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572B1 -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572B1
KR101909572B1 KR1020170005985A KR20170005985A KR101909572B1 KR 101909572 B1 KR101909572 B1 KR 101909572B1 KR 1020170005985 A KR1020170005985 A KR 1020170005985A KR 20170005985 A KR20170005985 A KR 20170005985A KR 101909572 B1 KR101909572 B1 KR 10190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late
vertical plate
concrete memb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3562A (en
Inventor
최대헌
김동석
박재용
박철웅
최인규
임정현
하기수
이상민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17000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72B1/en
Publication of KR2018008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046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reinforcement loops protruding from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직성형판(11), 결합거치판(12), 매립연결재(13) 및 매립고정재(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할 때,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이웃하는 콘크리트 부재와 연결 접합되는 접합측면에서 매립연결재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도록 콘크리트 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plate (11), a coupling plate (12), a filler joint (13) and an embedding fixture (14) so that, when the concrete member is manufactur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using the same, .

Description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 형성을 위한 접합측면용 거푸집 징치,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및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방법{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joint member for a concrete memb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using the concrete joint member. C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할 때,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이웃하는 콘크리트 부재와 연결 접합되는 접합측면에서 매립연결재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도록 콘크리트 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 간의 접합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ide formwork device which enables a concrete member to be easily manufactured so that a buried connecting material is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on the side of a joining jointed to a neighboring concrete member by means of a cast concrete placed at the time of producing a concrete memb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using the same, and a joint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crete members manufactured thereby.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전에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고, 콘크리트 부재 사이의 간격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함으로써, 이웃한 콘크리트 부재를 일체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179호에 개시된 것처럼, 거더와 슬래브가 일체화된 슬래브 일체형 거더(200)를 사전 제작하여 횡방향(교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거더 상부에 일체로 구비된 상부플랜지(슬래브)(21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접합연결 콘크리트(220)를 현장 타설함으로써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도 16에는 위에서 예시한 슬래브 일체형 거더에서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결 접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에 도시된 연결 접합 구조에 이용되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상부플랜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의 단면도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슬래브 일체형 거더를 절단하여 종방향(교축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When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there is a case where adjacent concrete members are integrated by arranging the previously made concrete members next to each other and casting the concrete on the space between the concrete members. For exampl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9179, a plurality of slab integrated type girders 200 in which a girder and a slab are integrated are preliminarily manufactured and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ttling direction) There is a case where a bridge is constructed by laying the joining connecting concrete 220 on a horizontal interval between the upper flanges (slabs) 210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FIG.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joint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slab-integrated type girder by means of a put-on-place concrete,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flange of the slab integrated type girder used in the connection joint structure shown in FIG. A schematic partial magnified perspective view is show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ab-integrated girder showing the cross-section when the slab-integrated girder is cut and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ttling direction).

도 16 및 도 17에 예시된 것처럼, 슬래브 일체형 거더를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와 연결 접합하여 일체화시키기 위해서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200)를 사전 제작할 당시부터, 상부플랜지(210)가 서로 마주하게 되는 측면 즉, "접합측면(10)"에는 매립연결재(13)이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존재하여야 한다. 도 16 및 도 17에 예시된 것처럼 루프철근으로 이루어진 매립연결재(13)가 접합측면(10)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존재하는 형태로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려면, 접합측면(1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할 때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As shown in Figs. 16 and 17, in order to integrate the slab-integrated girder with the laterally neighboring slab-integrated girder, the upper flange 210 has to be opposed to the slab-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13 should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joining side face 10 ". 16 and 17,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oncrete member in the form in which the buried connecting members 13 made of loop reinforcing bars protrude laterally from the joining side face 10,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when installing.

도 18에는 도 17에 도시된 슬래브 일체형 거더를 제작하기 위하여 접합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판(접합측면용 거푸집판)(30)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슬래브 일체형 거더(200)의 경우, 상부플랜지(210) 내에 배근된 철근의 단부가 상부플랜지(210)의 횡방향 폭 이상으로 돌출된 부분이 매립연결재(13)에 해당하거나 또는 상부플랜지(210) 내에 배치된 별도 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부플랜지(210)의 횡방향 폭 이상으로 돌출되어 매립연결재(13)을 이루게 된다.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후, 거푸집을 용이하게 탈형하기 위해서는 매립연결재(13)가 접합측면용 거푸집판(30)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크기의 개구부(31)가 접합측면용 거푸집판(30)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을 위하여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이러한 개구부(31)를 통해서 누출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는 개구부(31)에서 매립연결재(13)가 관통하는 부분을 제외한 개방된 부분을 미리 막아두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방향(교축방향)으로 약 30m의 길이를 가지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이고, 종방향으로 매립연결재(13) 사이의 간격이 약 150mm인 경우, 한쪽 방향 접합측면용 거푸집판(30)에는 200개의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이렇게 많은 개수의 개구부(31)에서 매립연결재(13)가 관통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개방 부분은 콘크리트가 새지 않도록 작업자가 일일이 막아서 마감하는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이고 비용도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FIG.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rm plate (a form plate for joining side) 30 for forming a joining side is provided for manufacturing the slab integrated type girder shown in FIG. In the case of the slab integrated type girder 200, the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steel routed in the upper flange 210 protrudes beyond the lateral width of the upper flange 210 corresponds to the filler 13, One end of the separate member disposed within the upper flange 210 protrudes beyond the lateral width of the upper flange 210 to form the filler joint 13. After the concrete member is manufactured, an opening 31 having a sufficient size to allow the filler joint 13 to easily escape from the form plate 30 for the joining side is inserted into the form plate 30 for the joining side,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concrete laid on the formwork can be leaked through the opening 31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crete member, the open portion of the opening 31 excluding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buried connector 13 penetrates can be pre- This is a very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task.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slab integral type girder having a length of about 30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ttling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uried connecting members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bout 150 mm, the form plate 30 for one- The openings 31 must be formed in the openings 31. The openings except the portions of the openings 31 through which the buried connector 13 penetrates must be closed by the operator to prevent concrete from leaking will be. This operation not only increases the working time but also increases the cos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9179호(2013. 03. 05.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9179 (issued March 31, 20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사전 제작되는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에 매립연결재가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존재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판을 이용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 즉, 거푸집판의 개구부에서 전단연결재가 관통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개방 부분을 작업자가 일일이 막아서 마감해야만 하는 문제점과 그로 인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joint side of a concrete member so that a buried joint member protrudes in a lateral direction on a joint side of a p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er has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except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shear connection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form plate and must be closed to thereby solve the disadvantages caused by the use of the die. The purpose is to provid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매립연결재가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존재하는 형태로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웃하는 콘크리트 부재 사이의 접합연결부 형성을 위한 현장 타설 접합연결 콘크리트용 하면 거푸집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concrete member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form the joint side of the concrete member in a form in which the buried joint member protrude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which makes it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molding plate when a concrete joining concave is used.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를 용이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and economically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using such a molding apparatus for joining sides.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부를 서로 견고하게 접합연결하는 구조 즉, 접합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 firmly joining and connecting concrete portions manufactured using a molding device for a joining side, that is, a joining connection structur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매립연결재가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부에 돌출되어 있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로서,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을 형성하도록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직성형판과, 연직성형판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직성형판에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연결부의 접합연결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게 하는 하면 거푸집판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 역할을 하는 결합거치판과, 연직성형판의 외면에서 접합연결부를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연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연결재와, 연직성형판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매립고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joining side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a joining side face of a concrete member so that a buried connecting material is projected to a joining connecting portion of a concrete member, And a lower mold plate integrally provided on the vertical plate in the form of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to allow the joint connection concrete of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to be poured, And a connecting joint member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toward the joint connecting portion and is embedded in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be embedded into the concrete member The mold apparatus is provided for joining the side being configured.

이러한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연직성형판의 종방향 측면이 서로 닿도록 복수개로 연속 배치된 경우에, 복수개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의 연직성형판 상단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단고정바가, 2개 이상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의 연직성형판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매립연결재는 루프철근으로 이루어지고, 매립고정재는 매립연결재에 해당하는 루프철근의 단부가 연속하여 내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철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을 연직성형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매립고정재의 수평철근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후 연직성형판과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mold arrangements for the join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side faces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xed bar may be coupled so as to be disposed over a vertical plate of two or more joint side molds. Further,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loop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extending inwardly;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ly formed plate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of the embedding fixture are integrated with the vertical pl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장 타설되는 접합연결 콘크리트에 의해 이웃하는 콘크리트 부재와 연결 접합되는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부에 매립연결재가 돌출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을 형성하도록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직성형판과, 연직성형판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직성형판에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연결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하면 거푸집판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 역할을 하는 결합거치판과, 연직성형판의 외면에서 접합연결부를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연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연결재와, 연직성형판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매립고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제작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콘크리트 부재의 하면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하부판에 배치하고, 결합거치판을 거푸집 하부판에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단계; 매립고정재가 매립되도록 거푸집 하부판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거푸집 하부판을 매립고정재와 분리시키고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콘크리트 부재와 일체화되고 매립연결재가 접합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 부재가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such that a buried joint member is protruded from a joining connection portion of a concrete member connected to a neighboring concrete member by a joining connection concrete placed on the site, And a vertical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vertical plate in a shape extending outward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the lower plate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ly- A joint connecting plate integrally provided to project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toward the joint connecting portion and to be embedded in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And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protrude inward. Disposing a joining side dowel constructed to include the embedding fixture to be lipped on a lower plate of a dies for molding a lower surface of a concrete member and assembling the dies for disassembly of the lower plate of the dies; Forming a concrete member by pouring concrete on the formwork bottom plate so that the embedding fixture is embedded; And a step of separating the mold lower plate from the embedding fixture and demolding the concrete member so that the concrete member is manufactured in a state that the molding device for the joining side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member and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is projected toward the joining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위아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에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거푸집 하부판에 배치하여 조립 설치하는 단계는, 연직성형판의 종방향 측면이 서로 닿도록 복수개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연속 배치하는 단계, 및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단고정바를 복수개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의 연직성형판 상단에 결합 설치하되 상단고정바가 2개 이상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의 연직성형판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거푸집 하부판을 탈형하는 단계는, 상단고정바를 연직성형판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weaving, arranging and assembling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on a molding lower plate comprises assembling a plurality of joining side molding apparatuses in a continuous manner so that longitudinal side faces of the vertical molding plates contact each other And a vertically extending upper fixing bar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of the plurality of joining side molding apparatuses so that the upper fixing bar is disposed over the vertical forming plate of the joining side molding apparatus ; The step of demolding the formwork bottom plate may include separating the top fixing bar from the vertical mold plat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을 형성하도록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직성형판과, 연직성형판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직성형판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거치판과, 연직성형판의 외면에서 접합연결부를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매립연결재와, 연직성형판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구비되는 매립고정재를 포함하여 구성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일체화되어 있도록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측면이 서로 마주 보아서 매립연결재가 서로 중첩되도록, 횡방향 간격을 두고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부재 사이의 횡방향 간격의 하면을 가로막게 되는 하면 거푸집판이, 그 가장자리가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의 결합거치판 위에 걸쳐지도록 배치된 후, 하면 거푸집판의 위쪽과 양측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 사이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접합연결 콘크리트가 현장 타설되어 채워짐으로써, 접합연결 콘크리트 내에 매립연결재가 매립된 형태의 접합연결부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이웃한 양측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crete structure, comprising: a vertical plate made of a plate member vertically installed to form a joint side of a concrete member; And an embedding fixtu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molding plate, the embedding fixture being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olding plate toward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ide walls to which the formers for the joining side are attached face each other so that the buried connecting member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lateral gap therebetween In state;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gap between the concrete members is arranged so that its edge is over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of the molding device for the joining side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Wherein the jointed joint is formed by filling the jointed jointed concrete in the jointed jointed concrete by filling the jointed jointed concrete in the space formed by the gap and the adjacent jointed joint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integrated. A junction connection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사전 제작되는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에 매립연결재가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존재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을 형성할 때, 종래 기술과 달리 접합측면을 위한 거푸집판의 개구부에서 전단연결재가 관통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개방 부분을 작업자가 일일이 막아서 마감하는 작업이 전혀 필요 없게 되며, 따라서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제작비용 감축 및 제작기간 단축이라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When the jointing side of the concrete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buried jointing member protrudes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joining side of the concrete member to be manufactured in advance by using the joining sid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does not have to completely close the opening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mold plate except for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shear connection member penetrates,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concrete member can be improved. Accordingly, A very useful advantage of shortening the production period is exerci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부재 사이의 접합연결부에 접합연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접합연결 콘크리트용 하면 거푸집판을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하면 거푸집판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동바리 설치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시공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install a mold plate for a jointed connection concrete in order to install a jointed connection concrete at a joint connection portion between concrete members, and in the process, It is not necessary at all to have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workability.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콘크리트 부재용 거푸집 하부판에 설치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 4의 선 A-A에 따라 종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 5의 선 B-B에 따라 종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후속하여,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도록 콘크리트 부재가 제작되고 거푸집 부재들이 탈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도록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 접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후속하여 접합연결 콘크리트가 현장 타설되어 양측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슬래브 일체형 거더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종래 기술의 연결 접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 접합 구조에 이용되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상부플랜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라 도 17의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제작을 위해 접합측면용 거푸집판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views of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lding apparatus for a junction s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lower mold for a concrete member.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showing a portion where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showing a portion where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crete member is manufactured so that the molding apparatus for a join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mold members are demolded, following FIG. 5;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joint structure of a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so that the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10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D portion of Fig.
FIG. 11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0 showing a state in which jointed connecting concrete is laid in place and both side concrete members are integrated after FIG. 1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FIG.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or art connecting joint structure by using a cast-in-place concrete in a slab-integrated girder.
17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flange of a slab integrated type girder used in the connecting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FIG.
FIG.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ld plate for a joining side is installed for manufacturing the slab-integrated girder of FIG. 17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할 때, 제작하고자 하는 대상을 "콘크리트 부재(100)"라고 통칭하였고, 콘크리트 부재(100)가 서로 이웃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 후 접합 연결됨으로써 일체화되어 연속하게 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하였으며, 콘크리트 부재(10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부재(100)가 앞서 예시하였던 슬래브 일체형 거더일 경우에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교축방향이 "종방향"에 해당하며,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폭방향 즉, 교축직각방향이 "횡방향"에 해당하게 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object to be manufactured is referred to as a "concrete member 100 ",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crete members 1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an interval thereaft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crete member 100 is elongated is referred to as "longitudinal direction ". Therefore, when the concrete member 100 is a slab-integrated type girder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ab integral type girder extends in a long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throttling axis corresponds to "longitudinal direction ",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ab- Quot; lateral direction ".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 부재(100)는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후, 그 횡방향 간격에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양측 콘크리트 부재(100)가 서로 일체화되는데, 이 때 현장 타설 되는 콘크리트를 본 명세서에서는 "접합연결 콘크리트(220)"라고 기재하였으며, 이러한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의해 만들어져서 양측 콘크리트 부재(100)를 일체로 연결하는 부분을 "접합연결부"라고 기재하였고,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연결부에서, 이웃하는 콘크리트 부재를 횡방향으로 마주보게 되는 측면을 "접합측면(10)"이라고 기재하였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members 1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n the concrete is laid on the sit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two side concrete members 10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concrete that is placed on the site is referred to as "joint connection concrete (22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portion formed by the joint connection concrete (220)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side concrete members (100) , And a side where the adjacent concrete members are laterally opposed to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joint side 10" in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100. [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는, 접합측면(10)을 형성하게 되는 연직성형판(11)과, 상기 연직성형판(1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결합거치판(12)과, 연직성형판(11)의 외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매립연결재(13)와, 연직성형판(11)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100)에 매립되는 매립고정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lding apparatus for a joining sid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the drawing, a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ing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rtical forming plate 11 for forming a joining side face 10, (13) integrally provid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and a connecting plate (12) integral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And an embedding fixture 14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100.

연직성형판(11)은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판부재로서, 연직성형판(11)의 양측면 중에서 콘크리트 부재(100)의 콘크리트가 닿게 되는 방향의 측면을 "내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 측면을 "외면"이라고 기재한다. 따라서 연직성형판(11)의 내면에서 콘크리트 부재(100)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연직성형판(11)의 외면에서 접합연결부를 향하는 방향을 "외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The vertical plate 11 is a plate member vertically installed to form a joining side surfac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The concrete member 100 of the concrete member 100, Side surface is referred to as "inner surface ", and the opposite side surface is referred to as" outer surface ". Therefore,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1 toward the concrete member 100 is referred to as "inner direction ", and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1 toward the joint connection is referred to as" outward direction ".

연직성형판(11)의 하단에는 결합거치판(1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데, 결합거치판(12)은 연직성형판(11)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는 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영어 알파벳 대문자 L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The coupling plate 12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coupling plate 12 extends outwardly from the vertical plate 11. Therefore, the molding device 1 for the joining side of the concre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bent in an English alphabet capital letter L shape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연직성형판(11)의 외면에는 매립연결재(13)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연직성형판(11)의 내면에는 매립고정재(14)가 내측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형태로 일체 구비되어 있다. 연직성형판(11)의 내측방향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부재(100)가 제작될 때, 매립고정재(14)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는 콘크리트 부재(100)와 일체화된다. 그리고 연직성형판(11)은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을 피복하게 된다. The embedding linking member 13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haping plate 11 so as to protrude outwardly. I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shaping plate 11, Respectively. When the concrete member 100 is manufactured by placing the concrete i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the embedding fixture 14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member 100, The device 1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 vertical plate 11 covers the joint side of the concrete member 100.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매립연결재(13)는 루프형태의 철근("루프철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립고정재(14)는 매립연결재(13)에 해당하는 루프철근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철근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매립연결재(13)와 매립고정재(14)가 하나의 부재로 연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매립고정재(14)를 이루는 2개의 수평철근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연직성형판(11)에 형성하여 매립고정재(14)의 수평철근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도록 한 후, 용접에 의해 연직성형판(11)과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매립연결재(13)의 형태는 이와 같은 루프철근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립고정재(14) 역시 단순한 수평철근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립연결재(13)와 매립고정재(14)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연직성형판(11)에 매립연결재(13)와 매립고정재(14)을 설치하는 방식도 위에서 예시한 관통공을 이용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 buried connector 13 is formed of a loop-shaped reinforcing bar ("loop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whose end portion is elongated in the inner direction. That is, the buried connector 13 and the buried fixture 14 are continuous with one member. In this cas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wo horizontal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embedding fixing member 14 can pass is formed in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of the embedding fixing member 14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by integrating it with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buried connector 13 is not limited to such a loop reinforcement, and the buried fastener 14 is not limited to a simple horizontal reinforcement. Another embodiment of the embedding link member 13 and the embedding fixture 14 will be described later. Also,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embedding link 13 and the embedding fixing material 14 in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through holes.

결합거치판(12)은 거푸집 하부판(110)과의 결합을 위하여 사용되며, 더 나아가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의 타설을 위한 "하면 거푸집판(221)"을 지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거푸집 하부판(110)과의 분해조립 가능한 형태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거치판(12)에는 볼트관통공(1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The joining mount plate 12 is used for joining with the formwork bottom plate 110 and is also used to support the "lower mold plate 221" for the placement of the joining connecting concrete 220. [ A bolt through hole 18 may b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late 12 for coupling the plate bottom plate 110 in a disassemblyable manner.

도 3 내지 도 5에는 각각 위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콘크리트 부재(100)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 하부판(110)에 설치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콘크리트 부재(1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하면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하부판(110)이 설치되는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거치판(12)이 거푸집 하부판(1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거푸집 하부판(110) 위에 배치한 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볼트관통공(18) 및 거푸집 하부판(110)에 형성된 또다른 볼트관통공에 관통시켜 고정하는 볼트결합에 의해서, 결합거치판(12)과 거푸집 하부판(110)을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거푸집 하부판(110)에 설치할 수 있다.3 to 5 show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ormwork bottom plate 110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crete member 100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is shown. 3, the coupling plate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The lower plate 11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After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is disposed on the formwork lower plate 110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is passed through another bolt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lt through hole 18 and the form lower plate 110 The joining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0 ar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joining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0 can be disassembled by the bolt joining to the lower plate 110 of the joining s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일예로서, 앞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서 예시하였던 상부플랜지를 가지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가 도시되어 있고, 종방향의 전체 길이에서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거푸집 하부판(110)은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 된다. 도 3에서 부재번호 120은 상부플랜지의 보강을 위하여 배치되는 횡방향 주철근(120)이다.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거푸집 하부판(110)에 설치되면, 매립고정재(14)는 거푸집 하부판(11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며, 이 경우 매립고정재(14)는 횡방향 주철근(120)과 겹이음될 수 있다. 3 to 5 show an example of the concrete member 100, which is a slab integrated type girder having an upper flange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ior art, only a part of which is shown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3 to 5, the formwork bottom plate 110 is for forming an upper flange of the slab-integrated girder. In FIG. 3, reference numeral 120 is a lateral cast iron 120 disposed for reinforcement of the upper flange. 3, whe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mold plate 110, the embedding fixture 14 is positioned above the molding lower plate 110. In this case, 14 may be overlapped with the lateral cast iron rope 120.

콘크리트 부재(100)가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경우에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종방향 길이에 맞추어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종방향으로 복수개 연속 배치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각각의 연직성형판(11)의 종방향 측면이 서로 닿도록 연속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볼트결합에 의해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거푸집 하부판(11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연직성형판(11)의 하단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만 연직성형판(11)의 상단은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에 있다. 특히, 위와 같이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 상단이 종방향으로 볼 때,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어긋나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한 대비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단고정바(15)를, 복수개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걸쳐서 결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상단고정바(15)를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그에 후속하여 상단고정바(15)가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 완료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의 선 B-B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concrete member 100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molding apparatuses 1 for joining sides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ncrete member 100. That is, a plurality of joining side dies 1 can b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sides of the respective vertical plates 1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is fixed firmly in the state where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is mounted on the lower forming plate 110 by the bolt connection bu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in a state of being. Particularly, in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joining side molds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olding plate 11 of each joining side molding apparatus 1,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it may be out of alignment. 4 and 5,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upper fixing bar 1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of the plurality of joining side molding apparatuses 1, .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fixing bar 1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upper fixing bar 15 is join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Respectively. Fig. 6 shows a schematic sectional view in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line A-A in Fig. 4, and Fig. 7 shows a schematic sectional view in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line B-B in Fig.

상단고정바(15)는 연직성형판(11)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150)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 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도 4 및 도 6 참조), 연직성형판(11)이 상단고정바(14)의 삽입홈(150)에 끼워지는 방식에 의해 상단고정바(15)가 복수개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된다(도 5 및 도 7 참조). 상단고정바(15)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종방향 전체 길이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상단고정바(15)의 종방향 길이가 콘크리트 부재(100)의 종방향 전체 길이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상단고정바(15)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단고정바(15)는 2개 이상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웃하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가, 상단고정바(15)의 양끝단 위치와 일치하지 않도록 즉, 상단고정바(15)의 종방향 길이 중에 존재하도록, 상단고정바(15)가 연직성형판(11)에 결합되어야, 복수개의 연직성형판(11)이 상단고정바(15)에 의해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The upper fixing bar 15 can be made of a rod-like memb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50 into which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can be inserted (see FIGS. 4 and 6) The upper fixing bar 15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of the plurality of joining side dies 1 by the way that the upper fixing bar 14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of the upper fixing bar 14 5 and 7).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ixing bar 15 may be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total length of the concrete member 100. The length of the upper fixing bar 15 may be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upper fixing bars 15 may be use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fixing bar 15 is disposed over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of the two or more joining side molding apparatuses 1.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vertically formed plates 11 of the neighboring joining side dies 1 face each other does not coincide with the position of the both ends of the upper fixing bar 15, The upper fixing bar 15 must be coupled to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such that the upper fixing bar 15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vertical forming plates 11 are fixed in a longitudinally straight state by the upper fixing bar 15. [ The advantage that can be demonstrated effectively.

상단고정바(15)를 이용할 경우에는, 위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을 서로 종방향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와, 연직성형판(11)이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연직두께에 맞추어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추가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횡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며 연직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사각단면형태의 막대부재를 상단고정바(15)로 이용할 경우, 적절한 연직방향 폭을 가지는 상단고정바(15)를 선택함으로써, 연직성형판(11)와 상단고정바(15)가 결합된 상태의 전체 연직높이를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연직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단고정바(15)를 설치하면 연직성형판(11) 자체의 강성도 증가하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100)의 제작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대해서도 충분한 저항력이 발휘되는 장점도 발휘된다. 그러나 상단고정바(15)는 생략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 경우,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서로 이웃하는 연직성형판(11)끼리를 별도의 조립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upper fixing bar 15, the effect of making the vertical forming plates 11 of the molding apparatus 1 for joining side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 line of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height of the joining side mold device 1 can be easi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concrete member 100 to be manufactured as well as the effect of fixing the molding device 1 in the lateral direction do. When a rod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used as the upper fixing bar 15, by selecting the upper fixing bar 15 having an appropriate vertical width, And the upper fixing bar 15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be equal to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concrete member 100 to be manufactured. Of course, when the upper fixing bar 15 is provided, the rigidity of the vertical plate 11 itself is also increased, so that sufficient resistance is exhibited also against the concrete placing pressure when the concrete member 100 is manufactured. However, the upper fixing bar 15 may be omitted. In this case,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joining sides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djacent vertical molding plates 11 are join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assembly member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거푸집 하부판(110)에 설치한 후에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제작에 필요한 나머지 거푸집 부재를 조립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부재(100)를 제작하게 된다. 콘크리트 부재(100)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 하부판(110)을 포함한 거푸집 부재를 탈형하게 된다. 도 8에는 도 5에 후속한 상태로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도록 콘크리트 부재(100)가 제작되고 거푸집 하부판(110) 및 상단고정바(15)를 탈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After the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mold lower plate 110, after the remaining mold members necessary for manufacturing the concrete member 100 are assembled and installed, the concrete member 100 ). Whe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concrete member 100 is cured, the forming member including the forming lower plate 110 is demolded. Fig. 8 is a state subsequent to Fig. 5, in which the concrete member 10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t side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tate where the form lower plate 110 and the upper fixing bar 15 are demolded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s shown.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매립고정재(14)는 콘크리트 부재(100)를 위한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 자체가 콘크리트 부재(100)와 일체화되어 분리될 수 없지만,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와 거푸집 하부판(110)은 볼트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볼트결합을 해제하게 되면 거푸집 하부판(110)은 쉽게 탈형되어 제거될 수 있다. 연직성형판(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던 상단고정바(15)은, 연직성형판(11)이 삽입홈(150)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단고정바(15)를 종방향 또는 연직상향으로 타격하는 작업 등에 의해, 연직성형판(11) 및 콘크리트 부재(100)로부터 상단고정바(15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분리된 상단고정바(150)는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고정바(150)이 제거되면, 연직성형판(11)의 상단 위쪽에서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표면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탈형 작업이 완료됨으로써,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접합측면에 남겨져서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형태의 콘크리트 부재(100)가 제작도 완료된다. Since the embedding fixing member 14 is embedded in the concrete for the concrete member 100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joining side,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itself can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member 100 to be separated However, since the form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and the form lower plate 110 are bolted to each other, when the bolt connection is released, the form lower plate 110 can be easily demoulded and removed. The upper end fixing bar 15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is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Therefore, The upper fixing bar 15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and the concrete member 100 by an operation of hitting the upper fixing bar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It can be recovered and recycled. When the upper fixing bar 150 is thus removed, the concret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joining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is ex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The completion of the demolding operation completes the production of the concrete member 100 in which the molding apparatus 1 for join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ft on the side surface of the joining and is integrally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이용하게 되면, 종래 기술과 달리 접합측면을 위한 거푸집판의 개구부에서 전단연결재가 관통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개방 부분을 작업자가 일일이 막아서 마감하는 작업이 전혀 필요 없이, 매립연결재(13)가 접합연결부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존재하는 형태로 콘크리트 부재(100)를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콘크리트 부재(100)의 제작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제작비용 감축 및 제작기간 단축이라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The use of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ing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orker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except for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shear connection member penetrates in the opening of the form plate for the joining side,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ncrete member 100 very easily in a form in which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13 protrudes in the lateral direction toward the joint connecting portion without any ne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concrete member 100 So that a very advantageous advantage is obtained that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and the production time is shortened.

도 9에는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도록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100)를 그 접합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부재(100)를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현장 타설되는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의해 접합연결부를 형성하여 서로 일체화시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부착되어 있는 측면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 때, 양측 콘크리트 부재(100)에서부터 돌출되어 있는 매립연결재(13)는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6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crete member 100, which is manufactured so that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And FIG. 10 show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D portion of FIG. As shown in FIGS. 9 and 10, in the case where the concrete members 1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space therebetween at a laterally spaced interval, and joint connecting joints are formed by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placed between the adjacent concrete members, , The side surfaces of the molding apparatus 1 for bond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buried connecting members 13 protruding from the two side concrete members 100 are position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후속하여 접합연결 콘크리트(220)를 타설하기 전에, 콘크리트 부재(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의 하면을 가로막게 되는 하면 거푸집판(221)을 설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 양측의 콘크리트 부재(100)의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외측방향으로 즉, 접합연결 콘크리트(220)를 타설할 공간 방향으로 결합거치판(12)이 존재한다. 따라서 하면 거푸집판(211)의 가장자리가, 위와 같이 돌출된 결합거치판(12) 위에 걸쳐지도록 상기 하면 거푸집판(221)을 설치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결합거치판(12)은, 접합연결부 형성을 위하여 현장 타설되는 접합연결 콘크리트용 하면 거푸집판(221)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e lower mold plate 221 is provided so as to block the lower side of the lateral spacing between the concrete members 100 before the concrete joints 220 are subsequently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ngaging mounting plate 12 in the outward direction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facing each other, that is, in the space direction in which the joining connecting concrete 220 is to be laid. Accordingly, the lower mold plate 221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edge of the form plate 211 is over the coupling plate 12 protruding as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and holding plate 12 serves a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form plate 221 for joining connected concrete to be laid in place for forming a joining connection part .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의 현장 타설을 위한 "하면 거푸집판(221)"을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하면 거푸집판(221)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동바리 설치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는 바, 그에 따라 시공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lower mold plate 221" for the site placement of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can be installed very easily, but also a separate concrete installa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mold plate 221 No work is required at all, thereby achieving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workability.

도 11에는 도 10에 후속하여, 하면 거푸집판(221) 위쪽 및 횡방향 양측의 콘크리트 부재(100)의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 사이의 마주보는 내측방향 공간 내에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현장 타설되어 양측 콘크리트 부재(100)가 일체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하면 거푸집판(221)이 설치된 후에, 하면 거푸집판(221)의 위쪽과 양측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 사이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타설되어 채워짐으로써, 접합연결 콘크리트(220) 내에 매립연결재(13)가 매립된 형태의 견고한 접합연결부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횡방향 양측의 콘크리트 부재(100)가 견고하게 서로 일체화된다.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concrete joint member) is inserted in the facing inner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 concrete formwork units 1 facing each other, There is shown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wo side concrete members 100 are integrated with the side walls 220 and the side walls 220 are installed in the field. 11, after the mold plate 221 is installed,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is placed in a space formed by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old plate 221 and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side joining sides The solidified joint connection portion in which the buried joint 13 is buried is formed in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so that the concrete members 100 on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firmly integrated with each other.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단고정바(15)를 이용한 경우, 상단고정바(15)는 콘크리트 부재(100)가 완성될 때 제거될 수 있는데, 상단고정바(15)를 제거한 후에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타설되면, 연직성형판(11)의 상단 위에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덮이게 되며, 그에 따라 연직성형판(11)은 콘크리트에 묻혀 있고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연직성형판(11)의 부식 등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fixing bar 15 is used, the upper fixing bar 15 can be removed when the concrete member 100 is completed. After the upper fixing bar 15 is removed, The joining connecting concrete 220 is cover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so that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is buried in the concrete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Therefore, a very advantageous effect is obtained in which damage such as corrosion of the vertical shaping plate 11 is fundamentally prevented.

만일 연직성형판(11)이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을 전부 피복한 상태에서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타설되는 경우,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와 콘크리트 부재(100)는 연직성형판(11)의 존재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서로 연속되지 못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상단고정바(15)를 사용하는 경우,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와 콘크리트 부재(100)는 콘크리트가 서로 연속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단고정바(15)를 제거하였을 때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에서 상단고정바(15)가 존재하던 부분은 연직성형판(11)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채 콘크리트 표면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타설되면 접합연결 콘크리트(220)는 연직성형판(11)의 상단 위를 덮으면서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에서 노출되어 있던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접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와 콘크리트 부재(100)는 콘크리트가 서로 연속된다. 이와 같이, 상단고정바(15)를 이용할 경우, 위와 같이 연직성형판(11)의 외부 노출 방지의 효과에 더하여, 접합연결 부분에서의 콘크리트 연속이라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The jointed connecting concrete 220 and the concrete member 10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when the vertically formed plate 11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joined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The presence of the forming plate 11 prevents the concrete from continuing to each other. However, when the upper fixing bar 15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and the concrete member 10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crete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In detail, when the upper fixing bar 15 is removed, the portion where the upper fixing bar 15 is present in the joining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is not covered with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The concrete surface is exposed. When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is poured in this state,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covers the top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directly contacts the concrete surface exposed at the joining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So that the jointed connecting concrete 220 and the concrete member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u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vertical plate 11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upper fixing bar 15 exerts an additional effect of continuity of concrete at the joint connecting portion.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매립연결재(13)와 매립고정재(14)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5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의 각각에서 (a)와 (b)는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t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ied connector 13 and the embedding fixture 14 are not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Figs. 12 to 15 show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FIGS. 12 to 15, (a) and (b) are shown in different directions.

도 12에 도시된 제2실시예처럼,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매립연결재(13)는 루프철근으로 이루어져 있되, 매립고정재(14)는 스터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제3실시예처럼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매립고정재(14)는 스터드의 형태로 구비되고, 매립연결재(13)는 단순히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철근 등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도 14에 도시된 제4실시예처럼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매립연결재(13)가 스터드의 형태로 구비되고, 매립고정재(14)는 단순히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철근 등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도 15에 도시된 제5실시예처럼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매립연결재(13)와 매립고정재(14)가 모두 스터드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12,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ing side,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13 is made of a loop reinforcement, and the buried fixing member 1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ud. 13, the embedding fixture 14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ud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ing side, and the embedding link 13 is simply formed of a rod member such as a reinforcing bar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 Of course, as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14, in the formwork device 1 for joining side,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1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ud, and the buried fixing member 14 is simply formed of a rod member In addition, as in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15, both the filler joint 13 and the embedding fixture 1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tuds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joining sides.

이러한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경우에는, 앞서 루프철근을 연직성형판(11)에 관통시키는 결합방식이 아니라, 매립연결재(13)와 매립고정재(14) 각각의 단부를 연직성형판(11)에 용접, 접합 등에 의해 일체화 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the end portion of each of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13 and the embedding fixing member 14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11 by welding, bonding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에서 연직성형판(11)은 강재판 이외에도 합성수지판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 부재용 콘크리트 및 접합연결부용 콘크리트와의 더욱 견고한 합성을 위하여 연직성형판(11)의 내면과 외면은 각각 "거친 면 처리"가 되어 있거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molding apparatus 1 for a join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plate 1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plate in addition to a steel plate, and may be used for concrete for concrete members and concrete for joints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may be respectively "rough surface treated" or protrusions may be formed.

위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부재(100)로서 슬래브 일체형 거더,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래브 일체형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적용되어, 접합연결부용 현장타설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는 콘크리트 부재(100)는 단순한 슬래브 부재 등이 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부재(100)의 형태와 용도에는 제한이 없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concrete member 100 to be manufactured, the slab integrated type girder, more specifically, the upper flange of the slab integrated type girder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crete member 100 which is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the site-to-sit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for the joint connecting part may be a simple slab member or the lik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and use of the concrete member 100 are limited There is no.

1: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
11: 연직성형판
12: 결합거치판
13: 매립연결재
14: 매립고정재
1: Formwork for joining side
11: Vertical plate
12: Combined mounting plate
13:
14:

Claims (6)

매립연결재(13)가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연결부에 돌출되어 있도록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로서,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을 형성하도록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직성형판(11)과,
연직성형판(1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종방향으로 볼 때 L자형태의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접합연결부의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타설될 수 있도록 만드는 하면 거푸집판(221)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되는 결합거치판(12)과,
연직성형판(11)의 외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매립되는 매립연결재(13)와,
연직성형판(11)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100)에 매립되는 매립고정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직성형판(11)의 종방향 측면이 서로 닿도록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복수개로 연속 배치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단고정바(15)가, 2개 이상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연직성형판(11)의 상단에 결합되는데;
상단고정바(15)는 횡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며 연직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사각단면형태의 막대형 부재로 제작되고 연직성형판(11)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150)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직성형판(11)이 상단고정바(15)의 삽입홈(150)에 끼워지는 방식에 의해 상단고정바(15)가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되며;
콘크리트 부재(100)의 콘크리트 타설 후 상단고정바(15)가 제거되면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에서 상단고정바(15)가 존재하던 부분이 연직성형판(11)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채 콘크리트 표면이 노출되고 콘크리트 부재(100)의 측면과 연직성형판(11) 상단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
A formwork device (1) for joining side faces (10) for forming a joining side (10) of a concrete member (100) so that a buried connecting material (13) protrudes from a joining connection part of a concrete member
A vertical plate 11 made of a vertical plate member so as to form a joined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Is integrally formed in a shape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so as to have an L-shaped bent shape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ing device (1) for joining side, An engaging and fixing plate 12 serving a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form plate 221 so that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can be installed,
A buried connector 13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embedded in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And a buried fixture (14) integrally provid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10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olding apparatuses 1 for joining sides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side faces of the vertical plate 11 contact each other, the upper end fixing bar 1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for two or more joining side faces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plate (11) so as to be disposed over the vertical plate (11) of the molding machine (1);
The upper fixing bar 15 is formed of a rod-shaped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groove 150 into which the vertical plate 11 can be fitt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fixing bar 15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by the way that the vertical plate 11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of the upper fixing bar 15;
When the upper fixing bar 15 is removed after the concrete member 100 is poured into concrete, the portion where the upper fixing bar 15 is present on the joining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is covered with the vertical plate 11 And a gap is present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매립연결재(13)는 루프철근으로 이루어지고, 매립고정재(14)는 매립연결재(13)에 해당하는 루프철근의 단부가 연속하여 내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철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을 연직성형판(11)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매립고정재(14)의 수평철근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후 연직성형판(11)과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bedding member 13 is formed of a loop reinforcement and the embedding fixture 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having a long end portion of the loop reinforcement corresponding to the embedding linking member 13 and extending inwardly in a long direction;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plate (11)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of the embedding fixture (14) is integrated with the vertical plat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Side formwork.
현장 타설되는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의해 이웃하는 콘크리트 부재와 연결 접합되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연결부에 매립연결재(13)가 돌출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부재(10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을 형성하도록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직성형판(11)과, 연직성형판(1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직성형판(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종방향으로 볼 때 L자형태의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의 타설용 하면 거푸집판(221)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결합거치판(12)과, 연직성형판(11)의 외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매립되는 매립연결재(13)와, 연직성형판(11)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100)에 매립되는 매립고정재(14)를 포함하도록 제작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콘크리트 부재(100)의 하면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하부판(110)에 배치하여 결합거치판(12)을 거푸집 하부판(110)에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단계;
매립고정재(14)가 매립되도록 거푸집 하부판(11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부재(100)를 형성하는 단계; 및
거푸집 하부판(110)을 콘크리트 부재(100)와 분리시키고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콘크리트 부재(100)와 일체화되고 매립연결재(13)가 접합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 부재(100)가 제작되며;
결합거치판(12)을 거푸집 하부판(110)에 조립하는 단계에서, 연직성형판(11)의 종방향 측면이 서로 닿도록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복수개로 연속 배치한 후,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단고정바(15)를 2개 이상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하는데, 상단고정바(15)는 횡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며 연직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사각단면형태의 막대형 부재로 제작되어 있고 연직성형판(11)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150)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연직성형판(11)이 상단고정바(15)의 삽입홈(15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단고정바(15)를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하며;
거푸집 하부판(110)의 탈형 단계에서는, 상단고정바(15)를 연직성형판(11)으로부터 제거하여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에서 상단고정바(15)가 존재하던 부분이 연직성형판(11)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채 콘크리트 표면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콘크리트 부재(100)의 측면과 연직성형판(11) 상단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상태가 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100) so that a filler joint (13) is protruded from a joint connection portion of a concrete member (100) connected to a neighboring concrete member by a joint connection concrete (220)
A vertical plate 11 made of a vertical plate member so as to form a joining side fac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a vertical plate 11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has an L-shaped bent shape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engaging and fixing plate 12 serving a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form plate 221 when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is placed, A buried connector 13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embedded in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A jointing side mold device 1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buried fixture 14 to be embedded in a concrete member 100 is disposed on a concrete lower plate 110 for molding a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The engaging and fixing plate 12 is inserted into the form bottom plate 110, Assembling such that decomposition is possible;
Forming a concrete member (100) by placing concrete on the formwork bottom plate (110) so that the embedding fixture (14) is embedded; And
By separating the decking plate 110 from the concrete member 100 and demolding it,
The concrete member 100 is manufactured in a state that the molding device 1 for the joining side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13 is projected toward the joining connection portion;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combined mounting plate 12 to the molding lower plate 110, a plurality of molding apparatuses 1 for joining sides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side faces of the vertical molding plates 11 contact each other,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so as to be disposed over the vertical plate 11 of the two or more joining side dies 1 while the upper fixing bar 15 is extended And an insertion groove 150, which is made of a rod-shaped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vertical plate 11 can be inserted, 11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fixing bar 15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of the upper fixing bar 15;
The upper fixing bar 15 is removed from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so that the portion of the joining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in which the upper fixing bar 15 exists is vertical The concrete surface is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forming plate 11 so that a gap exists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 Lt; / RTI >
삭제delete 콘크리트 부재(100)를 제작한 후, 콘크리트 부재(100)를 횡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하고 서로 접합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부재(100)를 제작할 때에는,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을 형성하도록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직성형판(11)과, 연직성형판(1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직성형판(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연직성형판(11)과 함께 종방향으로 볼 때 L자형태의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의 타설용 하면 거푸집판(221)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결합거치판(12)과, 연직성형판(11)의 외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매립되는 매립연결재(13)와, 연직성형판(11)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100)에 매립되는 매립고정재(14)를 포함하도록 제작된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이용하되, 콘크리트 부재(100)의 하면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하부판(110)에 배치하여 결합거치판(12)을 거푸집 하부판(110)에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단계; 매립고정재(14)가 매립되도록 거푸집 하부판(11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부재(100)를 형성하는 단계; 및 거푸집 하부판(110)을 콘크리트 부재(100)와 분리시키고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콘크리트 부재(100)와 일체화되고 매립연결재(13)가 접합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 부재(100)를 제작하는데;
결합거치판(12)을 거푸집 하부판(110)에 조립하는 단계에서, 연직성형판(11)의 종방향 측면이 서로 닿도록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를 복수개로 연속 배치한 후,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단고정바(15)를 2개 이상의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연직성형판(11)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하는데, 상단고정바(15)는 횡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며 연직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사각단면형태의 막대형 부재로 제작되어 있고 연직성형판(11)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150)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연직성형판(11)이 상단고정바(15)의 삽입홈(15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단고정바(15)를 연직성형판(11) 상단에 결합하며;
거푸집 하부판(110)의 탈형 단계에서는, 상단고정바(15)도 연직성형판(11)으로부터 제거하여 콘크리트 부재(100)의 접합측면(10)에서 상단고정바(15)가 존재하던 부분이 연직성형판(11)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채 콘크리트 표면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콘크리트 부재(100)의 측면과 연직성형판(11) 상단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상태가 되도록 만들며;
콘크리트 부재(100)의 제작 후에는,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일체화되어 있도록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100)를,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가 부착되어 있는 측면이 서로 마주 보아서 매립연결재(13)가 서로 중첩되도록, 횡방향 간격을 두고 서로 이웃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부재(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의 하면을 가로막게 되는 하면 거푸집판(221)이, 그 가장자리가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의 결합거치판(12) 위에 걸쳐지도록 배치한 후, 하면 거푸집판(221)의 위쪽과 양측 접합측면용 거푸집 장치(1) 사이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접합연결 콘크리트(220)를 현장 타설에 의해 채우되,
상단고정바(15)가 존재하다가 제거되어 연직성형판(11)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채 콘크리트 표면이 노출된 부분이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에 직접 접하게 되고 콘크리트 부재(100)의 측면과 연직성형판(11) 상단 사이에 존재하던 간격에도 접합연결 콘크리트(220)가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접합연결 콘크리트(220) 내에 매립연결재(13)가 매립되고 연직성형판(11)도 접합연결 콘크리트(220) 내에 매립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접합연결 콘크리트(220)와 콘크리트 부재(200)가 서로 연속된 형태의 접합연결부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이웃한 양측 콘크리트 부재(100)가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방법.
After the concrete member 100 is manufactured, the concrete members 1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concrete member 100 is manufactured,
A vertical plate 11 made of a vertical plate member so as to form a joining side fac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a vertical plate 11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So as to have an L-shaped bent shape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vertical plate 11 and to serve a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form plate 221 when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is installed A joint connecting plate 13 integrally formed to project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embedded in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is formed by mol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so as to include the embedding fixing member 14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n placed on the formwork bottom plate 110 Assembling the mounting decompose plate 12 to mold the bottom plate 110 to be; Forming a concrete member (100) by placing concrete on the formwork bottom plate (110) so that the embedding fixture (14) is embedded; And the step of separating the mold lower plate 110 from the concrete member 100 and demolding the mold member 1 so that the mold member 1 for the joining side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 buried connecting member 13 is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joint connection To produce a concrete member 100 in a state where the concrete member 100 is in a state of being formed;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combined mounting plate 12 to the molding lower plate 110, a plurality of molding apparatuses 1 for joining sides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side faces of the vertical molding plates 11 contact each other,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so as to be disposed over the vertical plate 11 of the two or more joining side dies 1 while the upper fixing bar 15 is extended And an insertion groove 150, which is made of a rod-shaped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vertical plate 11 can be inserted, 11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fixing bar 15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0 of the upper fixing bar 15;
The upper fixing bar 15 is also removed from the vertical forming plate 11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upper fixing bar 15 is present on the joining side 10 of the concrete member 100 is vertical The surface of the concrete is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forming plate 11,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After the concrete member 100 is manufactured, the concrete member 100, which is manufactured so that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joining side is integrated, is disposed so that the sides to which the molding apparatus 1 for joining sides are attached face each other, (13)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lateral gap so as to overlap each other;
The lower mold plate 221 which blocks the lower side of the lateral gap between the concrete members 100 is arranged so that its edge is over the engaging fixed plate 12 of the joining side mold device 1,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is fi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orm plate 221 and the molding apparatus 1 for the side joining sides,
The upper fixing bar 15 is present and removed so that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crete surface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vertical plate 11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jointed connection concrete 2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00 and the vertical molding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is filled in the gap exis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late 11 so that the filler joint 13 is buried in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and the vertical plate 11 is also bonded to the joint connecting concrete 220, A joint connection part in which the jointing connection concrete 220 and the concrete member 200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is form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lateral side adjacent concrete members 10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KR1020170005985A 2017-01-13 2017-01-13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KR101909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85A KR101909572B1 (en) 2017-01-13 2017-01-13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85A KR101909572B1 (en) 2017-01-13 2017-01-13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62A KR20180083562A (en) 2018-07-23
KR101909572B1 true KR101909572B1 (en) 2018-12-19

Family

ID=6310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85A KR101909572B1 (en) 2017-01-13 2017-01-13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5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836A (en) * 2019-12-13 2021-06-24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of girde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21B1 (en) * 2019-05-21 2020-11-18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crete Memb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710A (en) * 1998-07-22 2000-02-08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Structure of concrete floor slab
KR101068413B1 (en) * 2011-04-18 2011-09-29 (주)리튼브릿지 Deckplate using steel beam and ashphalt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0235U (en) * 1985-04-22 1986-11-10
JPH084175A (en) * 1994-06-17 1996-01-09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floor slab
KR101239179B1 (en) 2012-11-21 2013-03-05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ulb-t girder b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710A (en) * 1998-07-22 2000-02-08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Structure of concrete floor slab
KR101068413B1 (en) * 2011-04-18 2011-09-29 (주)리튼브릿지 Deckplate using steel beam and ashphalt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836A (en) * 2019-12-13 2021-06-24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of girder using the same
KR102327700B1 (en) 2019-12-13 2021-11-24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of gird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62A (en)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13B1 (en) Precast composite deck for forming deck joint using connection beam of box-type, and conne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90860B1 (en) Double PC wal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645462B1 (en) Precast crossing beam manufacturing method for bridge and precast crossing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JP6557497B2 (en) Method for producing precast concrete member
KR101420203B1 (en) The pillar and girder connecting structure for a building
KR101909572B1 (en) Cas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of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of such Concrete Members using such Casting Apparatus
KR20160053289A (en) Precast half-slab for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ng bridge superstructure using same
KR101422076B1 (en) Flat ti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forms using the same
KR101482522B1 (en)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552226B1 (en) Structure of mounting form on the T-typed deckplate for the hollow core slab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72991B1 (en) Pre-assembled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KR101619067B1 (en) Fabricated Column Structure with Jointing Structure of the Beam
KR100949785B1 (en) Mold for manufacturing PC beam
KR101142183B1 (en) The double tee from slab system beams-slab the structural body which strengthens a junction bringing up for discussion all characteristic and the spatial-temporal method
KR101463106B1 (en)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girder connecting structure for a building
KR101900689B1 (en) Walls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method
KR101451267B1 (en) System forms for manufacturing assembly type PC members and method of producing PC members using the same
KR101954387B1 (en)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785722B1 (en) Insulation Integrated Deck Plate
KR10220911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member using tube
KR101482523B1 (en)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125808B1 (en) Precast unit For large wall construction
KR20130136874A (en) Logitudinal divided girder
JP2006169730A (en) Concrete bridge gird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