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001B1 -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 Google Patents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001B1
KR101909001B1 KR1020160158321A KR20160158321A KR101909001B1 KR 101909001 B1 KR101909001 B1 KR 101909001B1 KR 1020160158321 A KR1020160158321 A KR 1020160158321A KR 20160158321 A KR20160158321 A KR 20160158321A KR 101909001 B1 KR101909001 B1 KR 101909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roove
dispensing head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124A (ko
Inventor
박종하
조정호
국동훈
서일광
장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프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to KR102016015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0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는 펄스 발생부(100); 유입된 가스를 호스(300)를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하는 가스 분배부(200); 를 포함하되, 음료를 저장하는 제 1 용기와 연결되고, 세척을 위한 액체를 다이렉트로 공급받으며, 상기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레버(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버(7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음료 또는 세척을 위한 액체가 유입되고, 상기 가스 분배부(200)는,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호스로 배출하는 제 1 가스 배출부(220);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용기로 배출하는 제 2 가스 배출부(230); 및 상기 가스 분배부(20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물(200a); 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Beverage Distribution Head Integrating Direct Water Supply Type Cleaning Module}
본 발명은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음료 분배 기능 이외에 선택적으로 직수타입 세척모듈을 이용하여 세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선박 송유관, 오폐수 슬러지 처리 시설의 배관, 건설 플랜트 설비의 내부 배관, 맥주 등의 식음료 장비에서의 음료 공급관 등의 산업 설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액체 공급관들은 내부의 액체의 특성과 설치 장소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내부 벽면에 스케일 등의 이물질 및 세균 등이 침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식음료 등의 다양한 액체가 장시간에 걸쳐 도관을 따라 흐르게 되면, 도관의 내면에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부식이란 금속이 주위의 액체나 기체와 접촉하여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또 다른 부식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가) 용수를 운반하는 도관에 외부의 물리적 영향에 의하여 변화를 갖는 것
나) 어떤 물질에 화학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물질이 접근하여 전기적인 변화를 일으켜 그 부위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
다) 모든 물질은 자기만의 전위를 갖고 있는데, 이러한 전위(electric potential)가 다른 전위의 물질이 접근했을 때 자기반응을 일으켜 이물질을 생성하는 것
라) 어떤 물질에 산소가 작용하여 변화하는 것(산화작용)
한편, 포괄적으로 표현한다면, 부식이란 환경에 의하여 재료가 열화되는 현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도관의 내면에는 소위 물때라고 불리는 슬라임이 침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관 내면에 침착되는 슬라임은 음용 액체의 풍미를 변질시킬 뿐만 아니라 세균 등의 증식처가 되어 해당 액체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구체적으로 일반 수도관 등에서는 도관 내부에 부식으로 침착된 스케일의 형태로 슬라임이 발생되며, 식음료 인출을 위한 도관 등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슬라임 형태로 스케일이 침착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0588047호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도관 내부에 슬라임 제거용 약제를 주입하거나 고압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스케일 등의 슬라임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임 제거 방법은 슬라임의 제거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슬라임 제거용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제의 화학 성분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고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생맥주는 완전히 밀폐된 생맥주통에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을 연결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의 콕크밸브를 조작하여 맥주잔에 담아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나, 생맥주 인출장치 자체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1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생맥주통에서 도관을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소위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착되는데, 이러한 비어스톤은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약제를 주입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비어스톤 제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어스톤 제거 약제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생맥주통에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는 생맥주 공급 라인과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부 구조는 위생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살균 및 세정 관리가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생맥주 공급 장비의 내부 구조에 대한 정기적인 세정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제품 및 방법을 기존의 제품 및 방법과 다른 것으로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별도의 과정을 통해 세척을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 등도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주류 및 음료의 헤드는 청소 기능이 없고 별도의 청소 기구물로 맥주 배관 및 헤드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고 청소 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척 장치는 세척 기구물을 별도로 이용하여 생맥주 배관을 세척할 때, 세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모터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대형 챔버에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는데, 추가적인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0557418호 (2)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05574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음료 분배 기능 이외에 선택적으로 직수타입 세척모듈을 이용하여 세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는 펄스 발생부(100); 유입된 가스를 호스(300)를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하는 가스 분배부(200); 를 포함하되, 음료를 저장하는 제 1 용기와 연결되고, 세척을 위한 액체를 다이렉트로 공급받으며, 상기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레버(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버(7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음료 또는 세척을 위한 액체가 유입되고, 상기 가스 분배부(200)는,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호스로 배출하는 제 1 가스 배출부(220);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용기로 배출하는 제 2 가스 배출부(230); 및 상기 가스 분배부(20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물(200a); 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와 상기 제 1 용기 간의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버(700)는 표면에 기 설정된 각도만큼 파여져 있는 밸브 홈(73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밸프 홈(730)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레버(700)를 회전시키는 밸브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버(700)는 상기 밸브 홈(730)의 파여져 있는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버(700)는,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내부와 결합되어 결합된 방향의 액체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710); 및 적어도 일부가 파인 형태로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내부와 결합되어 결합된 방향의 액체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버(700)가 상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차단부(710)와 상기 제 1 용기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710)로 인해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음료의 유입은 차단되고, 상기 세척을 위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분배부(200)는, 상기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제 2 레버(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은 상기 회전지원 홈(250a)의 파여져 있는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은 표면에 기 설정된 각도만큼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250a);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배부(200)의 내부는 상기 회전지원 홈(250a)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을 회전시키는 스토퍼(250b)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250b)를 통해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을 회전시키는 제 2 레버(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은 상기 회전지원 홈(250a)의 파여져 있는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분배부(200)의 내부는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로의 상기 가스의 배출을 지원하는 배출구(280b);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은 상기 배출구(280b)에 대응하여 움푹하게 파인 형태의 가스 배출 방지 홈(280a);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280b)와 가스 배출 방지 홈(280a) 간에는 차단 부재(290);가 삽입되고, 상기 배출구(280b), 가스 배출 방지 홈(280a) 및 삽입된 차단 부재(29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 부재(290)로 인해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가스가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레버(240)를 통해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이 상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 상기 배출구(280b), 가스 배출 방지 홈(280a) 및 삽입된 차단 부재(290)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상기 차단 부재(290)는 상기 배출구(280b)를 차단할 수 없게 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분배부(200)의 내부는 상기 제 2 가스 배출부(230)로의 상기 가스의 배출을 지원하기 위한 가스 방출 홈(270);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은 가스 방출 홈(270)에 대응하여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상기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스는 상기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레버(240)를 통해 상기 내부 구조물(200a)이 상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상기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상기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와 상기 제 1 용기를 연결하는 손잡이(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900)는,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913); 상기 고정부(913)과 연결되고,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가압하여 상기 제 1 용기와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 간의 결합을 지원하는 제 1 손잡이(911); 일단은 상기 제 1 손잡이(9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손잡이(912); 및 상기 제 2 손잡이(912)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913)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용기와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 간의 결합을 지원하는 고정핀(9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912)의 타단이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핀(914)이 상기 고정부(913)와 분리되며, 상기 고정핀(914)이 상기 고정부(913)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911)와 상기 제 2 손잡이(912)를 추가적으로 함께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된 상기 제 1 용기와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음료 분배 기능 이외에 선택적으로 세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액체가 흐르는 각종 산업용 도관 내에 발생한 스케일 등의 슬라임 및 각종 도관 내에 침착된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가 담긴 용기와 연결하고, 세정수를 다이렉트로 유입할 수 있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용기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용기들이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3 way 밸브를 통해 택일적으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손쉽게 음료 공급과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음료 분배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적용되는 펄스발생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서 설명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적용되는 가스 분배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 분배부에 적용되는 내부 구조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스 분배부에 적용되는 외부 구조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통해 음료 분배 기능과 세척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료가 담긴 용기와 연결하고, 세정수가 용기 없이 다이렉트로 유입되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3 way 밸브를 통해 택일적으로 선택 이용하여 음료 분배 및 세척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이용되는 3 way 밸브가 삽입되는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이용하여 음료 분배 기능과 세척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기와 음료 분배 헤드를 연결 및 분리하는 손잡이 구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음료 분배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음료 분배 장치는 다른 종류의 음료, 예를 들어, 맥주 및 탄산음료(carbonated beverage) 용의 분배용 수도꼭지 A1, A2, A3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및 청량 음료(cold drinks) 시럽(syrup)의 냉장기 또는 탄산수 혼합기(B)로의 공급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료 분배 장치는 맥주를 보유하는 용기(C), 시럽(syrup)을 보유하는 1개 이상의 용기(D)를 포함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기(C)에 접속된다.
또한, 맥주를 보유하는 용기(C), 시럽(syrup)을 보유하는 1개 이상의 용기(D)는 가압 탄산 가스(carbon dioxide)의 공급원, 즉, 원통 용기(E)에 접속된다.
이때, 탄산 가스(carbon dioxide)는 용기(C) 및 용기(D) 내에서 액체의 액면보다 위쪽에 도입된다.
또한, 액체는 용기 내에 연재하고 있는 출수 모듈 구조(사이펀관, F)를 다니며 유출하도록 압력이 더해진다.
용기(C)의 내부에는 액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출수 모듈 구조(F)가 설치되고, 가압 탄산 가스 공급원 (E)에 의해 용기(C)의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가 액체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액체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맥주 배관 및 헤드 내부(10) 의 세척을 위한 경우에는 용기(C)는 세정수 보관통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세척 또는 세정을 위한 별도의 약품 등을 포함하는 액체가 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물 자체를 세정수로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세정수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세정수를 보관하는 용기(C)의 내부에는 액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출수 모듈 구조(F)가 설치되고, 가압 탄산 가스 공급원(E)에 의해 용기(C)의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맥주 배관 및 헤드 내부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단, 종래의 주류 및 음료의 헤드(10)는 청소 기능이 없고 별도의 청소 기구물로 맥주 배관 및 헤드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고 청소 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척 장치는 세척 기구물을 별도로 이용하여 맥주 배관 및 헤드 내부를 세척하는데, 세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모터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대형 챔버에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추가적인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기존의 음료 분배 기능 이외에 선택적으로 세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는 펄스 발생부(100), 가스 분배부(200) 및 호스(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의 펄스 발생부(100)는 배관(400)의 말단에 연결된다.
또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의 가스 분배부(200)는 용기(C)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부(50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된 가스는 용기(C)로 유입되어 용기(C) 내부의 액체를 가압함으로써, 용기(C) 내부의 액체는 배관(400)을 따라 외부로 출수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의 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가장 먼저, 펄스 발생부(100)는 배관(400)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는 세정수와 가스 분배부(200)로부터 호스(300)를 통해 공급받은 가스가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되면서 헤드 및 배관 내부를 세척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맥동 현상이란 배관 내에서의 자유 수면이 없는 액체의 흐름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과 토출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헤드 및 배관 내에서의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맥동 현상의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배관의 토출 관로가 길고, 배관의 내부에 에어 포켓 등의 공기가 괴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동 현상은 관내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배관 내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관의 단면적, 유속, 유량을 조절하는 등과 같은 맥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맥동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관내 진동과 관내 벽면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통해 헤드 및 배관 내부를 세척 및 세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적용되는 펄스발생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발생부(100)는 제 1 유입구(110), 제 2 유입구(120), 혼합구(130) 및 배출구(140)를 포함한다.
제 1 유입구(110)로는 제 1 유입구(110)에 체결되는 외부 공급관 또는 용기(c)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등의 액체가 유입되며, 이와 같이 제1 유입구(110)를 통해 펄스 발생부(100)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제 2 유입구(120)로부터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질소 가스 등의 기체와 혼합구(130)에서 혼합되게 된다.
한편, 혼합구(130)에서 기체와 혼합된 액체는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구(140)에 연결된 배출관(미도시)으로 공급되게 되며, 이와 같이 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혼합 액체인 세정수는 배출관에 연결된 각종 다양한 산업용 관의 내부를 세정 및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스 발생부(10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를 통해 세정 및 세척 가능한 산업용 관은 선박 송유관, 오폐수 슬러지 처리 시설의 배관, 건설 플랜트 설비의 내부 배관, 맥주 등의 식음료 장비에서의 음료 공급관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다양한 산업용 관의 내부에 침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 및 세균 등은 본 발명에 따른 펄스 발생부(100)를 통해 세정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세정수는 세척 또는 세정을 위한 별도의 약품 등을 포함하는 액체가 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물 자체를 세정수로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세정수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펄스 발생부(100)의 배출구(140)를 통해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맥동 현상이란 배관 내에서의 자유 수면이 없는 액체의 흐름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과 토출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배관에서의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본 발명자는 도 3에서와 같은 형상 및 규격의 혼합구(130)에 제 1 유입구(110)를 통해 물 등의 액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액체의 이동 경로와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 2 유입구(120)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를 강제 주입하는 경우에 펄스 발생부(100)의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에 의한 세정 및 살균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 2 유입구(120)를 통해 혼합구(130)에 공급되어 액체와 혼합되는 기체는 극미세 크기로 버블화된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가 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가 액체 내에서 미세 기포를 형성하고 있다면, 세정수에 의한 세정 및 살균의 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2 유입구(120)와 혼합구(130) 사이에 소결체(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는 소결체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입자로 분리되며, 미세 입자로 분리된 기체는 제1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액체와 혼합구(130) 내에서 혼합됨으로써,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이산화탄소 가스 등에 의한 마이크로 버블을 함유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정에서의 실험에 의하면, 세정수가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경우에, 세정수가 맥동 현상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세정수에 포함된 마이크로 버블은 쉽게 소멸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긴 유로를 통해서도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세정 및 살균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가스 분배부(200)로부터 호스(300)를 통해 공급받은 가스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제 2 유입구(120)는 회전 유도 관로 구조로 형성되거나 회전 유도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맥동 현상에 있어, 회전하며 공급되는 기체는 세정수의 맥동 주기를 더욱 단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기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세정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맥동 주기를 추가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유입구(120)는 1개 이상의 관통 구조로 형성되어 기체의 유입 및 기체의 회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유입구(120) 의 가스 유입 관로의 형태에 따라 상기 맥동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 주기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가스 유입 관로의 형태에 대응하여 유입된 가스의 각도가 커지는 것에 따라 펄스가 짧은 주기로 발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스 분배부(200)는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의 구조적 특성을 통해 특정한 이벤트가 있는 경우에만 펄스 발생부(100)로 가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가스 분배부(200)는 가스 유입부(500)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가스 유입부(500)와 일체화 시켜서 제작될 수 있다.
가스 분배부(200)가 가스 유입부(500)와 일체화되어 제작되는 경우에도 가스 분배부(200)는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의 구조적 특성을 통해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도 2에서 설명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적용되는 가스 분배부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스 분배부(200)는 기본적으로 가스가 유입되는 제 1 가스 유입부(210), 가스를 호스(300)를 통해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하게 되는 제 1 가스 배출부(220) 및 가스를 가스 유입부(500)로 배출하여 결국 가스 유입부(500)와 연결된 용기(c)로 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제 2 가스 배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스 분배부(200)는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구조물(200a)은 외부 구조물(200b)의 레버(240)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내부 구조물(200a)는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만큼만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250a)를 갖는다.
예를 들어, 회전지원 홈(250a)이 360도 중 90도의 영역만 파여져 있는 경우, 상기 회전지원 홈(250a)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스토퍼(250b)는 90도의 영역만 회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은 일정 위치를 기초로 90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내부 구조물(200a)는 외부 구조물(200b)의 가스 방출 홈(270)에 대응하여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을 갖는다.
예를 들어, 외부 구조물(200b)의 가스 방출 홈(270)은 원형으로 파인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은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동일한 지름으로 파여진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가스 방출 홈(270)을 통해 가스가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흘러나가고, 결국 가스 유입부(500)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그러나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동일 선상에 위치한 경우와 대비하여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내부 구조물(200a)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연결된 외부 구조물(200b)의 배출구(280b)에 대응하여 움푹하게 파인 형태로 존재하는 가스 배출 방지 홈(28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스 배출 방지 홈(280a)에는 고무 등으로 구현된 차단 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다.
결국, 가스 배출 방지 홈(280a)과 배출구(280b) 사이에 차단 부재(290)가 밀착된 구조가 되고, 이 경우에는 차단 부재(290)에 따른 압착 또는 밀봉에 의해 가스는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될 수 없다.
그러나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스 배출 방지 홈(280a)과 배출구(280b)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차단 부재(290)는 배출구(280b)를 차단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이 경우에는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된다.
또한, 외부 구조물(200b)은 조절레버(240), 내부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스토퍼(250b) 및 가스 방출 홈(27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조절레버(24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로서 사용자는 조절레버(240)를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50b)는 전술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200a)의 일정 각도만큼만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250a)을 통해 내부 구조물(200a)을 회전시키되,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지원 홈(250a)이 360도 중 90도의 영역만 파여져 있는 경우, 상기 회전지원 홈(250a)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스토퍼(250b)는 90도의 영역만 회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은 일정 위치를 기초로 90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절레버(240)를 90도까지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 방출 홈(270)은 전술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200a)의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예를 들어,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가스 방출 홈(270)을 통해 가스가 가스 유입부(500)로 용이하게 유입되나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동일 선상에 위치한 경우와 대비하여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스 분배부(200)의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 분배부에 적용되는 내부 구조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가스 분배부에 적용되는 외부 구조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구조물(200a)은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만큼만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250a)을 갖는다.
또한, 내부 구조물(200a)은 도 6의 외부 구조물(200b)의 가스 방출 홈(270)에 대응하여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을 갖는다.
또한, 내부 구조물(200a)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연결된 외부 구조물(200b)의 배출구(280b)에 대응하여 움푹하게 파인 형태로 존재하는 가스 배출 방지 홈(280a)를 포함한다.
이때, 가스 배출 방지 홈(280a)에 대응하여 차단 부재(290)가 삽입된 형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가스 방출 홈(270)은 전술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200a)의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배출구(280b)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가스 배출 방지 홈(280a)과 배출구(280b) 사이에 차단 부재(290)가 밀착된 구조에서는 차단 부재(290)에 따른 압착 또는 밀봉에 의해 가스는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될 수 없다.
이에 반해,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스 배출 방지 홈(280a)과 배출구(280b)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차단 부재(290)는 배출구(280b)를 차단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이 경우에는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기초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를 이용하여 음료 분배 기능 이외에 선택적으로 펄스 발생부(100)로 가스를 공급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통해 음료 분배 기능과 세척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음료가 담긴 용기(C)와 배관(400)이 연결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여기서 음료는 맥주 또는 식음료가 될 수 있다.
이후, 제 1 가스 유입부(210)를 통해 가스가 가스 분배부(200)로 유입되는 단계(S111)가 진행된다.
S111 단계에 이어,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가스 방출 홈(270)을 통해 가스가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흘러나감으로써, 가스 유입부(500)로 가스가 유입되는 단계(S112)가 수행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200a)는 외부 구조물(200b)의 가스 방출 홈(270)에 대응하여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을 갖는다.
예를 들어, 외부 구조물(200b)의 가스 방출 홈(270)은 원형으로 파인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은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동일한 지름으로 파여진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가스 방출 홈(270)을 통해 가스가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흘러나가고, 결국 가스 유입부(500)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후, 차단 부재(290)에 의해 가스가 배출구(280b)를 통해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되지 않는 단계(S113)가 수행된다.
즉, 내부 구조물(200a)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연결된 외부 구조물(200b)의 배출구(280b)에 대응하여 움푹하게 파인 형태로 존재하는 가스 배출 방지 홈(280a)를 포함하고, 이때, 가스 배출 방지 홈(280a)에는 고무 등으로 구현된 차단 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다.
결국, 가스 배출 방지 홈(280a)과 배출구(280b) 사이에 차단 부재(290)가 밀착된 구조가 되고, 이 경우에는 차단 부재(290)에 따른 압착 또는 밀봉에 의해 가스는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될 수 없다.
이후, 용기(C)로 가스가 유입되어 음료가 배관(400)을 통해 출수되는 단계(S114)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스가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되지 않고, 가장 일반적인 맥주 분배 헤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세정수가 담긴 용기(C)와 배관(400)이 연결되는 단계(S115)가 진행될 수 있다.
S115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조절레버(240)를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S116)가 진행될 수 있다.
조절레버(24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로서 사용자는 조절레버(240)를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50b)는 전술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200a)의 일정 각도만큼만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250a)을 통해 내부 구조물(200a)을 회전시키되,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지원 홈(250a)이 360도 중 90도의 영역만 파여져 있는 경우, 상기 회전지원 홈(250a)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스토퍼(250b)는 90도의 영역만 회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은 일정 위치를 기초로 90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절레버(240)를 90도까지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레버(240)의 회전에 대응하여,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이 감소하는 단계(S117)가 진행된다.
즉, 동일 선상에 위치한 경우와 대비하여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가 감소할 뿐, 가스 유입부(500)로의 가스 유입은 계속된다.
또한, S117 단계로 인해 S118에서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은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보다 많아질 수 있다.
결국, 차단 부재(290)가 배출구(280b)를 차단할 수 없게 되어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되는 단계(S118)가 진행된다.
또한, S117 단계에 의해, 용기(C)로 가스가 유입되어 세정수가 배관(400)을 통해 출수되는 단계(S119)가 진행된다.
이 경우에는 세정수와 가스가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되는 단계(S120)가 수행되고, 결국, 맥동현상이 발생된다(S121).
전술한 것과 같이, 맥동 현상이란 배관 내에서의 자유 수면이 없는 액체의 흐름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과 토출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배관에서의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도 3에서와 같은 형상 및 규격의 혼합구(130)에 제 1 유입구(110)를 통해 물 등의 액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액체의 이동 경로와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 2 유입구(120)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를 강제 주입하는 경우에 펄스 발생부(100)의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맥동 현상을 통해, 세척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22)가 진행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기존의 음료 분배 기능 이외에 선택적으로 세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액체가 흐르는 각종 산업용 도관 내에 발생한 스케일 등의 슬라임 및 각종 도관 내에 침착된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생맥주 인출장치 및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서의 살균 및 세정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통을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세척모드 시 진동 및 펄스가 작동되어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공급 배관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를 통해 음료를 분배하거나 세척을 수행하는 경우, 하단의 용기를 음료가 담긴 용기와 세정수가 담긴 용기로 번갈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7의 S111 단계 내지 S114 단계는 음료를 배관(400)을 통해 공급하고자 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인데, S111 단계 내지 S114 단계의 수행을 위해서는, S110 단계의 음료가 담긴 용기(C)와 배관(400)이 연결되는 과정이 선결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도 7의 S116 단계 내지 S122 단계는 배관(400)을 세척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 것인데, S116 단계 내지 S122 단계의 수행을 위해서는, S115 단계의 세정수가 담긴 용기(C)와 배관(400)을 연결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결국, 사용자는 음료를 분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110 단계를 수행해야 하고, 배관(400)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115 단계를 수행해야 하며, 다시 음료 분배를 위해서는 S110 단계를 재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료가 담긴 용기와 세정수가 담긴 용기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용기들이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3 way 밸브를 통해 택일적으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손쉽게 음료 공급과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료가 담긴 용기를 연결하고, 세정수를 직수 타입으로 바로 유입되도록 모두 연결한 상태에서 3 way 밸브를 통해 택일적으로 선택 이용하여 음료 분배 및 세척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가 펄스 발생부(100), 가스 분배부(200) 및 호스(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8에서도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의 펄스 발생부(100)는 배관(400)의 말단에 연결된다.
또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의 가스 분배부(200)는 용기(C)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부(50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된 가스는 용기(C)로 유입되어 용기(C) 내부의 액체를 가압함으로써, 용기(C) 내부의 액체는 배관(400)을 따라 외부로 출수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8에서 설명하는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다른 일례는 추가적으로 세정수 유입부(600)와 3-Way 밸브(70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3 WAY 밸브(700)는 조절 밸브(700)로 통일하여 호칭한다.
세정수 유입부(600)는 세정수가 직수형태로 다이렉트로 유입되기 위해 수도 등과 연결되기 위한 홀(hole)이 될 수 있다.
세정수 유입부(600)는 조절 밸브(700)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모양을 구비할 수 있고, 용기 없이 세정수를 다이렉트로 유입시켜, 배관(40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조절 밸브(700)는 일정 각도 회전하는 내부 구조를 구비하고, 조절 밸브(7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정수 유입부(600)를 통해 세정수가 유입되거나 음료가 담긴 용기를 통해 음료가 배관(400)으로 유입된다.
조절 밸브(700)의 구조 및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 9를 참조한다.
도 9는 도 8의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이용되는 3 way 밸브가 삽입되는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의 펄스 발생부(100) 하단에는 조절 밸브(7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공간(800)이 구비된다.
조절 밸브(700)가 삽입 공간(800)으로 결합되면, 세정수가 유입되어 내부 배관(400)으로 분출될 수 있는 세정수 유입부(600)가 도 9에서 수직 방향으로 노출된다.
한편, 조절 밸브(700)는 조절 밸브(700)의 회전을 일정 각도로만 허용하기 위한 밸브 홈(730), 밀착 결합되어 결합된 방향의 유체의 유입을 막는 방지부(710)와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여 결합된 방향의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조절 밸브(700)의 밸브 홈(730)은 삽입 공간(800)의 스토퍼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만큼만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밸브 홈(730)이 360도 중 90도의 영역만 파여져 있는 경우, 상기 밸브 홈(730)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삽입 공간(800)의 스토퍼는 90도의 영역만 회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조절 밸브(700)는 삽입 공간(800)을 기준으로 90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다음으로, 방지부(710)는 삽입 공간(800)에 밀착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방지부(710) 방향에 위치하는 유체는 방지부(710)로 인해 배관(400)으로 분출될 수 없다.
또한, 유입부(720)는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여 삽입 공간(800)에 결합되므로, 결합된 방향의 유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배관(400)으로 분출될 수 있다.
조절 밸브(700)의 회전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가 담긴 용기와 연결하고, 세정수를 다이렉트로 유입할 수 있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용기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용기들이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3 way 밸브를 통해 택일적으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손쉽게 음료 공급과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10)의 하단에 음료를 담은 용기(C)가 연결되고, 세정수 유입부(60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세정수가 연결되어 다이렉트로 유입 가능하다.
음료를 담은 용기(C)와 연결되고, 세정수를 다이렉트로 직수로 공급받기 위해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조절 밸브(700)가 삽입 공간(800)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밸브 홈(730)이 360도 중 90도의 영역만 파여져 있는 경우, 상기 밸브 홈(730)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삽입 공간(800)의 스토퍼는 90도의 영역만 회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조절 밸브(700)는 삽입 공간(800)을 기준으로 90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방지부(710)는 조절 밸브(7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음료를 담은 용기(C) 방향으로 삽입 공간(800)에 결합되거나 세정수를 담은 용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방지부(710)가 세정수를 담은 용기 방향으로 삽입 공간(80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세정수는 방지부(710)로 인해 배관(400)으로 유입될 수 없다.
그러나 유입부(720)는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여 삽입 공간(800)에 결합되므로, 결합된 방향의 음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배관(400)을 지나 외부로 분출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조절 밸브(700)를 90도 회전시켜, 방지부(710)가 음료를 담은 용기(C) 방향으로 삽입 공간(80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음료는 방지부(710)로 인해 배관(400)으로 유입될 수 없다.
그러나 이때의 유입부(720)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삽입 공간(800)에 결합되므로, 결합된 방향의 세정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배관(400)으로 유입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를 분배하는 경우와 세척을 수행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용기를 변경하지 않고, 음료를 담은 용기와 세정수를 담은 용기를 모두 연결한 상태에서 조절 밸브의 회전만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음료 분배 또는 세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이용하여 음료 분배 기능과 세척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음료가 담긴 용기(C)와 배관(400)이 연결되고, 세정수 유입부(600)와 세정수가 다이렉트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도 등과 연결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S210 단계 이후, 조절 밸브(700)를 회전시켜 배관(400) 측을 오픈(open)하고, 세정수 유입부(600) 측을 클로즈(close)하는 단계(S211)를 수행한다.
S211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방지부(710)가 세정수를 담은 용기 방향으로 삽입 공간(80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세정수는 방지부(710)로 인해 배관(400)으로 유입될 수 없다.
또한, 유입부(720)는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여 삽입 공간(800)에 결합되므로, 결합된 방향의 음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배관(400)을 지나 외부로 분출 가능하다.
이후, 제 1 가스 유입부(210)를 통해 가스가 가스 분배부(200)로 유입되는 단계(S212)가 진행된다.
S111 단계에 이어,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가스 방출 홈(270)을 통해 가스가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흘러나감으로써, 가스 유입부(500)로 가스가 유입되는 단계(S213)가 수행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200a)는 외부 구조물(200b)의 가스 방출 홈(270)에 대응하여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을 갖는다.
예를 들어, 외부 구조물(200b)의 가스 방출 홈(270)은 원형으로 파인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은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동일한 지름으로 파여진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가스 방출 홈(270)을 통해 가스가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흘러나가고, 결국 가스 유입부(500)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후, 차단 부재(290)에 의해 가스가 배출구(280b)를 통해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되지 않는 단계(S214)가 수행된다.
즉, 내부 구조물(200a)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연결된 외부 구조물(200b)의 배출구(280b)에 대응하여 움푹하게 파인 형태로 존재하는 가스 배출 방지 홈(280a)를 포함하고, 이때, 가스 배출 방지 홈(280a)에는 고무 등으로 구현된 차단 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다.
결국, 가스 배출 방지 홈(280a)과 배출구(280b) 사이에 차단 부재(290)가 밀착된 구조가 되고, 이 경우에는 차단 부재(290)에 따른 압착 또는 밀봉에 의해 가스는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될 수 없다.
이후, 용기(C)로 가스가 유입되어 음료가 배관(400)을 통해 출수되는 단계(S215_가 수행된다.
용기(C)로 가스가 유입되어 음료가 배관(400)을 통해 출수되는 단계(S114)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스가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되지 않고, 가장 일반적인 맥주 분배 헤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세척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절 밸브(700)를 회전시켜 세정수 유입부(600) 측을 오픈(open)하고, 배관(400) 측을 클로즈(close)하는 단계(S220)를 수행한다.
도 7에서의 과정과 달리 도 10의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세정수가 다이렉트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도 등과 연결하고, 배관(400)이 연결되는 단계(S115)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S22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조절 밸브(700)를 90도 회전시켜, 방지부(710)가 음료를 담은 용기(C) 방향으로 삽입 공간(80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음료는 방지부(710)로 인해 배관(400)으로 유입될 수 없다.
또한, 이때의 유입부(720)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삽입 공간(800)에 결합되므로, 결합된 방향의 세정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배관(400)으로 유입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레버(240)를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S221)가 진행된다.
조절레버(24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로서 사용자는 조절레버(240)를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구조물(200b)의 스토퍼(250b)와 내주 구조물(200a)의 회전지원 홈(250a)에 의해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50b)는 전술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200a)의 일정 각도만큼만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250a)을 통해 내부 구조물(200a)을 회전시키되,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지원 홈(250a)이 360도 중 90도의 영역만 파여져 있는 경우, 상기 회전지원 홈(250a)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스토퍼(250b)는 90도의 영역만 회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 구조물(200a)과 외부 구조물(200b)은 일정 위치를 기초로 90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절레버(240)를 90도까지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레버(240)의 회전에 대응하여, 가스 방출 홈(270)과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이 감소하는 단계(S222)가 진행된다.
즉, 동일 선상에 위치한 경우와 대비하여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가 감소할 뿐, 가스 유입부(500)로의 가스 유입은 계속된다.
또한,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은 가스 유입부(5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보다 많아질 수 있다.
결국, 차단 부재(290)가 배출구(280b)를 차단할 수 없게 되어 배출구(280b)를 통해 가스가 제 1 가스 배출부(220)로 배출되는 단계(S223)가 진행되고, 세정수와 가스가 함께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되는 단계(S224)가 진행된다.
이 경우에는 세정수와 가스가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되는 단계(S120)가 수행되고, 결국, 맥동현상이 발생된다(S225).
전술한 것과 같이, 맥동 현상이란 배관 내에서의 자유 수면이 없는 액체의 흐름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과 토출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배관에서의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도 3에서와 같은 형상 및 규격의 혼합구(130)에 제 1 유입구(110)를 통해 물 등의 액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액체의 이동 경로와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 2 유입구(120)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기체를 강제 주입하는 경우에 펄스 발생부(100)의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맥동 현상을 통해, 세척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226)가 진행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경우, 음료가 담긴 용기와 연결하고 세정수가 다이렉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용기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용기들이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3 way 밸브를 통해 택일적으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손쉽게 음료 공급과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용기(c)와 음료 분배 헤드(10)를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손잡이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손잡이 구조(900)는 용기(c)와 음료 분배 헤드(10) 간을 고정 연결시키거나 분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조(900)는 제 1 손잡이(911), 제 2 손잡이(912), 고정부(913) 및 고정핀(9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기와 음료 분배 헤드를 연결 및 분리하는 손잡이 구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잡이 구조(900)에서의 제 1 손잡이(911), 제 2 손잡이(912), 고정부(913) 및 고정핀(914)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고정부(913)는 음료 분배 헤드(10)의 일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913)를 기준으로 제 1 손잡이(911)이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하단에 제 2 손잡이(912)가 구비된다.
또한, 고정핀(914)은 음료 분배 헤드(10)와 용기(c)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이중의 고정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제 2 손잡이(912)는 사용자가 당기는 경우, 삽입된 고정핀(914)은 외부로 배출 분리된다.
또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제 2 손잡이(912)를 상단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제 1 손잡이(911)의 위치가 함께 변경되며, 이 경우에는 손잡이 구조(900)가 음료 분배 헤드(10)의 샤프트를 하측으로 당기지 못하게 되며, 이때 샤프트는 상승하고 결국, 음료 분배 헤드(10)와 용기(C)는 서로 분리된다.
즉, 도 11a에서는 사용자가 제 2 손잡이(912)를 당기지 않은 상태이므로, 음료 분배 헤드(10)의 샤프트가 하측으로 당겨지고, 음료 분배 헤드(10)의 하단(11)이 용기(c)와 결합되며, 고정핀(914)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조(900)에서는 음료 분배 헤드(10)의 하단(11)이 용기(c)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914)이 추가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 손잡이(912)를 당기는 동작을 통한 고정핀(914)의 분리 및 추가적으로 제 1 손잡이(911)까지 위치를 변경시키는 동작을 통해 음료 분배 헤드(10)와 용기(c)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도 11a에서는 사용자가 제 2 손잡이(912)를 당기지 않은 상태이므로, 음료 분배 헤드(10)의 샤프트가 하측으로 당겨지고, 음료 분배 헤드(10)의 하단(11)이 용기(c)와 결합되며, 고정핀(914)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음료 분배 헤드(10)와 용기(c)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11b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손잡이(912)를 사용자가 당기는 경우, 삽입된 고정핀(914)은 외부로 배출 분리된다.
또한, 도 11c와 같이,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제 2 손잡이(912)를 상단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제 1 손잡이(911)의 위치가 함께 변경되며, 이 경우에는 손잡이 구조(900)가 음료 분배 헤드(10)의 샤프트를 하측으로 당기지 못하게 되며, 이때 샤프트는 상승하고 결국, 음료 분배 헤드(10)와 용기(C)는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전술한 손잡이 구조(900)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c)와 음료 분배 헤드(10)를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구조(900)는 음료 분배 헤드(10)에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0)

  1.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에 있어서,
    펄스 발생부(100);
    유입된 가스를 호스(300)를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공급하는 가스 분배부(200); 를 포함하되,
    음료를 저장하는 제 1 용기와 연결되고, 세척을 위한 액체를 다이렉트로 공급받으며,
    상기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레버(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버(7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음료 또는 세척을 위한 액체가 유입되고,
    상기 가스 분배부(200)는,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호스로 배출하는 제 1 가스 배출부(220);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용기로 배출하는 제 2 가스 배출부(230); 및
    상기 가스 분배부(20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물(200a); 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된 가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될지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와 상기 제 1 용기 간의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700)는 표면에 기 설정된 각도만큼 파여져 있는 밸브 홈(73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밸브 홈(730)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레버(700)를 회전시키는 밸브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버(700)는 상기 밸브 홈(730)의 파여져 있는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700)는,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내부와 결합되어 결합된 방향의 액체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710); 및
    적어도 일부가 파인 형태로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의 내부와 결합되어 결합된 방향의 액체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부(7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700)가 상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차단부(710)와 상기 제 1 용기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710)로 인해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음료의 유입은 차단되고, 상기 세척을 위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200a)은 표면에 기 설정된 각도만큼 파여져 있는 회전지원 홈(250a);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배부(200)의 내부는 상기 회전지원 홈(250a)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조물(200a)을 회전시키는 스토퍼(250b)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250b)를 통해 상기 구조물(200a)을 회전시키는 제 2 레버(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200a)은 상기 회전지원 홈(250a)의 파여져 있는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배부(200)의 내부는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로의 상기 가스의 배출을 지원하는 배출구(280b);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200a)은 상기 배출구(280b)에 대응하여 움푹하게 파인 형태의 가스 배출 방지 홈(280a);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280b)와 가스 배출 방지 홈(280a) 간에는 차단 부재(290);가 삽입되고,
    상기 배출구(280b), 가스 배출 방지 홈(280a) 및 삽입된 차단 부재(29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 부재(290)로 인해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가스가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버(240)를 통해 상기 구조물(200a)이 상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
    상기 배출구(280b), 가스 배출 방지 홈(280a) 및 삽입된 차단 부재(290)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상기 차단 부재(290)는 상기 배출구(280b)를 차단할 수 없게 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제 1 가스 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펄스 발생부(10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배부(200)의 내부는 상기 제 2 가스 배출부(230)로의 상기 가스의 배출을 지원하기 위한 가스 방출 홈(270);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200a)은 가스 방출 홈(270)에 대응하여 일정 영역이 파여져 있는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상기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스는 상기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배출되고,
    상기 제 2 레버(240)를 통해 상기 구조물(200a)이 상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상기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상기 가스 방출 홈(270)과 상기 가스 방출 지원 홈(2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2 가스 배출부(230)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와 상기 제 1 용기를 연결하는 손잡이(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900)는,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913);
    상기 고정부(913)과 연결되고,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를 가압하여 상기 제 1 용기와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 간의 결합을 지원하는 제 1 손잡이(911);
    일단은 상기 제 1 손잡이(9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손잡이(912); 및
    상기 제 2 손잡이(912)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913)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용기와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 간의 결합을 지원하는 고정핀(9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912)의 타단이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핀(914)이 상기 고정부(913)와 분리되며,
    상기 고정핀(914)이 상기 고정부(913)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911)와 상기 제 2 손잡이(912)를 추가적으로 함께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된 상기 제 1 용기와 상기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KR1020160158321A 2016-11-25 2016-11-25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KR101909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21A KR101909001B1 (ko) 2016-11-25 2016-11-25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21A KR101909001B1 (ko) 2016-11-25 2016-11-25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24A KR20180059124A (ko) 2018-06-04
KR101909001B1 true KR101909001B1 (ko) 2018-12-19

Family

ID=6262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321A KR101909001B1 (ko) 2016-11-25 2016-11-25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0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766A (ja) 2005-06-08 2007-01-2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ディスペンス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泡性飲料供給装置
US20120305111A1 (en) 2010-02-03 2012-12-06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safe cleaning arrangement
KR101597615B1 (ko) 2014-08-18 2016-02-25 박종하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18B1 (ko) 2004-06-03 2006-03-10 최형선 생맥주 공급 장치
KR100557424B1 (ko) 2004-06-03 2006-03-06 최형선 생맥주 인출용 콕크 밸브의 거품 보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766A (ja) 2005-06-08 2007-01-2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ディスペンス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泡性飲料供給装置
US20120305111A1 (en) 2010-02-03 2012-12-06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safe cleaning arrangement
KR101597615B1 (ko) 2014-08-18 2016-02-25 박종하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24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604B1 (ko)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
JP6990387B2 (ja) 飲料供給経路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111278764B (zh) 用于向饮料分配系统供应清洗液的清洗单元
US20150360925A1 (en) Dispensing Machine Sanitization Us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EP2370342A1 (en) A method of cleaning and flush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2009255942A (ja) 飲料ノズルの洗浄装置
CN107960075B (zh) 具备环流式气泡产生喷嘴的液体供给装置
US20230099462A1 (en) Cartridge, in particular sanitizing cartridge, and system for sanitizing a drinking-water device, and method for sanitizing said device
US8574378B2 (en) Sanitizing apparatus and system for home brewing equipment
JP2019055373A (ja) マイクロ・ナノバブル発生器及び配管洗浄方法
KR101909001B1 (ko) 직수타입 세척모듈 통합형 음료분배헤드
KR102156229B1 (ko)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JPH0811992A (ja) 管状通路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392859B1 (ko) 불소 양치용액 혼합 방법 및 장치
JP2007511345A (ja) 給水装置及び給水装置を清浄する清浄システム
JP2007308172A (ja) 生ビールディスペンサー洗浄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装置
KR101597615B1 (ko) 세정 기능이 구비된 맥주 공급 장비
KR101865610B1 (ko)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의 출수 모듈 구조
JP7407530B2 (ja) ビールサーバシステム及びビールホースの洗浄方法
DK181237B1 (en) An automatic or semi-automatic Clean-In-Pla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21133938A (ja) 飲料供給経路の洗浄方法
JPH01131871A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飲料流路洗浄法
JPH09215978A (ja) 浄水器つき洗眼用水栓および洗眼用浄水器
JP2010247854A (ja)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洗浄システム
CN114160522A (zh) 一种大泡沫自动清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