, the outer layer is mixed with wheat flour which is easy to form a face region as a main ingredient, and the inner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layers, so that even if the formability of the face formation is poor, smooth texture or a taste different from wheat flour (savory, sweet, bitter, sour, One) is preferably mixed. For example, the inner layer may include rice, barley or a functional raw material that is more salty and sweet than the wheat flour.

기능성 원료는, 예를 들면, 옥수수, 감자, 고구마, 견과류(땅콩, 호박씨, 자두, 밤, 대추, 콩, 잣, 호두, 깨), 마른 과일, 마른 채소 분말, 찻잎 분말 또는 잎(예를 들면, 녹차잎, 구지뽕잎), 약재분말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e, for example, corn, potatoes, sweet potatoes, nuts (peanuts, pumpkin seeds, plums, chestnuts, soybeans, pine nuts, walnuts, sesame seeds), dried fruits, dried vegetable powders, , Green tea leaves, mulberry leaves), and a pharmaceutical powder.

즉, 내층은 글루텐과 같은 활성 기능이 없기 때문에 곡물가루를 10% 이상 혼합하여 면을 만들시에 점착성이 떨어져 찰기가 없고, 표면이 거칠어지며 면대 형성이 어려운 재료들로 제조된다. That is, since the inner layer does not have an active function such as gluten, it is made of materials which are less sticky when mixed with 10% or more of grain powder and have no stickiness, have a rough surface, and are difficult to form a face sheet.

따라서, 본 발명은 내층과 외층을 구분하여 면대 형성이 용이한 소맥분을 외층으로 적층하고, 곡물가루 및 기능성 재료로서 내층을 형성하고, 중량 또는 두께를 조절하여 식감 및 맛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exture and taste by laminating wheat flour, which is easy to form surface layers by separating inner layer and outer layer, as an outer layer, forming inner layer as grain powder and functional material, and controlling weight or thickness.

예를 들면, 외층은 전체 중량에서 소맥분을 75~85%, 내층은 쌀, 보리 및 기능성 원료중 적어도 하나를 15~25%로 설정하거나, 두께 비율을 외층:내층=8:2 또는 외층:내층=7:3으로 조절함도 가능하다. For example, in the outer layer, wheat flour is set to 75 to 85% in the total weight, and at least one of the rice, barley and functional raw materials is set to 15 to 25% in the inner layer, or the outer layer: inner layer = 8: = 7: 3 is also possible.

외층의 두께나 중량을 높일 경우에는 면대의 단맛이 적어지고, 부드러운 식감이 줄어든다. 반대로 외층의 두께(h1, h2) 및 중량을 낮추고 내층의 두께(h2) 또는 중량을 높일 경우에 부드러운 식감과 함께 단맛이나 기타 기능성 원료의 맛이 강해질 수 있다. When the thickness or the weight of the outer layer is increased, the sweetness of the face is reduced and the soft texture is reduced.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h1, h2) and the weight of the outer layer are lowered and the thickness (h2) or weight of the inner layer is increased, the taste of the sweet or other functional raw material can be enhanced with a soft texture.

압연부(15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압연부(150)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The rolling part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simplified view of the rolled portion 15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압연부(150)는 적층 면대 성형부(140)의 다층가압롤러(141)에서 가압된 적층면대를 순차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호 이격된 다 수개의 압연롤러기를 포함한다. 즉, 압연부(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6)의 상면에서 다 수개의 압연롤러기(151~155)가 상호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rolling section 150 includes a plurality of rolling roller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sequentially press the laminated side faces pressed by the multi-layer pressing rollers 141 of the laminated side face forming section 140. That is, the rolling unit 150 sequentially forms a plurality of rolling roller units 151 to 155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56.

압연롤러기(151~155)는 한 쌍으로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인입된 적층면대를 가압하여 찰지도록 함과 동시에 두께를 낮출수 있도록 제1 내지 제5압연롤러기(151~155)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압연롤러기(151)는 다층가압롤러(141)에서 성형된 적층면대를 1차 압연한다. 1차 압연된 면대는 제2압연롤러기(152)를 거쳐 2차 압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층면대는 제3압연롤러기(153)와 제4압연롤로기(154)와 제5압연롤러기(155)를 통하여 5차 압연된 상태에서 절단부(160)에 인입된다. The rolling roller units 151 to 155 are rotat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s a pair so as to press the laminated surface sheet therebetween,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o fifth rolling roller units 151 to 155, . For example, the first rolling roller unit 151 primarily rolls the laminated face sheet formed by the multilayer pressurizing roller 141. The first rolled face plate is secondarily rolled through a second rolling roller unit 152. In this way, the laminated sheet is drawn into the cut portion 160 in the fifth rolled state through the third rolling roller unit 153, the fourth rolling roller unit 154 and the fifth rolling roller unit 155.

절단부(160)는 압연부(150)에서 반복적으로 압연된 적층면대를 설정된 규격으로 절단하여 면발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절단부(16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도면이나 설명을 생략한다. The cut portion 160 cuts the repeatedly rolled laminate facets in the rolled portion 150 into a predetermined size to produce a facelift. The cutting unit 160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and therefore, a drawing or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포장부(170)는 절단부(160)에서 절단된 면발을 소정의 용량 및/또는 형상을 갖는 용기로 진공포장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packaging unit 170 vacuum-packages the cut flakes from the cut-off unit 160 into a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and / or shape. This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so tha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절단부(160)에서 절단된 면을 증기등에 의하여 익히거나, 기름에 튀긴 후 건조하거나, 냉장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조하는 면발제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면발제조부는 일반적으로 면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용된 장치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More preferably, the furnace may further include a noodle making unit for making the cut surface of the cut portion 160 to be cooked by steam or the like, fried in oil, dried, or kept in a refrigerated state. Since the noodle making unit is generally applied to manufacture a fa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면대를 이용한 면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 using a face sheet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는 S100 단계와, 설정된 형상으로 면대를 성형하는 S200 단계와, 복수개의 면대를 적층시키는 S300 단계와, 적층된 면대를 반복적으로 압연하는 S400 단계와, 압연된 면대를 절단하여 면발로 성형하는 S500 단계와, 면발을 포장하는 S600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0 of mixing and kneading a material, a step S200 of forming a face sheet in a predetermined shape, a step S300 of laminating a plurality of face plates, a step S400 of repeatedly rolling the laminated face plate Cutting the rolled face plate to form the rolled face plate into a nail; and step S600 of packaging the nail plate.

여기서, 적층면대는 3개층의 면대가 적층되는 실시예로서 설명하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적용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 the laminate surface layer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in which three surface layers are laminated, but this is not limitative as it is one embodiment applied fo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S100 단계는 복수개의 반죽기(111~113)에 재료를 투입한 뒤에 반죽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반죽부(110)는 3개층으로서 이루어진 면대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1층(A)의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는 제1반죽기(111)와, 제2층(B)의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는 제2반죽기(112)와, 제3층(C)의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는 제3반죽기(113)를 포함한다. Step S100 is a step of kneading the material after the materials are put into the plurality of kneaders 111 to 113. [ For example, the knead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kneader 111 for mixing and kneading the materials of the first layer (A) and a second kneader 111 for mixing the materials of the second layer (B) A second kneader 112 for kneading, and a third kneader 113 for mixing and kneading the material of the third layer (C).

따라서, 작업자는 각각의 반죽기에 재료를 투입한 뒤에 조작패널(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된 구동스위치를 온한다. 그러므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조작패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구동명령에 따라 제1반죽기(111) 내지 제3반죽기(113)를 구동시킨다. 각각의 반죽기는 설정된 시간동안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한 뒤에 성형부(120)로 성형시킨다. Therefore, the operator turns on the drive switch included in the operation panel (not shown) after putting the material into each kneader. Therefore, the control unit (not shown) drives the first kneader 111 to the third kneader 113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command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anel (not shown). Each kneader mixes and kneads the materi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forms the kneaded material into the molding part 120.

또한, 외층을 이루는 제1면대(A)와 제3면대(C)는 면대 성형을 위하여 소맥분을 위주로 투입되고, 내층을 이루는 제2면대(B)는 쌀, 현미, 보리 및/또는 기능성 재료(예를 들면, 옥수수, 견과류, 과일, 마른 채소, 과일, 약재류, 찻잎, 고구마,감자, 감미료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성형성이 떨어지는 재료중 적어도 하나가 투입된다. The first face plate A and the third face plate C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are mainly put into the wheat flour for face plate molding and the second face plate B constituting the inner layer is made of rice, brown rice, barley and / At least one of materials having poor moldability such as corn, nuts, fruit, dried vegetables, fruits, medicines, tea leaves, sweet potatoes, potatoes and sweeteners.

S200 단계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하여 성형부(120)가 반죽부(110)에서 혼합된 반죽을 설정된 형상으로 면대를 성형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제1성형기(121)는 제1반죽기(111)에서 성형된 반죽을 판형상의 제1면대(A)로 성형하고, 제2성형기(122)는 제2반죽기(112)에서 성형된 반죽을 제2면대(B)로 성형하고, 제3성형기(123)는 제3반죽기(113)에서 성형된 반죽을 제3면대(C)로 성형하여 성형시킨다. In operation S200, the molding unit 120 molds the dough mixed in the kneading unit 110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driv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first molding machine 121 molds the dough formed in the first kneader 111 into a plate-shaped first face A, and the second molding machine 122 molds the kneaded body in the second kneader 111 The dough is molded into a second face plate (B), and the third molding machine (123) molds the dough formed in the third kneader (113) into a third face plate (C).

S300 단계는 적층 이송부(130)에서 성형된 제1 내지 제3면대(A~C)를 순차적으로 이동 및 적층시키는 단계이다. 제1성형기(121)에 성형된 제1면대(A)는 제1가이드롤러(131) 및 제1전환롤러(131a)의 안내를 통하여 이송벨트(134)의 상면으로 이동된다. Step S300 is a step of sequentially moving and laminating the first to third face plates A to C formed in the stacking and conveying unit 130. The first face plate A formed in the first molding machine 121 is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134 through the guide of the first guide roller 131 and the first changeover roller 131a.

또한, 제2성형기(122)에서 성형된 제2면대(B)는 제2가이드롤러(132) 및 제2전환롤러(132a)의 안내에 의하여 제1면대(A)의 상측으로 적층된다. 또한, 제3면대(C)는 제3가이드롤러(133) 및 제3전환롤러(133a)의 안내에 의하여 제2면대(B)의 상측으로 적층된다. The second face plate B formed by the second molding machine 122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ace plate A by the guide of the second guide roller 132 and the second change roller 132a. The third stage C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tage B by the guide of the third guide roller 133 and the third switching roller 133a.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식감 및 기능성 재료로서 맛의 조절이 가능하고, 면대 성형의 용이함을 위하여 적층면대에서 내층의 높이(h2)가 20~30%, 외층의 높이(h1, h3)가 70~80%의 비율내로 조절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ner layer has a height (h2) of 20 to 30% and a height (h1, h3) of the outer layer is 70 to 70% in the laminated surface layer, 80%. ≪ / RTI >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적층 이송부(130)가 이송벨트(134)를 통하여 각각의 면대를 순차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송롤러(136)들(도 6참조)의 면대면 접촉에 의해 이동됨도 가능하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lternatively, as another embodiment, the stack conveying portion 130 may be moved by face-to-face contact of the conveying rollers 136 (see FIG. 6), rather than sequentially moving the respective face portions through the conveying belt 134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적층 이송부(130)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들의 회전력에 의하여 성형기들로부터 각각 성형된 면대들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복수개의 이송롤러(13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tack convey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36 for moving the respective formed face plates from the forming machines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a pair of rollers rotat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예를 들면, 제1이송롤러(136a)는 제1가이드롤러(131)에서 성형된 제1면대(A)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제2이송롤러(136b)는 제1이송롤러(136a)를 통하여 이송된 제1면대(A)에 제2가이드롤러(132b)에서 이송된 제2면대(B)를 적층시켜서 이송시킨다. 또한, 제3이송롤러(136c)는 제2이송롤러(136b)를 통하여 이송된 제1면대(A)와 제2면대(B)에 제3가이드롤러(133c)에 의해 이송된 제3면대(C)를 적층시켜 다층가압롤러(141)측으로 이송시킨다. For example, the first conveying roller 136a conveys the first facet A formed by the first guide roller 131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36b conveys the first conveying roller 136a And the second face plate B transferred from the second guide roller 132b is stacked and transported on the first face plate A conveyed through the second face rollers 132b. The third conveyance roller 136c is rotatably supported by a first face plate A conveyed through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36b and a third face plate B conveyed by the third guide roller 133c to the second face plate B C are stacked and conveyed to the multilayer pressure roller 141 side.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이송롤러(136a~136c)의 구조는 이송벨트(134)를 설치하지 않고, 또한 상술한 순차가압롤러(142)를 구비하지 않으며, 면대들이 적층될 시마다 가압할 수 있어 적층면대의 접착력을 높이고, 적층면대를 더욱 찰지게 반죽시킬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first to third conveyance rollers 136a to 136c is not provided with the conveyance belt 134 and is not provided with the sequential pressurization roller 142 described above and can be pressed each time the face sheets are stack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laminated surface plate and knead more firmly the laminated surface plate.

또한, S300 단계는 적층 면대 성형부(140)가 적층면대를 가압하여 적층면대의 접착력 및 찰진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다층가압롤러(141)는 제1 내지 제3면대(C)가 적층된 적층면대를 가압하여 각층간에 이격된 공간이 없도록 접착시키고, 찰진감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Also, in step S300, the laminated surface forming unit 140 presses the laminated surface plate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and the degree of the laminated surface. In other words, the multilayer pressure roller 141 presses the laminated surface plates on which the first to third surface groups C are laminated, and adheres the laminated surface plates so that there is no spaced space between the layers, thereby increasing the sense of urgency.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제1면대(A)의 상면에 제2면대(B)가 적층된 이후에 순차가압롤러(142)에서 1차 가압할 수 있다.Here, more preferably, the second face B is laminated on the upper face of the first face A, and then the first face B can be pressed first by the pressurizing roller 142 sequentially.

즉, 본 발명에서는 전체 면대가 적층된 이후에 1회 가압하거나, 1개의 면대가 적층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can be performed once after all the surface layers are laminated, or can be sequentially pressed each time one surface layer is laminated.

S400 단계는 적층 면대 성형부(140)에서 성형된 적층면대를 반복적으로 압착하여 접착도를 높이고, 찰진감을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압연부(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6)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제1 내지 제5압연롤러기(151~155)를 전체 구동시킨다. Step S400 is a step of repetitively pressing the laminated face plate formed by the laminated face plate forming unit 140 to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and improve the sense of touch. For example, the rolling unit 150 drives the first to fifth rolling roller units 151 to 155,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56 as a whole.

따라서, 다층 면대 성형부(120)에서 성형된 적층면대는 제1압연롤러기(151) 사이로 인입되어 1차압연된 이후에 제2압연롤러기(152)로 인입된다. 마찬가지로, 적층면대는 제2압연롤러기(152)에서 2차 압연, 제3압연롤러기(153)에서 3차 압연, 제4압연롤러기(154)에서 4차 압연, 제5압연롤러기(155)에서 5차 압연된다. Therefore, the laminated surface sheet formed in the multi-layered face sheet forming section 120 is drawn into the first rolling roller units 151 and then primary-rolled, and then enters the second rolling roller unit 152. Likewise, the laminated sheet surface is subjected to the secondary rolling at the second rolling roller unit 152, the third rolling at the third rolling roller unit 153, the fourth rolling at the fourth rolling roller unit 154, 155).

이와 같은 순차 압연은 한번에 과한 힘으로 면대를 압착하는 것이 아닌 단계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하여 면대를 압연함에 따라 면대가 이동중에 끓어지거나 고른 두께를 갖고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Such sequential rolling does not compress the face sheet with excessive force at a time but applies pressure stepwise so that the face sheet can be boiled or transported with a uniform thickness during rolling as the face sheet is rolled.

S500 단계는 압연부(150)에서 성형된 면대를 절단부(160)에서 소정의 길이와 형상으로 절단시키는 단계이다. 절단부(160)는 압연부(150)로부터 이송된 적층면대를 설정된 형상과 길이로서 절단한다. Step S500 is a step of cutting the surface plate formed by the rolling unit 150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shape by the cutter 160. [ The cut portion 160 cuts the laminated face plate conveyed from the rolled portion 150 as a set shape and length.

S600 단계는 절단부(160)에서 절단된 면발을 포장하는 단계이다. 포장부(170)는 이송된 면발을 설정된 용기에 담아 진공포장한다. 여기서, 절단된 면발을 용기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거나 또는 픽앤플레이스와 같은 로봇암, 또는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용기의 상측에서 설정된 수량만큼의 면발을 성형시키고, 면발을 전달받은체로 이송되는 용기를 자동으로 진공포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부(17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Step S600 is a step of wrapping the cut flakes in the cut portion 160. [ The packing unit 170 packs the transported face packs in a predetermined container and vacuum-packs them. Here, the process of moving the cut flakes to the container may be manually performed by an operator, or may be performed by a robot arm such as a pick and place, or a container which is conveyed to a conveyer, The container being transported can be automatically vacuum packed. Since the structure of the packaging unit 170 is generall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는 본 발명은 S500 단계 이후에 절단된 면발을 익힌 뒤에 건조하는 과정, 면발을 튀긴 후 기름기 제거 및 건조 단계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일반으로 공지된 것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다만,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면발을 익히고 건조하는 과정을 진행한 뒤에 포장함도 가능하고, 또는 면발을 절단한 이후에 포장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면발의 제조 및 포장은 사업자나 설계자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kneading the cut noodle after step S500, drying the kneaded noodle, removing grease after fried noodle, and drying step. Such a process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its explanation is omit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ckaged after the process of kneading and drying the noodles as described above, or after cutting the noodles. The manufacture and packaging of such noodles can be selectively applied by the operator or design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면을 제조하기 위한 면대를 다층 구조로 제작하고, 이중, 내층과 외측의 재료와 두께를 다르게 제조함에 따라 식감과 맛의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내층은 성형성이 떨어지지만, 다양한 기능성 재료가 투입될 수 잇어 맛과 식감의 조절에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xture and taste by fabricating a face plate for producing a face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by fabricating different materials and thicknesses of the inner and outer layers. In particular, although the inner layer is inferior in formability,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can be added to play a large role in controlling taste and texture.

110 : 반죽부 111 : 제1반죽기
112 : 제2반죽기 113 : 제3반죽기
120 : 성형부 121 : 제1성형기
122 : 제2성형기 122 : 제2성형기
123 : 제3성형기 130 : 적층 이송부
131, 132, 133 : 가이드롤러 131a, 132a, 133a : 전환롤러
134 : 이송벨트 135 : 회전롤러
136a, 136b, 136c : 이송롤러 140 : 적층 면대 성형부
141 : 다층가압롤러 142 : 순차가압롤러
150 : 압연부 151~155 : 압연롤러기
156 : 베이스 플레이트 160 : 절단부
170 : 포장부 A : 제1층, 제1면대
B : 제2층, 제2면대 C : 제3층, 제3면대
110: kneading part 111: first kneader
112: second kneader 113: third kneader
120: forming part 121: first molding machine
122: second molding machine 122: second molding machine
123: Third molding machine 130: Lamination transfer part
131, 132, 133: guide rollers 131a, 132a, 133a:
134: conveying belt 135: rotating roller
136a, 136b, 136c: Feed roller 140: Laminated side face forming part
141: Multilayer pressure roller 142: Sequential pressure roller
150: rolling section 151 to 155: rolling roller machine
156: base plate 160:
170: Packing section A: First layer, first side
B: second layer, second face C: third layer, third face

Claims (10)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성형시키는 복 수개의 반죽기;
상기 복 수개의 반죽기에서 공급된 반죽으로 복 수개의 면대를 성형시키는 복수개의 성형기;
상기 복 수개의 성형기에서 각각 성형된 복 수개의 면대를 순차 적층시켜 이송하는 적층 이송부;
상기 적층 이송부에서 이송된 면대에 다른 면대가 순차 적층시마다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로 성형하는 적층 면대 성형부;
상기 적층 면대 성형부에서 성형된 적층 면대를 복수회 압연하여 성형시키는 압연부; 및
상기 압연부에서 성형된 면대를 설정된 형상 및 길이로서 절단시켜 면발을 제조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면대는
복수개의 면대가 층을 이루어 내층과 외층을 이루되,
상기 외층은 내층을 중심으로 상면과 하면에 적층되어 씹히는 정도로서 부드럽고 딱딱한 정도의 식감과 당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체 두께의 70~80%의 높이를 갖고,
상기 내층은 전체 높이의 20~30%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구수함, 단맛, 쓴맛, 신맛 짠맛중 적어도 하나의 맛을 낼 수 있는 기능성 원료로 제조되는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
A number of kneaders for mixing and kneading and molding the materials;
A plurality of molding machines for molding a plurality of cotton sheets with the dough supplied from the plurality of kneaders;
A stack conveying unit for sequentially stacking and conveying a plurality of face sheets each formed by the plurality of molding machines;
A lamination surface forming unit for form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y pressing another surface group on the surface layer transferred from the lamination transfer unit in succession during lamination;
A rolling section for rolling and forming the laminated surface sheet formed by the laminated surface sheet forming section a plurality of times; And
And a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formed face sheet of the rolled portion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length to manufacture a face flour,
The laminated surface-
A plurality of face sheets constitute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The outer layer has a height of 70 to 80% of the total thickness so as to control at least one of softness and hardness of the texture and the sugar content to the extent that the outer layer is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chewed,
Wherein the inner layer is formed to have a height of 20 to 30% of the total height, and is made of a functional material capable of producing at least one taste of savory, sweet, bitter and sour salty tas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소맥분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의 기능성 원료는 곡물류, 견과류, 감자, 고구마, 약재, 채소, 과일, 찻잎 및 감미료중 적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layer comprises wheat flour,
Wherein the functional material of the inner layer comprises one of the following: grains, nuts, potatoes, sweet potatoes, medicines, vegetables, fruits, tea leaves and sweete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이송부는
상기 복 수개의 성형기에서 각각 성형된 면대들을 이송시키는 복 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각각의 상기 가이드롤러에서 이송되는 각 면대들을 이송벨트로 안내 및 기 적층된 면대의 상면으로 적층하도록 안내하는 복 수개의 전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면대 성형부는
상기 가이드롤러 및 전환롤러의 안내에 따라 면대가 적층될 때 마다 소정의 압력으로 적층된 면대들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차가압롤러; 및
다층을 이루어 이송된 적층 면대를 가압하여 두께의 감소 및 각층의 면대들을 접착시키는 다층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
The shee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for conveying the formed face sheets in the plurality of molding machines; And
And a plurality of switching rollers for guiding each of the face plates conveyed from each of the guide rollers to be laminated on the upper face of the guiding and stacked face plates by the conveyance belt,
The laminated-
At least one or more sequential pressure rollers for pressing the stacked face plates at a predetermined pressure each time the face sheets are stack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rollers and the switching rollers; And
And a multilayer pressure roller for pressurizing the stacked face plates conveyed in multiple layers to reduce the thickness and adhere the face sheets of each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부는
상기 적층 면대 이송부에서 가압된 적층 면대를 복 수개의 압연롤러기 사이로 순차 이동시켜 반복적으로 압착시켜 상기 절단부로 성형시키는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
The rolling mi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ing section
And the laminated surface layer pressed by the laminated surface conveyance portion is sequentially moved between a plurality of rolling roller groups and repeatedly pressed to form the cut portion.
복 수개의 반죽기에서 각각 투입된 재료를 혼합 및 반죽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반죽기별로 성형된 재료를 복 수개의 성형기에서 각각 성형하여 복수개의 면대를 성형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성형된 복 수개의 면대를 순차 이동 시키고, 적층 후 가압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하나 이상의 면대가 적층된 내층과, 내층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적층된 외층으로 이루어진 적층 면대를 성형하는 c)단계;
상기 c)단계에서 성형된 적층 면대를 순차적으로 압착시키는 d)단계;
상기 d)단계에서 압연된 적층 면대를 설정된 형상 및 길이를 갖도록 절단시켜 면발을 제조하는 e)단계; 및
상기 e)단계에서 제조된 면발을 포장하는 f)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면대에서 상기 외층은
딱딱한 정도의 식감과 당도 조절을 위하여 전체 두께의 70~80%로 제조되고,
상기 내층은 외층과 단맛, 짠맛, 신맛, 구수한 맛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성 원료가 추가되어 전체 두께의 20~30%로 제조되는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제조방법.
A) mixing and kneading the materials injected from a plurality of kneaders;
B) molding the plurality of kneaders in a plurality of kneaders by molding the plurality of kneaders in a plurality of molding machines;
The step of sequentially moving the plurality of face groups formed in the step b), pressing the layers sequentially, and pressing the laminated layers sequentially forms an inner layer in which one or more surface layers are laminated, and a laminated face sheet composed of an outer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layer Molding step c);
D) sequentially pressing the laminated face plates molded in the step c);
Cutting the laminated sheet surface rolled in the step (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nd length to produce a noodle; And
And f) packaging the noodle produced in step e)
In the laminated surface layer,
It is made to 70 ~ 80% of the total thickness for the hard texture and the sugar control,
Wherein the inner layer comprises an outer layer and a functional material capable of adding at least one of a sweet taste, a salty taste, a sour taste, and a savory taste to the surface of the outer layer to make 20 to 30% of the total thickness.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기능성 원료는
곡물류, 옥수수, 감자, 고구마, 견과류, 마른 과일, 마른 채소 분말, 찻잎 분말, 찻잎 및 약재분말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외층은 소맥분으로 반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제조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of the inner layer
At least one of cereals, corn, potatoes, sweet potatoes, nuts, dried fruits, dried vegetable powders, tea leaf powders, tea leaves and pharmaceutical powders,
Wherein the outer layer is kneaded with wheat flou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제1면대(A)를 이송시키는 c-1)단계;,
상기 c-1)단계에서 이송된 제1면대에 제2성형기에서 성형된 제2면대를 적층시켜 이송하는 c-2)단계;
상기 c-2)단계에서 이송된 제1면대와 제2면대가 적층된 면대에 제3성형기에서 성형된 제3면대를 상기 제2면대의 상면에 적층시키는 c-3)단계; 및
상기 c-3)단계에서 이송된 제1면대 내지 제3면대가 적층된 적층 면대를 가압 및 성형하는 c-4)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제조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c)
C-1) transferring the first face plate A,
C-2) stacking and transferring a second face sheet molded in the second molding machine to the first face stage transferred in the step c-1);
C-3) laminating a third face plate formed by the third molding machine on the upper face of the second face plate on the face plate on which the first face plate and the second face plate transferred in the step c-2) are laminated; And
And c-4) pressing and forming a laminated surface sheet on which the first to third surface rods transferred in the step c-3) are lamina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과 외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ner and outer layers
Wherei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s a different color.
KR1020160104368A 2016-08-17 2016-08-17 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 KR101911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68A KR101911896B1 (en) 2016-08-17 2016-08-17 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68A KR101911896B1 (en) 2016-08-17 2016-08-17 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52A KR20180020352A (en) 2018-02-28
KR101911896B1 true KR101911896B1 (en) 2018-10-30

Family

ID=6140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368A KR101911896B1 (en) 2016-08-17 2016-08-17 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8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43A (en) * 2021-04-14 2022-10-21 이성록 Manufacturing system of dough sheet for chinese noo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190B1 (en) * 2018-12-27 2019-07-03 김동용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mocompression container noodle using star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43A (en) * 2021-04-14 2022-10-21 이성록 Manufacturing system of dough sheet for chinese noodle
KR102654501B1 (en) * 2021-04-14 2024-04-05 이성록 Manufacturing system of dough sheet for chinese noo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52A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0427B1 (en) No bake granola product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7914834B2 (en) Method of forming food product
US6004612A (en) Production of shredded snacks with chip-like appearance and texture
KR101591466B1 (en) Apparatus manuvacturing fried processed laver-boogak
KR101466001B1 (en) Grill processed laver-boogak , apparatus manuvacturing 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CN100462010C (en) A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tough biscuit
KR101911896B1 (en) A dough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s and nood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gh sheet having multi-layers
CN101951787B (en) The baking snack bar of stacking
KR10165857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AU76593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wafer product,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and wafer product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KR101955496B1 (en) dough processing device for pastry
CN101228931A (en) Method of producing ready nutrient oatmeal using soybean-oat or soybean-maize as raw material
KR20200057245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eal bar using cereal and double noodle using double noodle
US20140272057A1 (en) New shredding roll for the production of high strength snacks
CN114304490A (en) Coarse cereal sandwich noodles
JPS59130127A (en) Production of pizza crust
JP2002191343A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material-structured food
KR102531754B1 (en) Method for preparing doug for scones and scones prepared therefrom
KR101658569B1 (en) fried processed laver-boogak
KR20190109005A (en) Processed food including oat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reof
KR102325382B1 (en) wet noodles manufacturing device
KR10200962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dumpling wrapper and itself
AU2015230717B2 (en) Filled snack product with spaced filling li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61260830A (en) Double crust and its production
CZ20003186A3 (en) Dried alimentary paste which changes shape on rehyd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