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539B1 -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 Google Patents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539B1
KR101908539B1 KR1020160025916A KR20160025916A KR101908539B1 KR 101908539 B1 KR101908539 B1 KR 101908539B1 KR 1020160025916 A KR1020160025916 A KR 1020160025916A KR 20160025916 A KR20160025916 A KR 20160025916A KR 101908539 B1 KR101908539 B1 KR 10190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d
handle
fulcru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307A (ko
Inventor
강광원
Original Assignee
강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광원 filed Critical 강광원
Priority to KR102016002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53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2075/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되는 부위를 작업봉의 선단부에 구성하여 받침점을 선단부로 이동시키고, 후단부로 연장형성된 몸체에 손잡이를 구성하여 힘점을 후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봉의 선단부에 탈착되는 받침점고정부; 및 작업봉과 고착되지 않은 상태로 받침점고정부와 연결되어 작업봉의 후단부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HANDLE FOR BRUSH CUTTER}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게감을 경감시켜 사용할 수 있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착되는 부위를 작업봉의 선단부에 구성하여 받침점을 선단부로 이동시키고, 후단부로 연장형성된 몸체에 손잡이를 구성하여 힘점을 후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초기(10)는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모터엔진부(11)와 모터엔진부(11)와 연결된 제1작업봉(12) 및 제1작업봉(12)과 탈착되는 제2작업봉(13)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제1작업봉(12)과 제2작업봉(13)으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로 구성된 작업봉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제1작업봉(12)에는 그립부(12-1), 모터의 RPM을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12-2) 및 손잡이(12-3)가 장착되며, 제2작업봉(13)의 선단부에는 커팅수단(13-1)이 장착된다.
제2작업봉(13)은 모터엔진부(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커팅수단(13-1)을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초기(10)는 한 손으로 그립부(12-1)를 파지하고(경우에 따라 컨트롤러 조작) 다른 한 손으로는 손잡이(12-3)를 파지하여 사용하는 형태로써, 커팅수단(13-1)의 회전력과 커팅수단(13-1)을 포함한 작업봉(12, 13) 등의 무게를 주로 손잡이(12-3)를 파지한 손으로 지지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로 대부분의 예초기(10) 사용자들은 1~2시간 정도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작업봉(12, 13)을 상하 및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며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예초 작업 후 작업자들 대부분이 팔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대부분 손잡이(12-3)를 파지한 손으로 예초기(10)의 무게, 특히 작업봉(12, 13)과 커팅수단(13-1)의 무게 및 커팅수단(13-1)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과 회전력은 물론 예초 작업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한 무게증감현상을 모두 감당해야 하므로, 작업 후 작업자에게 찾아오는 피로도는 상당한 편이다.
한편, 예초기의 손잡이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97226호(예초기용 손잡이)에 소개된 바 있다.
(0001) 등록실용신안 제20-029722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잡이의 형성위치는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고정위치를 작업봉의 선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무게중심이 작업봉의 선단부로 이동되어 작업자의 무게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게감을 저감시킴은 물론, 손잡이 부분의 상하이동경로를 제한된 공간에서 가이드 함으로써, 좌우이동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 이탈 및 이로 인한 몸체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작업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는, 작업봉의 선단부에 탈착되는 받침점고정부; 및 상기 작업봉과 고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받침점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봉의 후단부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점고정부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점고정부와 상기 작업봉 사이에는 이동방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지부는 만곡지게 형성되며, 중량분산몸체, 손잡이 및 상하이동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봉의 선단부에 받침점고정부를 체결고정시키고 작업봉의 후단부로 연결되어 형성된 손잡이를 작업봉과 체결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받침점고정부가 작업봉의 선단부로 이동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무게감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피로도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받침점고정부를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상하케이스의 형태로 제작하여 볼팅체결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신체사이즈에 맞춰 손잡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작업봉의 직경에 상관없이 적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받침점고정부와 작업봉 사이에 이동방지부재를 개재시킴으로써, 체결력을 높이고, 작업시 받침점고정부의 고정방향 및 고정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를 작업봉의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지렛대의 효과를 더욱 높여 무게감을 더욱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하부에 상하이동 가이드부재를 구성하여 작업봉의 상하좌우이동경로를 가이드 및 제한함으로써, 작업시 손잡이 부분의 상하좌우이동에 따른 몸체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작업봉과 고착되지 않은 상태로 상하이동 가이드부재 내에서 작업봉의 상하이동길이를 제한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함과 동시에 작업시 작업봉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초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지렛대의 원리는 받침점(Resistance), 힘점(Force), 작용점(Axis)이 존재하고, 힘점과 받침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용점에 작용되는 힘은 증가되는 것으로, 받침점과 작용점이 가까울수록 적은 힘으로도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원리이다.
본 발명에서는 받침점고정부(110)가 받침점에 해당되며, 손잡이(121)가 힘점에 해당되고, 커팅수단(13-1)의 무게 및 작업시 발생하는 각종 마찰력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무게감이 작용점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도 소개하였듯이, 예초기(10)의 작업봉(12, 13)은 일반적으로 모터엔진부(11)와 연결되는 제1작업봉(12) 및 커팅수단(13-1)이 연결되어 제1작업봉(12)에 연결되는 제2작업봉(13)으로 구성된다.
제1작업봉(12)과 제2작업봉(13)의 연결시 회전 중심축을 결합시켜 체결한 후 고정볼트 등으로 제1작업봉(12)과 제2작업봉(13)의 연결부위를 동시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제1작업봉(12)과 제2작업봉(13)의 구분없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작업봉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예초기(10)의 작업봉(12, 13)에 장착되는 작업 손잡이(10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작업봉(12)과 제2작업봉(13)으로 구성된 작업봉(12, 13)에 적용한 사례를 설명하고자 하나,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작업봉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작업 손잡이(100)는 작업봉(12, 13)의 선단부, 즉, 제2작업봉(13)에 장착고정되는 받침점고정부(110)와 작업봉(12, 13)에 고착되지 않은 상태로 받침점고정부(110)와 연결되어 제2작업봉(13)의 후단부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커팅수단(13-1)이 체결된 쪽을 선단 또는 선단부라 표현하고, 그 반대 쪽을 후단 또는 후단부라 표현하도록 한다.
파지부(120)는 작업봉(12, 13)의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받침점고정부(110)는 제2작업봉(13)에 장착고정되는 부분으로 작업자의 신장 조건에 따라 체결위치를 제2작업봉(13)의 선단부 부근에서 조절함으로써, 손잡이(121)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받침점고정부(110)는 제1고정부(111)와 제2고정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고정부(111)는 제2작업봉(13)의 어느 한 테두리의 일측을 감싸며, 복수 개의 제1체결홀(111-1)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2작업봉(13)의 하부를 감싼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좌측이나 우측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부분을 감싼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고정부(111)에는 제2작업봉(13)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어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홈의 양측으로 각각 제1체결홀(111-1)이 형성된다.
제1체결홀(111-1)은 양측에 각각 복수 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 상에는 3개씩 구성하였다.
제2고정부(112)는 제2작업봉(13)의 어느 한 테두리의 타측을 감싸며 제1고정부(111)에 결합되고, 제1체결홀(111-1)에 대응되어 제2체결홀(112-1)이 형성되며, 후단부로 파지부(120)가 연장형성된다.
제2고정부(112)는 제1고정부(111)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1고정부(111)의 체결위치에 대향되어 위치되며, 제1고정부(111)와 제2고정부(112)가 체결되면서 제2작업봉(13)을 감싸게 된다.
제1고정부(111) 및 제2고정부(112) 상호 간은 볼팅 체결되며, 제2작업봉(13)의 직경에 따라 제1고정부(111) 및 제2고정부(112)에 형성되는 체결홈의 크기를 대응시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체결홈을 구성하고 볼팅체결에 의해 고정력을 증감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작업봉(13)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볼팅체결만으로 고정하고 예초기(10)를 사용시, 체결부위가 변경되거나 제2작업봉(13)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부위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점고정부(110)와 제2작업봉(13) 사이에는 체결된 받침점고정부(110)가 제2작업봉(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2작업봉(13)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이동방지부재(130)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파지부(120)는 중량분산몸체(122), 손잡이(121) 및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량분산몸체(122)는 선단부가 제2고정부(112)와 연결되며, 작업봉(12, 13)과 분리된 상태로 작업봉(12, 13)의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후단부로 연장형성된다.
한편, 중량분산몸체(122) 및 제2고정부(112)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는 하였으나,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분산몸체(122)는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지렛대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어 사용자의 무게감을 더욱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부(111) 및 제2고정부(112)의 연결(체결)부위 등이 만곡진 내측으로 위치되어 부속물들이 중량분산몸체(122)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분산몸체(122)는 사용되는 예초기(10)의 중량 및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무게 및 탄성 강도 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분산몸체(122)의 후단부에는 손잡이(121)가 체결고정되며, 손잡이의 하부로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가 형성된다.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 및 손잡이(121)도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의 하단부는 개구된 형상이고, 도 5를 참조하면 개구된 양측은 각각 바깥쪽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되며, 그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제1작업봉(12)을 가이드한다.
내부로 삽입된 제1작업봉(12)은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의 내부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되며, 소정길이만큼 상하로 이동된다.
손잡이(121)가 제1작업봉(12)에 고착될 경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할 수 없으며, 받침점고정부(110)만을 제2작업봉(13)에 체결고정시키고 손잡이(121) 부분을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 없이 제1작업봉(12)과 분리된 상태로 구성할 경우, 예초 작업시 받침점고정부(110)를 제외한 중량분산몸체(122)는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 또는 상하이동경로의 제한 없이 받침점고정부(110) 및 중량분산몸체(122)의 연결된 부분의 탄성만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할 경우, 본 발명인 작업 손잡이(100)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훼손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제1작업봉(12)이 하부로 처진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마로 작업능률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를 통해 제1작업봉(12)의 좌우이동을 제한하고, 상하이동을 소정의 상하길이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함과 동시에 작업편의성 및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작업봉(12)이 삽입 또는 분리되는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의 하부 개구된 양측은 내부로 삽입된 제1작업봉(12)이 작업시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는 구성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각각의 비율 및 형상 등은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100)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100)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작업 손잡이(100)의 받침점고정부(110)는 도 1을 참조하면 제2작업봉(13)의 A 부분에 체결 고정되며, 상하이동 가이드부재(123)의 내측으로 제1작업봉(12)이 체결되어 제1작업봉(12)의 상하이동경로가 가이드된다.
물론,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받침점고정부(11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받침점고정부(110)를 커팅수단(13-1)과 인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업봉(12)에 체결고정 및 위치되던 손잡이(12-3)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고정위치는 제2작업봉(13)에 구성하고 손잡이(121)의 위치는 종래와 동일한 위치에 구성하여 무게 중심만을 커팅수단(13-1)이 체결된 제2작업봉(13)의 선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의 무게감(피로도)을 저감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10 : 예초기
11 : 모터엔진부
12 : 제1작업봉 12-1 : 그립부
12-2 : 컨트롤러 12-3 : 손잡이
13 : 작업봉 13-1 : 커팅수단
100 : 작업 손잡이
110 : 받침점고정부 111 : 제1고정부
111-1 : 제1체결홀 112 : 제고정부
112-1 : 제2체결홀
120 : 파지부 121 : 손잡이
122 : 중량분산몸체 123 : 상하이동 가이드부재
130 : 이동방지부재

Claims (5)

  1. 예초기의 작업봉에 장착되는 작업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업봉의 선단부에 탈착되는 받침점고정부; 및
    상기 작업봉과 고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받침점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봉의 후단부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선단부가 상기 받침점고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작업봉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작업봉의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중량분산몸체;
    상기 중량분산몸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중량분산몸체의 후단부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구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업봉이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분리되며, 상기 작업봉이 내부에 위치시 상기 작업봉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이동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점고정부는,
    상기 작업봉의 어느 한 테두리의 일측을 감싸며, 복수 개의 제1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작업봉의 어느 한 테두리의 타측을 감싸며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홀에 대응되어 제2체결홀이 형성되며, 후단부로 상기 파지부가 연장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점고정부와 상기 작업봉 사이에는,
    체결된 상기 받침점고정부가 상기 작업봉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작업봉의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5. 삭제
KR1020160025916A 2016-03-03 2016-03-03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KR10190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16A KR101908539B1 (ko) 2016-03-03 2016-03-03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16A KR101908539B1 (ko) 2016-03-03 2016-03-03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07A KR20170103307A (ko) 2017-09-13
KR101908539B1 true KR101908539B1 (ko) 2018-10-16

Family

ID=5996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916A KR101908539B1 (ko) 2016-03-03 2016-03-03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552A (ja) 1998-12-04 2000-06-20 Kioritz Corp ハンドレバー装置
JP2001275432A (ja) 2000-03-30 2001-10-09 Ochiai Cutlery Mfg Co Ltd 把手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刈払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418U (ja) * 1992-10-16 1994-05-10 小松ゼノア株式会社 ハンドルの固定装置
KR200297226Y1 (ko) 2002-08-23 2002-12-11 홍석운 예초기용 손잡이
KR100662731B1 (ko) * 2004-09-21 2006-12-28 계양전기 주식회사 예초기 및 그의 결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552A (ja) 1998-12-04 2000-06-20 Kioritz Corp ハンドレバー装置
JP2001275432A (ja) 2000-03-30 2001-10-09 Ochiai Cutlery Mfg Co Ltd 把手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刈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07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0238B1 (en) Portable hand-held power tool
JP4940090B2 (ja) 刈払機
US20090049651A1 (en) Vibration Dampening Mechanism For Power Tool
US20080121065A1 (en) Work machine
CA2664002C (en) Weed removal tool
CN104798526A (zh) 打草机
EP3046408A1 (en) Handle configuration for power implements
WO2007069551A1 (ja) 曲折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装着してなる携帯型刈払機
DE10132951A1 (de)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KR101908539B1 (ko)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CN103118529B (zh) 用于动力工具的把手装置
JP2011072301A (ja) 背負い式動力作業機
US11246413B2 (en) Furniture base and a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such a furniture base
CN201075905Y (zh) 打草机
JP4537594B2 (ja) 刈払機
DE10003984A1 (de) Arbeitsgerät mit einem Antriebsmotor
EP1530890B1 (en) Portable device with anti-vibration handle for use in agriculture and gardening
CN105145137B (zh) 绿篱机副手柄的旋转机构
KR20170035023A (ko) 휴대용 농기계 안전커버
KR102502217B1 (ko) 예초기 핸들링 장치
CN209105679U (zh) 一种水果采集器
KR102047527B1 (ko) 작업용 이동의자
JP3212658U (ja) 立ち姿勢による草刈鋏
CN205812817U (zh) 打草机
CN216492027U (zh) 带有便携手持结构的割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