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087B1 -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 Google Patents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087B1
KR101910087B1 KR1020170000290A KR20170000290A KR101910087B1 KR 101910087 B1 KR101910087 B1 KR 101910087B1 KR 1020170000290 A KR1020170000290 A KR 1020170000290A KR 20170000290 A KR20170000290 A KR 20170000290A KR 101910087 B1 KR101910087 B1 KR 10191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lack box
vehicle
emergency ca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731A (ko
Inventor
김병윤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엠피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피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피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0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동글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을 적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스마트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차량용 블랙박스에 제공하면서 스마트폰이 차량용 블랙박스의 GPS 기능을 대체하고, 차량용 블랙박스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들을 스마트폰은 물론,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원격지 서버(예; 클라우드 서버, 보험사 서버 등) 또는 지인소지용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확장 연동 기능을 구현하면서, 차량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BIG DATA)로의 활용성을 높이고, 비상콜(Emergency Call)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Black box terminal linked system for vehicles that us BLE modul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용 접속부(I/F)가 적용되지 않은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전용 접속부(I/F)가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 Bluetooth Low Energy))을 연결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이 연동되도록 하고 그 연동으로부터 블랙박스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충돌 전후의 사고를 기록해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주행 중 일어나는 사고에 대비하여 영상을 기록, 저장하여 사고시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는 목적으로 개발이 되었으나, 현재는 주행 중 일어나는 사고뿐만 아니라 주차 중 일어나는 사고를 감시하여 CCTV처럼 활용할 수 있는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
상기 블랙박스의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374211호(등록일 2014.03.07)에 제안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이하, ‘종래 기술’ 이라 한다)은 차량 룸미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방위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차량의 내부 및 주변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촬영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차량의 가속도 변화 및 물체의 접근을 이벤트로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출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전방 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의 감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촬영 각도 선정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경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각지대 없이 차량을 감시 가능하며 전방위의 영상을 왜곡 없이 촬영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종래 차량용 블랙박스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8663호(공개일 2014.04.24)에서와 같이, 무선통신모듈(예; 3G, LTE)을 내장하거나 또는 와이파이(WIFI) 모듈을 장착하여, 통신단말기(예; 스마트폰)과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블랙박스에 무선통신모듈을 내장시 개통을 위한 심(SIM) 카드를 장착하여 통신사 인증을 거쳐야 함은 물론, 요금제 가입을 통한 부품 가격(통신모듈 및 안테나 등 제반 가격) 및 개발 비용이 높은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블랙박스에 와이파이 모듈을 장착하거나 USB 동글을 장착하여 통신단말기와 와이파이로 연결시, 통신단말기의 통신대역이 와이파이 연결상태로 인해 블랙박스에만 집중되면서, 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이 일시 중단됨은 물론, 전력 소모가 높고, 와이파이를 수동 연결하여야 하는 등이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블랙박스에 동글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을 적용하여 스마트폰과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용 블랙박스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들을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의 연동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전용 접속부(I/F)가 적용되지 않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동글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을 적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시, 스마트폰의 위치 및 시간정보를 차량용 블랙박스에 제공하면서, 스마트폰이 차량용 블랙박스의 GPS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전용 접속부(I/F)가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동글 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을 적용하여 스마트폰과의 연동시, 차량용 블랙박스에 고가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할 필요가 없이 스마트폰의 확장 연동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을 설정된 원격지 서버(예; 클라우드 서버, 보험사 서버 등)와 연결 구성하거나 또는 설정된 지인 소지용 단말기와 연결 구성함으로써, 차량용 블랙박스를 스마트 블랙박스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생산되는 각종 정보(예; 주차모드시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 사고 발생시 충격정보 및 위치정보 등)를 원격지 서버에 주기적으로 자동 저장시키면서 차량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BIG DATA)로의 활용성을 높이는 한편,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생산되는 각종 정보(예; 주차정보, 주행정보 등)를 메세지 형태로 지인 소지용 단말기에 실시간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면서 비상콜(Emergency Call) 기능을 구현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전용 접속포트가 형성되고, 영상과 음성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블랙박스의 전용 접속포트에 연결되는 동글 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 및, GPS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 연결되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 연결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수행하면서, 상기 블랙박스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송 처리하는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는 원격지 서버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하는 제 1 연결부;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2 연결부를 통해 설정된 원격지 서버 또는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에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전송 처리하는 전송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주행모드시 영상 및 음성과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주행의 제 1 정보, 주차모드시의 주차 위치의 제 2 정보, 그리고 사고 발생시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 및 주차모드에서 주행모드로 전환시의 알림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된 정보들 중 이벤트의 제 3 정보가 수신시 비상콜 메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전송처리부에 제공하는 비상콜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지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인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지 서버가 클라우드 서버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주행모드시 영상 및 음성과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주행의 제 1 정보와, 주차모드시의 주차 위치의 제 2 정보, 그리고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지 서버가 보험사 서버이면, 상기 보험사 서버에는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 및, 상기 이벤트의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에는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 및, 상기 이벤트의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가 전송되는 것이다.
다른 일면에 따라, 본 발명의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GPS포트가 형성되고,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블랙박스의 GPS포트에 연결되는 동글 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 및, GPS모듈이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 연결되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블랙박스의 GPS 기능을 대체하도록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 연결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수행하면서, 상기 블랙박스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GPS모듈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블랙박스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동글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을 적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차량용 블랙박스에 제공하면서 스마트폰이 차량용 블랙박스의 GPS 기능을 대체하고, 차량용 블랙박스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들을 스마트폰은 물론,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원격지 서버(예; 클라우드 서버, 보험사 서버 등) 또는 지인소지용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확장 연동 기능을 구현하면서, 차량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BIG DATA)로의 활용성을 높이고, 비상콜(Emergency Call) 기능을 구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의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거나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의 전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은, 차량용 블랙박스(10),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20), 스마트폰(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원격지 서버(40)와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는 차량에 장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용 접속포트(11)가 형성되고, 영상과 음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용 접속포트(11)는 인터페이스(I/F) 규약에 따라 표준 GPS NMEA(Nation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전달은 물론, 시리얼 통신 기반의 다양한 데이터 송수신(TX/RX)이 가능한 포트인 것이다.
이때,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주행모드시 영상 및 음성과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주행의 제 1 정보, 주차모드시의 주차 위치의 제 2 정보, 그리고 사고 발생시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 및 주차모드에서 주행모드로 전환시의 알림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은 동글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블랙박스(10)의 전용 접속포트(11)에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은 상기 전용 접속포트(11)의 인터페이스(i/f) 규약에 따라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와 상기 스마트폰(30)을 연결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며, 이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와 상기 스마트폰(30)을 최초 연결시키게 되면 오프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자동으로 통신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저력 소모를 최소화시킨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30)은 GPS모듈(30a)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10)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때, 네트워크 게이트웨이(network gateway)를 수행하면서, 상기 블랙박스(10)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블랙박스(1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송 처리하는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원격지 서버(40)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하는 제 1 연결부(31)와,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하는 제 2 연결부(32)와, 상기 제 1,2 연결부(31)(32)를 통해 설정된 원격지 서버(40) 또는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에 상기 블랙박스(1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전송 처리하는 전송처리부(33), 그리고 상기 블랙박스(10)에서 수집된 정보들 중 이벤트의 제 3 정보가 수신시 비상콜 메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전송처리부(33)에 제공하는 비상콜 처리부(34)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격지 서버(40)는 클라우드 서버(41) 또는 보험사 서버(42)일 수 있으며, 상기 원격지 서버(40)가 클라우드 서버(41)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1)에는 상기 전송처리부(33)를 통해 주행모드시 영상 및 음성과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주행의 제 1 정보와, 주차모드시의 주차 위치의 제 2 정보, 그리고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가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으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41)는 차량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Big Data)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격지 서버(40)가 보험사 서버(42)인 경우, 상기 보험사 서버(42)에는 상기 전송처리부(33)를 통해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 그리고 상기 이벤트의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34)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가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으면서, 사고 발생에 따른 비상콜 기능의 구현을 통해 사고 처리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에는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 그리고 상기 이벤트의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34)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사고 발생시의 비상콜 기능으로 지인들에게 신속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우선 유저가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전용 접속포트(11)에 동글 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을 접속시킨다.
그러면,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이 네트워크 게이트웨이(network gateway)를 수행하게 되면서, 유저의 스마트폰(30)과 차량용 블랙박스(10)는 통신 연결된다.
이후, 유저가 상기 스마트폰(30)에 탑재된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유저는 상기 스마트폰(30)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10)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블랙박스(1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송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 구성되는 제 1 연결부(31)는 상기 원격지 서버(40)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 구성되는 제 2 연결부(32)는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 1,2 연결부(31)(32)를 통해 유저는 원격지 서버(40) 또는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를 연결 설정하여둔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30)내의 저장매체에 상기 블랙박스(1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이 수신되어 저장되었을 때, 상기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 구성되는 전송처리부(33)는 상기 제 1,2 연결부(31)(32)를 통해 설정된 원격지 서버(40) 또는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에 상기 블랙박스(1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전송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 구성되는 비상콜 처리부(34)는 상기 블랙박스(10)에서 수집된 정보들 중 이벤트의 제 3 정보가 수신시 비상콜 메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전송처리부(33)에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송처리부(33)는 상기 제 1 연결부(31)를 통해 원격지 서버(40)인 클라우드 서버(41)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시, 상기 클라우드 서버(41)에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수집하는 정보들 즉, 주행모드시 영상 및 음성과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주행의 제 1 정보와, 주차모드시의 주차 위치의 제 2 정보, 그리고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유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1)는 차량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Big Data)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 전송처리부(33)는 상기 제 1 연결부(31)를 통해 원격지 서버(40)인 보험사 서버(42)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시, 상기 보험사 서버(42)에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수집하는 정보들 즉,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 그리고 상기 이벤트의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34)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면서 사고 접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되며, 이에따라 차량 사고 발생으로 정신이 없는 유저에게 비상콜 기능을 제공하게 되면서, 보험사에 의한 사고 처리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송처리부(33)는 상기 제 2 연결부(32)를 통해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시, 상기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50)에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수집하는 정보들 즉,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 그리고 상기 이벤트의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34)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를 전송하게 되면서, 사고 발생 상태를 지인들에게 비상콜 기능으로 신속하게 알려주면서 지인들의 신속한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차량용 블랙박스(10)에 전용 접속포트(11)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GPS포트(12)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GPS포트(12)에 동글 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에 접속시켜, 스마트폰(30)이 GPS기능을 대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10)의 GPS포트(12)에 동글 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을 접속시킨다.
그러면,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20)이 네트워크 게이트웨이(network gateway)를 수행하게 되면서, 유저의 스마트폰(30)과 차량용 블랙박스(10)는 통신 연결된다.
이후, 유저가 상기 스마트폰(3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유저는 상기 스마트폰(30)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10)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스마트폰(30)에 탑재된 GPS모듈(30a)의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상기 블랙박스(10)에 제공하게 되고, 이에따라 차량용 블랙박스(10)는 제공받은 위치 및 시간정보에 매칭되는 각종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수집하여 기록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차량용 블랙박스 11; 전용 접속포트
12; GPS포트 20;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
30; 스마트폰 30a; GPS모듈
31; 제 1 연결부 32; 제 2 연결부
33; 전송처리부 34; 비상콜 처리부
40; 원격지 서버 41; 클라우드 서버
42; 보험사 서버 50;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

Claims (9)

  1. 차량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인터페이스(I/F) 규약에 따라 표준 GPS NMEA 전달과 시리얼 통신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TX/RX)이 가능한 전용 접속포트가 형성되고, 영상과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전용 접속포트에 연결되는 동글 형태의 저전력 블루투스모듈; 및, GPS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 연결되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 연결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수행하면서 상기 블랙박스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블랙박스의 GPS 기능을 대체하도록 상기 GPS모듈의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상기 블랙박스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송 처리하는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것이며,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되어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되는 정보는, 주행모드시 영상 및 음성과 주행경로를 포함하는 주행의 제 1 정보, 주차모드시 주차 위치의 제 2 정보, 사고 발생시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 및 주차모드에서 주행모드로 전환시의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된 정보들 중 이벤트의 상기 제 3 정보가 수신시 비상콜 메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전송처리부에 제공하는 비상콜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확장 연동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에는;
    원격지 서버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하는 제 1 연결부;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와의 연결을 설정 등록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2 연결부를 통해 설정된 원격지 서버 또는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에 상기 블랙박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전송 처리하는 상기 전송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서버가 클라우드 서버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주행모드시 영상 및 음성과 주행 경로를 포함하는 주행의 제 1 정보와, 주차모드시의 주차 위치의 제 2 정보, 그리고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서버가 보험사 서버이면, 상기 보험사 서버에는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제 3 정보 및, 상기 이벤트의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인 소지용 통신단말기에는 사고 발생시 생성되는 영상 및 음성의 충격 정보와 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상기 제 3 정보 및, 이벤트의 상기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콜 처리부에서 생성하는 비상콜 메세지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9. 삭제
KR1020170000290A 2017-01-02 2017-01-02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KR10191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90A KR101910087B1 (ko) 2017-01-02 2017-01-02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90A KR101910087B1 (ko) 2017-01-02 2017-01-02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31A KR20180079731A (ko) 2018-07-11
KR101910087B1 true KR101910087B1 (ko) 2018-10-22

Family

ID=6291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290A KR101910087B1 (ko) 2017-01-02 2017-01-02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19A (ko)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계된 다중이용시설 주차위치 경로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111A (ko) 2021-06-18 2022-12-27 엠피온 주식회사 블랙박스 단말 연동을 이용한 오토런 앱 자동 실행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27B1 (ko) * 2010-12-30 2013-10-30 (주)세미솔루션 매립/외장 겸용 다채널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KR101634913B1 (ko) * 2015-12-14 2016-07-08 강윤호 차량간 안전을 위한 송수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206B1 (ko) * 2015-05-14 2016-12-27 주식회사 차지인 교통법규 위반 신고를 수행하는 블랙박스 및 블랙박스를 이용한 교통법규 위반 신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27B1 (ko) * 2010-12-30 2013-10-30 (주)세미솔루션 매립/외장 겸용 다채널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KR101634913B1 (ko) * 2015-12-14 2016-07-08 강윤호 차량간 안전을 위한 송수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19A (ko)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계된 다중이용시설 주차위치 경로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111A (ko) 2021-06-18 2022-12-27 엠피온 주식회사 블랙박스 단말 연동을 이용한 오토런 앱 자동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31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28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4917830B (zh) 车载环境中移动通信模块共享系统及方法
JP6911810B2 (ja) 車外情報共有システム、車外情報共有装置及び車外情報共有方法
US20160127693A1 (en) WiFi Wireless Rear View Parking System
CN212115515U (zh) 一种全景环视显示系统
US20200276989A1 (en) Computer assisted or autonomous driving (ca/ad) towing vehicles and trailers
US20190230323A1 (en) Vehicle vision system with wireless camera pairing
KR101910087B1 (ko) Ble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 연동시스템
JPWO2018016151A1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
CN110871791A (zh) 汽车的泊车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WO2018016150A1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
WO2021164387A1 (zh) 目标物体的预警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7370984B (zh) 接收影像的方法、提供影像的方法及电子装置
CN113366868B (zh) 小区测量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70320435A1 (en) WiFi Wireless Rear View Parking System
JP2008236385A (ja) 携帯端末装置
US11671700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KR20170041480A (ko) 택시용 올인원 시스템에서의 영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4550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rging isolated networks
CN113126071A (zh) 车辆定位方法及设备
KR20140134849A (ko) 스마트폰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사고 처리 방법
CN215298308U (zh) 智能型车身影像装置
US20230155968A1 (en) Sharing externally captured content in communications
CN114640794A (zh) 相机、相机处理方法、服务器、服务器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设备
KR20230052318A (ko) 스테이션모드 및 ap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블랙박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