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378B1 - 개폐기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개폐기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378B1
KR101908378B1 KR1020170126480A KR20170126480A KR101908378B1 KR 101908378 B1 KR101908378 B1 KR 101908378B1 KR 1020170126480 A KR1020170126480 A KR 1020170126480A KR 20170126480 A KR20170126480 A KR 20170126480A KR 101908378 B1 KR101908378 B1 KR 10190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itch
guide
grip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기
차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2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력을 매개로 개폐기에 고정되는 부착고정부; 상기 개폐기의 작동레버가 고정되는 그립고정부; 및, 상기 부착고정부 및, 상기 그립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기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레버구동부;를 포함하는 개폐기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폐기 작동장치{OPPERATING APPARATUS OF GROUND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개폐기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종래의 경우에는, 지상개폐기의 작동을 위해, 개폐기의 구조상 작업자가 온오프 조작시 작업자가 직접 작동레버에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지상개폐기에 근접한 상태에서 온오프 조작작업을 하게 됨에 따라, 지상개폐기의 기기불량시 감전, 아크화상, 폭발충격 등의 안전사고에 작업자가 직접 노출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상개폐기의 수동조작을 위해 작업자가 작동레버를 상하로 조작해야하는데, 힘이 약한 여성작업자의 경우는 작동레버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작업자가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개폐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개폐기 작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개폐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개폐기 작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자기력을 매개로 개폐기에 고정되는 부착고정부 상기 개폐기의 작동레버가 고정되는 그립고정부 및, 상기 부착고정부 및, 상기 그립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기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레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구동부는, 상기 부착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모듈 및, 상기 그립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부재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모듈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이송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부착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이송스크류가 관통하는 제1 가이드체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가이드체 및,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 사이를 이격하여 연결하는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개폐기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작동레버의 움직임을 추종가능하도록, 상기 레버구동부와 상기 그립고정부의 사이 및, 상기 레버구동부와 상기 부착고정부의 사이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착고정부는 자성체를 매개로 상기 개폐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착고정부는, 상기 개폐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전자석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레버구동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바;를 구비하는 개폐기 작동장치.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이송모듈은, 상기 가이드봉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송바; 및, 상기 이송바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립고정체는, 상기 이송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U자형의 결합본체; 및, 상기 결합본체 및, 상기 그립고정부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핀부재;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립고정부는, 상기 작동레버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레버홀이 형성된 그립고정본체; 및, 상기 그립고정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구동부의 이송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착고정부 및, 상기 레버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개폐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개폐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 작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 작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 작동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 작동장치는 부착고정부(100), 그립고정부(200) 및, 레버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개폐기 작동장치는 자기력을 매개로 개폐기(10)에 고정되는 부착고정부(100)와, 상기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가 고정되는 그립고정부(200) 및, 상기 부착고정부(100) 및, 상기 그립고정부(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기(10)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15)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레버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개폐기(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기 작동장치이다.
개폐기(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레버(15)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개폐기(10)는 외함(11)과, 외함(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기본체(13)가 설치되고, 개폐기(10)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레버(15)가 설치될 수 있다.
작동레버(15)는 개폐기본체(13)에 설치되고, 개폐기(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레버(15)는 온오프 동작으로 전환시 작동레버(15)는 개폐기본체(13)에 일측 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는 원호상의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부착고정부(100)는 자기력을 매개로 개폐기(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부착고정부(100)는 개폐기(10)의 외함(11)에 고정될 수 있고, 부착고정부(100)에는 레버구동부(3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립고정부(200)는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레버구동부(300)는 부착고정부(100) 및, 상기 그립고정부(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기(10)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15)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레버구동부(300)는 부착고정부(100)에 의해 개폐기(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형적으로 구동되면서 그립고정부(200)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가 고정된 그립고정부(200)가 레버구동부(300)에 의해 구동되면서 작동레버(15)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물론, 작동레버(15)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하되, 그립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작동레버(15)의 단부는 원호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레버구동부(300)와 그립고정부(200)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작동레버(15)의 원호상의 선형적 운동을 추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는 종래와는 달리 작업자가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개폐기(1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는 전동방식을 활용하여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를 조작할 수 있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개폐기(10)를 작동시킬 수 있어 힘이 약한 여성작업자도 용이하게 개폐기(1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착고정부(100)는 자성체를 매개로 상기 개폐기(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부착고정부(100)에 포함된 자성체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부재(110)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폐기(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위해 전자석부재(110)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착고정부(100)는, 상기 개폐기(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전자석부재(110) 및,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부재(1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레버구동부(30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바(130)를 구비할 수 있다.
부착력을 조정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전자석부재(110)의 간격은 간격조정바(130) 상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2개의 전자석부재(110)가 간격조정바(130)에 설치될 수 있고, 2개의 간격조정바(130)가 이격하여 설치되고, 각각 전자석부재(1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석부재(110)는 개폐기(10)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저면에 평판형이 부착부분이 형성되고, 전자석부재(110)를 온오프시키는 컨트롤러부(400)의 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일례로, 전자석부재(110)는 무선방식에 의해 온오프가 조정될 수 있다.
보다 큰 부착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복수 개의 전자석 부재가 최대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재(110)에는 간격조정바(13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홀은 간격조정바(130)의 외경과 미세한 공차를 두고 형성되어 잔자석부재는 간격조정바(130)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간격조정바(130)는 강자성체로 구성되어, 전자석부재(110)에 전류가 공급되기 이전에는 간격조정바(130)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나, 전자석 부재에 전류가 공급시 전자석부재(110)는 간격조정바(130)에 고정되면서 간격조정바(130) 상에서 전자석부재(1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간격조정바(130)는 일측단부가 레버구동부(300)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는 간격조정바(130) 보다 단면이 확경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자석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버구동부(300)는, 상기 부착고정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모듈(310) 및, 상기 그립고정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부재(350)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모듈(310)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이송모듈(330)을 구비할 수 있다.
레버구동부(300)는, 부착고정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모듈(310)과, 상기 그립고정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모듈(310)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이송모듈(330) 및, 상기 이송모듈(330)을 이동시키는 선형적인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모듈(310)은 부착고정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모듈(3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모듈(330)은 구동부재(350)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모듈(310)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재(350)는 이송모듈(330)에 결합되어 선형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재(35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51)와, 구동모터(351)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이송스크류(353)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모터(351)는 DC 모터로 구비될 수 있고, 컨트롤러부(400)에서 케이블(C)을 매개로 작동배터리에 의해 제공된 전원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구동모터(351)에서 제공된 회전력은 이송스크류(353)로 전달되고, 이송스크류(353)에 결합된 이송모듈(330)의 이송블록(331)이 선형적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운동이 선형적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이송블록(331)에는 이송스크류(353)의 외부나사산과 대응되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모듈(310)은, 상기 부착고정부(1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350)의 이송스크류(353)가 관통하는 제1 가이드체(311)와, 상기 제1 가이드체(311)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가이드체(313) 및, 상기 제1 가이드체(311)와 상기 제2 가이드체(313) 사이를 이격하여 연결하는 가이드봉(315)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311)는 상기 부착고정부(1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부재(350)의 이송스크류(353)가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체(311)는 부착고정부(100)의 간격조정바(13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가이드체(311)와 간격조정바(130)의 단부는 핀부재(P)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311)와 간격조정바(130)이 단부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311)는 구동부재(350)의 이송스크류(353)가 소정의 공차를 두고 관통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311)는 부착고정부(100)의 그립고정본체(21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311)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부재(350)의 구동모터(351)가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봉(315)에 의해 제1 가이드체(311)와 제2 가이드체(313)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51)의 구동에 의해 이송스크류(353)는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모듈(310)이 제1 가이드체(311), 제2 가이드체(313), 가이드봉(315)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스크류(353)가 회전됨으로써, 이송블록(331)이 가이봉 상에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이송스크류(353)에 의해 이송블록(331)이 승강되더라도 이송블록(331)은 한 쌍의 가이드봉(315)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이송블록(331)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체(313)에는 이송모듈(330)의 이송바(33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353)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스큐류의 외부나사산과 결합되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된 이송블록(331)이 이동하면서 이송블록(331)에 연결된 이송바(333) 및, 그립고정체(335)가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311)에는 구동모터(351)가 고정되고, 구동모터(351)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53)는 제1 가이드체(311)를 관통하고 제2 가이드체(313)에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체(313)에는 구동부재(350)의 이송스크류(353)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체(313)에는 이송바(333)가 소정의 공차를 두고 관통되면서 이송바(333)는 제2 가이드체(3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모듈(330)은, 상기 가이드봉(315)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350)의 이송스크류(353)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이송블록(331)과, 상기 이송블록(331)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체(313)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송바(333) 및, 상기 이송바(333)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고정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고정체(33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블록(331)에는 가이드바가 소정의 공차를 두고 관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립고정체(335)에는 그립고정부(200)의 그립고정본체(21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그립고정체(335)는 상기 이송바(333)의 단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U자형의 결합본체 및, 상기 결합본체 및, 상기 그립고정부(20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핀부재(P)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립고정체(335)의 결합본체는 일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핀부재(P)는 결합본체 및, 상기 그립고정부(200)의 회동블럭(230)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레버구동부(300)와 그립고정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본체의 U자형의 개방된 부분에 그립고정부(200)의 회동블럭(230)이 배치된 상태에서 핀부재(P)가 결합본체와 그립고정부(200)의 회동블럭(230)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회동블럭(230)과 결합본체는 핀부재(P)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작동레버(15)에 결합된 그립고정본체(210)가 작동레버(15)의 원호상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그립고정부(200)는, 상기 작동레버(15)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레버홀(211)이 형성된 그립고정본체(210) 및, 상기 그립고정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구동부(300)의 이송모듈(3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블럭(2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립고정본체(210)는 작동레버(15)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레버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고정본체(210)는 복수 개의 분할된 원호상의 부재의 일측이 핀부재(P)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원호상의 부재의 양측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재 등의 잠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립고정본체(210)는 작동레버(15)에 설치시 분할된 원호상의 부재가 벌어지고 작동레버(15)가 내부로 배치된 후 잠금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잠금부재는 원호상의 부재의 양측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공지의 다양한 형상의 잠금부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블럭(230)은 힌지홀이 형성되어, 이송모듈(330)의 그립고정체(335)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립고정체(335)의 결합본체가 회동블럭(2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그립고정체(335)는 이송바(333)의 단부에 고정되는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블럭(230)의 힌지홀에 결합되는 핀부재(P)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립고정본체(210)의 외측에서 레버홀(211) 내부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절나사가 설치되고, 조절나사의 단부에는 만곡클램프가 설치되어 레버홀(211) 내부에 배치된 작동레버(15)를 만곡클램프가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는 부착고정부(100) 및, 상기 레버구동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트롤러부(400)는 부착고정부(100) 및, 상기 레버구동부(300)의 양측에 케이블(C)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부(400)는, 부착고정부(100)와 레버구동부(300)의 등의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 컨트롤러본체, 컨트롤러본체와 부착고정부(100) 및, 레버구동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C) 및, 컨트롤러본체에 내장되는 작동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부(400)는 작업자의 입력에 의해 전자석부재(1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석 스위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구동모터(35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부(400)는 소리신호를 감지하여 개폐기(10)의 스위치의 정지여부를 감지하는 소리감지부재, 진동신호를 감지하여 개폐기(10)의 스위치의 정지여부를 감지하는 진동감지부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소리감지부재, 진동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본 장치의 개폐기(10) 개폐기(10)가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되거나, 정지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감지되면 컨트롤러부(400)에서 구동모터(351)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일례로, 소리감지부재 및, 진동감지부재는 본 발명의 레버구동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구동부(300)의 구동부재(350)의 구동모터(35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고정부(200)를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고정부(100)를 개폐기(10)의 외함(11)에 부착한다.
이때, 부착고정부(100)에는 레버구동부(3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부착고정부(100)가 개폐기(10)의 외함(11)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구동부(300)와 그립고정부(200)의 사이를 핀부재(P)으로 연결한다.
즉, 작동레버(15)에 고정된 그립고정부(200)는 핀부재(P)를 매개로 부착고정부(100)에 설치된 레버구동부(300)를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폐기(10)마다 작동레버(15)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의 위치에 따라, 레버구동부(300)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레버구동부(300)와 그립고정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레버구동부(300)를 구동시켜 가이드모듈(310) 상에서 이송모듈(330)를 선형적으로 이송시켜 그립고정부(200)가 결합되는 고정체결합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a를 참조하면, 개폐기(10)의 외함(11)에 부착고정부(100)가 부착되고, 개폐기(10)의 그립고정부(200)에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부착고정부(100)와 그립고정부(200)의 사이에 설치된 레버구동부(300)가 구동되면서 개폐기(10)의 작동레버(15)는 서서히 하강한다.
이때, 작동레버(15)는 일측 단부가 개폐기본체(13)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는 그립고정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원호상의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레버(15)에 고정된 그립고정부(200)도 작동레버(15)의 원호상의 운동을 추종하면서 이동해야 한다.
본 발명의 개폐기 작동장치는 레버구동부(300)와 상기 그립고정부(200)의 사이 및, 상기 레버구동부(300)와 상기 부착고정부(100)의 사이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작동레버(15)의 원호상의 운동을 추종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개폐기(10)의 외함(11)에 부착고정부(1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레버구동부(300)의 가이드모듈(310) 상에서 이송모듈(330)이 이동하면서 이동모듈에 고정된 그립고정부(200)를 이동시켜 작동레버(1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레버(15)의 움직임을 추종가능하도록, 상기 레버구동부(300)와 상기 그립고정부(200)의 사이 및, 상기 레버구동부(300)와 상기 부착고정부(100)의 사이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개폐기 11: 외함
13: 개폐기본체 15: 작동레버
20: 개폐기 작동장치
100: 부착고정부 110: 전자석부재
130: 간격조정바 200: 그립고정부
210: 그립고정본체 211: 레버홀
230: 회동블럭 300: 레버구동부
310: 가이드모듈 311: 제1 가이드체
313: 제2 가이드체 315: 가이드봉
330: 이송모듈 331: 이송블록
333: 이송바 335: 그립고정체
350: 구동부재 351: 구동모터
353: 이송스크류 400: 컨트롤러부
C: 케이블 H: 힌지홀
P: 핀부재

Claims (10)

  1. 자기력을 매개로 개폐기에 고정되는 부착고정부
    상기 개폐기의 작동레버가 고정되는 그립고정부 및,
    상기 부착고정부 및, 상기 그립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기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레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구동부는,
    상기 부착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모듈 및,
    상기 그립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부재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모듈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이송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부착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이송스크류가 관통하는 제1 가이드체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가이드체 및,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 사이를 이격하여 연결하는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개폐기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움직임을 추종가능하도록, 상기 레버구동부와 상기 그립고정부의 사이 및, 상기 레버구동부와 상기 부착고정부의 사이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기 작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고정부는 자성체를 매개로 상기 개폐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기 작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고정부는,
    상기 개폐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전자석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레버구동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조정바;를 구비하는 개폐기 작동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가이드봉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송바; 및,
    상기 이송바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고정체;를 구비하는 개폐기 작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고정체는,
    상기 이송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U자형의 결합본체; 및,
    상기 결합본체 및, 상기 그립고정부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핀부재;을 구비하는 개폐기 작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고정부는,
    상기 작동레버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레버홀이 형성된 그립고정본체; 및,
    상기 그립고정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구동부의 이송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블럭;을 구비하는 개폐기 작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고정부 및, 상기 레버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개폐기 작동장치.
KR1020170126480A 2017-09-28 2017-09-28 개폐기 작동장치 KR10190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80A KR101908378B1 (ko) 2017-09-28 2017-09-28 개폐기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80A KR101908378B1 (ko) 2017-09-28 2017-09-28 개폐기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378B1 true KR101908378B1 (ko) 2018-10-17

Family

ID=6409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80A KR101908378B1 (ko) 2017-09-28 2017-09-28 개폐기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359A (ko) * 2020-05-28 2021-12-07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용 조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62Y1 (ko) * 2002-09-04 2002-12-02 이하용 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KR101090277B1 (ko) * 2011-03-15 2011-12-07 김구래 자동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62Y1 (ko) * 2002-09-04 2002-12-02 이하용 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KR101090277B1 (ko) * 2011-03-15 2011-12-07 김구래 자동 용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359A (ko) * 2020-05-28 2021-12-07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용 조작 장치
KR102430446B1 (ko) 2020-05-28 2022-08-09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용 조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3060A1 (en) Angle-detecting door handle assembly
CN103394748B (zh) 可安全换刀片的电动工具
KR101908378B1 (ko) 개폐기 작동장치
KR920009627A (ko) 동력식 래치 결합 및 분리장치
CN1262727C (zh) 在门锁中用于控制手柄操作的电磁装置
JP2013013173A (ja) アース線取付け器具
CN103119670A (zh) 用于可分离地将电流导体固定至电流互感器壳体的装置
CN104282461B (zh) 用于电气开关的锁止元件
KR101786716B1 (ko) 패드락 장치
CN115666889A (zh) 可切换磁体装置
KR20110002977U (ko) 곤도라의 선체 외판 부착장치
CN109741978B (zh) 遥控微断控制装置及开关组件
US8987622B2 (en) Switch
ITMI941373A1 (it) Azionamento rotante chiudibile per interruttori di potenza con una serratura per l'apparecchio elettrico con un glifo di manovra
KR101261319B1 (ko) 범용 영구자석 조작기용 수동조작모듈
CN105336524B (zh) 双电源供电断路器柜供电的机械连锁机构
KR20220037132A (ko)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CN101916678B (zh) 自动转换开关的永磁操作机构
CN111037597A (zh) 一种变频电磁控制技术的多用途机械手
CN106783424B (zh) 一种远程控制断路器
KR20160042337A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479169B1 (ko)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GB2052158A (en) Electric switch
CN115831635B (zh) 柜外操作手柄及电控柜
JP7425683B2 (ja) アタッチメントペダル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