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18B1 -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018B1
KR101911018B1 KR1020170050913A KR20170050913A KR101911018B1 KR 101911018 B1 KR101911018 B1 KR 101911018B1 KR 1020170050913 A KR1020170050913 A KR 1020170050913A KR 20170050913 A KR20170050913 A KR 20170050913A KR 101911018 B1 KR101911018 B1 KR 10191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using
roller
housings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예준
Original Assignee
한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예준 filed Critical 한예준
Priority to KR102017005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우산 수납 공간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우산꽂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우산꽂이는 상호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제1 및 제2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제1 및 제2하우징 중 다른 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감김롤러부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제1감김롤러부와 제1지지부에 대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제1지지부와 제1감김롤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우산이 꽂히는 복수의 우산수용구가 형성된 우산수용부와; 제1 및 제2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와; 제1 및 제2하우징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감김롤러부; 및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제2감김롤러부와 제2지지부에 대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제2지지부와 제2감김롤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우산수용구에 꽂힌 우산을 지지하는 우산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산꽂이{UMBRELLA STAND}
본 발명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산 수납 공간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꽂이는 우산이나 지팡이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최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248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패널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우산을 각각의 구멍에 하나씩 꽂도록 된 우산꽂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우산꽂이는 우산을 꽂을 수 있는 상태에서는 부피가 정해져 있어서, 꽂을 우산의 개수에 무관하게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불편과, 패널에 형성된 구멍 개수 이상으로 우산을 보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24827호 (공개일: 2011년 3월 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산의 개수에 따라 우산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는 상호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다른 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감김롤러부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감김롤러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1감김롤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우산이 꽂히는 복수의 우산수용구가 형성된 우산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감김롤러부;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2감김롤러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대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감김롤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수용구에 꽂힌 우산을 지지하는 우산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감김롤러부는,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축과; 상기 제1고정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상기 우산수용부가 감기는 제1회전롤러와; 상기 제1고정축과 상기 제1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일 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와; 일단이 상기 제2회전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롤러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제1고정축 외륜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롤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고, 상기 클러치를 록킹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감김롤러부는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축과; 상기 제2고정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상기 우산받침부가 감기는 제2회전롤러와; 일단이 상기 제2고정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전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제2고정축 외륜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롤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이 상대 이동시, 상기 우산받침부가 상기 제2회전롤러에 자동적으로 감기거나 감김해제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산받침부로 떨어진 빗물이 우산받침부의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회전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중앙부가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이 소정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감김롤러부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우산받침부를 따라 이동한 빗물을 수용하는 빗물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는 꽂을 우산의 개수에 따라 우산 수용구의 개수를 증감시키는 방향으로 제1 및/또는 제2하우징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산꽂이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우산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는 자동감김롤러를 적용함으로써, 우산 수용구의 개수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제1하우징 및/또는 제2하우징이 이동시 우산수용부 및 우산받침부가 자동적으로 롤러에 감김으로써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는 빗물 가이드와 빗물받이를 적용함으로써, 젖은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비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 각각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제1감김롤러부와 우산수용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제1감김롤러부의 록킹상태와 록킹해제상태 각각을 보인 단면도.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제2감김롤러부를 보인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제2감김롤러부와 우산받침부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비확장 상태와 확장 상태 각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는 제1 및 제2하우징(10)(20)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0)(2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지지부(40) 및 제1감김롤러부(30)와, 우산수용부(50)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0)(2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지지부(70) 및 제2감김롤러부(60) 및, 우산받침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우산수용부(50)에는 우산이 꽂히는 복수의 우산수용구(5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2하우징(20)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호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모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10)이 고정 설치되고 제2하우징(2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그 역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는 꽂을 우산의 개수에 따라 우산 수용구의 개수를 증감시키는 방향으로 제1 및/또는 제2하우징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산꽂이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우산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10)이 고정 설치되고, 제2하우징(20)이 도 2에 도시된 동작 상태와 도 3에 도시된 동작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40)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수용부(50)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상기 제1감김롤러부(30)는 상기 제2하우징(2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산수용부(50)의 타단부를 고정 지지한다. 또한 제1감김롤러부(30)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우산수용부(50)가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비확장 상태(도 2 참조)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확장 상태(도 3 참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김롤러부(30)에 대해 상기 우산수용부(50)가 자동적으로 감기거나 펼침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감김롤러부(3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축(31)과, 제1회전롤러(33)와, 클러치(35)와, 제1탄성부재(37) 및 록킹해제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롤러(33)는 상기 제1고정축(3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상기 우산수용부(도 4의 50)가 감긴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축(31)과 상기 제1회전롤러(33) 사이에는 베어링(32)이 개재되어, 상기 제1고정축(31)에 대해 상기 제1회전롤러(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클러치(35)는 상기 제1고정축(31)과 상기 제1회전롤러(33) 사이에 설치되어, 일 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즉 상기 클러치(35)는 상기 제1고정축(31)에 고정 설치되는 제1클러치(35a)와, 상기 제1회전롤러(33)에 고정 설치되는 제2클러치(35b)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37)의 일단(37a)은 제2클러치(35b)에 고정되고, 타단(37b)은 베어링(32)의 내륜을 통하여 제1고정축(31)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클러치(35a)(35b)는 제1고정축(31)에 대해 상기 제1회전롤러(3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산수용부(50)가 펼쳐지는 경우, 제1클러치(35a)에 대해 제2클러치(35b)가 아이들(idle) 상태가 된다. 이때 제2클러치(35b)는 제1회전롤러(33)에 대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37)의 일단(37a)은 제2클러치(35b)와 함께 회전하고, 타단(37b)은 베어링(32)의 내륜을 통하여 제1고정축(31)에 고정되므로, 제1탄성부재(37)의 양단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탄성부재(37)는 제1고정축(31) 외륜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롤러(33)를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킹해제시 상기 제1회전롤러(33)가 자동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반면, 우산수용부(50)의 펼침 동작을 멈추는 경우는 제1 및 제2클러치(35a)(35b)가 서로 맞물려, 제1탄성부재(37)가 탄성바이어스 된 상태에서 제2클러치(35b) 및 제1회전롤러(33)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1탄성부재(37)는 상기 제2클러치(35b)를 록킹방향으로 가압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록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록킹해제부(39)는 제2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35)의 록킹을 해제한다. 따라서 록킹해제부(39)를 누른 상태에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러치(35a)와 제2클러치(35b)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가 되며, 제1탄성부재(37)의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하여, 우산수용부(50)가 제1회전롤러(33)에 감기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40)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산수용부(50)가 자동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 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1감김롤러부(30)의 내부 구조에서 클러치(35) 및 록킹해제부(39)를 제외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하우징(20)에 제1감김롤러부(30)가 설치되고, 제1하우징(10)에 제1지지부(40)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역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하우징(10)(20) 중 적어도 어느 한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우산수용구(10a)(20a)가 형성되어, 우산 수용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70)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측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받침부(80)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상기 제2감김롤러부(60)는 상기 제2하우징(20)의 내측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받침부(80)의 타단부를 고정 지지한다. 이 제2감김롤러부(60)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우산받침부(80)가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비확장 상태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확장 상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감김롤러부(60)에 대해 상기 우산받침부(80)가 자동적으로 감기거나 펼침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감김롤러부(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축(61)과, 제2회전롤러(63) 및, 제2탄성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롤러(63)는 상기 제2고정축(6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상기 우산받침부(80)가 감긴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축(61)과 상기 제2회전롤러(63)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제2고정축(61)에 대해 상기 제2회전롤러(63)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2탄성부재(65)의 일단(65a)은 일측 베어링의 외륜을 통하여 제2회전축(63)에 고정되고, 타단(65b)은 타측 베어링의 내륜을 통하여 제2고정축(61)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고정축(61)에 대해 상기 제2회전롤러(6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산받침부(80)가 펼쳐지는 경우, 제2탄성부재(65)의 일단(65a)은 제2회전축(63)과 함께 회전하고, 그 타단(65b)은 제2고정축(61)에 고정되므로, 제2탄성부재(65)의 양단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탄성부재(65)는 제2고정축(61) 외륜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롤러(63)를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반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면, 제2탄성부재(65)의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하여, 우산받침부(80)가 제2회전롤러(63)에 감기게 된다.
또한 제2지지부(70)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산받침부(80)가 자동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 구조는 상기 제2감김롤러부(60)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하우징(20)에 제2감김롤러부(60)가 설치되고, 제1하우징(10)에 제2지지부(70)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역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는 자동감김롤러를 적용함으로써, 우산 수용구의 개수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제1하우징 및/또는 제2하우징이 이동시 우산수용부 및 우산받침부가 자동적으로 롤러에 감김으로써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감김롤러부(60)의 제2회전롤러 및/또는 제2지지부(70)의 중앙부가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산받침부(80)로 떨어진 빗물이 우산받침부(80)의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빗물이 소정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제2지지부(70)와 제2감김롤러부(60)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경사진 우산받침부(80)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빗물을 수용하는 빗물받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빗물받이(25)는 제1 및 제2하우징(10)(20) 중 적어도 어느 한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산에서 낙하한 빗물을 수용한다. 이와 같이 빗물 가이드와 빗물받이를 적용함으로써, 젖은 우산에서 흘러 내린 빗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제1하우징 20: 제2하우징
25: 빗물받이 30: 제1감김롤러부
31: 제1고정축 32: 베어링
33: 제1회전롤러 35: 클러치
37: 제1탄성부재 39: 록킹해제부
40: 제1지지부 50: 우산수용부
50a: 우산수용구 60: 제2감김롤러부
61: 제2고정축 63: 제2회전롤러
65: 제2탄성부재 70: 제2지지부
80: 우산받침부

Claims (5)

  1. 상호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다른 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감김롤러부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감김롤러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1감김롤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우산이 꽂히는 복수의 우산수용구가 형성된 우산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감김롤러부;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2감김롤러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대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감김롤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우산수용구에 꽂힌 우산을 지지하는 우산받침부;를 포함하는 우산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김롤러부는,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축과;
    상기 제1고정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상기 우산수용부가 감기는 제1회전롤러와;
    상기 제1고정축과 상기 제1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일 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와;
    일단이 상기 제1회전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롤러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제1고정축 외륜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롤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고, 상기 클러치를 록킹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는 우산꽂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김롤러부는,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축과;
    상기 제2고정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상기 우산받침부가 감기는 제2회전롤러와;
    일단이 상기 제2고정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전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제2고정축 외륜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롤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이 상대 이동시, 상기 우산받침부가 상기 제2회전롤러에 자동적으로 감기거나 감김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받침부로 떨어진 빗물이 우산받침부의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회전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중앙부가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빗물이 소정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감김롤러부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우산받침부를 따라 이동한 빗물을 수용하는 빗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우산꽂이.
KR1020170050913A 2017-04-20 2017-04-20 우산꽂이 KR101911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13A KR101911018B1 (ko) 2017-04-20 2017-04-20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13A KR101911018B1 (ko) 2017-04-20 2017-04-20 우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18B1 true KR101911018B1 (ko) 2018-10-23

Family

ID=6410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13A KR101911018B1 (ko) 2017-04-20 2017-04-20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646Y1 (ko) 2006-01-17 2006-03-30 (주)영일교구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JP2013244029A (ja) 2012-05-23 2013-12-09 Kawajun Co Ltd 折り畳み傘立て
KR101682706B1 (ko) 2015-05-09 2016-12-08 김한봄 접이식 우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646Y1 (ko) 2006-01-17 2006-03-30 (주)영일교구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JP2013244029A (ja) 2012-05-23 2013-12-09 Kawajun Co Ltd 折り畳み傘立て
KR101682706B1 (ko) 2015-05-09 2016-12-08 김한봄 접이식 우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7800A1 (en) Telescopic Sunshade
US6843029B2 (en) Apparatus including a boom to be compressed and rolled up
US20100139724A1 (en) Umbrella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CN102537618A (zh) 一种自解锁可展收套筒装置
JP6762705B2 (ja) テープバネを用いた伸縮自在展開可能構造
JP2009066276A5 (ko)
KR101911018B1 (ko) 우산꽂이
US10712517B2 (en) Cable spool re-orientation device for a wall box
US8011379B2 (en) Portable and compact umbrella
CN102712239A (zh) 遮阳装置
GB2512166A (en) A collapsible portable antenna
CA3134958A1 (en) Compact wind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JP2011119812A (ja) 可搬型空中線装置および可搬型空中線装置展開・収納方法
KR20210095542A (ko) 롤 방식으로 접혀지는 자동 우산
US7147177B2 (en) Cable reel
US6871659B2 (en) Telescopic sunshade
CN210339962U (zh) 一种消防水带自动收卷装置及便携式消防水带车
KR101384760B1 (ko)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102216282B1 (ko) 소방 호스 권취 장치
KR102506867B1 (ko) 휴대형 차고
KR102145986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KR102542054B1 (ko) 편심 지지되는 파라솔
KR20110049565A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200294997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CN219510544U (zh) 可伸缩的支撑架和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