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558B1 -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558B1
KR101908558B1 KR1020180040953A KR20180040953A KR101908558B1 KR 101908558 B1 KR101908558 B1 KR 101908558B1 KR 1020180040953 A KR1020180040953 A KR 1020180040953A KR 20180040953 A KR20180040953 A KR 20180040953A KR 101908558 B1 KR101908558 B1 KR 10190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reaction tank
iron oxide
tank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8004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01J20/186Chemical treatments in view of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sieve, e.g. increasing the stability or the activity, also decreasing the a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1Washing or le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77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pH

Abstract

본 발명은 개질을 위한 제올라이트가 유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제올라이트의 소성을 위한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응조; 상기 제올라이트의 세척을 위하여 상기 반응조에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는 세척수주입장치; 상기 반응조에 음이온성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올라이트의 개질을 위한 산화철수용액을 주입하고, 상기 반응조로부터 다시 산화철수용액을 회수할 수 있는 산화철약품탱크;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용액의 pH 조절을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주입할 수 있는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 상기 제올라이트의 산화철 표면에 음전하를 띤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접목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조에 라디칼 개시제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주입할 수 있는 첨가제주입장치; 및 상기 반응조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응조로 이동하여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용액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ZEOLITE MANUFAFCTURING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 ADSORPTION OF CATIONIC AND ANIONIC CONTAMINANTS}
본 발명은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흡착이 가능하도록 제올라이트를 개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제올라이트는 규소 및 알루미늄 원자가 공유된 산소 원자를 통해 서로 4면체로 배위결합되어 일반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미세다공성 결정질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제올라이트의 고유한 다공성 특성, 넓은 입수가능성, 저비용 및 고효율로 인해, 많은 응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천연 제올라이트는 결정구조 내의 양이온의 작용에 의해서 불포화 탄화수소나 극성물질을 선택적으로 강하게 흡착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 제거용 흡착 여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광물질 중에서 가장 뛰어난 양이온 교환능력이 있으며, 이런 특성 때문에 구리, 납, 카드뮴, 아연 등의 양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그런데 오염물질에는 양이온성 오염물질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음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천연 제올라이트는 적합하지 못했다.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은 다른 흡착 여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한편, 제올라이트 표면에 산화철을 코팅하여 음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렇게 제조된 제올라이트는 음이온성 물질 제거능을 얻는 반면 양이온성 물질 제거 효율이 낮아지는 부작용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람의 수작업이 중심이 되다보니, 과도한 인력 및 시간이 투입되는 것은 물론 오류 발생이 잦아 신뢰할 만한 제올라이트 제조가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을 동시에 제거하여 기존의 제올라이트보다 오염물질 제거능이 향상되는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되, 보다 편리하고 쉬우면서 정확하게 제올라이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본 발명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질을 위한 제올라이트가 유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제올라이트의 소성을 위한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응조;
상기 제올라이트의 세척을 위하여 상기 반응조에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는 세척수주입장치;
상기 반응조에 음이온성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올라이트의 개질을 위한 산화철수용액을 주입하고, 상기 반응조로부터 다시 산화철수용액을 회수할 수 있는 산화철약품탱크;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용액의 pH 조절을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주입할 수 있는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
상기 제올라이트의 산화철 표면에 음전하를 띤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접목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조에 라디칼 개시제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주입할 수 있는 첨가제주입장치; 및
상기 반응조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응조로 이동하여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용액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를 제공한다.
상기 반응조의 하부는, 상기 세척수, 상기 산화철수용액을 포함하는 상기 반응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개폐가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개방시 상기 제올라이트는 거르고 나머지 용액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메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반장치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내부를 피스톤의 왕복이동을 통하여 상기 교반장치가 상기 반응조 내부로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반응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개질을 마친 제올라이트를 회수하는 회수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조는 바퀴를 포함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반응조 내부의 제올라이트를 상기 회수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응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반응조 내 수용된 용액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기; 및
상기 반응조 내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반응조로부터 폐액을 수거하는 폐액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이용하면 종래 사람의 수작업에 의존했던 제올라이트 제조공정의 대부분을 장치가 대체함으로써, 보다 쉽고 편리하며, 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제올라이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올라이트를 반응조로부터 회수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은 반응조(100), 세척수주입장치(200), 산화철약품탱크(300),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400), 첨가제주입장치(600), 교반장치(700) 및 폐액탱크(500)를 포함한다.
반응조(100)는 제올라이트, 세척수, 산화철수용액, 수산화나트륨, 첨가제 등이 주입되어 제올라이트의 개질반응이 진행되는 것이다.
반응조(100)는 또한 자체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하여 제올라이트의 고온에서의 소성, 상온에서의 방냉, 또는 건조 등의 별도의 기구없이 반응조(100)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반응조(100)의 상부에는 교반장치(700)가 배치될 수 있다. 교반장치(700)는 반응조(100) 상부에 배치되고, 하"?袖막? 이동하면 반응조(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반응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교반장치(70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응조(100)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반응조(100) 상부가 커버된 상태에서 교반장치(700)의 회전날개의 회전을 통하여 반응조(100)에 수용된 용액을 교반시킬 수 있다.
교반을 마친 교반장치(70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응조(100)로부터 분리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교반장치(700)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실린더(710)와 교반장치(700)가 결합되어 실린더(710) 피스톤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교반장치(7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710)는 유압실린더(710)일 수 있다. 실린더(710)의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면서 교반장치(7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실린더(710)의 피스톤 왕복운동을 통하여 실린더(710)에 결합된 교반장치(700)가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반응조(100)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장치(700)에는 pH 측정기 및 온도 측정기가 설치될 수 있다.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pH와 반응조(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려고 할 때 반응조(100) 내부의 용액의 pH와 온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pH 또는 반응조(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pH 측정기 및 온도 측정기가 교반장치(700)에 결합될 수 있다. 교반장치(700)에 결합된 pH 측정기는 교반장치(7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pH 측정기가 동작하여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pH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측정기는 반응조(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도 한다.
세척수주입장치(200)는 제올라이트의 세척을 위하여 반응조(100)에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주입하기도 하고, 산화철 개질이 종료된 다음 약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수를 주입하기도 한다.
즉, 세척수주입장치(200)는 반응조(100)에 제올라이트의 산화철 개질 전과 개질 후에 세척수를 주입하여 제올라이트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수주입장치(200)는 반응조(100) 상부의 개방된 공간으로 주입라인이 형성되어, 이러한 주입라인을 통하여 반응조(100)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주입장치(200)는 산화철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개질하기 위하여 순수 또는 초순수를 투입해야 하는데, 이때 순수 또는 초순수의 투입을 위해서도 세척수주입장치(200)가 이용될 수 있다.
산화철약품탱크(300)는 반응로조 산화철수용액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반응조(100)에 수용된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산화철을 코팅하여 음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올라이트를 개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산화철약품탱크(300)는 반응조(100)의 상부로 이어질 수 있는 산화철수용액 공급라인(미도시)을 포함하여, 반응조(100) 내부로 산화철수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반응조(100) 내부로 공급된 산화철수용액은 미리 반응조(100)에 투입된 제올라이트의 표면과 반응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을 산화철로 개질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의 개질을 마친 다음, 반응조(100) 내부의 용액은 다시 산화철약품탱크(3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된 산화철수용액은 이후의 제올라이트 개질에 재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반응조(100)에 산화철수용액이 투입된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더 주입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400)에 의하여 반응조(100)에 수산화나트륨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400)와 반응조(100)는 공급라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라인을 통해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400)의 수산화나트륨용액이 반응조(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pH를 측정해가면서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용액의 pH가 10일 때 산화철에 의한 제올라이트의 개질이 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pH가 10이 될때까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투입할 수 있다.
첨가제주입장치(600)는 산화철로 개질을 마친 제올라이트에 라디칼 개시제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투입함으로써,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음전하를 띤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접목하는 것이다.
첨가제주입장치(600)는 공급라인을 통하여 반응조(100)에 첨가제를 주입할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initiator)를 첨가함으로써 OH라디칼의 높은 산화력을 이용하여 고분자 분리막 표면과 공극 내부의 이중결합을 끊어 불안정한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라디칼 개시제는 나트륨메타비아황산염(Na2S2O5) 또는 나트륨퍼설페이트(Na2S2O8)일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푸마르산, 클로톤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는 OH 라디칼의 산화력 발생을 위한 것이며, 접목중합에 사용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메타크릴산으로 접목중합을 하는 경우에는 나트륨메타비아황산염(Na2S2O5)와 나트륨퍼설페이트(Na2S2O8)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크릴산을 이용하여 접목중합을 하는 경우에는 암모늄퍼설페이트((NH4)2S2O8)와 나트륨메타비아황산염(Na2S2O5)을 라디칼 개시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제1 반응기 안에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첨가하고 기설정 시간 동안 방치하게 된다. 그러면 불안정한 상태로 유도된 고분자 분리막의 표면 또는 공극 내부와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반응하게 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에 의하여 고분자 분리막 탄소의 이중결합이 깨어지고, 안정화를 위하여 주변의 이온과 고분자 분리막 표면 또는 공극 내부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후, 시간을 변수로 1차 반응과 같은 형태로 시간에 따라 고분자 분리막의 반응이 이루어지게 되면 최종적으로 고분자 분리막 표면에 음전하를 띈 카르복실기가 생성되게 된다.
폐액탱크(500)는 반응조(100)로부터 폐액을 회수할 수 있다. 산화철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접목하기 위하여 순수 또는 초순수가 투입되고, 이러한 순수 또는 초순수에 라디칼 개시제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투입되어 제올라이트가 개질되는데, 폐액탱크(500)는 이러한 개질을 마친 이후의 용액(폐액)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100)는 하부에 배출구(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조(1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10)를 통하여 세척수, 산화철수용액, 및 폐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10)는 제올라이트는 거르고 나머지 용액은 배출하여야 하므로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의 직경이 2mm라면 메쉬구조의 하나의 구멍의 직경은 이러한 제올라이트를 거를 수 있도록 2m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최초에 반응조(100)에 투입되는 제올라이트의 직경에 대응하여 메쉬구조 구멍의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메쉬구조를 통하여 제올라이트는 계속 반응조(100)에 머무를 수 있고, 개질을 위하여 반응에 필요한 용액은 투입과 배출이 용이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조(100)와 교반장치(700)가 상하로 배치되고, 그것에 이웃하여 산화철약품탱크(300),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400), 폐액탱크(50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각 탱크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반응조(100)와 연결되어 반응조(100)에서 요구되는 약품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공급하거나 반응조(100)로부터 산화철수용액 또는 폐액 등을 전달받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은 반응조(100)와 각 탱크를 모두 구비하고, 반응조(100)와 이에 필요한 약품 등을 반응조(100)에 쉽게 공급하거나 또는 반응조(100)로부터 배출된 용액을 저장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응조(100) 하부에 형성된 메쉬구조의 배출구(110)를 통하여 제올라이트만 반응조(100) 내부에 계속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제올라이트 개질공정이 크게 단순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올라이트를 반응조(100)로부터 회수조(800)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은 회수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조(800)는 개질을 마친 제올라이트를 회수하는 장비로서, 바퀴(810)를 포함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수조(800) 하부에 바퀴(810)가 형성되어 개질을 마친 제올라이트가 수용된 반응조(100) 하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제올라이트를 담아 필요한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반응조(100)는 회전축(120)을 구비하여,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개질을 마친 제올라이트를 외부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 회전축(120)은 반응조(100) 중앙부분의 외측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120)의 회전을 통하여 반응조(100) 내부에 수용된 제올라이트를 용이하게 회수조(800)에 쏟아 부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반응조
110: 배출구
120: 회전축
200: 세척수주입장치
300: 산화철약품탱크
400: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
500: 폐액탱크
600: 첨가제주입장치
700: 교반장치
710: 실린더
800: 회수조
810: 바퀴

Claims (6)

  1. 개질을 위한 제올라이트가 유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제올라이트의 소성을 위한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응조;
    상기 제올라이트의 세척을 위하여 상기 반응조에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는 세척수주입장치;
    상기 반응조에 음이온성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올라이트의 개질을 위한 산화철수용액을 주입하고, 상기 반응조로부터 다시 산화철수용액을 회수할 수 있는 산화철약품탱크;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용액의 pH 조절을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주입할 수 있는 수산화나트륨주입탱크;
    상기 제올라이트의 산화철 표면에 음전하를 띤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접목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조에 라디칼 개시제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주입할 수 있는 첨가제주입장치; 및
    상기 반응조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응조로 이동하여 상기 반응조에 수용된 용액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조의 하부는, 상기 세척수, 상기 산화철수용액을 포함하는 상기 반응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개폐가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개방시 상기 제올라이트는 거르고 나머지 용액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메쉬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내부를 피스톤의 왕복이동을 통하여 상기 교반장치가 상기 반응조 내부로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반응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개질을 마친 제올라이트를 회수하는 회수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조는 바퀴를 포함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반응조 내부의 제올라이트를 상기 회수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응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반응조 내 수용된 용액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기; 및
    상기 반응조 내 수용된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로부터 산화철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카르복실기 작용기가 접목되어 개질이 완성된 이후의 용액(폐액)을 수거하기 위한 폐액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KR1020180040953A 2018-04-09 2018-04-09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KR101908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53A KR101908558B1 (ko) 2018-04-09 2018-04-09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53A KR101908558B1 (ko) 2018-04-09 2018-04-09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558B1 true KR101908558B1 (ko) 2018-10-16

Family

ID=6413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53A KR101908558B1 (ko) 2018-04-09 2018-04-09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048A (ko) * 2019-10-01 2021-04-09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개질된 제올라이트 제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560A (ko) * 2011-02-10 2012-08-27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로부터 합성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장치
KR101639359B1 (ko) * 2015-04-01 2016-07-1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접목중합을 이용한 양극성 제올라이트 합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560A (ko) * 2011-02-10 2012-08-27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로부터 합성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장치
KR101639359B1 (ko) * 2015-04-01 2016-07-1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접목중합을 이용한 양극성 제올라이트 합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49 (2009) 123-131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49 (2009) 123-13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048A (ko) * 2019-10-01 2021-04-09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개질된 제올라이트 제조 시스템
KR102266262B1 (ko) * 2019-10-01 2021-06-1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개질된 제올라이트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6293A (en) Particulate material suitable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Salahshoor et al. Review of the use of mesoporous silicas for removing dye from textile wastewater
CN102030440A (zh) 汞污染水处理工艺
US10472261B2 (en) Contaminants removal with simultaneous desalination using carbon dioxide regenerated hybrid ion exchanger nanomaterials
US20220274100A1 (en) Water softener
CN105289501A (zh) 碘吸附剂、水处理用罐及碘吸附系统
KR101908558B1 (ko)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시스템
CN105728065A (zh) 软水树脂的再生方法
JPWO2020013070A1 (ja) 酸性液の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CN109569501B (zh) 一种含氟废水处理专用捕吸剂的制备方法
RU2298529C2 (ru) Способ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JP2021133356A (ja) 軟水化装置
CN110642329A (zh) 一种软水机及其控制方法
US5578218A (en) Brine treatment method
WO2023114806A1 (en) Regeneratable system for contaminant removal
Kong et al. PEI-modified chitosan/activated carbon composites for Cu (II) removal from simulated pyrophosphate plating rinsing wastewater
KR101926168B1 (ko) 양이온성 오염물질과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동시 흡착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CA3183967A1 (en) Regeneratable system for contaminant removal
CN111574735B (zh) 一种基于聚偏氟乙烯的聚3,4-乙烯二氧噻吩-聚苯乙烯磺酸盐复合薄膜及其制备和应用
JPH09155396A (ja) 汚泥処理におけるアルミニウム回収方法
KR101658502B1 (ko) 유무기 복합 금속 산화물 흡착제를 포함하는 인 회수 장치
JPH07161B2 (ja) ケイソウ土濾過助剤の前処理方法
KR102266262B1 (ko) 개질된 제올라이트 제조 시스템
CN115155544B (zh) 一种基于3d打印制备含聚丙烯偕胺肟多层骨架球体铀吸附材料的方法
JP2021133268A (ja) 軟水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