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913B1 -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913B1
KR101908913B1 KR1020170079126A KR20170079126A KR101908913B1 KR 101908913 B1 KR101908913 B1 KR 101908913B1 KR 1020170079126 A KR1020170079126 A KR 1020170079126A KR 20170079126 A KR20170079126 A KR 20170079126A KR 101908913 B1 KR101908913 B1 KR 10190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vehicle
relay server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워너비코퍼레이션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워너비코퍼레이션, 김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워너비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07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시 해당 운전자 간에 의사소통이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등록되며, 등록된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전달메시지가 수신 시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에 전달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시지 중계서버와,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수신되어 수신된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between vehicles based on vehicle numb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내지 트렁크가 열렸거나 타이어의 공기 부족 등 자동차의 고장 내지 사고의 위험이 있는 자동차 발견 시 해당 운전자들 간 의사소통이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최근 들어 “보복운전”이라는 단어가 사람들 사이에서 자주 언급되는 동시에 관련 기사를 자주 접할 수 있는데, 이는 자동차의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에 주로 기인하며, 이를 당하는 운전자는 비교적 크게 당황하면서 불쾌감, 순간적인 분노 등 여러 악감정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을 행하는 운전자가 상대방 운전자에게 사전에 양해를 구하는 신호로 비상등을 점멸하는 것이 주행 간의 매너이지만, 이를 잘 지키지 않는 경우 보복운전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비상등 점멸 등 사전에 양해를 구하는 과정 없이 곧바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이 벌어져도 이를 당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가해 운전자에게 어떠한 의사 표현도 할 수 없는 점이 보복운전을 부추기는 측면도 있었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 간에 트렁크를 닫지 않은 상태로 주행하거나 타이어의 공기가 부족한 상태로 주행하는 등 자동차의 고장 내지 사고의 위험을 내포한 상태로 주행 중인 자동차를 발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발견한 주변 자동차의 운전자가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해당 사실을 전달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제공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시 해당 운전자 간의 적절한 의사소통이 보복운전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고, 이에 더하여 트렁크 개방 내지 타이어의 공기 부족 등 해당 자동차의 고장이나 사고 위험을 내포한 상태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주변 자동차의 운전자가 해당 사실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53903호(2017.05.17.공개), “차량 간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30796호(2006.04.11.공개), “자동차 차량번호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0630634호(2006.10.04.공고), “차량 번호 기반 모바일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내지 트렁크가 열렸거나 타이어의 공기 부족 등 자동차의 고장 내지 사고의 위험이 있는 자동차 발견 시 해당 운전자들 간 의사소통이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시 해당 운전자들 간의 다양한 의사 전달 과정에서 어느 한쪽의 운전자 내지 쌍방 간에 지나친 고성이나 욕설이 오고 갈 수 있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면서 비교적 적절하고 정확한 의사표현이 상호 간에 직접 대화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등록되며, 등록된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한 전달메시지가 수신 시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에 전달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시지 중계서버와,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수신되어 수신된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를 음성정보 또는 문자정보의 형태로 외부 출력하거나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의 형태로 함께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자동차 운전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주행 중 해당 운전자들 간 의사 전달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단말기 정보를 등록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하며,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의 수신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대한 전송 그리고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의 수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에 음성정보의 형태로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대상으로 데시벨(dB) 단위 기준의 소리 크기로 분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분석된 소리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대한 전송을 취소하는 동시에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를 해당 단말기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상기 전달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에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전달메시지를 수신 시 실시간으로 외부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달메시지를 대상으로 전송 금지어가 기설정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에 상기 전송 금지어가 포함 시 해당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고 해당 전달메시지의 미전송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 통보하거나 해당 전송 금지어가 삭제되는 상태로 해당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은,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이후에,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자동차들의 운전자들 간 의사 전달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차량번호 및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단말기에 제공되어 해당 단말기별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에는, 상기 전달메시지를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받는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는 상기 전달메시지를 데시벨(dB) 단위 기준의 소리 크기로 분석 후 분석된 소리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대한 전송을 취소하는 동시에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를 해당 전달메시지를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받은 단말기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가 수신된 상기 전달메시지에 기설정된 전송 금지어의 포함 여부를 확인 후 상기 전송 금지어가 포함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해당 단말기에 대한 전송을 취소 후 취소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 통보하거나 해당 전달메시지로부터 상기 전송 금지어에 해당되는 내용은 삭제 후 나머지 메시지만 해당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시 해당 운전자 간에 의사소통이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당한 운전자는 물론 해당 상황을 연출한 운전자도 상대측 운전자에게 적절하고 정확한 의사 표현을 직접 대화의 방식으로 할 수 있게 되면서 보복운전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시 해당 운전자들 간의 다양한 의사 전달 과정에서 어느 한쪽의 운전자 내지 쌍방 간에 지나친 고성이나 욕설이 오고 갈 수 있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면서 비교적 적절하고 정확한 의사표현이 상호 간에 직접 대화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렁크가 열렸거나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로 주행하는 등 자동차의 고장 내지 사고의 위험을 내포한 상태로 주행 중인 자동차 존재 시 이를 발견한 주변 자동차의 운전자가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해당 사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어,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는 주행을 멈추고 트렁크를 닫거나 가까운 정비소를 찾아 타이어의 공기압을 보충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해당 자동차들의 운전자 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오히려 증가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단말기에 타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의 표시 예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에서 일부 과정이 추가된 예들을 예시한 흐름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자동차(100)에 장착되거나 자동차(100)의 운전자를 통해 해당 자동차(100)에 위치되는 단말기(20) 및 이러한 자동차(100)별 단말기(20) 간의 메시지 전달, 다시 말해 자동차(100)들의 운전자 간 의사 전달을 중계하는 기능의 메시지 중계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자동차(100)에 각각 장착되거나 위치하는 단말기(20)별로 설명상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부호를 부여키도 하였음을 밝혀 두며, 각각의 단말기(20)는 다른 자동차(100)의 단말기(20)에 메시지 중계서버(10)의 중계 기능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인 동시에 다른 자동차(100)의 단말기(20)로부터 메시지 중계서버(10)의 중계 기능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로써, 상황에 따라 역할이 변경될 뿐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한 것이다.
메시지 중계서버(10)는 자동차(100)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20) 정보가 등록되며, 등록된 자동차(100)의 차량번호를 포함한 전달메시지가 수신 시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20)에 전달메시지를 중계하는 기능을 한다.
단말기(20)는 자동차(100)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수신되어 수신된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를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즉, 자동차(100)의 운전자는 주행 중 주변의 다른 자동차(100)에 의사를 전달하려는 경우 의사 전달의 대상이 되는 자동차(100)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를 운전자 자신의 자동차(100)에 위치하는 단말기(20)에 음성으로 전달하고, 이렇게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가 해당 운전자를 통한 음성정보로서 단말기(20)에 입력된 후 단말기(20)를 통해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메시지 중계서버(10)는 단말기(21)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를 함께 전송된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 저장된 단말기(22)로 전송하며, 이렇게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는 이를 전송받는 자동차(100)의 단말기(22)를 통해 외부 출력되면서 해당 자동차(100)의 운전자에게 전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의 단말기(22)를 통한 전달메시지의 출력 형태가 음성정보 또는 문자정보의 형태로 외부 출력되거나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의 형태로 함께 출력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 자동차(100)의 운전자로부터 전달되는 전달메시지의 자동차 단말기(22)를 통한 출력 형태는 해당 자동차(100)의 운전자가 상대측 자동차(100)의 운전자로부터 전해지는 메시지를 확인 및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 이외에 다른 형태의 전달 형식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기(20)가 자동차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자동차 운전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말기(20)는 자동차(100)에 위치하면서 해당 자동차(100)의 운전자로부터 전해지는 음성정보 형태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를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전송할 수 있고, 메시지 중계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타 차량 운전자(100)의 전달메시지를 외부 출력하여 해당 자동차(100)의 운전자가 확인 및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단말기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중계서버(10)는 자동차(100)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자동차(100)의 주행 중 해당 운전자들 간 의사 전달을 위한 어플리케이션(30)이 저장되며, 이에 따라 단말기(20)는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자동차(100)의 차량번호 및 단말기(20) 정보를 등록 후 어플리케이션(30)을 제공받아 설치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0)의 실행을 기반으로 자동차(100)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의 수신과 메시지 중계서버(10)에 대한 전송, 그리고 메시지 중계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의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자동차(100)의 단말기(20) 및 메시지 중계서버(10)의 중계 기능을 통해 자동차(100)들의 주행 과정에서 해당 운전자들 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기능이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차량번호를 등록하여 메시지 중계서버(1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30)을 제공받은 단말기(20) 및 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메시지 중계서버(10)는 자동차(100)의 단말기(21)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를 함께 전송된 차량번호에 해당되는 타 자동차(100)의 단말기(22)에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고, 이렇게 전달메시지를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한 타 자당차(100)의 단말기(22)는 해당 전달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외부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자동차(100)들의 주행 중 인접한 자동차(100)들 사이에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이 발생 시, 해당 자동차(100)들의 운전자 간에 단말기(20)들을 통한 적절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기존의 비상등 점멸과 같은 원초적인 의사 표현만 가능하거나 이조차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던 것에 비해 해당 운전자들 간 한층 다양하고 직접적이며 정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상호 간 이해의 정도가 강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복운전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연출한 운전자가 해당 자동차에 환자, 임산부 등이 타고 있거나 매우 중요한 업무가 있어 목적지로 매우 급하게 이동하는 중인 경우 등 해당 상황을 연출한 이유를 상대측 운전자에게 적절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상황을 당한 운전자도 상대방 운전자의 상황을 이해함과 동시에 불쾌감, 순간적인 분노 등의 감정이 해소되면서 보복운전의 욕구가 사라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렁크가 열렸거나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로 주행하는 등 자동차의 고장 내지 사고의 위험을 내포한 상태로 주행 중인 자동차가 존재 시 이를 발견한 주변 자동차의 운전자가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해당 사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는 주행을 멈추고 트렁크를 닫거나 가까운 정비소를 찾아 타이어의 공기압을 보충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작용들이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운전자 자신의 차량번호 및 단말기(20)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들 간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단말기에 타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의 표시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a)는 타 자동차로부터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당한 자동차의 운전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전달메시지를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함에 따라,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해당 메시지를 중계하여 상술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연출한 자동차의 단말기(20)에 상대측 운전자의 전달메시지인 “운전 매너 좀 지키세요”의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c)는 상술한 (a)와 동일한 상황에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당한 운전자의 메시지가 해당 상황을 연출한 운전자의 자동차 내 단말기(20)를 통해 음성정보의 형태로 송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b)는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연출한 운전자가 상대측 운전자에게 해당 상황을 연출하게 된 불가피한 사유를 설명하는 전달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대측 운전자의 단말기(20)에 전달메시지인 “죄송합니다, 응급 환자가 있어서요”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d) 및 (e)는 트렁크가 열렸거나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발견 시 이를 발견한 자동차의 운전자가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리는 전달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해당 운전자의 단말기(20)에 전달메시지인 “트렁크가 열렸습니다” 내지 “타이어에 바람 빠졌습니다”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중계서버(10)로부터 단말기(20)에 제공되어 해당 단말기(2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30)은 해당 단말기(20)에 음성정보의 형태로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대상으로 데시벨(dB) 단위 기준의 소리 크기로 분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30)은 수신된 전달메시지를 대상으로 분석한 소리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메시지 중계서버(10)에 대한 전송을 취소하는 동시에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를 해당 단말기(20)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당한 운전자가 감정이 지나치게 격해져 해당 상황을 연출한 상대측 운전자에게 고성이나 욕설 등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수준의 의사 표현을 할 시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30)에서 이의 전달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동시에 정지 사실을 해당 운전자에게 즉시 알리게 되면서, 해당 운전자는 자신의 감정이 지나치게 격해졌다는 것을 순간적으로 인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감정을 조금 누그러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달메시지를 전달하지 않는다는 내용에 해당 운전자의 감정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내용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 등을 함께 출력하여 해당 운전자의 감정 정리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중계서버(10)는 단말기(20)에 전송하는 전달메시지를 대상으로 전송 금지어가 기설정되어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에 전송 금지어가 포함 시 해당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100)의 단말기(20)에 전송하지 않고 해당 전달메시지의 미전송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20)에 통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써, 메시지 중계서버(10)는 단말기(21)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에 전송 금지어가 포함 시 해당 전송 금지어가 삭제되는 상태로 해당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100)의 단말기(22)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당한 운전자가 감정이 지나치게 격해져 해당 상황을 연출한 상대측 운전자에게 욕설이 포함된 의사를 전달할 경우,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욕설은 삭제된 상태로 나머지의 의사 표현 내용만 해당 운전자의 단말기에 전달되므로,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연출로 인해 상대측 운전자로부터 항의 등의 의사를 전달받게 되는 운전자는 욕설은 배제되는 상태로 항의 의사만 전달받음에 따라 오히려 감정이 상하거나 격해지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상대측 운전자에게 미안함을 보다 더 표현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시 송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다.
단계(S120)에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된다.
단계(S130)에서, 상기 단말기에서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한다.
단계(S140)에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되는 단계(S110) 이후에,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자동차들의 운전자들 간 의사 전달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차량번호 및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단말기에 제공되어 해당 단말기별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S120), 상기 단말기에서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30)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S120)에는, 상기 전달메시지를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받는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는 상기 전달메시지를 데시벨(dB) 단위 기준의 소리 크기로 분석 후 분석된 소리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대한 전송을 취소하는 동시에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를 해당 전달메시지를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받은 단말기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써,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20)에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가 수신된 상기 전달메시지에 기설정된 전송 금지어의 포함 여부를 확인 후 상기 전송 금지어가 포함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해당 단말기에 대한 전송을 취소 후 취소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 통보하거나 해당 전달메시지로부터 상기 전송 금지어에 해당되는 내용은 삭제 후 나머지 메시지만 해당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에서 일부 과정이 추가된 예들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210) 및 단계(S220)에서 서로 다른 두 단말기(21,22)가 자동차 차량번호 및 단말기 정보를 각각 메시지 중계서버(10)에 등록한다.
단계(S230) 및 단계(S240)에서, 상술한 단계(S210) 및 단계(S220)에 따라 서로 다른 두 단말기(21,22)에 각각 메시지 중계서버(10)의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자동차들의 주행 중 해당 운전자들 간 의사 전달을 위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다.
단계(S250) 및 단계(S260)에서, 상술한 단계(S230) 및 단계(S240)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전송받은 서로 다른 두 단말기(21,22)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설치한다.
단계(S270)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기(21)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타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된다.
단계(S280)에서, 단계(S170)을 통해 운전자의 전달메시지를 전송받은 단말기(21)는 해당 전달메시지의 소리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하는지 판별한다.
단계(S280)의 판별 결과, 단계(S270)을 통해 수신한 전달메시지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단계(S290)에서 해당 단말기(21)는 운전자로부터 전달된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는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전송한다.
한편, 단계(S280)의 판별 결과, 단계(S270)을 통해 수신한 전달메시지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21)는 운전자로부터 전달된 차량번호가 포함된 전달메시지를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전송하지 않는 동시에 해당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전송하려 한 운전자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단계(S290) 이후에는, 단계(S300)에서 메시지 중계서버(10)가 단말기(21)로부터 수신한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차량번호의 자동차 단말기(22)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단계(S310)에서 단계(S330)을 통해 수신되는 전달메시지가 해당 단말기(22)를 통해 외부 출력되고, 이렇게 외부 출력되는 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가 확인하게 된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410)부터 단계(S470)까지는 도 5의 단계(S210)부터 단계(S270)과 동일하므로 해당 단계들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480)에서, 단말기(21)는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수신한 차량번호가 포함된 전달메시지를 메시지 중계서버(10)에 전송한다.
단계(S490)에서, 메시지 중계서버(10)는 단말기(21)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에 기설정된 전송 금지어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단계(S490)의 판단 결과, 단계(S480)을 통해 전송된 전달메시지에 전송 금지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시 메시지 중계서버(10)는 해당 전달메시지를 그에 포함된 차량번호의 자동차 단말기(22)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이를 수신하는 단말기(22)에서 수신된 전달메시지를 외부 출력한다.
그리고 단계(S490)의 판단 결과, 단계(S480)을 통해 전송된 전달메시지에 전송 금지어가 포함되어 있을 시 메시지 중계서버(10)는 해당 전달메시지를 해당 차량번호의 자동차 단말기(22)에 전송하지 않음과 함께 해당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21)에 통보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은,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시 해당 운전자 간에 의사소통이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당한 운전자는 물론 해당 상황을 연출한 운전자도 상대측 운전자에게 적절하고 정확한 의사 표현을 직접 대화의 방식으로 할 수 있게 되면서 보복운전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게 한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 간에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의 상황 발생 시 해당 운전자들 간의 다양한 의사 전달 과정에서 어느 한쪽의 운전자 내지 쌍방 간에 지나친 고성이나 욕설이 오고 갈 수 있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게 하고 이를 통해 비교적 적절하고 정확한 의사표현만이 상호 간에 직접 대화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트렁크가 열렸거나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로 주행하는 등 자동차의 고장 내지 사고의 위험을 내포한 상태로 주행 중인 자동차 존재 시 이를 발견한 주변 자동차의 운전자가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해당 사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가 주행을 멈추고 트렁크를 닫거나 가까운 정비소를 찾아 타이어의 공기압을 보충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해당 자동차들의 운전자 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오히려 증가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메시지 중계서버 20,21,22 : 단말기
30 : 어플리케이션

Claims (11)

  1.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등록되며, 등록된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한 전달메시지가 수신 시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에 전달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시지 중계서버;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수신되어 수신된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주행 중 해당 운전자들 간 의사 전달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단말기 정보를 등록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하며,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자동차의 차량번호 및 전달메시지의 수신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대한 전송 그리고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의 수신을 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되기 위해 상기 단말기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전달메시지가 고성 또는 욕설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에 음성정보의 형태로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대상으로 데시벨(dB) 단위 기준의 소리 크기로 분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분석된 소리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대한 전송을 취소하는 동시에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를 해당 단말기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에 해당 사용자의 감정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내용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를 음성정보 또는 문자정보의 형태로 외부 출력하거나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의 형태로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자동차 운전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상기 전달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에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전달메시지를 수신 시 실시간으로 외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달메시지를 대상으로 전송 금지어가 기설정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전달메시지에 상기 전송 금지어가 포함 시 해당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고 해당 전달메시지의 미전송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 통보하거나 해당 전송 금지어가 삭제되는 상태로 해당 전달메시지를 해당 자동차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8.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정보가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자동차들의 운전자들 간 의사 전달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차량번호 및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단말기에 제공되어 해당 단말기별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전송된 전달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로부터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전달메시지가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기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전달메시지가 고성 또는 욕설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전달메시지를 데시벨(dB) 단위 기준의 소리 크기로 분석 후 분석된 소리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 데시벨값을 초과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대한 전송을 취소하는 동시에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를 해당 전달메시지를 음성정보의 형태로 전송받은 단말기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취소를 알리는 신호에 해당 운전자의 감정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내용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달메시지를 해당 전달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자동차의 차량번호에 따라 해당 차량번호와 대응되어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가 수신된 상기 전달메시지에 기설정된 전송 금지어의 포함 여부를 확인 후 상기 전송 금지어가 포함 시 해당 전달메시지의 해당 단말기에 대한 전송을 취소 후 취소 사실을 해당 전달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 통보하거나 해당 전달메시지로부터 상기 전송 금지어에 해당되는 내용은 삭제 후 나머지 메시지만 해당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20170079126A 2017-06-22 2017-06-22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0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126A KR101908913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126A KR101908913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913B1 true KR101908913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126A KR101908913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03B1 (ko) * 2015-11-27 2017-06-12 한국도로공사 차량 번호 기반 이용자 정보 공유형 단말기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03B1 (ko) * 2015-11-27 2017-06-12 한국도로공사 차량 번호 기반 이용자 정보 공유형 단말기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4498B2 (ja) 車車間通信装置
CN110254431B (zh) 车载系统
EP2831858B1 (en) Service of an emergency event based on proximity
EP3572283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10168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9566980B2 (en) Automobile driver improved response times using priming
JP2000357300A (ja) 自動車内情報システム
JP2019147535A (ja) 自動運転時情報伝達方法、自動運転時情報伝達装置、および自動運転時情報伝達システム
CN111210620A (zh) 一种驾驶员画像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221468B2 (en) Damage limitation for a motor vehicle in a dangerous situation
KR101908913B1 (ko)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간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2020126664A (ja) 自動車用の運転者支援システム
CN107005825B (zh) 一种汽车紧急呼叫方法、车载终端和系统
JP6398268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センター
CN113411776A (zh) 信息处理装置、车辆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非临时性存储介质
KR102219224B1 (ko) 차량 핸즈프리 전화 연결 시스템
KR2016003283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2차 차량사고 방지용 사고알림 장치 및 방법
US1171040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s scenario and associated terminal
CN114651455A (zh) 方法、计算机可读介质、系统和包括用于在车辆的事故后将事故参数提供给在车辆之外的人员的系统的车辆
US1135655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river of a vehicle
WO2023112377A1 (ja) 路側機、車両、及び、制御装置
JP2018093431A (ja) 中継システム
KR20220052518A (ko) 차량용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20230063775A (ko) 차량 간 위험상황 안내 방법
CN117119427A (zh) 一种车载终端的音频通话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